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041A -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041A
KR20150088041A KR1020140008382A KR20140008382A KR20150088041A KR 20150088041 A KR20150088041 A KR 20150088041A KR 1020140008382 A KR1020140008382 A KR 1020140008382A KR 20140008382 A KR20140008382 A KR 20140008382A KR 20150088041 A KR20150088041 A KR 2015008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mart watch
state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266B1 (ko
Inventor
김지환
김종호
이도영
조은형
천시내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266B1/ko
Priority to US14/194,375 priority patent/US8983539B1/en
Priority to PCT/KR2014/001842 priority patent/WO2015111790A1/en
Priority to EP14880213.5A priority patent/EP3097490B1/en
Priority to CN201480073681.2A priority patent/CN105917323B/zh
Publication of KR2015008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Abstract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서로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 SMART WATCH, A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서로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에 대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에서, 웨어러블 컴퓨터는 옷이나 시계, 안경, 액세서리처럼 자연스럽게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컴퓨터를 나타낸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손가락이나 터치팬 하나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넣어 다니거나 손에 들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의 일종으로서, 일기, 메시지, 알림, 주식 시세 등 다양한 서비스를 무선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는 팔목 시계, 즉 스마트 워치에 관련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되어, 유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스마트 워치를 모두 이용하여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동시에 이용하여 유저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유저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미러링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한 이미지를 스마트 워치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스마트 워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 3 컨텐츠를 제공하여, 다시 제 1 상태로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에 대한 제스처 입력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 연장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스마트 워치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를 실행하고,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동시에 이용하여 유저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유저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미러링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센싱한 이미지를 스마트 워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스마트 워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 3 컨텐츠를 제공하여, 다시 제 1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에 대한 제스처 입력이 디텍트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밍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a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드로잉(drawing)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b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문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페어링된 상태에서, 일정 조건하에 서로 연관된 컨텐츠를 유저(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서로 페어링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 스마트 워치(100)는 드로잉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보다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가 메인 디스플레이로 이용하고,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서브 디스플레이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스케치북으로 이용하고,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팔레트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유저(10)는 왼쪽 손목에 스마트 워치(100)를 착용하고, 왼쪽 손(10a)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쥔 상태에서, 오른손(10b)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양 디바이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b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서로 페어링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 스마트 워치(100)는 문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메인 디스플레이로 이용되고,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서브 디스플레이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작성된 문서의 글씨 크기,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유저(10)는 왼쪽 손목에 스마트 워치(100)를 착용하고 왼쪽 손(10a)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 "There is no place like home" 문장 중에서 'place'를 오른손(10b)으로 터치하여, 스마트 워치(100)에서 확대해서 보거나 편집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명의 유저가 스마트 워치(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동시에 액티베이트하여 서로 연관된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다만, 도 2는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센서 유닛(120),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카메라 유닛(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10), 센서 유닛(220), 커뮤니케이션 유닛(230), 카메라 유닛(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워치(100)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일종으로서, 모바일 앱을 구동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 손목 시계를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메인 디바이스로 구동되고, 스마트 워치(100)는 서브 디바이스로 구동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10, 2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 210)은 프로세서(150, 2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컨텐츠는 제 2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컨텐츠 및 제 2 컨텐츠와 관련하여, 도 6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터치 스크린에 해당할 수 있다.
