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683A -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 Google Patents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83A
KR20150089683A KR1020140010595A KR20140010595A KR20150089683A KR 20150089683 A KR20150089683 A KR 20150089683A KR 1020140010595 A KR1020140010595 A KR 1020140010595A KR 20140010595 A KR20140010595 A KR 20140010595A KR 20150089683 A KR20150089683 A KR 2015008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locking
blocking bar
shut
ball c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2365B1 (en
Inventor
이승렬이승렬
이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01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65B1/en
Publication of KR2015008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E01F13/04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the obstructing members moving up in a translatory motion, e.g. telescopic barri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type barricade with a block b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nderground type barricade having a block bar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of a block bar an underground type barricade, and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as a block bar can be inclined while absorbing a shock by itself when a vehicle or a two-wheeled vehicle passes through while both lateral ends are slightly floated since the block bar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a road whose both lateral ends constructed at an inc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ground type barricade (1) comprises: an accommodating part (11) buried in the ground; a block layer (13)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and rotating and protruding if necessary to block an entry of a vehicle; and a hydraulic cylinder (14)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to allow the block layer (13) to rotate around a hinge shaft (12). Moreover, the underground type barricade furthermore comprises a block bar part (16) to block passage in both directions of a block film by having each block bar (161) protruding outside both lateral ends of the block film, and to allow the block bar to be inclined inside a clearance range of a block bar holder as a ball caster and a buffer spring absorb a shock when load is applied while the block ba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 at an incline in the direction of both lateral ends.

Description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비승인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도록 지중에 매설된 바리케이드의 양 측면으로 항시 돌출된 차단바를 구비하여 추가적인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설치 없이 측 방향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소형 차량의 또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이륜차 진입을 차단 할 수 있는 바리케이드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barricade having a blocking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ricade having a blocking bar protruding at both sides of a barricade embedded in the ground to block the passage of unauthorized vehicles, To a barricade technology capable of blocking the entry of a small-sized vehicle or a motorcycle or a bicycle that can pass through the vehicle.

바리케이드는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막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해 놓은 노상의 장애물을 뜻하는 것으로, 통상 불법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시설물의 정문 또는 주차장의 진출입로 등에 많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최근에는 국가 중요시설 등에 대한 폭탄 테러 및 강제 침입시도 차량 등을 차단하고자 다양한 바리케이드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A barricade is an obstacle on the road that is temporarily installed to prevent the passage of people or vehicles. It is often installed and used to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illegal vehicles. In recent years, the use of various barricades has been increasing in order to block bombing attacks and forced entry vehicles for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바리케이드의 종류는 흔히 볼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검문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 측면 형상을 이루게 수직 및 수평 보강 지지봉으로 연결하고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거나 이동 수단 없이 지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바리케이드는 차량 출입시마다 바리케이드를 이동시켜야 하고, 차량 통과 후에는 차량의 통제를 위해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치 및 철거가 신속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Barricades are simple structures that can be commonly seen. They are connected by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ement rods to form triangular side shapes installed at checkpoints, etc., and mobile whee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r are fixed to the ground without moving means. However, this type of barricade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needs to move the barricades at each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passage of the vehicle in order to control the vehicle, and the installation and demolition are not fast.

또 다른 형태의 바리케이드로 지중 매설형 바리케이드로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것과 같다.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작동 구조는 지중에 매설된 수납부에 차단부가 수납된 형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에 따라 수납부와 차단부간을 연결하고 있는 유압실린더가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킴으로써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부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차단부가 회전하게 되면 도로 표면 위로 차단부가 돌출되어 비승인 차량의 진입을 막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종래 기술로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98-010816호(명칭:차량 출입 통제용 바리케이드)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529717호(명칭: 충격흡수용 일체형 수납부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등이 있다.Another type of barricade is an underground buried barricade as shown in Figs. 9 to 11. Fi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buried barricade is such that the blocking part is housed in the receiving part buried in the ground, and when necessary, the hydraulic cylinder connecting the receiving part and the blocking part receives th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hydraulic pump, And the blocking portion is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by being stretched. When the blocking part is rotated, the blocking part protrudes onto the surface of the road, thereby preventing entry of the unauthorized vehicle.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f buried type barricades having such a structure, there are known a conventional utility model No. 98-010816 (name: baricade for vehicle access control) and Korean Patent No. 10-529717 (name: Buried barricades).

다만 상기와 같은 종래 매설형 바리케이드는 차단막이 적어도 1개의 차선 폭 정도는 막도록 3m 이상으로 구성되는데, 실제 설치시는 수납부의 면적과 이 수납부를 지중에 고정시키도록 주변 공간부에 그라우팅 충전부와 콘크리트 시공을 해야하므로 실제 시공 면적이 1개 차선 폭보다 훨씬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uried type barricad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arrier is at least 3 m in length to cover at least one lane width. In actual installation, the area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grout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space portion to fix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ground. Concrete construction is required, so that the actual construction area occupies an area much larger than one lane width.

