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651A -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그리고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그리고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51A
KR20140013651A KR1020120081598A KR20120081598A KR20140013651A KR 20140013651 A KR20140013651 A KR 20140013651A KR 1020120081598 A KR1020120081598 A KR 1020120081598A KR 20120081598 A KR20120081598 A KR 20120081598A KR 20140013651 A KR20140013651 A KR 2014001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coupling
b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231B1 (ko
Inventor
노유학
Original Assignee
노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유학 filed Critical 노유학
Priority to KR102012008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2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8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of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클린룸의 벽면에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에 은폐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문틀에 대해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에 각각 결합되는 문틀결합부 및 도어결합부와; 중심부가 회동바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도어결합부와 문틀결합부에 엇갈리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문틀결합바와 상기 도어결합바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결합바가 상기 문틀결합바에 대해 상대 회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동바와; 상기 문틀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바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바를 안내하는 문틀회동바가이드부 및 도어회동바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그리고 이의 설치방법{HINGE ASSEMBLY AND DOOR ASSEMBLY HAVING THEREOF AND INSTALLING MEHOD THEREOF}
본 고안은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반 도어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어조립체는 모든 건축물에 설치되어 공간을 개폐한다. 도어조립체는 통상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문틀과, 문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도어와, 문틀과 도어 사이에 결합되어 도어가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힌지조립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공개특허 2011-0043685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개시된 바와 같은 도어조립체는 사람이 출입되는 도어가 문틀에 대해 회동될 때, 힌지가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므로 미관이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사용되는 힌지조립체는 나비형 경첩이나 피벗힌지를 이용하게 되는데, 나비형 경첩의 경우 문틀과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 고정되기 때문에 도어의 외부에서 볼 때 경첩의 머리가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외관이 깔끔하지 못한 폐단이 있다. 또한, 피벗힌지는 도어 상하단부와, 문틀의개구부 상하에 각각 도어용 힌지프레임과 문틀고정용 힌지프레임을 고정설치할 때, 문틀고정용 힌지프레임의 유설부가 도어의 안정적인 개방을 위해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외관이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와 문틀에 대해 은폐되게 결합되어 먼지의 유입을 철저히 차단시킴과 동시에 외관이 깔끔한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경첩의 간격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크기의 오차를 보상할 수 있는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문틀 사이에 설치가 용이한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는, 도어와 문틀에 각각 결합되는 문틀결합부 및 도어결합부와; 중심부가 회동바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도어결합부와 문틀결합부에 엇갈리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문틀결합바와 상기 도어결합바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결합바가 상기 문틀결합바에 대해 상대 회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동바와; 상기 문틀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바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바를 안내하는 문틀회동바가이드부 및 도어회동바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틀결합부는, 상기 문틀의 측면에 수용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바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문틀결합본체와; 상기 문틀결합본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 간격조절축과; 상기 문틀결합본체의 측면에서 내부로 상기 회동바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회동바가이드부를 상기 문틀결합본체에 고정시키는 측면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틀회동바가이드부는, 상기 문틀결합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문틀가이드본체와; 상기 문틀가이드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문틀가이드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축이 내부에 수용되는 간격조절축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축은 상기 문틀결합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축본체와, 상기 축본체의 상부영역에 상기 축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길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형성되며 상기 축본체에 비해 직경이 짧게 형성되는 상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에 함몰형성되어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회전부재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삽입공에 삽입하여 상기 간격조절축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상부영역의 편심배치에 의해 상기 상부영역이 상기 간격조절축수용공을 회전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문틀결합부의 내벽면과 상기 회동바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결합부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수용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바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결합본체와; 상기 도어결합본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회동바가이드부는 상기 결합축이 수용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과 나사결합되는 결합축수용공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도어가 회동되도록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에 힌지조립체를 조립하는 도어조립체 설치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 설치방법은, 상기 문틀의 측면과 상기 도어의 측면에 상기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힌지삽입공을 각각 함몰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문틀에 문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어에 도어회동바가이드부와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가 함께 조립된 도어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문틀을 벽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회동바를 상기 문틀결합부에 결합시켜 상기 도어가 상기 문틀에 대해 회동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회동바를 상기 문틀결합부에 결합시킬 때, 상기 문틀결합부에 형성된 간격조절축의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문틀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한 쌍의 회동바가 도어결합부와 문틀결합부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어와 문틀이 서로 밀착되어 틈이 없게 배치된다. 이에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한 쌍의 회동바와 도어결합부 및 문틀결합부가 도어와 문틀 내부에 은폐되도록 결합되므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관이 깔끔하여 클린룸에 설치시 클린룸의 청결성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간격조절축의 편심형상에 의해 일정 범위내에서 문틀결합부와 도어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문틀과 도어 사이의 미세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교하게 조립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문틀결합부와 도어결합부가 각각 도어와 문틀에 미리 매립되게 각각 결합되고, 시공 장소에서 문틀결합부와 도어결합부를 결합시켜 시공을 완료하게 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가 결합된 도어조립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분해하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간격조절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a와 도 5b는 도 4a와 도 4b의 힌지조립체의 간격조절 과정시 단면구성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의 도어 개폐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1)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1)는 시공 건물의 벽면(미도시)에 고정설치되는 문틀(A)과, 문틀(A)에 결합되는 도어(B)와, 문틀(A)과 도어(B)에 각각 은폐되게 결합되어 도어(B)가 문틀(A)에 대해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조립체(200)를 포함한다.