센서 유닛(120, 220)은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 프로세서(140, 24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 유닛(120, 2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 2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50, 25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센서 유닛(120)은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0)는 센서 유닛(120)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을 통하여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울기, 방향, 각도 등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100)의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센서 유닛(220)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기울기, 방향, 각도 등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센서 유닛(2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센서 유닛(220)은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100)의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스처 입력 또는 제 2 제스처 입력은 숏터치, 롱터치, 근접 터치, 드래그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7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23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23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230)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연결 신호 및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연결 신호 및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40, 240)은 앞 방향의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하여 프로세서(150, 2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각 영역은 이미지를 센싱하는 때에 일정한 화면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카메라 유닛(140)은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 유닛(240)은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카메라 유닛(140, 24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유사도를 기초로 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50, 250)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프로세서(150)는 제 1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250)는 제 2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프로세서(150, 2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파워 유닛, 스토리지 유닛, 오디오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유닛은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위치 상태는 각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도, 카메라를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상태는 유저(10)가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통해 서로 연관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잇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상태는 유저(10)가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통해 서로 연관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제 1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모두 유저(10)를 향해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에 유저(10)의 손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유저(10)가 왼쪽 손목에 스마트 워치(100)를 착용하고 왼쪽 손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쥔 상태로서, 유저(10)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바라보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3(a)의 상태에서, 유저(10)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모두 이용가능한 상태이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모두 유저(10)의 반대쪽을 향하는 경우에도 제 1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유저(10)의 반대쪽을 향하고 있고, 버클(150) 부분이 유저(10)를 향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유저(10)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즉, 도 3(b)의 상태에서, 유저(10)는 동시에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이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도 3(b)에서와 달리,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를 향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유저(10)의 반대쪽을 향하는 경우도 제 2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지 여부는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내장된 센서 유닛, 카메라 유닛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마트 워치(100)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을 통해, 각각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유사도를 통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스마트 워치(100)의 카메라 유닛이 센싱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유닛이 센싱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기 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면 제 1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스마트 워치(100)의 카메라 유닛이 센싱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유닛이 센싱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가 기 설정된 비율을 초과하지 않으면 제 2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워치(100)의 카메라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 유닛은 동일한 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위치한 전면에 카메라 유닛이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위치한 전면에 카메라 유닛이 위치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스마트 워치(100)에 구비된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를 통해, 각각의 디바이스의 방향을 디텍트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 스마트 워치(100)가 제 1 상태에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방향 내에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스마트 워치(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를 통해, 각각의 디바이스의 각도를 디텍트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제 1 상태에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기 설정된 범위의 각도 내에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기 설정된 범위의 각도 외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스마트 워치(100)에 구비된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터치 센서 그립 센서를 통해 각각의 디바이스의 터치 영역을 디텍트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0)의 후면이 손목 안쪽을 디텍트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센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측면의 그립되고 후면이 손바닥을 디텍트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0)의 후면이 손목 바깥쪽을 디텍트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이 기 설정된 거리 범위(d)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제 1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d1 거리에 있다. 여기에서, d1 거리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d) 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10)는 왼쪽 손목에 스마트 워치(100)를 착용하고, 왼쪽 손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d2 거리에 있다. 여기에서, d2 거리는 기 설정된 거리 범위(d) 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4(b)의 상태에서, 유저(10)는 왼쪽 손목(10a)에 스마트 워치(100)를 착용하고, 오른쪽 손(10b)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잡은 상태로서, 동시에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제 1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유저(10)를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유저(10)를 향하는 상태는 유저(10)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보고 사용하기에 용이한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제 1 각도 범위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제 2 각도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 1 각도 범위는 유저(10)가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할 수 있는 각도이고, 제 2 각도 범위는 유저(1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이용할 수 있는 각도에 해당한다. 즉, 스마트 워치(100)의 제 1 각도 범위는 유저(10)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각도이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 범위는 90°이상 180°이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 2 각도 범위는 유저(10)가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각도이다. 예를 들어, 제 2 각도 범위는 0° 이상 90°이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a)의 상태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a1 각도에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b1 각도에 있다. 여기에서, a1 각도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 1 각도 범위(a)에 해당하고, b1 각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제 2 각도 범위(b)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즉, 도 5(a)의 상태에서, 유저(10)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 2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 중 적어도 하나가 유저(10)를 향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유저(10)를 향하지 않는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210)이 유저(1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유저(10)가 디스플레이 유닛(110,210)을 보고 이용하는데 불편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제 1 각도 범위에 위치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제 2 각도 범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a2 각도에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은 b2 각도에 있는 경우는 제 2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a2 각도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 1 각도 범위에 해당하지 않고, b2 각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제 2 각도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즉, 도 5(b)의 상태에서, 유저(100)는 자연스럽게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a1 각도에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b2 각도에 있는 경우도 제 2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a2 각도에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b1 각도에 있는 경우도 제 2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통하여,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정의하였다. 