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356A - Movable barricade - Google Patents

Movable barric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356A
KR20190019356A KR1020170104126A KR20170104126A KR20190019356A KR 20190019356 A KR20190019356 A KR 20190019356A KR 1020170104126 A KR1020170104126 A KR 1020170104126A KR 20170104126 A KR20170104126 A KR 20170104126A KR 20190019356 A KR20190019356 A KR 2019001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cade
frame
caster
lev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필성
Original Assignee
이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성 filed Critical 이필성
Priority to KR102017010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9356A/en
Publication of KR2019001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3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arricade for blocking human or vehicle passage. A caster for movement is lifted and lowered by a lever for the barricade to be lifted from the ground surface and the barricade is fixed to the ground surface after landing. Accordingly, the barricade can be installed and moved with ease. The barricade can be manufactured with ease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the barricade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The barricade includes a triangular frame where posts are interconnected; a lifting and lowering unit installed at the post of the frame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caster with the lever; and a stopper installed at the post of the frame and maintaining a state that the caster is lowered by fixing the lever of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Description

이동식 바리케이드 {Movable barricade}Movable barricade {Movable barricade}

본 발명은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바리케이드(barricade)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용 캐스터(caster)를 레버로 승강시켜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는 한편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됨으로써, 바리케이드의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는 이동식 바리케이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cade installed to block the passage of a person 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cade which lifts a movable caster to a lever so that the barricade rises from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arricad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ow in manufacturing cost.

일반적으로, 바리케이드(barricade)는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막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해 놓은 노상의 장애물로서, 통상 불법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시설물의 정문 또는 주차장의 진출입로 등에 대부분 설치된다. 최근에는 국가 중요시설 등에 대한 폭탄 테러 및 강제 침입시도 차량 등을 차단하고자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Generally, a barricade is an obstacle on a roadside that is temporarily installed to prevent passage of people or vehicles. Usually, the barricade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gate of a facility or entrance and exit of a parking lot so as to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illegal vehicles. Recently, it has been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block bombing terrorist attacks and forced entry vehicles for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이러한 바리케이드는 간단한 구조로서, 검문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 측면형상을 이루게 수직 및 수평프레임으로 연결하고,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거나 또는 이동 수단이 없이 지면에 고정되는 구성이 대표적이다.Such a barricade is a simple structure having 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ramed frame connected to a checkpoint or a triangular side, and a movable wheel mount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or fixed to the ground without a moving means.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바리케이드는 차량 출입시마다 바리케이드를 이동시켜야 하고, 차량 통과 후에는 차량의 통제를 위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설치 및 철거가 신속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barricade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the barricade at each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vehicle has pas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stallation and demolition are not fast.

또한 지중 매설형 바리케이드로 지중에 매설된 수납부에 차단부가 수납된 형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에 따라 수납부와 차단부간을 연결하고 있는 유압실린더가 유압펌프로부터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킴으로써, 도로 표면 위로 차단부가 돌출되어 비승인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orm in which the blocking part is housed in the receiving part buried in the ground with the underground buried barricade, and if necessary, the hydraulic cylinder connecting the receiving part and the blocking part operates from the hydraulic pump to extend the piston rod, The blocking portion is configured to protrude so as to block entry of the unauthorized vehicle.

이러한 종래 매설형 바리케이드는 차단막이 적어도 1개의 차선을 막도록 구성되는데, 실제 설치시는 수납부의 면적과 이 수납부를 지중에 고정시키도록 주변에 그라우팅 충전부와 콘크리트 시공을 해야하므로, 실제 시공면적이 1개 차선보다 훨씬 큰 면적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In this conventional buried type barricade, the barrier is formed to block at least one lane. In actual installation, the area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concrete portion are required to be filled with the grouting portion and the concrete in order to fix the storage portion to the ground. Which has a disadvantage of occupying a much larger area than one lane.