문틀(A)과 도어(B)는 서로 크기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출입되도록 회동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틀(A)과 도어(B)는 목재, 금속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문틀(A)과 도어(B)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에 힌지조립체(200)가 직접 결합된다. 문틀(A)과 도어(B)의 결합면에는 힌지삽입공(110)이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의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형성된다.
힌지조립체(200)는 문틀(A)과 도어(B)의 사이에 구비되어 도어(B)가 문틀(A)에 대해 회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200)는 문틀(A)과 도어(B)의 힌지삽입공(110)에 삽입되게 구비되어 도어(B)가 문틀(A)에 닫혀 있는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된다. 이에 의해 깔끔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조립체(200)는 문틀(A)과 도어(B)에 각각 결합되는 문틀결합부(210a) 및 도어결합부(210b), 중심영역이 회동축(260)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각각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결합부(210b)가 문틀결합부(210a)에 대해 상대 회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동바(230a,230b)와,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 내부에 삽입되며 사용자가 도어(B)에 외력을 가할 경우 한 쌍의 회동바(230a,230b)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쌍의 회동바(230a,230b)를 안내하는 한 쌍의 회동바가이드부(220a,220b)를 포함한다.
문틀결합부(210a)는 문틀(A)에 결합되어 제1회동바(230a)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도어결합부(210b)는 도어(B)에 결합되어 제2회동바(230b)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는 간격조절축(217)의 구성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문틀결합부(210a)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문틀결합부(210a)는 힌지삽입공(110) 내부에 삽입되는 문틀결합본체(211)와, 문틀결합본체(211)의 상하에 연장형성되는 프레임결합면(213)과, 문틀프레임(100a)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간격조절축(217)과, 문틀프레임(100a)의 측면으로 관통 삽입되는 측면고정축(219)을 포함한다.
문틀결합본체(211)는 수평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힌지삽입공(110) 내부에 삽입된다.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215)에 문틀회동바가이드(220a)와, 제1회동바(230a)가 수용된다.
프레임결합면(213)은 문틀결합본체(211)의 상하에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문틀(A)의 힌지삽입공(110)에 고정된다. 문틀결합본체(211)는 힌지삽입공(110)에 삽입되고, 프레임결합면(213)은 힌지결합면(120)에 결합된다.
프레임결합면(213)의 판면에는 체결부재삽입공(213a)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체결부재(미도시)가 힌지결합면(120)으로 삽입되어 문틀결합부(210a)와 문틀(A)을 고정하게 된다. 체결부재(미도시)는 볼트 또는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간격조절축(217)은 문틀결합본체(211)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간격조절축(217)은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위치를 조절하여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 사이의 수평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조절축(217)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결합본체(211)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간격조절축(217)은 결합와셔(216)에 의해 문틀결합본체(2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다.
간격조절축(217)은 상부영역에 회전부재삽입공(217a)이 일정깊이 함몰형성된다. 이 때, 회전부재삽입공(217a)은 간격조절축(217)의 중심축(M)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길이 편심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부영역의 전체 직경도 하부영역의 직경에 비해 짧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미도시)가 회전부재삽입공(217a)에 삽입되어 간격조절축(217)을 회전시킬 경우,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영역이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을 가압하여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를 문틀결합부(210a) 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측면고정축(219)은 문틀결합본체(211)의 측면에 삽입되어 문틀결합본체(211)와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가 고정되도록 한다. 측면고정축(219)은 문틀결합본체(211)의 측면에 형성된 제1측면고정축삽입공(218)을 따라 관통된다. 제1측면고정축삽입공(218)은 문틀결합본체(211)의 양측벽에 대응되게 관통형성되어 측면고정축(219)이 삽입되도록 한다.