다만,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하지 않았으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기준을 복수로 적용하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고,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유저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페어링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연결 신호를 전송하여,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페어링 상태에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제 1 컨텐츠(310) 및 제 2 컨텐츠(320)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페어링된 상태로서, 스마트 워치(1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위치, 방향, 각도, 이미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에 구비된 카메라 유닛, 센서 유닛 등을 통해 디텍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제 2 컨텐츠(320)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서 유저(1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독자적으로 실행하거나, 스마트 워치(100)와 연결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컨텐츠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 2 컨텐츠는 드로잉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320)와 별개의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는 제 2 컨텐츠(320)인 드로잉 컨텐츠와 무관한 시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위치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제 2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는 스마트 워치(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의 위치, 방향, 각도, 이미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센서 유닛, 카메라 유닛 등을 통해 디텍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유저(10)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제 2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단계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로부터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메인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디텍트한 위치 상태 및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에 기초하여 배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 있는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310)의 실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컨텐츠(32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유저(10b)의 손에 쥐어진 스타일러스 펜이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터치하는 경우,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310)의 실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제스처 입력에 무관하게,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로 결정된 경우, 자동으로 제 1 컨텐츠(310)의 실행 신호를 스마트 워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컨텐츠(3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320)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컨텐츠(3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320)에 의해 좌우되는(dependent)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컨텐츠(310)는 제 2 컨텐츠(320)의 보조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컨텐츠(320)는 드로잉 컨텐츠(애플리케이션)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스케치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제 1 컨텐츠(310)는 그림판에서 이용되는 팔레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부터 제 1 컨텐츠(310)의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100)는 제 1 컨텐츠(310)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기존에 이용 중인 시계 컨텐츠의 이용을 중단하고, 제 1 컨텐츠(310)인 팔레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그림을 그리면서 스마트 워치(100)를 통해 색상을 변경할 수 있어, 두 개의 디바이스를 통해 보다 컨텐츠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워치(100)는 유저(10b)로부터 제 1 컨텐츠(310)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등 다양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직접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워치(100)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컨텐츠(320)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컨텐츠(32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320)의 제어 신호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00)는 제 1 컨텐츠(310)에서 색상을 변경하는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제 2 컨텐츠(320)의 색상을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된 제 2 컨텐츠(320)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워치(100)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디밍 연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디밍 연장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320)의 디밍 타임을 연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디밍 타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디밍 연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밍 타임이 초과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닛(210)을 액티베이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 워치(100)에서 제 1 컨텐츠(310)가 실행 중이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제 2 컨텐츠(320)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생된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전화 수신, 알람 시간 도달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를 저장하고,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그리고 있던 그림을 저장한 상태에서, 유저(10)에게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310)의 디밍 연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00)는 제 1 컨텐츠(310)의 디밍 연장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워치(100)에 설정된 디밍 시간이 초과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액티베이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제 1 컨텐츠(310) 또는 제 2 컨텐츠(320)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페어링된 상태로서, 스마트 워치(1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로부터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컨텐츠(320)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유저(10)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로부터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를 향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유저(10)가 동시에 두 개의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컨텐츠(310)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1 컨텐츠(310)인 팔레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320)에 연관된 제 1 컨텐츠(31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10)는 스마트 워치(100)와 별개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만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화각 영역을 센싱하는 경우에, 유저(10)에게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도 8b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상대방(20)에게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8의 실시예는 미러링(mirroring)에 관한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그대로 복사하여 스마트 워치(10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의 경우, 카메라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 스마트 워치(100)에 동일하게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페어링된 상태에서, 스마트 워치(1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가 아닌 상대방(20)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제 1 카메라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 컨텐츠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 컨텐츠는 제 1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410) 및 이미지 캡쳐링 트리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유저(10)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의 위치 상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위치 상태로부터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은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제 2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에 제 2 카메라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카메라 컨텐츠는 제 1 카메라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카메라 컨텐츠는 제 2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430)는 제 1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41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8b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0)는 제 2 카메라 