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161A -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161A
KR20150089161A KR1020140009426A KR20140009426A KR20150089161A KR 20150089161 A KR20150089161 A KR 20150089161A KR 1020140009426 A KR1020140009426 A KR 1020140009426A KR 20140009426 A KR20140009426 A KR 20140009426A KR 20150089161 A KR20150089161 A KR 2015008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roller
bracke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239B1 (ko
Inventor
전성국
Original Assignee
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2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외관이 깔끔하면서 감전의 위험이 없고,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 가능하며, 자동 닫힘 구조가 안정적일 뿐 아니라, 밀폐성이 우수하며, 도어의 조립 시 수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시된다. 슬라이딩 도어는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리가 구비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켜 도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일 측이 상기 도어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 측에 연결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부를 프레임에 대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 측이 상기 도어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 측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상기 유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를 수용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마디체로 구성되어 도어부의 슬라이딩 시 마디체 간의 자유로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체인이 구비된다. 따라서, 외관이 깔끔하면서 감전의 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고,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 가능하며, 자동 닫힘 구조가 안정적일 뿐 아니라, 밀폐성이 우수하며, 도어의 조립 시 수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 창고 또는 냉동 창고의 벽체 또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유리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구조로 개폐되는 냉동고용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2118(2013.05.02)에는 결로방지와 자동 닫힘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용 슬라이딩 도어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메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창 구조의 도어(101)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는 지지프레임(135)의 하부에 체결되고, 지지프레임(135)의 체결판(136)에 체결된 롤러(138)는 메인프레임(110)에 체결된 행거프레임(111)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어(101)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101)의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다가 도어(101)가 열렸을 때는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10)의 일 측에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며, 전원공급장치는 도어프레임과 메인프레임(110)가 각각 설치된 수커넥터(140)와 암커넥터(117)로 구성된다. 암커넥터(117)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수커넥터(140)는 도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어(101)의 전열선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101)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커넥터(140)가 암커넥터(117)에 삽입되어 전원이 도어(101)의 전열선에 공급됨에 따라 도어(101)의 전열선이 발열하며, 사용자가 도어(101)를 열었을 때는 도어(101)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열리면서 수커넥터(140)가 암커넥터(117)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수커넥터(140)의 몸체에는 핀(142)이 돌출되어 구성되고, 암커넥터(117)에는 핀(142)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도어(101)와 메인프레임(110)에는 각각 텐션와이어(113)의 양단이 고정되어, 도어(101)가 열렸을 때 텐션와이어(113)는 탄성 변형되며 텐션와이어(113)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101)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 텐션와이어(113)는 자유 회전하는 풀리(114)에 감겨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완충기(122)가 구비되고 지지프레임(135)에 돌기(143)가 형성되어, 돌기(143)는 완충기(122)에 걸려 도어의 급격한 닫힘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수커넥터가 암커넥터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습기가 많은 환경 등에 의해 스파크가 일어나 누전의 위험성이 있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도어의 발열을 위한 전원 공급을 별도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항시 공급하는 구조로 구현할 경우 케이블을 외부로 길게 연장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당겨지거나 늘어지게 됨에 따라, 도어의 슬라이딩 구동을 방해하거나 외관이 복잡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도어의 급격한 닫힘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였으나,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텐션 수단(텐션와이어)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도어의 닫힘 시 프레임의 수직도가 미세하게 틀어질 경우 틈이 발생하여 밀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도어의 조립 시 수직도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우며 작업이 난해하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2118(2013.05.0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관이 깔끔하면서 감전의 위험이 없고,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 가능하며, 자동 닫힘 구조가 안정적일 뿐 아니라, 밀폐성이 우수하며, 도어의 조립 시 수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는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리가 구비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켜 도어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일 측이 상기 도어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 측에 연결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부를 프레임에 대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 측이 상기 도어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 측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상기 유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를 수용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마디체로 구성되어 도어부의 슬라이딩 시 마디체 간의 자유로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체인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와이어 체인의 일 측 일부는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 중 상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와이어 체인의 타 측 일부는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 중 상기 와이어 체인의 일 측 일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도어부 측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에서, 일 측이 상기 