또한 도로의 양 측단에 사공된 빗물 등의 배수를 위한 하수구와 같은 방해 요소가 있어서 복수의 매립형 바리케이드를 시공하기에는 공간상의 제약이 따른다.In addition, there are obstacles such as drainage for drainage such as rainwater drained on both sides of the road, so space constraint is imposed on the construction of a plurality of buried barricades.

이 때문에 2개 차선 정도의 진입도로가 형성된 장소일 경우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폭방향으로 2개를 함께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For this reason, it is not practical to install two buried barricades in the width direction in a case where the entrance road of about two lanes is formed.

상기와 같은 설치 시공상의 제약 때문에 2개 차선 정도의 도로를 가지는 정문이나 진입로일 경우 중앙부에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설치시,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이 상승한다 할지라도 소형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은 그 폭이 작아 충분히 차단막 양측을 지나쳐 진입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front gate or a ramp having two lane roads because of the installation construction limit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barrier of the buried type barricade rises when the buried type barricade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the width of the small car or the motorcycle is small There is a structural disadvantage that it can sufficiently pass through both sides of the barrier.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으로 볼라드 방식 바리케이드를 설치하는 것 역시 별도의 시공 공간과 볼라드 장비 그리고 장비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이 역시 근본적인 바람직한 해결방법은 되지 못한다.
In spite of these disadvantages, additional bollard-type barricades also need additional space, bollard equipment and system for equipment control, which is also not a fundamental desirable solu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로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대한민국 특허 등로 제 10-0997805호(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가 있다. 그 주된 구성을 보면 지중에 매설되는 일체형 수납부와, 일체형 수납부에서 수납되었다가 필요시 비승인 차량 차단을 위해 승하강하는 차단막, 차단막에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신축시켜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차단막 승강시 차단봉유압실린더에 의해 차단막 양측방향으로 각각 신장되는 차단봉과; 상기 차단봉에 수납되어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펼쳐져 차단봉의 하중을 지지토록 구성된 지지이동수단과; 상기 지지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차단봉의 신장 방향 쪽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장범위를 측정토록 하는 측면 초음파센서와; 상기 차단봉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미승인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방초음파센서와; 전방초음파센서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경고용 발광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Patent No. 10-0997805 (buried barricade equipped with a shut-off bar for shut-off area enlargement) of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proposed. In the main configuration, it is housed in a single-piece housing part buried in the ground and a single-piece housing part, and if necessary, a piston rod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rane and the blocking membrane is stretched and expanded to block the unauthorized vehicle, Wherein the hydraulic cylinder is provided with a shut-off bar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of the shut-off film by a shut-off bar hydraulic cylinder when the shut-off film is lifted and lowered; A support moving means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shut-off bar and is extended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to support the load of the shut-off bar; A lateral ultrasonic sensor provided on the supporting and moving means for sensing an obstacle in the elongation direction of the shut-off bar and measuring the elongation range; A front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the shut-off bar to sense an approaching unauthorized vehicle entering; And a warning light emitting LED which emits ligh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front ultrasonic senso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는 좁은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 설치시 매설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이 상승하면서 측방향으로 신장되어 돌출하는 차단봉에 의해 소형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을 신뢰성 있게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applicant's line-registered pat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small automobile, a motorcycle, and the like can be reliably blocked by a projecting bar that protrudes laterally while the barrier of the buried barricade rises when installed on a road having a narrow lane I hav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은 차단막이 상승시 차단봉을 신장시키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차량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rapid control of the vehicle can not be achieved because it takes time to extend the barrier when the barrier is lifted.

이와 같은 문제점이 생기는 주된 이유는 차단봉을 가변형으로 구성하지 않으면 차단봉이 항상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상시 돌출된 상태를 가지게 구성하면 도로 구조가 빗물등의 배수를 위해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단 방향이 하향지게 약간의 경사(약 5ㅀ 정도)를 가지고 시공되기 때문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봉의 끝단부 쪽이 약간 뜬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타이어나 기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이륜차가 차단봉 상부를 밟게 되면 차단봉이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차단막의 작동이 불능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main reason for such a problem is that if the shut-off bar is not formed in a variable shape, the shut-off bar must always be proj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If the shut-off bar is always projected in this way, Since the ends of the projecting bar protruding slightly are kept slightly open since the sides of the sides are slightly inclined (about 5)), the sides of the sides are slightly bent so that the tires and other bicycles If the two-wheeled vehicle is stepped on the top of the bar, the bar may be damaged or deformed, resulting in an inability to operate the barrier.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97805(2010.11.2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7805 (Nov. 25, 2010)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90960(2005.05.1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0960 (2005.05.1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 양측 방향으로 항시 돌출된 차단바를 구비하되, 차단바가 양측단쪽이 경사지게 시공된 도로 상부에 위치하여 양측단부가 약간 뜬 상태에서 차량이나 이륜차 등이 지나갈 경우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rier bar protruding at both sides of a barrier of a buried barricade, wherein the barrier bar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ad on which both side edges are incli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ied barricade that can be tilted while absorbing shocks to prevent breakage or deformation when a motorcycle or the like pass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도로 지중에 매설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필요시 회전 돌출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수납부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seat for a vehicle, comprising: a storage unit embedded in a roadway; And a hydraulic cylinder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rotating the shielding film about the hinge shaft,

