KR20150090481A -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481A
KR20150090481A KR1020140011173A KR20140011173A KR20150090481A KR 20150090481 A KR20150090481 A KR 20150090481A KR 1020140011173 A KR1020140011173 A KR 1020140011173A KR 20140011173 A KR20140011173 A KR 20140011173A KR 20150090481 A KR20150090481 A KR 2015009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raw material
space
hardness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국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4001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481A/ko
Publication of KR2015009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61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in different places, e.g.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aming agent, feeding one composition after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1Mattresses,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진 패드를 구성하여 착석자의 안락감을 보장함과 동시에 패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킨 시트용 이경도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각각의 패드를 2차 발포를 통해 성형이 가능한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Pad for Seat having Multi-way Different Hard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의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진 패드를 구성하여 착석자의 안락감을 보장함과 동시에 패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킨 시트용 이경도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각각의 패드를 2차 발포를 통해 성형이 가능한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착석자의 착석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와 허벅다리 등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시트의 시트쿠션(S)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시트쿠션(S)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S)은 내부가 우레탄 패드와 같은 수지재 패드(20)로 이루어지며, 외부가 천, 비닐 또는 가죽 재질의 커버(10)로 감싸여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종래의 수지재 패드(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는 하부패드(21)와 측면패드(22) 및 상부패드(23)로 이루어지며, 하부패드(21)와 측면패드(22)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한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패드(23)는 탑승자의 안락감을 위해 부드러운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경도가 다른 재질을 이용해 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이경도 패드라고 하며, 종래에는 이경도 패드를 구성하기 위해 하부패드(21)와 측면패드(22)를 발포 성형한 후 별도로 발포 성형한 상부패드(23)를 추가 부착하여 생산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드(20)는 상부패드(23)의 부착위치가 불균일하여 패드(20) 형상의 균일성 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하부패드(21)와 측면패드(22)를 발포 성형한 상태에서 상부패드(23)를 부착하는 추가 공정으로 인해 생산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부패드(21) 및 상부패드(23)를 모두 부드러운 경도를 갖는 동일 재질로 구성하고, 측면패드(22) 만을 강한 경도로 구성하여 하부패드(21), 상부패드(23) 및 측면패드(22)를 동시에 발포한 좌우 이경도 패드가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좌우 이경도 패드는, 착좌 시 안락감에 영향이 없는 하부패드(21)도 고가의 소프트한 경도를 갖는 재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원료비가 증가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단순히 하부패드(21)와 상부패드(23)를 서로 다른 이경도 재질로 구성하고, 이를 동시에 발포 성형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나, 발포 성형 과정에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서로 다른 재질이 혼합되어 하부패드(21)와 상부패드(23)의 경계가 모호 해지고, 이에 따른 성능저하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 시 안락감을 제공하는 착좌부의 패드는 고밀도 저탄성 패드로 이루어지며, 장시간 착석 시 둔부 피로감이 상쇄될 수 있도록 비 착좌부의 패드는 중저밀도 고탄성 패드로 이루어진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추가적으로 착좌부의 측면 패드와 전후방 측 패드도 착석 조건에 적절한 밀도와 탄성을 갖는 패드로 이루어진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1차 금형을 통해 비 착좌부 패드의 발포를 완료한 후 2차 금형을 통해 착좌부 패드의 발포를 진행하여 비 착좌부와 착좌부 패드의 경계가 명확해지고, 발포제의 혼합을 방지한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는, 시트용 시트쿠션에 구비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소정의 경도를 갖고, 상기 패드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패드; 및 상기 상부패드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패드;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패드는, 착좌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메인패드; 착좌자의 요추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패드; 및 착좌자의 둔부 및 허벅지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패드; 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패드는 상기 메인패드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후방패드는 상기 측면패드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제조 방법은, 상술된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의 제조를 위해 상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1 공간이 형성된 하부 금형 및 제1 상부 금형과, 하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2 공간이 형성된 제2 상부금형을 포함하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 상의 제1 공간에 제1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에 상기 제1 상부 금형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료를 발포하여 상기 상부패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 상부 금형을 탈거하고, 상기 상부패드의 상측에 