스프링부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스프링부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턴버클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다수의 턴버클 체결공이 스프링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턴버클은 턴버클 체결공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부의 장력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 스프링부가 지나가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끼움 결합되어 스프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는 프레임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고 하측이 개구되며 양측에 회전공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회전공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이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연결되는 가이드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도어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도어부와 프레임이 마주하는 부위에 가스켓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과 마주하는 프레임의 일 측에 유선형으로 요입된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를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롤러와 도어부를 서로 연결하는 롤러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브라켓은 랜치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랜치의 조작에 의해 롤러의 높낮이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롤러 브라켓은,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브라켓 몸체와, 일 측이 상기 브라켓 몸체에 나사 체결되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 측이 브라켓 몸체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롤러에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일 측에 랜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브라켓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비되는 제2 회전부재와,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 간을 연결하여 제2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제1 회전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웜 및 웜 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는 외관이 깔끔하면서 감전의 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고,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 가능하며, 자동 닫힘 구조가 안정적일 뿐 아니라, 밀폐성이 우수하며, 도어의 조립 시 수직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메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4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 체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 체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턴버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스프링 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스프링 가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4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 체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 체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턴버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스프링 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스프링 가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스토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좌우 방향이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이며, 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 "폭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3)는 도어부(31)와, 프레임(33)과, 스프링부(36)와, 와이어 체인(32)과, 턴버클(37)과, 스프링 가이드(35)와, 롤러(381) 및 롤러 브라켓(38)과, 스토퍼(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어부(31)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312)를 구비하며, 유리(312)의 일 측에 손잡이(311)가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유리(312)는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다. 유리(312)에는 열선이 코팅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부(31)는 프레임(3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프레임(33)은 도어부(3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켜, 도어부(31)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33)은 도어부(31)의 상측 및 하측을 커버하는 상하측 커버와 도어부(31)의 양측 사이드를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틀을 이루게 된다. 프레임(33)의 내측에는 도어부(3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후술할 구성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프레임(33) 내측의 공간부는 폭 방향으로 중간 부위에 격벽(332)을 통해 2개의 공간부로 구획된다.
스프링부(36)는 일 측이 도어부(31)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프레임(33) 측에 연결된다. 스프링부(36)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부(31)를 프레임(33)에 대해 자동으로 닫히게 한다. 스프링부(36)는 용수철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되며, 일 측이 프레임(33)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다 프레임(33)의 모서리에 구비된 후술할 스프링 가이드(35)를 지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부(31) 측에 고정된 롤러(381)에 연결된다.
와이어 체인(32)은 일 측이 도어부(31)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프레임(33) 측에 연결된다. 와이어 체인(32)의 내측으로는 유리(31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를 수용한다. 상기 와이어 체인(32)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마디체(321)로 구성된다. 마디체(321)는 내측으로 와이어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부(323)가 형성되고, 양측에 힌지축(322)을 중심으로 다수의 마디체(321)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 체인(32)은 도어부(31)의 슬라이딩 시 마디체(321) 간의 자유로이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와이어 체인(32)의 일 측 일부는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 중 상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와이어 체인(32)의 타 측 일부는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 중 와이어 체인(32)의 일 측 일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도어부(31) 측에 연결 구비된다. 즉, 와이어 체인(32)은 길이 방향 일 측이 프레임(33) 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측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다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다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후 도어부(31) 측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33)과 도어부(31) 간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와이어 체인(32)이 프레임(33)의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외관이 깔끔해짐과 아울러, 와이어 체인(32) 내부를 통과하는 와이어가 항시 유리(3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도어부(31)의 개폐 시 누전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므로 안전성이 우수해진다.