측면고정축(219)은 제1측면고정축삽입공(218)과,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측면에 형성된 제2측면고정축삽입공(227)을 경유하여 반대방향으로 노출된다. 측면고정축(219)은 문틀결합부(210a)와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간격조절축(217)의 회전에 의해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서, 측면고정축(219)은 문틀결합부(210a) 측에만 구비된다.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는 문틀결합부(210a) 내부에 삽입되어 제1회동바(230a)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는 문틀가이드본체(221)와, 문틀가이드본체(221)의 배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회동바(230a)를 가이드하는 삽입가이드(223)와, 간격조절축(217)을 수용하는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을 포함한다.
문틀가이드본체(221)는 문틀결합부(210a)의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215)에 형합되게 형성된다. 이 때, 문틀가이드본체(221)의 폭은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215)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215)은 문틀가이드본체(221)의 폭에 비해 여유공간(a)을 갖게 된다. 이에 의해 간격조절축(217)의 회전방향에 따라 문틀가이드본체(221)가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215)의 여유공간만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문틀가이드본체(221)에는 제2회동바지지축(240b)이 삽입되는 제2지지축수용공(222)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또한, 문틀가이드본체(221)의 양쪽 측면에는 측면고정축(219)이 삽입되는 제2측면고정축삽입공(227)이 관통형성된다. 문틀가이드본체(221)가 문틀결합본체(211)의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215)에 삽입되면 제2측면고정축삽입공(227)은 제1측면고정축삽입공(218)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측면고정축(219)이 결합된다.
삽입가이드(223)는 문틀가이드본체(221)의 배면으로 연장형성되어 문틀결합본체(211)의 배면까지 삽입된다. 삽입가이드(223)의 상하면에는 가이드레일(223a)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23a)에는 제1회동바(230a)의 제1가이드본체결합축(250a)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가이드본체결합축(250a)은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가이드레일(223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은 간격조절축(217)을 내부에 수용한다.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의 내경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견조절축(217)의 상부영역 외경에 비해 일정 길이 크게 형성된다. 즉,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의 내경은 간격조절축(217)의 하부영역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짧은 간격조절축(217)의 상부영역은 간격조절축수용공(225)에 수용될 때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삽입공(217a)으로 사용자가 렌치와 같은 회전부재(미도시)를 결합시켜 간격조절축(217)을 회전시키면, 중심축(M)으로부터 편심된 회전부재삽입공(217a)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부영역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중심축에 대해 상부영역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이 함께 가압되므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이 일체로 형성된 문틀가이드본체(221)가 문틀결합본체(211)의 좌우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문틀가이드본체(221)가 문틀결합본체(211)의 좌우로 이동될 경우, 문틀가이드본체(221)와 도어가이드본체(221a)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공간(a) 만큼 문틀가이드본체(221)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내측벽과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의 내측벽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L1>L2).
따라서, 문틀(A)과 도어(B)에 힌지조립체(200)를 결합시킬 때, 문틀(A)과 도어(B)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문틀가이드본체(221)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에 힌지조립체(200)를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힌지조립체(200)의 회동에 의한 도어(B)와 문틀(A) 사이의 미세한 틈도 막을 수 있어 클린룸(미도시)으로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문틀결합부(210a)와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는 간격조절축(217)에 의한 간격조절을 위해 문틀결합부(210a)의 폭이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폭에 비해 여유공간(a)만큼 크게 구비된다.
반면, 도어결합부(210b)와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는 간격조절 기능이 없으므로 도어결합부(210b)의 폭이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가 도어결합부(210b)의 내부공간에 형합된다.
도어결합부(210b)에 형성된 결합축(217b)와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에 형성된 결합축수용공(225a)은 각각 외주면과 내주면에 수나사와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된다. 간격조절축(217)과 간격조절축수용공(225)은 서로 삽입만 될 뿐, 문틀결합부(210a)와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는 측면고정축(21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 도어결합부(210b)와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는 결합축(217b)과 결합축수용공(225a)이 서로 나사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상하로 배치되어 도어(B)가 문틀(A)에 대해 회동되도록 한다.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도어(B)가 문틀(A)에 닫혀 있을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평한 상태로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 내부에 수용되고, 도어(B)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와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를 따라 이동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어긋나게 회동된다. 이에 따라 도어(B)가 회동될 수 있다.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바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가운데영역에 회동축(260)이 결합되어 회동축(260)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된다. 제1회동바(230a)는 가이드레일(223a)을 따라 이동되는 제1회동바본체(231)와, 제1회동바본체(231)로부터 절곡된 절곡바(232)로 형성된다. 제1회동바본체(231)의 단부영역에는 제1가이드본체결합축(250a)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본체결합축삽입공(233)이 관통형성된다. 절곡바(232)의 단부영역에는 제1회동바지지축(240a)이 삽입되는 제1회동바지지축삽입공(237)이 형성된다.
