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234A - 냉매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냉매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234A
KR20150088234A KR1020157001494A KR20157001494A KR20150088234A KR 20150088234 A KR20150088234 A KR 20150088234A KR 1020157001494 A KR1020157001494 A KR 1020157001494A KR 20157001494 A KR20157001494 A KR 20157001494A KR 20150088234 A KR20150088234 A KR 20150088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frigerant
valve body
flow path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695B1 (ko
Inventor
사토루 요코에
데츠히코 하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16K3/0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16K3/0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 F16K3/085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the axis of supply passage and the axis of discharge passage being coaxial and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F25B41/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냉매 밸브 장치(1)에 있어서, 하나의 냉매 출구(22)에서의 냉매의 유량을 전환할 때, 밸브체 구동 기구(52)는, 밸브체(27)를 회전시켜, 냉매 입구(12)로부터 밸브실(36)을 경유하여 냉매 출구(22)에 이르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전환한다. 그때, 냉매 입구(12)는 완전 개방 상태에 있고, 밸브체(27)는 밸브실(36)과 냉매 출구(22) 사이의 냉매 유통 경로를,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한다. 따라서, 밸브체(27)는 냉매 입구(12) 및 냉매 출구(22) 중 냉매 출구(22)에 치우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27)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매 밸브 장치 {REFRIGERANT VALVE DEVICE}
본 발명은 냉매 유통량을 조절하기 위한 냉매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고내 냉각용 냉매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냉매 밸브 장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냉매 밸브 장치는, 냉매 입구와, 2개의 냉매 출구가 개구되는 밸브 시트면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씌워져 냉매 입구 및 밸브 시트면을 덮는 커버와, 밸브 시트면에 겹쳐서 배치된 밸브체와, 밸브체를 밸브 시트면과 직교하는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밸브체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냉매 밸브 장치에 있어서, 밸브체 구동 기구가 밸브체를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면, 2개의 냉매 출구는, 양쪽이 폐쇄된 상태, 양쪽이 개방된 상태, 한쪽이 개방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 상태 및 한쪽이 폐쇄되고 다른 쪽이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446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냉매 밸브 장치에 있어서는, 하나의 냉매 출구에 주목하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로 전환될 뿐이기 때문에, 유체의 유량을 전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냉매 밸브 장치를 경유하는 냉매의 유량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2개의 냉매 출구를 설치하고, 하나의 냉매 출구로부터만 냉매가 공급되는 상태와, 2개의 냉매 출구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냉매 밸브 장치에서는, 냉매 밸브 장치로부터 냉매가 공급되어 오는 측과 냉매 밸브 장치 사이를 2개의 유출관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는 등, 구성이 복잡해진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냉매 출구에서의 냉매의 유량을 전환할 수 있는 냉매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냉매 밸브 장치에서는, 냉매 입구, 냉매 출구 및 밸브 시트면을 구비하고, 당해 밸브 시트면에서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 중 적어도 한쪽 개구가 개구되는 베이스와, 상기 밸브 시트면과의 사이에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가 연통하는 밸브실을 구획하고 있는 커버와, 상기 밸브실 내에서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 중 상기 한쪽 개구에 치우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밸브 시트면과 미끄럼 이동하는 접촉면을 구비한 밸브체와, 상기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밸브 시트면과 직교하는 축선 주위로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밸브체 구동 기구를 갖고, 상기 밸브체 구동 기구는,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켜, 상기 냉매 입구로부터 상기 밸브실을 경유하여 상기 냉매 출구에 이르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에서의 냉매 유량이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에서의 냉매 유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 구동 기구에 의해, 밸브체를 회전시켜, 냉매 입구로부터 밸브실을 경유하여 냉매 출구에 이르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나의 냉매 출구에 있어서 냉매의 유량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는 냉매 입구 및 냉매 출구 중 한쪽 개구에 치우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밸브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 중 다른 쪽 개구는, 상기 냉매 유통 경로가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 및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어도 완전 개방 상태에 있고, 상기 밸브체 구동 기구는,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켜, 상기 밸브실과 상기 한쪽 개구 사이의 냉매 유통 경로를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에 의해 다른 쪽 개구의 개방도를 전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쪽 개구는 상기 냉매 출구이고, 상기 다른 쪽 개구는 상기 냉매 입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매의 압력이 밸브체를 밸브 시트면에 밀어붙이는 힘으로서 작용하므로, 밸브체와 밸브 시트면 사이에 뜻하지 않은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밸브체를 관통하여 상기 접촉면측에서 한쪽 단부가 개구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 구동 기구는, 상기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상기 오리피스를 경유한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상기 오리피스를 경유하지 않는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리피스의 내경에 따라서, 제1 냉매 유통 경로의 유량을 적정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밸브체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냉매 유통 경로가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되었을 때 상기 한쪽 개구와 상기 밸브실을 연통시키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결은, 상기 밸브체가 회전하였을 때의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개구의 이동 궤적 상에서 상기 접촉면을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한쪽 개구의 상기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매 출구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냉매 출구가 완전히 폐색되면, 냉매 입구로부터 밸브실에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시트면에 밀어붙인 상태로 되어,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큰 힘이 필요해진다. 이 결과, 밸브체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 큰 구동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한쪽 단부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촉면을 연마 가공한 경우라도, 연마에 의해 발생한 버어나 변형에 의해 오리피스의 한쪽 단부의 개구가 축소된다는 사태나 폐색된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한쪽 단부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 개구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절결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상기 접촉면의 상기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의 상기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한쪽 개구의 상기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매 출구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냉매 출구가 완전히 폐색되면, 냉매 입구로부터 밸브실에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시트면에 밀어붙인 상태로 되어,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큰 힘이 필요해진다. 