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455A - 미세 기포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455A
KR20150089455A KR1020140010099A KR20140010099A KR20150089455A KR 20150089455 A KR20150089455 A KR 20150089455A KR 1020140010099 A KR1020140010099 A KR 1020140010099A KR 20140010099 A KR20140010099 A KR 20140010099A KR 20150089455 A KR20150089455 A KR 20150089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ail
fence
whe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599B1 (ko
Inventor
김형준
김충일
한무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70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 B01F25/72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기포 토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펜스를 이용하여 미세 기포를 효과적으로 수중에 토출할 수 있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펜스에 장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어 미세 기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노즐이 연결된 이동체가 펜스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자연 수계 내 다양한 구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수중의 조류와 같은 부유물들을 부상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기포 토출 장치{DISCHARGE DEVICE OF MICRO BUBBLE}
본 발명은 미세 기포 토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펜스를 이용하여 미세 기포를 효과적으로 수중에 토출할 수 있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수계에서 발생되는 조류는 황토 살포, 폭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가 시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수중의 미세 기포를 수면으로 부유시키고 이를 수거하여 제거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현재 미세 기포를 이용한 조류 제거 기술은 미세 기포 장치는 선박에 고정시키고 노즐을 통해 수중에 미세 기포를 토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한 곳의 조류를 제거한 후에는 선박을 이동시켜 다음 수역에서 조류를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조류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5-0003314호(2005.01.1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수계의 전 영역에 걸쳐 동시 다발적으로 미세 기포를 토출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펜스에 장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어 미세 기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펜스에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펜스와 상기 레일 사이에 구비된 부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과 접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며 상기 모터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제 1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은 우두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레일의 일측면 오목부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 1 바퀴와, 상기 레일의 타측면 오목부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 2 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부착된 케이스지지 부력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지지 부력체는,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수면에 접하는 제 1 케이스지지 부력체와, 상기 제 1 케이스지지 부력체가 구비된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수면에 접하는 제 2 케이스지지 부력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즐이 연결된 이동체가 펜스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자연 수계 내 다양한 구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수중의 조류와 같은 부유물들을 부상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토출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토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토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토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에 장착되는 가이드(100)와, 가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200), 및 이동체(200)에 장착된 노즐(300)을 포함한다.
가이드(100)는 펜스(F)에 장착되어 후술될 이동체(200)가 펜스(F)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펜스(F)의 하부는 수중에 잠기며 상부는 수면 위로 노출되며, 가이드(100)는 수면 위로 노출된 펜스(F)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100)는 펜스(F) 상에 구비된 부력체(120)와 부력체(120) 상에 구비된 레일(110)을 포함한다.
부력체(120)는 펜스(F) 상에 레일(110)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펜스(F)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부력체(12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예시하며, 다수개의 부력체가 서로 접하는 형태로 펜스(F) 상에 구비된다. 물론, 부력체(120)가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일 경우, 부력체(120)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일체로 제작되어 펜스(F)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부력체(120)를 생략하고 펜스(F)의 상부에 레일(110)을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레일(110)은 펜스(F) 또는 부력체(120) 상에 구비되어 후술될 이동체(200)가 이동하는 가이드(100)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레일(110)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I"형 레일인 홈 붙임 레일을 예시한다. 물론, 우두 레일 이외에도 쌍두 레일, 우두 레일, 평저 레일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적용되는 레일(110)의 종류에 따라 후술될 바퀴(210)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이동체(200)는 펜스(F) 상에 설치된 가이드(100)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을 위해서 바퀴(210)와, 바퀴(210)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 및 바퀴(210)의 일부분과 모터를 보호하는 이동체 이동체 케이스(220)을 포함한다.
바퀴(210)는 회전하여 이동체(200) 자체를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키며, 전술된 레일(110) 양측면의 오목부에 접하여 레일(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바퀴(210)는 레일(110)의 양측면 오목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바퀴와 제 2 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바퀴와 제 2 바퀴는 이동체 케이스(220)에 고정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별도의 선박 등에 탑재되어 이동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필요한 전원을 외부에서 공급받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00) 상에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장치는 태양전지(420)와, 태양전지(42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 내부에 위치,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전지(420)를 생략하고 배터리만을 전원 공급 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가 수납되는 후술될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에는 방수 가능한 배터리 수납구조가 구비되도록 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모터에 직접 공급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는 커넥터 등이 될 수 있다.
전술된 이동체 케이스(220)는 내부에 바퀴와 모터가 수납되어 고정되며, 본 실시예는 사각박스 형상의 이동체 케이스(220)를 예시한다.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는 배터리와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수납하여 보호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 역시 이동체 케이스(220)와 동일하게 사각박스 형상을 예시하며, 이동체 케이스(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케이스가 이동체 케이스(220)와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로 분리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케이스는 이동체 케이스(220)와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케이스는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개수와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 내에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펜스(F)가 고정되는 선박 또는 차량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케이스지지 부력체(430)는 케이스의 양측, 즉, 이동체 케이스(220) 또는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이동체(200)가 가이드(100)를 따라 이동할 때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지지 부력체가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410)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케이스지지 부력체(431)와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된 제 2 케이스지지 부력체(432)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지지 부력체(430)는 사각박스 형상을 포함하는 다각 형상 또는 구형상으로 제작되어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수면과 접하여 이동체(200)의 균형을 잡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면 저항을 받지 않는 형상, 예를 들어, 수면과 접하는 영역이 유선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노즐(300)은 미세 기포 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미세 기포를 수중에 토출시킨다. 이를 위해서 노즐(300)은 이동체(200)까지 연장되어 미세 기포 발생 장치와 연결된다. 이때,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외부의 선박 또는 차량 등에 구비되어 있을 경우, 노즐(300) 역시 해당 미세 기포 발생 장치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토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 토출 장치는 자연수계에 가이드가 형성된 펜스를 수면에 설치하고, 펜스의 가이드를 따라 노즐이 장착된 이동체가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라 수중의 노즐에 미세 기포가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토출되는 동안 이동체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미세 기포와 결합된 펜스 내의 수중 부유물을 부상시킨다. 이후, 별도의 흡입 펌프 등을 통해 펜스 내의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즐이 연결된 이동체가 펜스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자연 수계 내 다양한 구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수중의 조류와 같은 부유물들을 부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이드 110: 레일
120: 부력체 200: 이동체
210: 바퀴 220: 이동체 케이스
300: 노즐 410: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
420: 태양전지 430: 케이스지지 부력체
431: 제 1 케이스지지 부력체 432: 제 2 케이스지지 부력체