제1회동바(230a)는 절곡바(232)의 단부영역이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에 결합된다. 즉, 제1회동바지지축(240a)이 제1회동바지지축삽입공(237)에 삽입된 상태로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의 제1지지축수용공(222a)에 결합된다.
제1회동바(230a)는 절곡된 전면부는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에 고정되고, 제1회동바본체(231)는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회동바(230b)는 절곡된 전면부는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에 고정되고, 제2회동바본체(231a)는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의 절곡된 가운데 영역은 회동축(26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서로 제1회동바지지축(240a)과 제2회동바지지축(240b)을 중심으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가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 사이에 틈이 없어 먼지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도어(B)에 외력이 인가되면 회동축(260)을 중심으로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서로 회동된다. 회동축(26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제1회동바(230a)와 제2회동바(230b)는 각각 제1회동바지지축(240a)과 제2회동바지지축(240b)에 의해 타단부가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와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가이드본체결합축(250a)과 제2가이드본체결합축(250b)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레일(223a)과 제2가이드레일(223b)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가 각각 제1회동바지지축(240a)과 제2회동바지지축(240b)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B)가 문틀(A)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즉, 한 쌍의 회동바(230a,230b)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축(260)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서로 도어결합부(210b)와 문틀결합부(210a)에 대해 내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상대적인 회동반경이 변화되며 도어결합부(210b)와 문틀결합부(210a)에 각각 결합된 도어(B)와 문틀(A)이 회동하게 되며 도어(B)가 개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조립체(1)의 설치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문틀(A)과 도어(B)는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준비된다. 작업자는 문틀(A)과 도어(B)의 결합면에 힌지삽입공(110)을 각각 미리 형성한다. 힌지삽입공(110)은 도어가 목재 재질 일 경우 도구를 이용하여 함몰 형성되고, 금속 재질일 경우, 금형 또는 사출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문틀(A)의 힌지삽입공(110)에는 문틀결합부(210a)를 미리 결합시켜 준비한다. 그리고, 도어(B)의 힌지삽입공(110)에는 도어결합부(210b)와 도어회동바가이드부(220b) 및 제2회동바(230a,230b)를 함께 조립하여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된 문틀(A)과 도어(B)를 설치장소로 이동시킨 후, 문틀(A)을 시설치 벽면(미도시)에 먼저 설치한다. 문틀(A)의 설치가 완료되면 문틀결합부(210a) 내부에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를 결합시킨다.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어(B) 측에 미리 결합되어 있는 제1회동바(230a)를 문틀회동바가이드부(220a) 측에 제1가이드본체결합축(250a)를 삽입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 때, 작업자는 간격조절축(217)의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문틀결합부(210a)와 도어결합부(21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도어조립체(1)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한 쌍의 회동바가 도어결합부와 문틀결합부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어와 문틀이 서로 밀착되어 틈이 없게 배치된다. 이에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한 쌍의 회동바와 도어결합부 및 문틀결합부가 도어와 문틀 내부에 은폐되도록 결합되므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관이 깔끔하여 클린룸에 설치시 클린룸의 청결성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는 간격조절축의 편심형상에 의해 일정 범위내에서 문틀결합부와 도어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문틀과 도어 사이의 미세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교하게 조립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도어조립체
200 : 힌지조립체 210a : 문틀결합부
210b : 도어결합부 211 : 문틀결합본체
213 : 프레임결합면 213a ; 체결부재삽입공
215 :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 216 : 결합와셔
217 : 간격조절축 217a : 회전부재삽입공
217b : 결합축 218 : 제1측면고정축삽입공
219 : 측면고정축 220a : 문틀회동바가이드부
220b : 도어회동바가이드부 221 : 문틀가이드본체
222 : 제2지지축수용공 222a : 제1지지축수용공
223 : 삽입가이드 223a : 가이드레일
225 : 간격조절축수용공 225a : 결합축수용공
225b : 암나사 227 : 제2측면고정축삽입공
230a,230b : 제1회동바, 제2회동바
231 : 제1회동바본체 232 : 절곡바
233 : 본체결합축수용공 235 : 보호고무
237 : 제2회동바결합축삽입공 240a : 제1회동바지지축
240b : 제2회동바지지축 250a : 제1가이드본체결합축
250b : 제2가이드본체결합축 260 : 회동축

Claims (7)

  1. 힌지조립체에 있어서,
    문틀과 도어에 각각 결합되는 문틀결합부 및 도어결합부와;
    중심부가 회동바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게 결합되며, 일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도어결합부와 문틀결합부에 엇갈리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문틀결합바와 상기 도어결합바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결합바가 상기 문틀결합바에 대해 상대 회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동바와;
    상기 문틀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바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바를 안내하는 문틀회동바가이드부 및 도어회동바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힌지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결합부는,
    상기 문틀의 측면에 수용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바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문틀결합본체와;
    상기 문틀결합본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 간격조절축과;
    상기 문틀결합본체의 측면에서 내부로 상기 회동바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회동바가이드부를 상기 문틀결합본체에 고정시키는 측면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회동바가이드부는,
    상기 문틀결합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문틀가이드본체와;