이 결과, 밸브체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 큰 구동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기어열을 갖고, 상기 기어열의 최종 기어는, 상기 축선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접촉면측과는 반대측에서 당해 밸브체에 겹쳐서 당해 밸브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 주변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냉매 밸브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원주 방향으로 부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고, 상기 최종 기어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겹치는 면 및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를 상기 밸브실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와 최종 기어를 겹쳐도, 오리피스와 밸브실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면에 형성된 절결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최종 기어에 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최종 기어나 밸브체 구동 기구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 즉, 최종 기어의 밸브체측의 부분에 외주측으로부터 절결을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절결을 형성하는 분만큼 최종 기어의 톱니부를 밸브체로부터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종 기어와 맞물리는 감속 기어열의 전단의 기어 등을 밸브체로부터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해야만 하여, 밸브체 구동 기구가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밸브체에 설치되는 최종 기어의 직경을 작게 할 필요도 없으므로, 구동원인 모터 등에 구동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밸브체의 회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통로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면에 형성된 절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고, 상기 최종 기어에는,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를 상기 밸브실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와 최종 기어를 겹쳐도, 오리피스와 밸브실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최종 기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서 상기 밸브실과 연통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와 최종 기어를 겹쳐도, 오리피스와 밸브실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하여 개방 상태에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와 최종 기어를 겹쳐도, 오리피스와 밸브실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체에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한쪽 개구와 상기 밸브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결은, 상기 밸브체가 회전하였을 때의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개구의 이동 궤적 상에서 상기 접촉면을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한쪽 개구의 상기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기어열을 갖고, 상기 기어열의 최종 기어는, 상기 축선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접촉면측과는 반대측에서 당해 밸브체에 겹쳐서 당해 밸브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 주변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냉매 밸브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밸브 시트면 중 적어도 한쪽은 연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 시트면에 대하여 밸브체가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냉매가 밸브체와 밸브 시트면 사이에서 뜻하지 않게 누설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밸브 시트면 중 적어도 한쪽은 연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 시트면에 대하여 밸브체가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냉매가 밸브체와 밸브 시트면 사이에서 뜻하지 않게 누설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용 냉매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매 밸브 장치를 유입관 및 유출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냉매 밸브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베이스, 로터 지지축, 감속 기어열, 밸브체 및 지지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감속 기어열, 밸브체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출력 기어, 밸브체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출력 기어, 밸브체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냉매 유통량의 제어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의 변형예 1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의 변형예 2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의 변형예 3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의 변형예 4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용 냉매 밸브 장치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용 냉매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냉매 밸브 장치를 밸브 본체측에서 본 것이고, 도 1의 (b)는 냉매 밸브 장치를 유입관 및 유출관이 돌출되는 측에서 본 것이다. 도 2는 냉매 밸브 장치를 유입관 및 유출관측에서 본 도면이다. 냉매 밸브 장치(1)는, 냉장고에 탑재되어, 고내 냉각용 냉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밸브 장치(1)는, 밸브 본체(2)와, 밸브 본체(2)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유입관(3) 및 유출관(4)을 갖고 있다. 밸브 본체(2)는, 외부의 제어 장치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커넥터(5)와, 냉매 밸브 장치(1)를 냉장고 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플레이트(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유입관(3) 및 유출관(4)의 연장 설치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밸브 본체(2)를 상측, 유입관(3) 및 유출관(4)을 하측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냉매 밸브 장치(1)를 도 2의 X-X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X-X선은, 유출관(4)의 중심을 통과하여 설치 플레이트(6)의 판상 부분(6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4는 베이스, 로터 지지축, 감속 기어열, 밸브체 및 지지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감속 기어열, 밸브체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감속 기어열, 밸브체, 지지축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이들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2)는, 원반 형상의 베이스(10)와, 개구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상방으로부터 베이스(10)에 씌워진 컵 모양의 밀폐 커버(11)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냉매 입구(12)가 형성된 베이스 본체(13)와 베이스 본체(13)의 장착 구멍(14)에 장착된 원반 형상의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냉매 입구(12)와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는 베이스(10)의 중심 축선(L0)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10)의 하단부에는 외주연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넓어지는 환상의 베이스측 플랜지(16)가 형성되어 있다. 냉매 입구(12)에는 유입관(3)이 접속되어 있고, 유입관(3)의 상단부는 베이스(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는, 베이스(10)의 중심 축선(L0)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이 원형을 하고 있으며,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원반 형상의 소직경부(20)와, 소직경부(20)보다 대직경이며 원반 형상인 원반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는, 도 1의 (b),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하방으로부터 소직경부(20)가 원형의 장착 구멍(14)에 장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본체(13)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냉매 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가 베이스 본체(13)의 장착 구멍(1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냉매 출구(22)는 냉매 입구(12)와 베이스(10)의 중심 축선(L0)을 연결한 직선상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매 출구(22)에는 유출관(4)이 연통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출구(22)는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에 형성된 단차 구멍(23)의 상단부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고, 유출관(4)은 베이스(10)의 하방으로부터 단차 구멍(23)의 단차부까지 삽입됨으로써,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에 고정되어 냉매 출구(22)에 연통하고 있다.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상면은 평탄한 밸브 시트면(24)으로 되어 있다.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중심에는, 밸브 시트면(24)과 수직으로 지지축(25)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5)의 상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실(36) 내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2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25)의 축선(L1)과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중심 축선은 일치하고 있다. 지지축(25)에는 원반 형상의 밸브체(2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27)는 지지축(25)(축선(L1)) 주위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밸브 시트면(24)에 적재되어 있다.
밀폐 커버(11)는 비자성의 스테인리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 커버(11)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원형의 저부(31)와, 저부(31)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소직경 통부(32)와, 소직경 통부(32)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통부(33)와, 대직경 통부(33)의 하단부 테두리(개구 테두리)로부터 외주측으로 넓어지는 케이스측 플랜지(34)를 구비하고 있다. 소직경 통부(32)와 대직경 통부(33) 사이에는 베이스(10)의 중심 축선(L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 통부(32)와 대직경 통부(33)를 연속시키고 있는 환상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 커버(11)는, 대직경 통부(33)의 하단부 개구 테두리의 내측에 베이스 본체(13)의 상측 부분이 삽입되고, 케이스측 플랜지(34)가 베이스측 플랜지(16)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 상태에서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밀폐 커버(11)는, 베이스(10)에 씌워져, 냉매 입구(12), 밸브 시트면(24) 및 밸브 시트면(24)에 적재된 밸브체(27)를 덮고, 베이스(10)와 함께 냉매 입구 및 냉매 출구(22)를 구비하는 밸브실(36)을 구획하고 있다.