종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바리케이드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5391호(무선조종이 가능한 바리케이드)가 제시된 바 있다.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of a barricade tha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moved easily and quickly, a Korean Utility Model No. 20-0445391 (barricade capable of radio control) has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바리케이드의 하부에 조향부ㆍ제어부ㆍ구동모터ㆍ감속기ㆍ전륜 및 후륜 등 무선 조종으로 이송되는 이송부를 구성함으로써, 사람이 일일이 들거나 밀어서 목적지까지 갖다 놓을 필요없이 발신부(조종기)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바리케이드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 conveying portion that is conveyed to a radio control such as a steering portion, a control portion, a driving motor, a speed reducer,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t a lower portion of a barricade. Thus, a person can easily move to a destination without manipulating or pushing it to a destination So that the barricades can be transferred quickly.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바리케이드를 무선으로 조종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향부와 제어부 및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바리케이드의 제작에 고비용이 소요되고,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includes a steering unit, a control unit, and a driving motor so that the barricade can be controlled and moved wirelessly, it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also troublesome to manufacture barricades at high cost and difficult to maintain have.

또한 종래 발광부재가 내장된 도로 차단용 바리케이드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4127호(도로 차단용 바리케이트)가 제시된 바 있다.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of a road-breaking barricade incorporating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member,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14127 (Barricade for road blocking) has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의 연결봉을 상호 연결하여 바리케이트 구조물을 형성해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도로 차단용 바리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구간이 광투과성을 갖는 관상체, 상기 광투과성 관상체 내에 내장되며,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is a barricade for road blocking for controlling a vehicle by forming a barricade structure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wherein at least a part of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rods is a tubular body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a light emit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체 무게가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리케이트 구조물의 각 연결봉이 발광되어 어두운 야간에도 바리케이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is prior art not only makes the entire weight lightweight, but also allows each bar of the barricade structure to emit light so that the barricade can be easily recognized even in the dark at nigh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5309호.Korean Patent No. 10-09553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8305호.Korean Patent No. 10-12783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365호.Korean Patent No. 10-154236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851호.Korean Patent No. 10-164185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4127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141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5391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5391.

본 발명은 종래 바리케이드의 선행기술에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에 고비용이 소요되고, 설치와 이동 및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회전이 자유로운 캐스터(caster)를 레버로 승강시켜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는 한편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되는 이동식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cade which is highly complicated i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arricade, which is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which is difficult to install, move and main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barricade in which a barricade rises from the ground while a barricade landed on the ground and fix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스터를 지면으로 하강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여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고, 캐스터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한 이동식 바리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ter is lowered to the ground, the barricade rises from the ground and is easily moved and conveyed. When the caster is raised from the ground, the barricade is landed on the ground and fix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포스트가 상호 연결 설치되어 삼각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포스트에 설치되고, 레버로 캐스터를 상하 작동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프레임의 포스트에 설치되며, 승강유닛의 레버를 고정하여 캐스터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현된다.A frame in which posts are interconnected and configured in a triangular shape; An elevating unit installed on a post of the frame for vertically operating the caster with a lever; And a stopper installed at a post of the frame and fixing the lever of the elevating unit to maintain the lowered state of the cas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승강유닛은 프레임의 포스트에 부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베어링하우징;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외주면에 설치된 레버;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레버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링크대; 및 상기 링크대의 단부에 부착 설치된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Furth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bracket attached to a post of a frame; A bearing housing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A lev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A linkag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ever; And a caster attached to an end of the link sta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스토퍼는 프레임의 하부 포스트에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의 중간 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is installed in a lower post of a frame, and a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ost, and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brack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스터(caster)를 레버로 승강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는 한편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됨으로써, 바리케이드의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ter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lever, the barricade is raised from the ground, and the barricade is landed on the ground and fixed so that the barricad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st is low.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스터를 지면으로 하강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는 한편 캐스터로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고, 캐스터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ter is lowered to the ground, the barricade rises from the ground and is easily moved and carried by the caster. When the caster is raised from the ground, the barricade landed on the ground and fixed.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토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토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승강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elevational sectio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f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cipal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포스트(11)가 상호 연결 설치되어 삼각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포스트(11)에 설치되고, 레버(23)로 캐스터(25)를 상하 작동시키는 승강유닛(20); 및 상기 프레임(10)의 포스트(11)에 설치되며, 승강유닛(20)의 레버(23)를 고정하여 캐스터(25)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An elevating unit 20 installed on the post 11 of the frame 10 and operating the caster 25 up and down by a lever 23; And a stopper 30 installed on the post 11 of the frame 10 and fixing the lever 23 of the lifting unit 20 to maintain the lowered state of the caster 25.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10)은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로의 지면에 놓이는 구조물로서, 상기 프레임(10)은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삼각을 이루도록 수평상으로 다수개의 프레임(10)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에 다수개의 포스트(11)가 상호 연결 설치되어 삼각 형태로 구성된다.In the mai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the frame 10 is a structure that is placed on the ground of the road to block the traffic of a person or a vehicle. The frame 10 is generally constructed as a triangle A plurality of frames (1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plane, and a plurality of posts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frame (10) to form a triangular shape.