제2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에 상기 제2 상부금형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원료를 발포하여 상기 하부패드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원료는, 상기 제1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메인패드 성형을 위한 제11 공간과, 상기 측면패드 성형을 위한 제1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원료는, 상기 제11 공간에 주입되는 제11 원료와, 상기 제12 공간에 주입되는 제12 원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후방패드 성형을 위한 제13 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원료는, 상기 제13 공간에 주입되는 제21 원료와, 상기 제2 공간에 주입되는 제22 원료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2 원료는 상기 제11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제21 원료는 상기 제12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제22 원료는 상기 제21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은, 시트 쿠션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경도를 갖는 복수의 패드를 적용하여 착좌자의 안락감이 증대되어 제품의 감성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비 착좌부에 형성된 패드는 강한 경도를 갖는 저렴한 재질의 원료 사용이 가능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비 착좌부와 다른 경도를 갖는 착좌부 패드 부착을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치 않아 작업공수 절감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2차 발포 공정을 통해 서로 다른 경도 재질의 발포에 따른 착좌부와 비 착좌부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획하여 균일한 품질의 패드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쿠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쿠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경도 패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이경도 패드 제조공정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쿠션의 패드(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패드(200)의 전후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패드(200)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는 상부패드(210, 220, 230) 및 하부패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200)의 상측에는 상부패드(210, 220, 230)가 형성된다. 상부패드(210, 220, 230)는 착좌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경도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저탄성 수지재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부패드(210, 220, 230)는 메인패드(210)와 후방패드(220) 및 측면패드(230)로 구성된다. 메인패드(210)는 착좌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전방패드(211) 및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중앙패드(212)로 구성된다. 후방패드(220)는 착좌자의 요추 하단부(미골)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패드(212)의 후방에 형성되며, 중앙패드(212)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측면패드(230)는 착좌자의 허벅지 및 둔부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착좌 시 착석자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메인패드(21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메인패드(210)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부패드는 착좌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함은 물론 착좌자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측면패드(230)는 메인패드(210) 보다 경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방패드(220)는 측면패드(230)보다 경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인패드(210)는 착좌자의 허벅지와 둔부가 직접 맞닿는 부위인 만큼 경도가 제일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부패드의 하측에는 하부패드(240)가 형성된다. 하부패드(240)는 비용을 절감하고, 내구성 향상을 위해 상부패드보다 경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고탄성 수지재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패드(2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드(200)의 제조 공정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에는 상부패드가 하측에 위치하고 하부패드가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조공정상에 금형(310, 320, 330)이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조되므로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차량에 패드(200) 장착 시에는 상부패드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드(20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310, 320, 330)이 준비된다. 금형은 하부금형(310), 제1 상부금형(320) 및 제2 상부금형(330)으로 구성되며, 하부금형(310)과 제1 상부금형(320) 상에는 상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1 공간(A10, A20, A30)이 형성 되며, 제2 상부금형(330) 상에는 하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2 공간(A40)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하부금형(310)을 배치하고, 메인패드 성형을 위한 제11 공간(A10)에 제11 원료(F10)를 주입하고, 측면패드 성형을 위한 제12 공간(A30)에 제12 원료(F30)를 주입한다. 원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하부금형(310)의 상측에 제1 상부금형(320)을 장착하고, 제11 원로(F10) 및 제12 원료(F30)를 발포시킨다. 발포가 완료된 후 제1 상부금형(320)을 탈거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하부금형(310) 상에서 메인패드 및 후방패드가 완성된 상태로 거치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금형(310)의 제13 공간(A20)에 후방패드 성형을 위한, 제21 원료(F20)를 주입하고, 메인패드 및 후방패드의 상측에 하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22 원료(F40)를 주입한다. 원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하부금형(310)의 상측에 제2 상부금형(330)을 장착하고, 제21 원료(F20) 및 제22 원료(F40)를 발포시킨다. 발포가 완료된 후 제2 상부금형(330)을 탈거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메인패드 및 측면패드의 상측에 하부패드가 성형 완료되며, 메인패드의 후방에 후방패드가 성형 완료된다.