여기서, 밸브 본체(2)에는, 밀폐 커버(11)의 내외를 이용하여, 밸브체(27)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의 스테핑 모터(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40)의 로터(41)는, 밀폐 커버(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41)는 로터 지지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로터 지지축(42)은, 상단부가 밀폐 커버(11)의 저부(31)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베이스(10)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지지축(42)의 축선은 베이스(10)의 중심 축선(L0)과 일치하고 있고,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에 설치된 지지축(25)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로터(41)에는 환상의 구동 마그네트(43)가 탑재되어 있다.
한편, 스테핑 모터(40)의 스테이터(44)는, 밀폐 커버(11)의 환상부(35)에 적재되어, 밀폐 커버(11)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44)는 구동 코일(45)을 탑재하고 있고, 구동 코일(45)은 밀폐 커버(11)의 소직경 통부(32)를 개재하여 로터(41)의 구동 마그네트(43)와 대향하고 있다. 구동 코일(45)은 커넥터(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스테핑 모터(40)는 커넥터(5)를 통해서 접속되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스테이터(44) 및 커넥터(5)는 외장 케이스(46)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로터(41)의 회전은, 피니언(50)과, 피니언(50)과 맞물리는 출력 기어(51)를 통해서 밸브체(27)에 전달된다. 즉, 스테핑 모터(40), 피니언(50), 출력 기어(51)에 의해 밸브체 구동 기구(52)가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50) 및 출력 기어(51)는 감속 기어열(53)(기어열)을 구성하고 있고, 출력 기어(51)는 감속 기어열(53)의 최종 기어이다.
(감속 기어열 및 밸브체)
도 6은 밸브체(27)의 사시도이며, 도 6의 (a)는 밸브체(27)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밸브체(27)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후술하는 밸브체(27)의 오리피스(67) 및 오목부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친 상태(밸브체(27)가 오리피스 연통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51), 밸브체(27)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후술하는 밸브체(27)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0)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친 상태(밸브체(27)가 제1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 연통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51), 밸브체(27) 및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감속 기어열(53) 및 밸브체(27)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 기어열(53)을 구성하는 피니언(50)은, 로터(41)에 걸림 결합하여 로터(41)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 구성 부재(54)의 하단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구성 부재(54)에 있어서 피니언(50)의 상측에 인접하는 부위에는, 출력 기어(51)의 후술하는 아암부(60)가 접촉 가능한 피접촉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 기어(51)는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에 고정된 지지축(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25)은, 축선(L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로터(41)의 구동 마그네트(43)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출력 기어(51)의 축선(L1) 방향의 상방에는 환상부(35)를 개재하여 구동 마그네트(43) 및 스테이터(44)가 위치하고 있고, 출력 기어(51)는, 축선(L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로터(41)의 구동 마그네트(43) 및 스테이터(44)와 겹쳐 있다. 또한, 출력 기어(5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7)의 밸브 시트면(24)과는 반대측을 덮는 상태로, 밸브체(27)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출력 기어(5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5)이 삽입되는 통 형상의 축 삽입부(56)와, 축 삽입부(56)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이격하는 위치에 축 삽입부(56)와 동축으로 설치된 환상 벽(57)과, 축 삽입부(56)와 환상 벽(57)의 내주면의 하측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58)를 구비하고 있다.
환상 벽(57)의 외주면의 하측 부분에는, 피니언(50)과 맞물리는 환상의 톱니부(59)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벽(57)의 외주면의 상측 부분에는, 도 4,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의 1개소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아암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60)는, 출력 기어(51)가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피니언 구성 부재(54)의 피접촉부(55)에 지지축(25) 주위의 일방측 혹은 타방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출력 기어(51)의 회전 각도 범위를 규제한다. 출력 기어(51)의 하면(51a)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는 3개소에 돌기(61, 62, 6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61, 62, 63)의 밸브체(27)측으로의 돌출 치수는 동일하다. 축 삽입부(56)의 하단부 부분은 출력 기어(51)의 하면(51a)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밸브체(2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원반 형상을 하고 있고, 지지축(25)의 축선(L1)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의 원주 방향의 일부분이 직선 형상으로 절취된 절취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27)의 중앙에는 지지축(25)이 삽입되는 축 삽입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축 삽입 구멍(66)의 하단부 부분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내경 치수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밸브체(27)는 축 삽입 구멍(66)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밸브체(2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오리피스(67)를 구비하고 있다. 오리피스(67)는, 냉매의 유로에 있어서, 적어도 냉매 출구(22)보다 폭이 좁은 부위를 갖는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냉매의 유로에 있어서 폭이 가장 좁은 부위를 갖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67)는 지지축(25)의 축선(L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밸브체(27)를 관통하고 있다.
밸브체(27)는, 지지축(25)의 축선(L1)과 직교하는 평탄한 상단부면(68)을 구비하고 있다. 상단부면(68)의 중앙에는, 출력 기어(51)의 축 삽입부(56)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오목부(69)의 내경 치수는 축 삽입 구멍(66)의 내경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축 삽입 구멍(66)의 상단부 개구는 삽입 오목부(69)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7)의 상단부면(68)에는, 3개의 끼워 맞춤 오목부(70, 71, 72)가 출력 기어(51)의 3개의 돌기(61, 62, 6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7)의 상단부면(68)에는, 밸브체(27)의 원주 방향의 일부분을 상방(최종 기어의 측) 및 외주측으로부터 절결하여 오리피스(67)와 연통시킨 기어측 절결부(73)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측 절결부(73)는, 축선(L1)과 직교하는 평탄한 저면(74)을 구비하고 있고,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는 이 저면(74)에 노출되어 있다. 즉, 상단부 개구(67a)는, 그 전체 둘레가 저면(74)으로 둘러싸여 있다. 여기서, 오리피스(6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이 일정한 가는 관부(75)와, 가는 관부(75)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내경 치수가 확대되어 있는 직경 확대부(76)를 구비하고 있고, 직경 확대부(76)의 상단부가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로 되어 있다.