턴버클(37)은 일 측이 스프링부(36)에 연결되고 타 측이 프레임(33)에 연결된다. 상기 턴버클(37)은 스프링부(36)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33)에는 다수의 턴버클 체결공이 스프링부(36)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즉, 턴버클 체결공은 프레임(33)의 사이드 커버 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턴버클(37)은 턴버클 체결공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부(36)의 장력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턴버클(37)은 턴버클 몸체(371)와, 상기 턴버클 몸체(371)의 양측으로 스크류 체결되는 제1 링크(372) 및 제2 링크(373)로 구성된다. 제1 링크(372)의 일 측에는 턴버클 몸체(371)에 스크류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372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프레임(33) 측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37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2 링크(373)의 일 측에는 턴버클 몸체(371)에 스크류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373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스프링부(36)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373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링크(372) 또는 제2 링크(373)를 회전시켜 턴버클(37)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턴버클(37)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스프링부(36)의 장력을 미세 조절할 수 있으며, 턴버클 체결공에 턴버클(37) 자체를 이동시키면서 스프링부(36)의 장력을 비교적 큰 폭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부(31)의 자동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35)는 스프링부(36)가 지나가는 프레임(33)의 모서리 부위에 끼움 결합되어, 스프링부(36)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 가이드(35)는 가이드 브라켓(351)과, 가이드 롤러(352)로 구성된다. 가이드 브라켓(351)은 하측이 개구되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33)의 내측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351)은 양측에 회전공(3512)이 형성된다. 가이드 롤러(352)는 회전공(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521)이 마련되어, 가이드 브라켓(351)에 연결된다. 가이드 브라켓(351)의 양측에는 프레임(33)과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35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부(3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도어부(31)와 프레임(33)이 마주하는 부위에 가스켓(315)을 구비한다. 이 경우, 가스켓(315)과 마주하는 프레임(33)의 일 측, 즉 프레임(33)의 사이드 커버 측에 유선형으로 요입된 수용홈(331)이 형성된다. 수용홈(331)은 가스켓(315)을 수용하여 도어부(31)와 프레임(33) 간의 수직도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도 도어부(31)와 프레임(33) 간의 틈을 메워 씰링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롤러(381)는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부(31)를 프레임(33)에 대해 슬라이딩 안내한다. 롤러(381)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롤러 브라켓(38)은 롤러(381)와 도어부(31)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랜치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랜치의 조작에 의해 롤러(381)의 높낮이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롤러 브라켓(38)은 브라켓 몸체(386)와, 제1 회전부재(381)와, 제2 회전부재(384)와, 웜(383) 및 웜 휠(382)로 구성된다.
브라켓 몸체(386)는 도어부(31)의 상측에 결합된다. 브라켓 몸체(386)는 제1 회전부재(381) 및 제2 회전부재(38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제1 회전부재(381)는 일 측이 브라켓 몸체(386)에 나사 체결되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 측이 브라켓 몸체(386)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롤러(381)에 결합된다. 제2 회전부재(384)는 일 측에 랜치 삽입공(385)이 형성되고, 제1 회전부재(38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브라켓 몸체(38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비된다.
웜(383) 및 웜 휠(382)은 제1 회전부재(381)와 제2 회전부재(384) 간을 연결하여, 제2 회전부재(384)의 회전운동을 제1 회전부재(38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웜(383)은 제2 회전부재(384) 측에 구비되며, 웜 휠(382)은 제1 회전부재(381) 측에 구비된다. 랜치 삽입공(385)에 랜치를 삽입하여 제2 회전부재(384)를 회전시키면, 웜(383) 및 웜 휠(382)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제1 회전부재(381)가 회전되면서 브라켓 몸체(386)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결국, 제1 회전부재(381)에 결합된 롤러(381)는 함께 승강하면서 프레임(33)과 도어부(31) 간의 상하 높이 및 수직도를 맞출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부(31)의 수직도를 맞출 때, 도어부(31)를 프레임(33)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도어부(31)를 닫은 상태에서 랜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롤러를 도어의 상부에 부착하는 기존의 제품은 도어의 높낮이 조절을 정면에서 수행하는 방식으로서,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부 프레임과 도어의 상부 사이에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는 옆에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부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작업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밀폐성을 더욱 우수하다.