상기 차단막의 양측단 바깥으로 돌출된 각각의 차단바를 구비하여 차단막의 양측방향으로의 통행을 차단토록 하되, 차단바가 양측단 방향으로 경사진 도로 상부면에 놓인 상태에서 하중 인가시 볼캐스터 및 완충 스프링이 충격을 흡수하면서 차단바 홀더의 유격 범위내에서 차단바가 기울어 지도록 한 차단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Each of the blocking bars protru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blocking film is provided to block the passage in both directions of the blocking film. When the blocking bar is placed on a top surface inclined in both side directions, And a blocking bar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locking bar within a clearance range of the blocking bar holder while absorbing the impa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ried barricade provided with a blocking bar.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단바부는 차단막의 양측면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바와; 차단바의 일구간을 수납하는 홈부가 일측면에 구비되고, 타측면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 체결용 가이드핀이 하부로 돌출된 차단바 홀더와; 상기 차단바 홀더와 일측면이 결합되고, 표면에는 볼캐스터 홀이 형성되며, 타측면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 체결용 가이드핀이 하부로 돌출된 차단바 홀더 커버와; 상기 차단바 홀더 커버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볼캐스터 홀을 통해 차단바의 일측면을 가압 지지하는 볼캐스터와; 상기 차단바 홀더 및 차단바 홀더 커버의 하부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차단바의 하부에서 일체로 함께 체결되며 상부 바깥쪽에는 상기 각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공홈부가 형성된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와; 상기 각 가이드핀과 장공홈부 사이에 끼워지는 제 1 완충스프링 및 제 2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hut-off bar portion comprises: a shut-off bar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shut-off film; A blocking bar holder having a groove portion for accommodating a section of the blocking bar on one side surfa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surface of which a buffer pin fixing guide pin protrudes downward; A blocking bar holder cover having a ball caster hol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a guide pin for fastening a cushion spring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ar holder; A ball cast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to pressably support one side of the blocking bar through the ball caster hole; A first stopper which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holder and the shut-off bar holder cover and is integrally fastened toge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and has an elongated slot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the guide pins, 2 stoppers; And a first buffer spring and a second buffer spring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pins and the long hole groov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단바 홀더는 차단막 내부 프레임의 일지점과 결합되고, 차단막의 상부 일지점에 형성된 천공부를 통해 삽입된 차단바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ocking bar holde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blocking bar inserted through a perforation formed at an upper point of the blocking membrane, coupled to a point of the blocking film inner frame.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볼캐스터 홀과 볼캐스터는 차단바 1개당 2개 이상이 상하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ll caster hole and the ball caster may be formed by arranging two or more of the ball caster holes and the ball caster vertically.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홈부가 좌우 복수로 형성시 개별 홈부마다 동일한 차단바가 수납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groov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ides, the same blocking bar may be configured to be housed in each of the individual groove portions.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홈부가 죄우 복수로 형성시 어느 하나의 홈부에 차단바 대신 더미 바가 수납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grooves are formed as a plurality of grooves, a dummy bar may be accommodated in a groove instead of the shut-off bar.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단바의 형상은 "ㄱ"자 단면을 가지게 절곡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hut-off bar may be a plate bent to have a "?" -Magnetic cross-sec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단바 홀더 및 차단바 홀더 커버는 각각 2개 이상의 가이드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는 상기 가이드핀의 숫자에 해당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locking bar holder and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are each formed with two or more guide pins,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guide pins.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볼캐스터는 차단바 홀더 커버에 형성된 볼캐스터 홀의 일측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볼과, 이 볼을 가압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밀어 완충력을 밀어 완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볼, 피스톤 및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볼캐스터 홀에 일구간이 삽입되는 원통형 케이스로 구성되고, 케이스의 둘레에는 차단바 홀더 커버와 면접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ll caster includes a ball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one diameter of the ball caster hole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a piston for pressing the ball, a spring for pushing the piston to provide a buffer force by pushing the buffer, A ball, a piston, and a spring, and a cylindrical case into which a ball is inserted in the ball caster hole, and a plate that is formed around the case and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매설형 바리케이드측의 방향으로 항시 돌출되는 차단바를 구비함으로써 한정된 바리케이드 차단막의 폭 길이 때문에 차단이 불가했던 측방향 공간을 통한 비승인 차량이나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이륜차 등을 신뢰성 있게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과,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has a blocking bar protruding at all times in the direction of a buried barricade, so that unauthorized vehicles, motorcycles, bicycles, etc., Can be reliably blocked,