밸브체(27)에 있어서 밸브 시트면(24)과 접촉하면서 이동 가능한 접촉면(77)(하단부면)에는, 축선(L1) 주위에서 오리피스(67)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방(최종 기어의 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78)가 형성되어 있고, 오리피스(67)의 하단부 개구(67b)는 오목부(78)의 저면(78a)에 개구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78)는 축선(L1) 방향에서 본 형상이 원형이고, 오목부(78)의 개구의 내경 치수는 오리피스(67)의 하단부 개구(67b)(오리피스 개구)의 내경 치수보다 크다. 하단부 개구(67b)는, 그 전체 둘레가 저면(78a)으로 둘러싸여 있다. 여기서, 오목부(78)의 내경 치수는, 냉매 출구(22)의 개구 직경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냉매 출구(22)의 개구 직경 치수보다 작다.
또한, 밸브체(27)의 접촉면(77)에는, 오리피스(67) 및 오목부(78)와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밸브체(27)를 하방(밸브 시트면(24)의 측) 및 외주측으로부터 절결하여 형성한 3개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는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인접하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의 사이는, 3개의 잔존부(82, 83, 84)로 되어 있다. 오리피스(67) 및 오목부(78)는 3개의 잔존부(82, 83, 84) 중 하나의 잔존부(8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오리피스(67) 및 오목부(78)는, 잔존부(82, 83, 84) 중 하나의 잔존부(82)의 하단부면인 접촉면(77)으로 둘러싸여 있다.
여기서,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의 밸브 시트면(24)은, 밸브체(27) 전체를 적재 가능한 크기이다. 또한, 밸브 시트 구성 부재(15)에 형성되어 있는 냉매 출구(22)는, 밸브 시트면(24)에 있어서, 밸브체(27)가 밸브 시트면(24) 상에서 축선(L1) 주위로 회전하였을 때, 오리피스(67), 오목부(78) 및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가 이동하는 궤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는, 밸브체(27)가 회전하여 각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쳤을 때, 냉매 출구(22)의 전체를 밸브실(36)에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는, 축선(L1) 방향에서 보았을 때, 냉매 출구(2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7)의 접촉면(77)(3개의 잔존부(82, 83, 84)의 하단부면) 및 밸브 시트면(24)에는, 평면도 및 면 조도를 높이기 위해서 연마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3개의 잔존부(82, 83, 84)는, 밸브체(27)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3개의 잔존부(82, 83, 84)는 밸브체(27)의 중심에 위치하는 축 삽입 구멍(66)을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만 연장되는 것은 아니고, 축 삽입 구멍(66)을 사이에 둔 양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잔존부(82, 83, 84)의 각각은,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에 이르는 도중에 폭이 좁아지는 넥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잔존부(82, 83, 84)는 외주 단부 부분에 원주 방향의 폭이 넓은 광폭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기어(51)는, 축 삽입부(56)의 하단부 부분이 밸브체(27)의 삽입 오목부(69)에 삽입되고, 각 돌기(61, 62, 63)의 각각이 밸브체(27)의 끼워 맞춤 오목부(70, 71, 72)에 삽입됨으로써, 밸브체(27)의 상단부면(68)에 장착되어, 밸브체(27)를 상방으로부터 덮는다. 여기서,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7)의 상단부면(68)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70, 71, 72) 중 하나의 끼워 맞춤 오목부(72)는, 3개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 중 하나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끼워 맞춤 오목부(72)에 삽입된 출력 기어(51)의 돌기(63)는, 그 선단이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 내로 연장되어, 밸브 시트면(24)측으로부터 코오킹되어 있다. 즉, 돌기(63)의 선단은 코오킹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기어(51)는 밸브체(27)에 덜컥거림없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출력 기어(51)와 밸브체(27)는 일체화되므로, 스테핑 모터(40)에 의해 밸브체(27)의 회전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밸브체(27)는 수지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이며, 밸브체(27)는, 외주연의 절취부(65)에 게이트 자국(8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끼워 맞춤 오목부(72) 및 오리피스(67)는, 게이트 자국(85)과 밸브체(27)의 중심(축선(L1))을 연결하는 직선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웰드 라인이 발생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부분의 근방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밸브체(27)의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냉매 유통량의 제어 동작)
외부의 제어 장치에 의해 스테핑 모터(40)가 구동되면, 스테핑 모터(40)의 회전은 피니언(50) 및 출력 기어(51)에 전달된다. 출력 기어(51)가 회전하면, 밸브체(27)는 밸브 시트면(24) 상에서 지지축(25)(축선(L1)) 주위를 출력 기어(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7)의 밸브 시트면(24)측에 형성된 오목부(78)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치면, 냉매 입구(12)로부터 기어측 절결부(73), 오리피스(67) 및 오목부(78)를 통해서 냉매 출구(22)에 연통하는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형성된다.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오리피스(67)의 가는 관부(75)의 단면적에 기초하여 냉매 유통량이 제어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27)가 출력 기어(51)와 일체로 회전하여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 중 어느 하나와 냉매 출구(22)의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겹치면, 냉매 입구(12),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 및 냉매 출구(22)에 이르는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형성된다.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 중 어느 하나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쳐 있는 면적(냉매 출구(22)의 개구 면적)에 기초하여 냉매 유통량이 제어된다. 또한, 도 8에서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와 냉매 출구(22)의 전체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냉매 유통량의 제어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9의 상단의 그래프는 냉매 밸브 장치(1)를 통해서 유통하는 냉매 유통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종축이 유통량, 횡축이 밸브체(27)를 원점 위치로부터 동작시키는 스테핑 모터(40)의 구동 스텝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스테핑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밸브체(27)는 원점 위치로부터 도 9에 있어서의 CCW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밸브체(27)를 도 9에 있어서의 CCW 방향으로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40)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방향, CW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스테핑 모터(40)의 회전 방향을 역회전 방향이라 한다. 도 9의 하단의 도면은 스테핑 모터(40)가 정회전 방향으로 소정 스텝 구동되었을 때의 밸브체(27)와 냉매 출구(22)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밸브체(27)를 하방에서 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냉매 밸브 장치(1)에 의한 냉매 유통량의 제어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밸브체(27)는, 밸브체 구동 기구(52)에 의해, 지지축(25) 주위를, 출력 기어(51)의 아암부(60)가 피니언 구성 부재(54)와 간섭하는 일이 없는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한다.