상기에서 프레임(10)은 삼각 형태를 갖도록 다수개의 포스트(11)가 상호 연결 설치되며,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포스트(11)가 배치되고, 상기 포스트(11)와 포스트(11) 사이에 "X" 형태로 지지대(12)가 부착 설치되어 내구성이 강화된다.The frame 10 has a plurality of posts 11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tri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posts 1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posts 11 and the posts 11 The support 12 is attached in the form of "X " to enhance the durability.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승강유닛(20)은 바리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11)을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승강유닛(2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프레임(10)의 포스트(11)에 부착되는 브라켓(21); 상기 브라켓(21)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베어링하우징(22); 상기 베어링하우징(22)의 외주면에 설치된 레버(23); 상기 베어링하우징(2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레버(2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링크대(24); 및 상기 링크대(24)의 단부에 부착 설치된 캐스터(25);를 포함하여 구현된다.In the mai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the elevating unit 20 has a function of elevating the frame 11 constituting the barricade from the ground, and the elevating unit 20 includes the frame 10 as shown in Figs. 1 to 4, A bracket 21 attached to the post 11 of the frame 10; A bearing housing (22)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21); A lever 23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2; A link stand (2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2)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ever (23); And a caster (25) attached to the end of the link stand (24).

상기에서 승강유닛(20)은 프레임(10)의 양측부 포스트(11)에 상호 대칭으로 구성되는 한편 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캐스터(caster)가 상하 작동하여 바리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11)을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킨다.The elevating unit 20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ide posts 11 of the frame 10 while being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 and the caster caster is vertically operated to form a barricade (11) from the ground.

상기에서 브라켓(21)은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프레임(10)의 양측에 상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1)의 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부착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1)에 회전축(21a)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21a)에 베어링하우징(22)이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된다.7, the bracket 21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post 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0 in the inward direction. The bracket 21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21a While the bearing housing 22 is fitted to the rotary shaft 21a and is rotatably installed.

또한 상기에서 레버(23)는 캐스터(25)를 상하 작동시키는 기능으로서, 베어링하우징(22)의 외주면에 상향으로 길게 부착 설치되고, 또한 베어링하우징(22)의 외주면에 링크대(24)가 하향으로 길게 부착 설치된다.The lever 23 is a function of vertically moving the caster 25 and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2 so as to be extended upwardly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2, As shown in FIG.

상기에서 링크대(24)는 레버(23)와 소정의 각도(80°~100°)를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대(24)의 단부에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캐스터(25)가 부착 설치된다.The link stand 24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80 DEG to 100 DEG) with respect to the lever 23, and a caster 25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link stand 24 to be freely rotatable.

따라서, 승강유닛(20)은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작업자가 레버(23)를 잡고 내측으로 하향 회동시키면,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베어링하우징(22)이 회전하면서 링크대(24)와 캐스터(25)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캐스터(25)가 착지하며, 이때 캐스터(25)가 지면에 착지하면서 프레임(10)을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들어올리게 된다.2 to 4, when the operator grips the lever 23 and rotates downward to the inside, the elevating unit 20 rotates the bearing housing 22 around the rotating shaft 21a, 24 and the caster 25 are rotated outward to land the caster 25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caster 25 is landed on the ground and the frame 10 is lifted up from the ground.