또한 차단막이 하강시 도로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차단바가 차량 등이 이를 밟고 통과시 상부 방향에서 인가되는 하중에도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약간의 각도 변화를 가질 수 있어서 파손이나 변형 없이 차단막과 함께 작동하여 차단막 양측 방향에서 접근하는 차량 또는 이륜차 등의 통행을 신속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membrane is lowered, the blocking bar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ad absorbs the impact to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stepped on, and can have a slight angle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having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control the passage of a vehicle or a motorcycle approaching from both sides of a shielding membrane by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가 구비된 차단막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가 구비된 차단막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포함한 차단바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가 하강하여 도로 상부에 놓여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 상부에 자동차가 지나갈때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9 내지 11은 종래 바리케이드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barricade in which a shielding bar provided with a blocking bar is ele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barricade in which a cut-off bar having a cut-off bar is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buried barric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shut-off bar including a shut-off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ut-off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bar is lowered and placed on th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when a vehicle passes over a block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7,
9 to 11 are illustrations showing a conventional barrica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가 구비된 차단막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가 구비된 차단막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측단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를 포함한 차단바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barricade with a blocking bar in an elev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ricade with a block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buried barric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barric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ut-off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매설형 바리케이드(1)의 구성은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 지면 하부 일정 공간부 지중에 매설되는 수납부(11)와, 이 수납부(11)에 수납되었다가 축결합된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돌출하는 차단막(13)과, 수납부(11)에 설치되어 차단막(13)의 하부 일지점과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신축시켜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 돌출시키거나 수납시키는 유압실린더(14)가 구비된다. 또한 수납부(11)의 바닥 일지점과 차단막의 하부 일지점 사이에는 다관절 링크(15)가 연결되어 차량이 차단막과 충돌시 차단막이 후방부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다관절링크는 복수개의 링크간을 핀으로 연결한 구조로 평소에는 겹쳐져 있다가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의해 차단막이 상승하게 되면 같이 상승하여 차단막의 높이를 단속함과 동시에 충돌시 차단막의 회전각도를 단속하게 된다. 또한 수납부 내부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제공 장치와 외부 제어부와 연결되어 유압제공장치 등을 제어하는 전기회로 장치 등이 설치되어 바리케이드가 작동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struction of the buried barricad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1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a predetermined space below the road surface to be installed, a hinge shaft 11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a piston ro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13 provided at the receiving portion 11 to extend and contract to rotate and protrude the shielding film about the hinge shaft, A hydraulic cylinder 14 is provided. Also, the articulated link 15 is connected between one point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11 and one point of the lower part of the blocking film, thereby preventing the blocking film from being bent to the rear par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blocking film. The multi-joint link is struct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by a pin. Usually, the multi-joint link is overlapped. When the cut-off membrane rises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the multi-joint link rises together to interlock the height of the cut- . In addition, the barricade is configured to operate by providing a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not shown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portion but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and an electric circuit devic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trol portion and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또한 상기 차단막(13)의 상부면 양측단쪽에는 각각 도로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차단바(161)가 설치된다. 차단바(161)는 차단막의 양측방향으로 항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면 당 2개씩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단바(161)의 숫자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특정 개수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At least one blocking bar 161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13. The blocking bars 161 are always protruded in both directions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blocking bars 161 are shown for each side. However, the number of such blocking bars 161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number shown as being able to change as needed.

상기 차단바(161)의 형상은 도로 사정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도시된 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ㄱ"자 단면을 가지게 절곡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차단바(161)는 절곡된 짧은 부분이 차단막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고, 나머지 긴 부분이 차단막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단막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 돌출되어 측방향으로 소형 차량이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통행을 차단하게 된다.The shape of the shut-off bar 161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or purposes. For example, the shut-off bar 161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 The cut-off bar 161 is inserted into the cut-off bar to be fixedly supported by the cut-off bar 161, and the remaining long bar is protru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ut-off bar, The traffic is blocked.

다만 이와 같이 항시 측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바(161)를 가질 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차단바(161)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상승시는 상관 없지만 하강하여 도로 상부에 올려질때이다. 즉, 차단막이 수납되면 차단바도 경사진 도로의 양측단쪽에서 약간 뜬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빗물 등의 배수를 위해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단 방향이 하향지게 약간의 경사(약 5ㅀ 정도)를 가지고 시공되기 때문에 양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차단바(161)의 끝단부 쪽은 구조적으로 도로 표면으로부터 약간 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However, a problem that arises when the blocking bar 161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always raised is that the blocking bar 161 is lifted up on the road, regardless of whether the blocking bar 161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That is, when the barrier is housed, the shut-off bar remains slightly open at both ends of the sloped road. Generally, since the roads are constructed with a slight inclination (about 5)) so that the sides of the roads ar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for drainage of rainwater or the like, the end portions of the blocking bars 161, Structurally, it remains slightly floated from the road surface.