Claims (10)

  1. 펜스에 장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어 미세 기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펜스에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펜스와 상기 레일 사이에 구비된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레일과 접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며 상기 모터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제 1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우두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레일의 일측면 오목부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 1 바퀴와, 상기 레일의 타측면 오목부에 접하여 회전하는 제 2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미세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부착된 케이스지지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지지 부력체는,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수면에 접하는 제 1 케이스지지 부력체와,
    상기 제 1 케이스지지 부력체가 구비된 제 1 케이스 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수면에 접하는 제 2 케이스지지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토출 장치.
KR1020140010099A 2014-01-28 2014-01-28 미세 기포 토출 장치 KR10157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99A KR101579599B1 (ko) 2014-01-28 2014-01-28 미세 기포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99A KR101579599B1 (ko) 2014-01-28 2014-01-28 미세 기포 토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55A true KR20150089455A (ko) 2015-08-05
KR101579599B1 KR101579599B1 (ko) 2015-12-22

Family

ID=5388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099A KR101579599B1 (ko) 2014-01-28 2014-01-28 미세 기포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5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093A (ja) * 1994-07-28 1996-02-13 Marsima Aqua Syst Corp 浄水用散気装置
KR20050003314A (ko) 2003-07-01 2005-01-10 주식회사 일산 하이스트 이동식 녹조제거장치
KR200377486Y1 (ko) * 2004-12-03 2005-03-08 박민혜 호이스트용 가이드레일
KR100858550B1 (ko) * 2007-07-04 2008-09-18 주식회사 젠트로 오,폐수 처리장치
KR20100008033A (ko) * 2008-07-15 2010-01-25 (주)써니엔지텍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호소 수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093A (ja) * 1994-07-28 1996-02-13 Marsima Aqua Syst Corp 浄水用散気装置
KR20050003314A (ko) 2003-07-01 2005-01-10 주식회사 일산 하이스트 이동식 녹조제거장치
KR200377486Y1 (ko) * 2004-12-03 2005-03-08 박민혜 호이스트용 가이드레일
KR100858550B1 (ko) * 2007-07-04 2008-09-18 주식회사 젠트로 오,폐수 처리장치
KR20100008033A (ko) * 2008-07-15 2010-01-25 (주)써니엔지텍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호소 수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599B1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162B1 (ko) 적외선 센서와 gps를 이용한 녹조 저감 및 부유물 제거 장치
US8413966B1 (en) Water aeration system using renewable energy source
KR101105063B1 (ko) 수류 동력 발생 시스템
EP1454885B1 (en) Portable ozone treatment system for swimming pools
EP3530843A1 (en) Floating system and fluid analysis
US7481175B2 (en) Floating dock
WO2009141617A3 (en) Water current powered generating apparatus
AU2004216640A1 (en) Solar-Powered Water Features with Submersible Solar Cells
WO2012074408A3 (en) A surface-cleaning device and vehicle
KR101426902B1 (ko) 펜스를 이용한 조류 수거 장치
ES2846452T3 (es) Limpiador de piscinas
CN216385777U (zh) 一种升降式海洋信息采集漂浮装置
KR101579599B1 (ko) 미세 기포 토출 장치
KR101832191B1 (ko) 수질 오염 정화 장치
WO2006128886A3 (de) Trinkwassererzeugungs- und versorgungsschiff
CN205250160U (zh) 一种拖网渔船拖力平衡装置
CN102190354A (zh) 自浮式等离子放电除藻装置
KR101052534B1 (ko) 침전물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50088543A (ko) 이동형 부유물 수거 장치
KR101273948B1 (ko) 태양전지의 각도 조절과 이물질 낙하 방지를 위한 등부표 구조물
CN205022821U (zh) 一种无人遥控测量船
CN203876942U (zh) 海上船型机动平台
CN105539773A (zh) 一种水上救生装置
RU2408495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
JP3243114B2 (ja) 自走式噴水型水質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