결과적으로, 레버(23)가 캐스터(25)를 하향 회전시킴으로써, 캐스터(25)가 지면에 착지하면서 바리케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11)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상승시키며, 캐스터(25)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에서 바리케이드를 밀거나 끌어서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다.As a result, the lever 23 rotates the caster 25 downward so that the frame 11 constituting the barricade is lifted up from the ground while the caster 25 lands on the ground, and the caster 25 is landed on the ground I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by pushing or pulling the barricade in the state.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스토퍼(30)는 승강유닛(20)의 레버(23)를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스토퍼(30)는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프레임(10)의 하부 포스트(11)에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1)의 중간 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에 스토퍼(30)가 끼워져 설치된다.The stopper 30 is a function of fixing the lever 23 of the elevating unit 20 in the mai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nd the stopper 3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0 A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ost 11 is attached to the post 11, and a stopper 30 is fitted to the bracket.

상기에서 스토퍼(30)는 볼트와 같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승강유닛(20)의 레버(23)를 하향으로 회동시켜 지면으로부터 바리케이드를 상승시킨 다음, 브라켓의 체결공에 끼워 레버(23)를 고정함에 따라 캐스터(25)가 지면에 착지하여 바리케이드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6, the lever 23 of the elevating unit 20 is rotated downward to raise the barricade from the ground, and then the stopper 30 is fastened to the fastener The caster 25 is rested on the ground and the barricade is maintained in an elevat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면에 대한 바리케이드의 고정력과 착지력을 높이고자 앵글(40)이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 8과 같이, 하부 양측에 위치하는 프레임(10)의 외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앵글(40)이 부착 설치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n angle 40 is attached to the barricad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and landing force of the barricade relative to the ground. And an angle 40 is attached thereto.

상기에서 앵글(40)은 "∧" 형태의 철재로서,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높이므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 보다 바리케이드의 고정력과 착지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gle 40 is an "-shaped iron material, and the frictional force against the ground is increased, so that the barricade fixing force and landing force can be made higher than the frame 10 having a circular sha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일측에 위치하는 승강유닛(20)에만 레버(23)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승강유닛(20)에서 일측의 베어링하우징(22)에만 레버(23)를 설치하고, 양측부의 베어링하우징(22)에 샤프트(26)를 연결 설치한다.9 and 10, the lever 23 is provided only on the elevating unit 20 located at one side of the elevating unit 20, and the elevating unit 20 A lever 23 is provided only on one bearing housing 22 and a shaft 26 is connected to the bearing housings 22 on both sides.

이러한 경우 일측 승강유닛(20)의 레버(23)를 회전 작동시키면, 베어링하우징(22)과 샤프트(26)가 함께 회전하면서 이와 반대측의 베어링하우징(22)이 회전하여 링크대(24)와 캐스터(25)를 회동시키므로,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ever 23 of the one-way lifting unit 20 is rotated, the bearing housing 22 and the shaft 26 are rotated together to rotate the bearing housing 22 on the opposite side, (25), so that the barricade rises from the ground.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스터를 지면으로 하강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면서 캐스터로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고, 캐스터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되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ster is lowered to the ground, the barricade rises from the ground and is easily moved to and transported by the caster. When the caster is raised from the ground, This is eas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스터를 레버로 승강시키면, 바리케이드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는 한편 바리케이드가 지면에 착지하여 고정됨으로써, 바리케이드의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ter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lever, the barricade is raised from the ground, and the barricade is landed on the ground and fixed so that the barricad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It is inexpensive.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changes in the present invention.

10: 프레임 11: 포스트
12: 지지대 20: 승강유닛
21: 브라켓 22: 베어링하우징
23: 레버 24: 링크대
25: 캐스터 26: 샤프트
30: 스토퍼 40: 앵글
10: Frame 11: Post
12: support 20: elevating unit
21: Bracket 22: Bearing housing
23: lever 24:
25: Caster 26: Shaft
30: Stopper 40: Angle

Claims (4)