먼저, 밸브체(27)가 지지축(25) 주위에 원점 위치(제1 회전 규제 위치)에 있을 때는, 출력 기어(51)의 아암부(60)는 축선(L1) 주위의 일방측으로부터 피니언 구성 부재(54)의 피접촉부(55)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점 위치에 있는 밸브체(27)는, 스테핑 모터(40)의 역회전 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한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밸브체(27)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와 냉매 출구(22)의 일부분이 축선(L1)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형성되어 있고, 냉매 밸브 장치(1)가 유통시키는 냉매 유통량은, 밸브체(27)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와 냉매 출구(22)의 겹침 부분의 면적(냉매 출구(22)의 개구 면적)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
밸브체(27)가 원점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1 스텝수만큼 정회전 방향으로 스테핑 모터(40)가 구동되면, 밸브체(27)는 오목부(78)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완전히 겹치는 각도 위치(오리피스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는 도 7에 도시한 상태이며,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을 유통하는 유체의 유통량은 오리피스(67)의 가는 관부(75)의 단면적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스테핑 모터(40)가 소정의 스텝만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즉, 밸브체(27)가 원점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2 스텝수만큼 스테핑 모터(4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밸브체(27)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0)와 냉매 출구(22) 전부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제1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는 도 8에 도시한 상태이며,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냉매 출구(22)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된다.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유통시키는 냉매 유통량은, 냉매 출구(22)의 전체 개구 면적에 의해 규정된다.
그 후, 스테핑 모터(40)가 소정의 스텝만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즉, 밸브체(27)가 원점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3 스텝수만큼 스테핑 모터(4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밸브체(27)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와 냉매 출구(22) 전부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제2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다시,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형성됨과 함께, 냉매 출구(22)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된다.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유통시키는 냉매 유통량은 냉매 출구(22)의 전체 개구 면적에 의해 규정된다.
그런 후, 다시, 스테핑 모터(40)가 소정의 스텝만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즉, 밸브체(27)가 원점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소정의 제4 스텝수만큼 스테핑 모터(4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면, 출력 기어(51)는, 그 아암부(60)가 지지축(25) 주위의 타방측으로부터 피니언 구성 부재(54)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출력 기어(51)는, 스테핑 모터의 그 이상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한 회전이 규제된다. 이 시점에서는, 밸브체(27)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와 냉매 출구(22)의 일부분이 축선(L1)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제2 회전 규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형성되어 있고, 냉매 밸브 장치(1)가 유통시키는 냉매 유통량은, 밸브체(27)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와 냉매 출구(22)의 겹침 부분의 면적(냉매 출구(22)의 개구 면적)에 의해 규정된다.
여기서, 밸브체(27)에 의해 냉매 출구(22)가 완전히 폐색되면, 냉매 입구(12)로부터 밸브실(36)에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27)가 밸브 시트면(24)에 밀어붙인 상태로 되어, 밸브체(2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큰 힘이 필요해진다. 이 결과, 밸브체(27)를 구동하는 구동원인 스테핑 모터(40)로서 큰 구동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예의 냉매 밸브 장치(1)에서는, 밸브체(27)를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동안에, 냉매 출구(22)가 밸브체(27)에 의해 완전 폐쇄 상태로 되는 일이 없다. 즉, 밸브체(27)가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동안, 오목부(78)와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쳐 있거나, 혹은,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의 적어도 일부분과 냉매 출구(22)가 축선(L1) 방향으로 겹쳐 있어, 도 9의 상단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 유통량이 0으로 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밸브체(2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스테핑 모터(40)로서 구동력이 작은 소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1)에 있어서, 밸브체 구동 기구(52)는, 밸브체(27)를 회전시켜, 냉매 입구(12)로부터 밸브실(36)을 경유하여 냉매 출구(22)에 이르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 A1과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 A2로 전환한다. 즉, 냉매 입구(12) 및 냉매 출구(22) 중, 냉매 입구(12)(다른 쪽 개구)는, 냉매 유통 경로가 제1 냉매 유통 경로 A1 및 제2 냉매 유통 경로 A2 중 어느 것으로 전환되어도 완전 개방 상태에 있고, 밸브체 구동 기구(52)는, 밸브체(27)를 회전시켜, 밸브실(36)과 냉매 출구(22)(한쪽 개구) 사이의 냉매 유통 경로를,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 A1과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 A2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하나의 냉매 출구(22)에 있어서 냉매의 유량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입구(12) 및 냉매 출구(22) 중, 냉매 입구(12)는, 냉매 유통 경로가 제1 냉매 유통 경로 A1 및 제2 냉매 유통 경로 A2 중 어느 것으로 전환되어도 완전 개방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밸브체(27)에 의해 냉매 입구(12)의 개방도를 전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밸브체(27)는, 냉매 입구(12) 및 냉매 출구(22) 중 냉매 출구(22)에 치우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냉매 입구(12)와 냉매 출구(22)의 중간에서 밸브체(27)가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밸브체(27)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체(27)의 회전의 중심인 축선(L1)과 냉매 출구의 거리는, 축선(L1)과 냉매 입구의 거리보다 작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밸브실(36)과 냉매 출구(22)(한쪽 개구) 사이의 냉매 유통 경로를,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 A1과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 A2로 전환하기 때문에, 냉매의 압력이 밸브체(27)를 밸브 시트면(24)에 밀어붙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그 때문에, 밸브체(27)와 밸브 시트면(24) 사이에 뜻하지 않은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밸브체(27)에는, 밸브체(27)를 관통하여 접촉면(77)측에서 한쪽 단부가 개구되는 오리피스(67)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체 구동 기구(52)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오리피스(67)를 경유한 제1 냉매 유통 경로 A1과, 오리피스(67)를 경유하지 않는 제2 냉매 유통 경로 A2로 전환한다. 따라서, 오리피스(67)의 내경에 따라서,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유량을 적정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7)에는, 냉매 유통 경로가 제2 냉매 유통 경로 A2로 되었을 때 냉매 출구(22)와 밸브실(36)을 연통시키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절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의 사이즈에 따라서, 제2 냉매 유통 경로 A2의 유량을 적정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7)의 접촉면(77)이 연마 가공되어 있으므로, 밸브체(27)와 밸브 시트면(24) 사이를 냉매가 유통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7)의 접촉면(77)의 오리피스(67)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78)가 형성되어 있고, 오리피스(67)의 하단부 개구(67b)(오리피스(67)의 한쪽 단부)는 오목부(78)의 저면(78a)에서 개구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접촉면(77)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버어에 의해 오리피스(67)의 개구가 좁혀지거나, 폐색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접촉면(77)으로 되는 3개의 잔존부(82, 83, 84)가 축선(L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지그에 복수의 밸브체(27)를 고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밸브체(27)의 각 접촉면(77)을 일제히 연마할 때 접촉면(77)을 축선(L1)과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연마하기 쉽다.