스토퍼(34)는 도어부(31)의 급격한 닫힘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스토퍼 몸체(341)와, 복귀 스프링(342)과, 댐퍼(343)와 슬라이더(344)를 구비한다. 복귀 스프링(342)은 일 측이 스토퍼 몸체(341)에 형성된 고정공(3411)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 측이 슬라이더(344) 측에 고정된다. 스토퍼 몸체(341)에는 슬라이더(344)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345)이 형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 슬라이딩 도어
31 : 도어부 32 : 와이어 체인
33 : 도어부 34 : 스토퍼
35 : 스프링 가이드 36 : 스프링부
37 : 턴버클 38 : 롤러 브라켓

Claims (7)

  1. 전원 인가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리(312)가 구비된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켜 도어부(31)를 지지하는 프레임(33)과, 일 측이 상기 도어부(31)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33) 측에 연결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부(31)를 프레임(33)에 대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스프링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 측이 상기 도어부(31)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33) 측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상기 유리(31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를 수용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마디체(321)로 구성되어 도어부(31)의 슬라이딩 시 마디체(321) 간의 자유로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체인(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체인(32)의 일 측 일부는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 중 상측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와이어 체인(32)의 타 측 일부는 하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 중 상기 와이어 체인(32)의 일 측 일부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도어부(31) 측에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3. 제1 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스프링부(36)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프레임(33)에 연결되어 스프링부(36)의 장력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턴버클(37)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33)에는 다수의 턴버클 체결공이 스프링부(36)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턴버클(37)은 턴버클 체결공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부(36)의 장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36)가 지나가는 프레임(33)의 모서리 부위에 끼움 결합되어 스프링부(36)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가이드(35)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35)는 프레임(33)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고 하측이 개구되며 양측에 회전공(3512)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351)과, 상기 회전공(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521)이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브라켓(351)에 연결되는 가이드 롤러(3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3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도어부(31)와 프레임(33)이 마주하는 부위에 가스켓(315)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315)과 마주하는 프레임(33)의 일 측에 유선형으로 요입된 수용홈(3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3)의 내측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31)를 프레임(33)에 대해 슬라이딩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81)와, 상기 롤러(381)와 도어부(31)를 서로 연결하는 롤러 브라켓(38)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브라켓(38)은 랜치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랜치의 조작에 의해 롤러(381)의 높낮이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라켓(38)은, 상기 도어부(31)의 상측에 결합되는 브라켓 몸체(386)와, 일 측이 상기 브라켓 몸체(386)에 나사 체결되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 측이 브라켓 몸체(386)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롤러(381)에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381)와, 일 측에 랜치 삽입공(38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38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브라켓 몸체(38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비되는 제2 회전부재(384)와, 제1 회전부재(381)와 제2 회전부재(384) 간을 연결하여 제2 회전부재(384)의 회전운동을 제1 회전부재(38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웜(383) 및 웜 휠(3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KR1020140009426A 2014-01-27 2014-01-27 슬라이딩 도어 KR10156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26A KR101562239B1 (ko) 2014-01-27 2014-01-27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26A KR101562239B1 (ko) 2014-01-27 2014-01-27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61A true KR20150089161A (ko) 2015-08-05
KR101562239B1 KR101562239B1 (ko) 2015-10-23

Family

ID=5388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426A KR101562239B1 (ko) 2014-01-27 2014-01-27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47071A1 (en) * 2020-08-26 2022-03-03 View, Inc.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CN114589166A (zh) * 2020-12-03 2022-06-07 A-成株式会社 使用激光清洗机的掩模框架表面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888B1 (ko) 2018-01-05 2020-04-14 아성산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91Y1 (ko) * 1999-10-25 2000-04-15 안중식 도어의 개폐장치
JP2004040863A (ja) * 2002-07-01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ガイド
KR101262118B1 (ko) * 2013-01-29 2013-05-14 김미라 결로방지와 자동 닫힘 기능을 구비한 쇼케이스용 슬라이딩 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47071A1 (en) * 2020-08-26 2022-03-03 View, Inc.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CN114589166A (zh) * 2020-12-03 2022-06-07 A-成株式会社 使用激光清洗机的掩模框架表面处理方法
CN114589166B (zh) * 2020-12-03 2023-12-19 A-成株式会社 使用激光清洗机的掩模框架表面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239B1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68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KR101562239B1 (ko) 슬라이딩 도어
US20210123300A1 (en)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RU2014146710A (ru) Изолированное окно в сборе
US9663980B2 (en) Motorized window blind
WO2014138778A1 (en) A carriage
ITPD20110127A1 (it) Struttura di attuatore lineare particolarmente per porte scorrevoli e per serramenti scorrevoli in generale
KR20140000967U (ko) 미서기 창호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系统
DK2634344T3 (en) DRIVE TO A WINDOW OF A WINDOW OR SIMILAR AND PROCEDURE FOR INSTALLING A FINISHING END OF THE DRIVE
US10036196B2 (en) Automatic closing structure for slats of sash
KR200476287Y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엔드 캡 구조
CN203846969U (zh) 新型可调光百叶窗
KR102444253B1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EP3936695A1 (en) Lateral guides
EP2725180B2 (en) Mounting accessory
US20160069125A1 (en) Waterproof door with movable insert
JP6647927B2 (ja) 建具
JP6301077B2 (ja) 障子保持部材、及び、建具
WO2014098756A1 (en) Sliding shutter arrangement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KR101254787B1 (ko) 시스템창호용 스테이바
KR20140013651A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그리고 이의 설치방법
KR20180022457A (ko) 밀폐 일자형 창호
PL220365B1 (pl) Zawias z samodomykacz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