따라서 도로에 약간 뜬 상태로 놓여진 차단바(161) 상부면을 자동차나 기타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이륜차가 밟고 지나가게 되면 차단막과 고정된 상태의 차단바(161)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단바 상부쪽으로 지속적으로 하중이 인가되어도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약간의 각도 변화를 가질 수 있게 기울어지는 차단바(161)를 구비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바(161)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차단바부(16)를 구성하고 있다.
Accordingly, if a motorcycle or other motorcycle or bicycle such as a bicycle trea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ing bar 161, which is slightly floated on the road, the blocking bar 161 in a fixed state with the blocking film may be damaged or de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shock bar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by having a blocking bar 161 that absorbs impacts and tilts so as to have a slight angle change even when a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bar Thereby constituting a blocking bar portion 16 capable of reducing an impact applied to the blocking bar 161. [

이하 상세하게 차단막에 설치된 차단바부(16)를 설명한다.The blocking bar portion 16 provided in the blocking fil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부(16)는 차단막의 양측면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바(161)와;The shut-off bar part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ut-off bar 161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shut-off film;

차단막 내부 프레임의 일지점과 결합되고, 차단막의 상부 일지점에 형성된 천공부(131)를 통해 삽입된 차단바(161)의 일구간을 수납하는 공간부인 홈부(1621)가 일측면에 구비되고, 타측면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 체결용 가이드핀(1622)이 하부로 돌출된 차단바 홀더(162)와;A groove portion 16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elding film frame, which is a space portion that is coupled with one point of the shielding film frame and accommodates a section of the shielding bar 161 inserted through the perforation 131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ielding film, A blocking bar holder 16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with a guide pin 1622 for fastening a buffer spring;

상기 차단바 홀더(162)와 일측면이 면접하여 결합되고, 표면을 관통하는 볼캐스터 홀(1631)이 형성되며, 타측면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 체결용 가이드핀(1632)이 하부로 돌출된 차단바 홀더 커버(163)와;A ball caster hole 1631 penetrating the surface of the ball bar and a side surface of the blocking bar holder 162 is formed in a face-to-face contact with the blocking bar holder 162, and a buffer pin 1632 A holder cover 163;

상기 차단바 홀더 커버(163)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볼캐스터 홀(1631)을 통해 차단바(161)의 일측면을 가압 지지하는 볼캐스터(164)와;A ball caster 164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to pressably support one side of the blocking bar 161 through the ball caster hole 1631;

상기 차단바 홀더(162) 및 차단바 홀더 커버(163)의 하부쪽과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차단바(161)의 하부에서 일체로 체결되고, 상부 바깥쪽에는 상기 각 가이드핀(1622, 1632)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공홈부(1651, 1661)가 형성된 제 1 스톱퍼(165) 및 제 2 스톱퍼(166)와;The blocking bar holder 162 and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ar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integrally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bar 161, A first stopper 165 and a second stopper 166 having respective long hole grooves 1651 and 1661 inserted therein;

상기 각 가이드핀(1622, 1632)과 장공홈부(1651, 1661) 사이에 끼워지는 제 1 완충스프링(167) 및 제 2 완충스프링(168);으로 구성된다.
And a first buffer spring 167 and a second buffer spring 168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pins 1622 and 1632 and the long hole grooves 1651 and 1661.

상기 볼캐스터(164)는 차단바(161) 1개당 상하 2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차단바(161)의 각도가 변화하더라도 최소한 1개의 볼캐스터(164)가 차단부를 가압 지지하면서 완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완충 지지가 없으면 차단바(161)가 변형되거나 차단바 홀더(162) 또는 차단바 홀더 커버(163)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l caster 164 is installed in two upper and lower shut-off bars 161 because at least one ball caster 164 presses and supports the cut-off portion 161 even if the angle of the shut- It is for buffering. Without such cushioning support, the blocking bar 161 may deform or damage the blocking bar holder 162 or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볼캐스터(164)의 구조는 상기 차단바 홀더 커버(163)에 형성된 볼캐스터 홀(1631)의 일측 즉, 차단바와 맞닿는 쪽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볼(1641)과, 이 볼을 가압하는 피스톤(1642)과, 피스톤을 밀어 완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43)과, 상기 볼, 피스톤 및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볼캐스터 홀(1631)에 일구간이 삽입되는 원통형 케이스(1643)로 구성되고, 케이스의 둘레에는 차단바 홀더 커버(163)와 면접되는 플레이트(1644)가 형성되고, 플레이트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바 홀더 커버(163)에 대응 형성된 구멍과 접하여 볼트 체결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ball caster 164 includes a ball 164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one side of the ball caster hole 1631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that is, A spring 1643 for pushing the piston to provide a buffer force and a cylindrical case 1643 having a ball, a piston and a spring therein and a section being inserted into the ball caster hole 1631,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plate to engage with the corresponding holes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so as to be fastened by bolts. do.

상기 차단바(16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 상기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간이 볼트 체결등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연동되게 구성된다.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161,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provided with corresponding holes are coupled by bolts or the like to be integrated and interlocked.