이때, 제11 원료(F10) 및 제12 원료(F30)는 경도가 부드러운 고밀도 재질이 적용되며, 제21 원료(F20) 및 제22 원료(F40)는 경도가 단단한 저밀도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2 원료(F30)가 제11 원료(F10)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제22원료(F40)가 제21 원료(F20) 보다 강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S : 시트쿠션 200 : 패드
210 : 메인패드 211 : 전방패드
212 : 중앙패드 220 : 후방패드
230 : 측면패드 240 : 하방패드
310 : 하부금형 320 : 제1 상부금형
330 : 제2 상부금형
A10 : 제11 공간 A20 : 제13공간
A30 : 제12 공간 A40 : 제2 공간
F10 : 제11 원료 F20 : 제21 원료
F30 : 제12 원료 F40 : 제22 원료

Claims (7)

  1. 시트용 시트쿠션에 구비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소정의 경도를 갖고, 상기 패드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패드; 및
    상기 상부패드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패드;
    를 포함하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는,
    착좌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메인패드;
    착좌자의 요추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패드; 및
    착좌자의 둔부 및 허벅지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패드; 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패드는 상기 메인패드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후방패드는 상기 측면패드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의 제조를 위해 상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1 공간이 형성된 하부 금형 및 제1 상부 금형과, 하부패드 성형을 위한 제2 공간이 형성된 제2 상부금형을 포함하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 상의 제1 공간에 제1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에 상기 제1 상부 금형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료를 발포하여 상기 상부패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 상부 금형을 탈거하고, 상기 상부패드의 상측에 제2 원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상측에 상기 제2 상부금형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원료를 발포하여 상기 하부패드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료는, 상기 제1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메인패드 성형을 위한 제11 공간과, 상기 측면패드 성형을 위한 제1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원료는, 상기 제11 공간에 주입되는 제11 원료와, 상기 제12 공간에 주입되는 제12 원료를 포함하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후방패드 성형을 위한 제13 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원료는, 상기 제13 공간에 주입되는 제21 원료와, 상기 제2 공간에 주입되는 제22 원료를 포함하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원료는 상기 제11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제21 원료는 상기 제12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고, 상기 제22 원료는 상기 제21 원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제조 방법.
KR1020140011173A 2014-01-29 2014-01-29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0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173A KR20150090481A (ko) 2014-01-29 2014-01-29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173A KR20150090481A (ko) 2014-01-29 2014-01-29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481A true KR20150090481A (ko) 2015-08-06

Family

ID=5388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173A KR20150090481A (ko) 2014-01-29 2014-01-29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46A (ko) * 2017-06-27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46A (ko) * 2017-06-27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035B2 (en) Vehicle seat
US9604549B2 (en) Vehicle seat
CN104169169B (zh) 用于复合座椅框架的整体模制的座椅靠背和方法
RU2684252C2 (ru) Сиденье в сбор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03995830U (zh) 面板形座椅靠背框架和具有它的座椅靠背
WO2015045874A1 (ja) 通気性シート
JP2013233287A (ja) 車両用シート
JP2017056078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2017056879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2014205490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EP3225460A1 (en) Cushion assembly
KR20150090481A (ko) 시트용 다 방향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218005A (ja) 座クッション
CN207955414U (zh) 一种内嵌式聚氨酯发泡结构内饰件聚氨酯泡沫座垫
KR101460706B1 (ko) 차량 시트용 상하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47542A (ja) シートパッド
JP5529560B2 (ja) シートパッド及びシート
JP6847707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TWM511843U (zh) 提臀塑型墊
JP6339860B2 (ja) シートのパッド及びシート
KR101395602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JPH0537805Y2 (ko)
CN219845845U (zh) 坐垫
CN219295228U (zh) 一种车座椅海绵发泡结构
JP7364877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及び該シートクッションを備える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