또한,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절결)는, 밸브체(27)가 회전하였을 때의 밸브체(27)에 있어서의 냉매 출구(22)의 이동 궤적(도 6의 (b)의 일점쇄선 C0) 상에서 접촉면(77)을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잔존부(82, 83, 84)로 분할하고 있다. 또한,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1) 사이에 끼워진 접촉면(77)(잔존부(84)) 및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0, 81) 사이에 끼워진 접촉면(77)(잔존부(83))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냉매 출구(2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다. 여기서,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사이에 끼워진 접촉면(77)(잔존부(82))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냉매 출구(2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넓지만, 잔존부(82)에는 오목부(78)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오목부(78)와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에 의해 끼워진 접촉면(77)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냉매 출구(2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다. 이 때문에,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 출구(22)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27)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냉매 출구(22)가 완전히 폐색되면, 냉매 입구(12)로부터 밸브실(36)에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27)가 밸브 시트면(24)에 밀어붙인 상태로 되어, 밸브체(2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으로서 큰 힘이 필요해진다. 이 결과, 밸브체(27)를 구동하는 구동원(스테핑 모터(40))으로서 큰 구동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본 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감속 기어열(53)의 출력 기어(51)(최종 기어)는, 축선(L1)의 연장 방향으로 밸브체(27)의 접촉면(77)측과는 반대측(밸브 시트면(24)과 반대측)에서 밸브체(27)에 겹쳐서 밸브체(27)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27) 주변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냉매 밸브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출력 기어(51)와 밸브체(27)의 연결 개소는, 돌기(61, 62, 63)와 끼워 맞춤 오목부(70, 71, 72)의 끼워 맞춤 개소이며, 원주 방향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출력 기어(51)와 밸브체(27)의 연결이 확실하다. 게다가, 끼워 맞춤 오목부(72)는,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에 끼워 넣어진 돌기(63)는, 그 선단이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 내로 연장되어 밸브 시트면(24)측으로부터 코오킹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기어(51)를 밸브체(27)에 덜컥거림없이 고정하여, 출력 기어(51)와 밸브체(27)를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 구동 기구(52)에 의해 밸브체(27)의 회전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출력 기어(51)와 밸브체(27)의 연결 개소는, 원주 방향으로 부등간격이기 때문에, 끼워 맞춤 오목부(70)와 끼워 맞춤 오목부(71) 사이(오리피스(67)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넓은 빈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b)(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가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는 경우라도, 출력 기어(51)에 있어서 밸브체(27)와 겹치는 면, 혹은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오리피스(37)의 다른 쪽 단부를 밸브실(36)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워 맞춤 오목부(70)와 끼워 맞춤 오목부(71) 사이(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면에, 연통로로서, 기어측 절결부(73)(절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가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도, 오리피스(67) 및 기어측 절결부(73)(절결; 연통로)를 경유한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통로(절결)는, 출력 기어(51)에 있어서 밸브체(27)와 겹치는 면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은, 출력 기어(51)의 절결부, 오리피스(67) 및 오목부(78)를 경유하게 된다. 단,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면에 연통로를 형성하면, 출력 기어(51)에 연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출력 기어(51)나 밸브체 구동 기구(52)를 대형화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즉, 출력 기어(51)의 밸브체(27)측의 부분에 외주측으로부터 절결을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절결을 형성하는 분만큼 출력 기어(51)의 톱니부를 밸브체(27)로부터 축선(L1)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출력 기어(51)와 맞물리는 감속 기어열(53)의 전단의 기어 등을 밸브체(27)로부터 축선(L)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해야만 하여, 밸브체 구동 기구(52)가 축선(L) 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면에 연통로를 형성하면, 이러한 대형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27)에 설치되는 출력 기어(51)의 직경을 작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동원인 스테핑 모터(40)에 구동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밸브체(27)의 회전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7)가 수지제이므로, 밸브체(27)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밸브체(27)에 있어서 축선(L1) 주위에서 오리피스(67)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에는, 기어측 절결부(73)와 오목부(78)가 축선(L1)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리피스(67)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핀을 짧게 할 수 있어, 이 핀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오리피스(67)는 가는 관부(75)와 직경 확대부(76)를 구비하므로, 오리피스(67)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핀에 있어서 가는 관부(75)를 형성하는 가는 핀 부분을 짧게 함과 함께, 이 핀의 가는 관부(75)를 구성하는 부분과 직경 확대부(76)를 구성하는 부분의 접합부를 둔각으로 하여, 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1)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1의 설명도이며, 도 10의 (a)는 밸브체(27)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밸브체(27)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밸브체(27)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밸브체(27)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밸브체(27)에서는, 1개소에 오리피스(67)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형태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3개소에 오목부(78), 오리피스(67) 및 기어측 절결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면(77)에서는, 1개소에만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절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밸브체(27)에 의하면, 3개의 오리피스(67) 중 어느 하나가 냉매 출구(22)와 겹쳤을 때,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구성된다.