상기 차단바 홀더(162)에 형성되어 차단바(161)가 수납되는 공간부인 홈부(1621)는 차단바(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한 유격을 가지는 크기를 가지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일정한 유격을 가짐으로해서 차단바(161)의 끝단부가 도로 표면에 뜬 상태에서 그 상부로 차량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때 자연스럽게 차단바(161)가 하부로 내려갈수 있는 각도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로의 중앙선에서 측단부의 경사 각도에 대응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 공간을 가지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중앙에서 측단부까지의 구배가 5ㅀ 의 경사각을 가진 도로일 경우 상기 홈부(1621)의 여유공간이 차단바(161)가 수직인 상태에서 상부일측과 하부 타측간에 5ㅀ 의 각도가 제공되면 된다. The groove portion 1621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162 and serving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locking bar 161 has a predetermined clearance in a state where the blocking bar 161 is inserted. This is because an angle at which the shut-off bar 161 can be lowered naturally when an external force by a vehicle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161 in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shut- . 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have a clearance space enough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end portion at the center line of the roa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gradient from the center to the side end portion is a road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5 ㅀ, the clearance of the groove portion 1621 is set to be 5 ㅀ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a state where the cut- .

또한 이와 같이 홈부(1621)의 유격공간을 통해 차단바(161)가 움직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상기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의 상부에 형성된 장공홈부(1651, 1661)이다. 즉, 상기 차단바 홀더(162) 및 차단바 홀더 커버(163)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핀(1622, 1632)이 꽂혀진 상태에서 이 가이드핀(1622, 1632)의 직경보다 크게 즉, 상기 차단바(161)가 움직일 수 있는 각도 변화 구간에 해당할 수 있을 정도의 장공이 형성됨으로써 차단바(161)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하부의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Also, what is required for the shut-off bar 161 to move through the clearance space of the groove portion 1621 is the long hole recessed portions 1651 and 1661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That is, when the guide pins 1622 and 1632 form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blocking bar holder 162 and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are inserted, the diameter of the guide pins 1622 and 1632 is larger than the diameters of the guide pins 1622 and 1632, When the shut-off bar 161 is tilted to one side,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are also moved together.

또한 각도 변환과 함께 하중에 의한 수축력을 차단바(161)가 받을 경우에는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가 상기 제 1 완충스프링(167) 및 제 2 완충스프링(168)의 완충력을 받게 되어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bar 161 receives the shrinking force due to the load in conjunction with the angle conversio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receive the buffering force of the first buffer spring 167 and the second buffer spring 168, Thereby preventing breakage.

또한 이와 같은 제 1 완충스프링(167) 및 제 2 완충스프링(168)이 없으면 차단바(161)가 상하 방향으로 마음대로 움직이게 되어 도로에 놓여질 때 지면에 맞닿지 않고 많이 뜰수도 있지만 제 1 완충스프링(167) 및 제 2 완충스프링(16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항시 차단바(161)의 절곡지점 하부가 상기 차단바 홀더(162)에 걸리게 된다.
In the absence of the first buffer spring 167 and the second buffer spring 168, the blocking bar 161 moves freely in the up-and-down direction. When the buffer bar 161 is placed on the road, 167 and the second cushion spring 168,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bar 161 is always caught by the blocking bar holder 162.