포스트(11)가 상호 연결 설치되어 삼각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포스트(11)에 설치되고, 레버(23)로 캐스터(25)를 상하 작동시키는 승강유닛(20); 및
상기 프레임(10)의 포스트(11)에 설치되며, 승강유닛(20)의 레버(23)를 고정하여 캐스터(25)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바리케이드.
A frame 10 in which the posts 11 are interconnected and configured in a triangular shape;
An elevating unit 20 installed on the post 11 of the frame 10 and operating the caster 25 up and down by a lever 23; And
And a stopper 30 installed on the post 11 of the frame 10 and holding the caster 25 in a lowered state by fixing the lever 23 of the elevating unit 20 A removable barricade.
제1항에 있어서,
승강유닛(20)은,
프레임(10)의 양측부 포스트(11)에 상호 대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바리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unit (20)
(11) of the frame (10).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유닛(20)은,
프레임(10)의 포스트(11)에 부착되는 브라켓(21);
상기 브라켓(21)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베어링하우징(22);
상기 베어링하우징(22)의 외주면에 설치된 레버(23);
상기 베어링하우징(2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레버(23)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링크대(24); 및
상기 링크대(24)의 단부에 부착 설치된 캐스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바리케이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vating unit (20)
A bracket 21 attached to the post 11 of the frame 10;
A bearing housing (22)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21);
A lever 23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2;
A link stand (2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22)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ever (23); And
And a caster (25) attached to an end of the link stand (24).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30)는,
프레임(10)의 하부 포스트(11)에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1)의 중간 부분에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브라켓의 체결공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바리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30)
Is mounted on a lower post (11) of a frame (10), and a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therein is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ost (11), and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bracket.
KR1020170104126A 2017-08-17 2017-08-17 Movable barricade KR201900193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26A KR20190019356A (en) 2017-08-17 2017-08-17 Movable barric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126A KR20190019356A (en) 2017-08-17 2017-08-17 Movable barrica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56A true KR20190019356A (en) 2019-02-27

Family

ID=6556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26A KR20190019356A (en) 2017-08-17 2017-08-17 Movable barric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356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127Y1 (en) 1994-12-09 1998-04-14 김동환 Barricade
KR200445391Y1 (en) 2007-10-16 2009-07-28 신동헌 A radio-controlled barricade
KR100955309B1 (en) 2009-05-04 2010-04-30 주식회사 현무 Barricade apparatus for prevention escape of vehcles
KR101278305B1 (en) 2012-03-13 2013-06-25 채종현 Built-up barricade
KR101542365B1 (en)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KR101641851B1 (en) 2016-03-21 2016-07-29 하종식 A barricad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127Y1 (en) 1994-12-09 1998-04-14 김동환 Barricade
KR200445391Y1 (en) 2007-10-16 2009-07-28 신동헌 A radio-controlled barricade
KR100955309B1 (en) 2009-05-04 2010-04-30 주식회사 현무 Barricade apparatus for prevention escape of vehcles
KR101278305B1 (en) 2012-03-13 2013-06-25 채종현 Built-up barricade
KR101542365B1 (en)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Underground barricade with blocking bar
KR101641851B1 (en) 2016-03-21 2016-07-29 하종식 A barrica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4088B1 (en) Pivoting barrier transporter and positioner
US20050220536A1 (en) Bollard and cable vehicle barrier
ES2716392T3 (en) Emergency opening element of protection fence
KR101095846B1 (en) Fance type gate
CN201962621U (en) Plate-turnover device for buried anti-collision banister
US20220228330A1 (en) Portable barricade and portable barricade system
KR101268509B1 (en) The underpass entrance cofferdam device
JP2008223341A (en) Mobile installation type pedestrian overpass
US7040836B2 (en) Turntable barrier system
KR20190019356A (en) Movable barricade
GB2430964A (en) Barrier for preventing the passage of vehicles other than disabled vehicles
CN209907131U (en) Automatic pedestrian crossing device
KR100816883B1 (en) Movable type median strip
KR100740082B1 (en) Safety apparatus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KR101224474B1 (en) Barricade for passing control
CN213772849U (en) But quick adjustment wire rope's reinforcing bar string wire stake
KR102284931B1 (en) Safety Bollard System for Pedestrian Protection
CN205591612U (en) Turn to parking stall
CN114045769A (en) Guardrail is prevented wearing by movable type that municipal administration highway engineering used
CN113668427A (en) Lifting roadblock with intelligent management and control function for road
CN206971124U (en) Intelligent pillar alley stopping device
KR20150141210A (en) Automatic shutter apparatus for safety in passing crosswalk
CN204919409U (en) Automobile roadblock
US20240010245A1 (en) Elevat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N204919416U (en) Anti -terrorism road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