또한, 본 예의 밸브체(27)에 있어서, 밸브체(27)가 회전하였을 때의 밸브체(27)에 있어서의 냉매 출구(22)의 이동 궤적(도 10의 (b)의 일점쇄선 C0) 상에 있어서, 오목부(78) 사이에 끼워진 접촉면(77)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가, 냉매 출구(2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다. 또한, 이동 궤적(도 10의 (b)의 일점쇄선 C0) 상에 있어서, 오목부(78)와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81) 사이에 끼워진 접촉면(77)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냉매 출구(2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다. 이 때문에,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 출구(22)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27)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2)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2의 설명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밸브체(27)에서는,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는,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 기어(51)에는,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를 밸브실(36)과 연통시키는 연통로(5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67)가 냉매 출구(22)와 겹쳤을 때, 오리피스(67) 및 연통로(519)를 경유하는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구성된다.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3)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냉매 밸브 장치에 구성된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3의 설명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밸브체(27)에서는,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는,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 기어(51)와 밸브체(27) 사이에는, 간극(730)이 형성되어 있고,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는, 간극(730)을 통해서 밸브실(36)과 연통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의 상면(68)과, 최종 기어(51)의 하면(51a) 사이에 간극(730)이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67)가 냉매 출구(22)와 겹쳤을 때, 오리피스(67) 및 간극(730)을 경유하는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구성된다. 또한, 밸브체의 상면(68)은, 오리피스(67)의 상단부 개구(67a)의 외측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오리피스(67)가 냉매 출구(22)와 겹쳤을 때, 오리피스(67) 및 간극(730)을 경유하는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구성된다.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의 변형예 4)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냉매 밸브 장치에 사용한 밸브체(27)의 오리피스(67)의 설명도이다.
도 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밸브체(27)에서는, 오리피스(67)가 출력 기어(51)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있었지만, 본 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67c)는,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밸브실(36)에 대하여 개방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도 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어측 절결부(73)(절결)를 형성하지 않아도, 오리피스(67)와 밸브실(36)을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오리피스(67)가 도중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지만, 오리피스(67)가 비스듬히 연장되어 오리피스(67)의 다른 쪽 단부(67c)는, 밸브체(27)에 있어서 출력 기어(5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밸브실(36)에 대하여 개방 상태에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의 예에서는, 밸브체(27)를 미리 정한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동안에, 냉매 출구(22)가 밸브체(27)에 의해 완전 폐쇄 상태로 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밸브체(27)가 접촉면(77)에 의해 냉매 출구(22)를 완전히 덮는 완전 폐쇄 상태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27)에 오리피스(67)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오리피스(6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밸브체(27)에, 냉매 출구(22)와 밸브실(36)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절결을 형성하고, 절결에 의해,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 A1과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 A2를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를 형성함과 함께, 밸브 시트면측 절결부(79, 80, 81) 중, 하나의 절결에 대해서는, 다른 절결보다 개구 폭을 좁게 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 폭이 좁은 절결이 냉매 출구(22)와 겹치면,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 A1이 구성되고, 개구 폭이 넓은 절결이 냉매 출구(22)와 겹치면,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 A2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 구동 기구에 의해, 밸브체를 회전시켜, 냉매 입구로부터 밸브실을 경유하여 냉매 출구에 이르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소유량의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대유량의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나의 냉매 출구에 있어서 냉매의 유량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는, 냉매 입구 및 냉매 출구 중 한쪽 개구에 치우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밸브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4)

  1. 냉매 입구, 냉매 출구 및 밸브 시트면을 구비하고, 당해 밸브 시트면에서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 중 적어도 한쪽 개구가 개구되는 베이스와,
    상기 밸브 시트면과의 사이에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가 연통하는 밸브실을 구획하고 있는 커버와,
    상기 밸브실 내에서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 중 상기 한쪽 개구에 치우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밸브 시트면과 미끄럼 이동하는 접촉면을 구비한 밸브체와,
    상기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밸브 시트면과 직교하는 축선 주위로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밸브체 구동 기구
    를 갖고,
    상기 밸브체 구동 기구는,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켜, 상기 냉매 입구로부터 상기 밸브실을 경유하여 상기 냉매 출구에 이르는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에서의 냉매 유량이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에서의 냉매 유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입구 및 상기 냉매 출구 중 다른 쪽 개구는, 상기 냉매 유통 경로가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 및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어도 완전 개방 상태에 있고,
    상기 밸브체 구동 기구는,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켜, 상기 밸브실과 상기 한쪽 개구 사이의 냉매 유통 경로를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개구는 상기 냉매 출구이고,
    상기 다른 쪽 개구는 상기 냉매 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밸브체를 관통하여 상기 접촉면측에서 한쪽 단부가 개구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 구동 기구는, 상기 냉매 유통 경로를, 적어도 상기 오리피스를 경유한 상기 제1 냉매 유통 경로와, 상기 오리피스를 경유하지 않는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밸브체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냉매 유통 경로가 상기 제2 냉매 유통 경로로 되었을 때 상기 한쪽 개구와 상기 밸브실을 연통시키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밸브체가 회전하였을 때의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개구의 이동 궤적 상에서 상기 접촉면을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한쪽 개구의 상기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한쪽 단부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의 한쪽 단부는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서 개구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절결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상기 접촉면의 상기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의 상기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한쪽 개구의 상기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기어열을 갖고,
    상기 기어열의 최종 기어는, 상기 축선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접촉면측과는 반대측에서 당해 밸브체에 겹쳐서 당해 밸브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원주 방향으로 부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고,
    상기 최종 기어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겹치는 면 및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를 상기 밸브실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면에 형성된 절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고,
    상기 최종 기어에는,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를 상기 밸브실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는 위치에서 개구되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최종 기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서 상기 밸브실과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하여 개방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한쪽 개구와 상기 밸브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밸브체가 회전하였을 때의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개구의 이동 궤적 상에서 상기 접촉면을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원주 방향의 폭 치수는 상기 한쪽 개구의 상기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기어열을 갖고,
    상기 기어열의 최종 기어는, 상기 축선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접촉면측과는 반대측에서 당해 밸브체에 겹쳐서 당해 밸브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기어열을 갖고,
    상기 기어열의 최종 기어는, 상기 축선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의 상기 접촉면측과는 반대측에서 당해 밸브체에 겹쳐서 당해 밸브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기어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 개소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2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상기 밸브 시트면 중 적어도 한쪽은 연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밸브 장치.