또한 차단바 홀더(162)에 형성된 홈부(1621)가 좌우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시 경우에 따라 1개 이상의 홈부(1621)에 더미 바(161a)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이는 도로 사정상 서로 겹치게 바리케이드를 시공해야 할 경우 공간부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서로간의 차단바(161) 중 한 개를 없앰으로써 이웃하는 거리를 1/2로 줄일수 있는데, 이때 더미 바(161a)가 홈부(1621)를 통해 하부의 제 1 스톱퍼 또는 제 2 스톱퍼의 하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정한 완충작용과 각도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Further, when two or more groove portions 1621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162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ummy bars 161a may be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groove portion 1621. [ If the barricade is to be construct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on the roa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ighboring distance by 1/2 by removing one of the blocking bars 161 when the space is not sufficient. At this time, The unstable buffering action and the angular conversion can be performed unless the first stopper or the second stopper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topper 1621 through the lower stopper 1621. [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가 하강하여 도로 상부에 놓여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단바로 상부에 자동차가 지나갈때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locking bar is lowered on th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when the vehicle passes over the blocking upp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이 하강하여 차단바(161)가 도로에 놓이게 되면 차단바(161)의 일측단쪽이 도로에 약간 뜬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 상태에서 차량등이 상부를 통과하게 되면 도로에 약간 뜬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바(161)가 도로에 접하게 기울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바(161)가 하중을 받아 도로에 접하게 기울어지게 되면 차단바(161)의 절곡된 부위가 차단막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어지는 이유는 차단바 홀더 커버(163)에 형성된 홈부(1621)가 차단바(161)가 기울여질 정도의 공간부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고, 또한 그 하부에 위치한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의 상부에 형성된 장공홈부(1651, 1661)가 차단바(161)의 하부가 기울어질 때 이 장공홈의 유격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차단바(161)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볼캐스터(164) 그리고 제 1 완충스프링(167) 및 제 2 완충스프링(168)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차단바부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blocking bar is lowered and the blocking bar 161 is placed on the road, one side of the blocking bar 161 is slightly opened on the road. It can be seen that the blocking bar 161 maintaining the opened state tilts in contact with the road. When the blocking bar 161 receives a load and tilts in contact with the road, the bent portion of the blocking bar 161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blocking film. The reason for inclining in this manner is that the groove portion 1621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163 secures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blocking bar 161 is tilted,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161 is inclined, the long hole grooves 1651 and 166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161 can freely move because of the clearance of the slot. Also, when the blocking bar 161 is tilted to one side, the ball caster 164, the first buffer spring 167 and the second buffer spring 168 absorb the impact, thereby preventing the blocking bar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 매설형 바리케이드 (11) : 수납부
(12) : 힌지축 (13) : 차단막
(14) : 유압실린더 (15) : 다관절 링크
(16) : 차단바부 (131) : 천공부
(161) : 차단바 (161a) : 더미 바
(162) : 차단바 홀더 (163) : 차단바 홀더 커버
(164) : 볼캐스터 (165) : 제 1 스톱퍼
(166) : 제 2 스톱퍼 (167) : 제 1 완충스프링
(168) : 제 2 완충스프링 (1621) : 홈부
(1622, 1632) : 가이드핀 (1631) : 볼캐스터 홀
(1641) : 볼 (1642) : 피스톤
(1643) : 스프링 (1644) : 케이스
(1645) : 플레이트 (1651, 1661) : 장공홈부
(1): a buried barricade (11): a compartment
(12): a hinge shaft (13): a shielding film
(14): hydraulic cylinder (15): multi-joint link
(16): shut-off bar portion (131)
(161): blocking bar (161a): dummy bar
(162): blocking bar holder (163): blocking bar holder cover
(164): ball caster (165): first stopper
(166): second stopper (167): first buffer spring
(168): second buffer spring (1621): groove
(1622, 1632): Guide pin (1631): Ball caster hole
(1641): ball (1642): piston
(1643): spring 1644: case
(1645): Plates (1651, 1661): Longitudinal grooves

Claims (9)

도로 지중에 매설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필요시 회전 돌출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수납부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단막을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양측단 바깥으로 돌출된 각각의 차단바를 구비하여 차단막의 양측방향으로의 통행을 차단토록 하되, 차단바가 양측단 방향으로 경사진 도로 상부면에 놓인 상태에서 하중 인가시 볼캐스터 및 완충 스프링이 충격을 흡수하면서 차단바 홀더의 유격 범위내에서 차단바가 기울어 지도록 한 차단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And a hydraulic cylinder which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rotates the shielding film about the hinge shaft. The waterproof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In barricades,
Each of the blocking bars protruding from both side ends of the blocking film is provided to block the passage in both directions of the blocking film. When the blocking bar is placed on a top surface inclined in both side directions,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bar portion that tilts the blocking bar within a clearance range of the blocking bar holder while absorbing the imp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부는,
차단막의 양측면에서 바깥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바와; 차단바의 일구간을 수납하는 홈부가 일측면에 구비되고, 타측면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 체결용 가이드핀이 하부로 돌출된 차단바 홀더와; 상기 차단바 홀더와 일측면이 결합되고, 표면에는 볼캐스터 홀이 형성되며, 타측면 하부에는 완충 스프링 체결용 가이드핀이 하부로 돌출된 차단바 홀더 커버와; 상기 차단바 홀더 커버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볼캐스터 홀을 통해 차단바의 일측면을 가압 지지하는 볼캐스터와; 상기 차단바 홀더 및 차단바 홀더 커버의 하부쪽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차단바의 하부에서 일체로 함께 체결되며 상부 바깥쪽에는 상기 각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각각의 장공홈부가 형성된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와; 상기 각 가이드핀과 장공홈부 사이에 끼워지는 제 1 완충스프링 및 제 2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ut-
A blocking bar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shielding film; A blocking bar holder having a groove portion for accommodating a section of the blocking bar on one side surfa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surface of which a buffer pin fixing guide pin protrudes downward; A blocking bar holder cover having a ball caster hol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a guide pin for fastening a cushion spring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ar holder; A ball cast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to pressably support one side of the blocking bar through the ball caster hole; A first stopper which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holder and the shut-off bar holder cover and is integrally fastened toge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and has an elongated slot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the guide pins, 2 stoppers; And a first buffer spring and a second buffer spring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pins and the long hole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 홀더는 차단막 내부 프레임의 일지점과 결합되고, 차단막의 상부 일지점에 형성된 천공부를 통해 삽입된 차단바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locking bar holder is configured to receive a blocking bar inserted through a perfora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the blocking bar being coupled to a point of the blocking film inner fra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캐스터 홀과 볼캐스터는 차단바 1개당 2개 이상이 상하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ll caster hole and the ball caster are formed by vertically arranging at least two ball caster holes and a ball caster per one cut-off ba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좌우 복수로 형성시 개별 홈부마다 동일한 차단바가 수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ides, the same blocking bar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individual groove por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죄우 복수로 형성시 어느 하나의 홈부에 차단바 대신 더미 바가 수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dummy bar is accommodated in a groove portion instead of the shut-off bar whe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as a plurality of chamber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의 형상은 "ㄱ"자 단면을 가지게 절곡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ape of the blocking bar is formed by a plate bent to have a "? &Quot; -shaped cross s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 홀더 및 차단바 홀더 커버는 각각 2개 이상의 가이드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톱퍼 및 제 2 스톱퍼는 상기 가이드핀의 숫자에 해당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locking bar holder and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are each formed with at least two guide pins, and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guide pi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캐스터는 차단바 홀더 커버에 형성된 볼캐스터 홀의 일측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볼과, 이 볼을 가압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밀어 완충력을 밀어 완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볼, 피스톤 및 스프링이 내장되고 상기 볼캐스터 홀에 일구간이 삽입되는 원통형 케이스로 구성되고, 케이스의 둘레에는 차단바 홀더 커버와 면접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ball caster includes a ball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one diameter of the ball caster hole formed in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a piston for pressing the ball, a spring for providing a buffer force by pushing the piston to push the buffer force, And a plate which is inserted into the ball caster hole and into which a section is inserted, and a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locking bar holder cover around the case.
KR1020140010595A 2014-01-28 2014-01-28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KR101542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95A KR101542365B1 (en) 2014-01-28 2014-01-28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95A KR101542365B1 (en) 2014-01-28 2014-01-28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83A true KR20150089683A (en) 2015-08-05
KR101542365B1 KR101542365B1 (en) 2015-08-06