    상기 문틀가이드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문틀가이드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축이 내부에 수용되는 간격조절축수용공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축은 상기 문틀결합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축본체와, 상기 축본체의 상부영역에 상기 축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길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형성되며 상기 축본체에 비해 직경이 짧게 형성되는 상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에 함몰형성되어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회전부재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삽입공에 삽입하여 상기 간격조절축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상부영역의 편심배치에 의해 상기 상부영역이 상기 간격조절축수용공을 회전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문틀결합부의 내벽면과 상기 회동바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결합부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수용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바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회동바가이드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결합본체와;
    상기 도어결합본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축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회동바가이드부는 상기 결합축이 수용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축과 나사결합되는 결합축수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조립체.
  5. 도어조립체에 있어서,
    설치 벽면에 결합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에 매립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문틀에 대해회동되도록 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힌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
  6. 문틀에 도어가 회동되도록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 사이에 힌지조립체를 설치하는 도어조립체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측면과 상기 도어의 측면에 상기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힌지삽입공을 각각 함몰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문틀에 문틀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어에 도어회동바가이드부와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가 함께 조립된 도어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문틀을 벽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문틀결합부에 문틀회동바가이드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회동바를 상기 문틀회동바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도어가 상기 문틀에 대해 회동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 설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바를 상기 문틀결합부에 결합시킬 때, 상기 문틀결합부에 형성된 간격조절축의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문틀결합부와 상기 도어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 설치방법.
KR1020120081598A 2012-07-26 2012-07-26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139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98A KR101392231B1 (ko) 2012-07-26 2012-07-26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98A KR101392231B1 (ko) 2012-07-26 2012-07-26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51A true KR20140013651A (ko) 2014-02-05
KR101392231B1 KR101392231B1 (ko) 2014-05-08

Family

ID=5026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598A KR101392231B1 (ko) 2012-07-26 2012-07-26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1084A (zh) * 2017-03-10 2017-05-31 广州御融通电子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金融设备内部柜子的连接合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0538B3 (de) * 2019-01-10 2020-03-05 Simonswerk Gmbh Gebäudetür und Türba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15A (ja) 2006-06-28 2008-01-17 Osamu Yamamoto 隠し蝶番
JP4936243B2 (ja) * 2006-07-24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隠し蝶番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1084A (zh) * 2017-03-10 2017-05-31 广州御融通电子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金融设备内部柜子的连接合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231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5940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US20080127565A1 (en) Expandable hinge assembly
RU2217567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узел с петлей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т.п.
EP1932991B1 (en) Hinge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JP2008008015A (ja) 隠し蝶番
KR101392231B1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RU2435919C2 (ru) Дверная или оконная шарнирная петля
US7228597B2 (en) Partition apparatus and hinge apparatus
JP4322218B2 (ja) 建具枠の完全後付け工法
US9376846B2 (en) Concealed hinge mechanism
KR200391489Y1 (ko) 좌우 겸용 사용과 도어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경첩장치
KR101392233B1 (ko) 클린룸용 도어조립체
EP1746921B1 (en) Hinge
KR101139929B1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KR20130022366A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GB251455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inge assemblies
KR200406889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
KR200454836Y1 (ko) 출입문용 힌지 및 이를 구비한 출입문 조립체
KR101610864B1 (ko) 접이문용 문고리
US20220145693A1 (en) Door-ready molding
CN219672421U (zh) 一种隐藏式门用铰链及具有该铰链的室内门
US11891851B2 (en) Door-ready molding
KR200393998Y1 (ko) 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