KR1020157001494A 2012-11-26 2013-11-26 냉매 밸브 장치 KR101943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57904 2012-11-26
JPJP-P-2012-257904 2012-11-26
PCT/JP2013/081772 WO2014081037A1 (ja) 2012-11-26 2013-11-26 冷媒バル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234A true KR20150088234A (ko) 2015-07-31
KR101943695B1 KR101943695B1 (ko) 2019-01-29

Family

ID=5077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494A KR101943695B1 (ko) 2012-11-26 2013-11-26 냉매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6087B2 (ko)
EP (1) EP2924326B1 (ko)
JP (1) JP5615993B1 (ko)
KR (1) KR101943695B1 (ko)
CN (1) CN104704273B (ko)
WO (1) WO20140810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963A (ko) * 2018-05-31 2019-12-10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및 밸브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6133A (en) * 2014-05-15 2015-11-18 Lb Bentley Ltd Valve
JP6309323B2 (ja) 2014-03-27 2018-04-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JP6446198B2 (ja) 2014-08-07 2018-12-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105485400A (zh) * 2014-09-18 2016-04-13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切换阀
NL2013984B1 (en) 2014-12-15 2016-10-11 Douwe Egberts Bv Dosing pump device for dosing metered amounts of a liquid product.
JP2018507005A (ja) 2014-12-15 2018-03-15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飲料摂取物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
NL2013985B1 (en) * 2014-12-15 2016-10-11 Douwe Egberts Bv Ceramic valve unit for a beverage machine.
JP6702802B2 (ja) * 2016-06-03 2020-06-0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BR112019003871A2 (pt) 2016-08-30 2019-07-16 Lifecell Corp sistemas e métodos para controle de dispositivo médico
JP6969895B2 (ja) * 2017-05-09 2021-11-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110375081B (zh) * 2018-04-13 2021-02-0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阀装置及其阀块
JP7114344B2 (ja) 2018-05-31 2022-08-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及びバルブ駆動装置
JP7150483B2 (ja) 2018-05-31 2022-10-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228339B2 (ja) 2018-05-31 2023-02-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057243B2 (ja) 2018-07-12 2022-04-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057242B2 (ja) 2018-07-12 2022-04-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137451B2 (ja) * 2018-12-03 2022-09-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7137452B2 (ja) 2018-12-03 2022-09-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CN111380297B (zh) * 2018-12-31 2023-04-07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制冷循环装置
JP2021134845A (ja) * 2020-02-26 2021-09-13 Ntn株式会社 ディスクバルブ
CN213451841U (zh) * 2020-09-30 2021-06-15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阀装置
CN116568974A (zh) * 2020-11-26 2023-08-08 三星电子株式会社 阀装置
US11649999B2 (en) 2021-05-14 2023-05-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cooling ice maker with cool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9040A1 (en) * 2002-09-12 2004-06-24 Tetsuhiko Hara Valve device
US20070084238A1 (en) * 2005-10-1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2007144468A (ja) 2005-11-29 2007-06-14 Nidec Sankyo Corp ロウ付け体及びこれを用いたバル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355A (en) * 1977-04-28 1979-02-13 Essex Group, Inc. Four wave valve for reversible cycle refrigeration system
US4156437A (en) * 1978-02-21 1979-05-29 The Perkin-Elmer Corporation Computer controllable multi-port valve
JP2000346227A (ja) 1999-06-09 2000-12-15 Pacific Ind Co Ltd 電動膨張弁
JP4180786B2 (ja) * 2000-08-11 2008-11-1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2318036A (ja) * 2001-04-19 2002-10-31 Yokohama Hydex Co ロータリー式四方弁
WO2003006860A1 (fr) * 2001-07-10 2003-01-23 Sankyo Seiki Mfg. Co., Ltd. Dispositif de commande de soupape
JP4118034B2 (ja) * 2001-07-10 2008-07-1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バルブ駆動装置
JP2003301960A (ja) * 2002-04-05 2003-10-2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4263725A (ja) * 2003-02-14 2004-09-24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KR100811857B1 (ko) * 2006-11-21 2008-03-10 한국과학기술원 완충형 로터리 밸브
US7628170B2 (en) * 2007-09-05 2009-12-08 Emerson Electric Co. Flow control valve
DE102009002551A1 (de) * 2009-04-22 2010-10-28 Robert Bosch Gmbh Ventil zur Steuerung eines Durchfluss
US8074678B2 (en) * 2009-05-27 2011-12-13 Emerson Electric Co. Reversible flow valve assembly
US8424318B2 (en) * 2010-08-30 2013-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nt flow rate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9040A1 (en) * 2002-09-12 2004-06-24 Tetsuhiko Hara Valve device
US20070084238A1 (en) * 2005-10-1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2007144468A (ja) 2005-11-29 2007-06-14 Nidec Sankyo Corp ロウ付け体及びこれを用いたバル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963A (ko) * 2018-05-31 2019-12-10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및 밸브 구동 장치
US10935071B2 (en) 2018-05-31 2021-03-02 Nidec Sankyo Corporation Motor and valve dri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81037A1 (ja) 2017-01-05
EP2924326A4 (en) 2016-07-27
CN104704273B (zh) 2016-11-09
US20150276070A1 (en) 2015-10-01
EP2924326B1 (en) 2019-12-25
JP5615993B1 (ja) 2014-10-29
CN104704273A (zh) 2015-06-10
US9746087B2 (en) 2017-08-29
KR101943695B1 (ko) 2019-01-29
EP2924326A1 (en) 2015-09-30
WO2014081037A1 (ja)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695B1 (ko) 냉매 밸브 장치
US9903479B2 (en) Valve device
CN110345270B (zh) 阀装置和冰箱
JP6702802B2 (ja) バルブ装置
KR101909838B1 (ko) 밸브 장치
US11156306B2 (en) Motor and valve drive device
JP2020056467A (ja) 流量調整弁
JP5190228B2 (ja) 流量調節バルブ
CN117255907A (zh) 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