Family

ID=5388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95A KR101542365B1 (en) 2014-01-28 2014-01-28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36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0420A (en) * 2017-09-28 2018-01-26 蔡春芳 Heavy Anti-knocking passage intercepts baffle plate
CN111560875A (en) * 2020-05-15 2020-08-21 北京卓奥世鹏科技有限公司 Shallow buried roadblock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collision damage and working method
CN112963036A (en) * 2021-02-25 2021-06-15 成都蓬远科技有限公司 Automatic switch barrier gate for motor vehicle passing
KR102605435B1 (en) * 2022-10-28 2023-11-23 주식회사 신길씨큐리티 Barrica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977B1 (en) * 2015-12-08 2016-08-04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Uunderground barricade using reaction force of spring
KR20190019356A (en) 2017-08-17 2019-02-27 이필성 Movable barrica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23Y1 (en) * 2006-01-11 2006-04-05 윤주열 Removable crossing gate for parking place
KR100997805B1 (en) * 2010-05-07 2010-12-0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Underground barricade with bar for extending shutting area
KR101218039B1 (en) 2012-02-28 2013-01-03 더블유티주식회사 Underground barricade for vehicle having barri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0420A (en) * 2017-09-28 2018-01-26 蔡春芳 Heavy Anti-knocking passage intercepts baffle plate
CN111560875A (en) * 2020-05-15 2020-08-21 北京卓奥世鹏科技有限公司 Shallow buried roadblock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collision damage and working method
CN112963036A (en) * 2021-02-25 2021-06-15 成都蓬远科技有限公司 Automatic switch barrier gate for motor vehicle passing
KR102605435B1 (en) * 2022-10-28 2023-11-23 주식회사 신길씨큐리티 Barric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365B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365B1 (en)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KR102611308B1 (en) Basic unit of an upright barrier and an upright barrier including the same
BR112020017414A2 (en) SAFETY BARRIER TO FORCE VEHICLES TO STOP
KR100997805B1 (en) Underground barricade with bar for extending shutting area
JP4097622B2 (en) Intrusion control device
KR100658568B1 (en) Sign post of roadway absorbing impact
KR100619807B1 (en) Electric apparatus of trafic facilities for road
KR100969810B1 (en) Add the suspension truss structure formed guardrail
KR100603511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of car
KR20160003691U (en) Vehicle crash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JP4349753B2 (en) Guard fence end shock absorber
KR101073539B1 (en) The car impact buffer apparatus
KR100921250B1 (en) Sign apparatus for road
KR101613275B1 (en) The Rotary shock absorber device for guardrail
KR20180119181A (en) Apparatus for collision relaxation of vehicles
KR20060035554A (en) Median strip for road
KR101146746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at road
KR100955790B1 (en) A guard fen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N217233018U (en) Safety protection frame is used in highway engineering construction
KR200281801Y1 (en) Restriction apparatus for height of vehicle travelling on road
KR20130006465U (en) A divisional strip
KR101287856B1 (en) a apparatus for vehicle-impact absorbing of road
KR200248390Y1 (en) A safety apparatus absorbing a shock using a abandoned tire of road
KR100515988B1 (en) Buffer pillar for safety guard fence
KR101420213B1 (en)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