컨텐츠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 유닛(250)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상대방(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는 유저(10)의 손목은 수평 상태가 아닌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250)을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는 기울기가 수평에 해당하지만,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100)는 센서 유닛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스마트 워치(10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수평 보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모델이 되는 상대방(20)은 유저(10)의 팔의 각도에 관계없이 수평 상태의 자신의 모습을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도 9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로서, 유저(1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9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를 향한 상태에서 반대쪽을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동시에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제 3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컨텐츠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그대로 유저(10)를 향하고 있는 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다시 유저(10)를 향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40)를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유닛(210)에 'Turn the display of the smart watch!'와 같은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10)로 하여금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진동(30)을 발생시켜, 유저(10)로 하여금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다시 유저(10)를 향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를 제 1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유저(10)가 이용하기 어려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10)를 향하지 않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100)에 제 1 컨텐츠 종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먼저,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S1010). 여기에서,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는 스마트 워치의 방향, 각도, 센싱하는 이미지,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S1020). 여기에서, 연결 신호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페어링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30).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에,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컨텐츠는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할 수 있다(S1040). 즉,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컨텐츠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S11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S1120).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S1130). 또한,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도, 방향, 위치, 센싱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인지 결정할 수 있다(S1140).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이고 스마트 워치는 서브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상태는 유저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동시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상태는 유저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할 수 없는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S1120 단계 내지 S1140 단계의 선후관계는 바뀔 수 있다.
S1140 단계에서,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에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150).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컨텐츠를 실행 중에, 제 2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인 제 1 컨텐츠를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실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S1140 단계에서,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S1160). 또한,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스마트 워치
2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유저

Claims (20)

  1.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스마트 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 및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유사도가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스마트 워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제 2 컨텐츠의 보조 컨텐츠인, 스마트 워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인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외인 상태인, 스마트 워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유저를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유저를 향하지 않는 상태인, 스마트 워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유저를 향하는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각도 범위에 있는 상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유저를 향하는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2 각도 범위에 있는 상태인, 스마트 워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제 1 카메라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2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제 2 카메라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컨텐츠는 제 1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 및 이미지 캡쳐링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카메라 컨텐츠는 제 2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 워치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수평 보상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스마트 워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컨텐츠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컨텐츠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컨텐츠의 디밍 연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3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3 컨텐츠는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상기 제 1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는 컨텐츠인, 스마트 워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트한 경우, 실행 중인 상기 제 2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디밍 연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1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을 제어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스마트 워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고, 제 2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제어 방법.
  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상태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가 제 1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워치에 제 1 컨텐츠의 실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상기 연결 신호 및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 상태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컨텐츠 실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를 실행하는,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상기 제 2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에 해당하고, 상기 스마트 워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열 상태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 않는 상태인, 제어 방법.
KR1020140008382A 2014-01-23 2014-01-23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82A KR102188266B1 (ko) 2014-01-23 2014-01-23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194,375 US8983539B1 (en) 2014-01-23 2014-02-28 Smart wat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PCT/KR2014/001842 WO2015111790A1 (en) 2014-01-23 2014-03-06 Smart wat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14880213.5A EP3097490B1 (en) 2014-01-23 2014-03-06 Smart wat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201480073681.2A CN105917323B (zh) 2014-01-23 2014-03-06 智能手表、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82A KR102188266B1 (ko) 2014-01-23 2014-01-23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41A true KR20150088041A (ko) 2015-07-31
KR102188266B1 KR102188266B1 (ko) 2020-12-08

Family

ID=5263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382A KR102188266B1 (ko) 2014-01-23 2014-01-23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3539B1 (ko)
EP (1) EP3097490B1 (ko)
KR (1) KR102188266B1 (ko)
CN (1) CN105917323B (ko)
WO (1) WO20151117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32A1 (ko) * 2015-08-10 2017-02-16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52004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2873B (zh) 2011-06-05 2017-07-14 苹果公司 用于显示从多个应用接收到的通知的系统和方法
JP5818353B2 (ja) * 2011-12-02 2015-11-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画面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画面表示制御方法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099178B1 (ko) * 2013-11-29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239648B2 (en) * 2014-03-17 2016-01-19 Google Inc. Determining user handedness and orientation using a touchscreen device
US9886710B2 (en) * 2014-03-25 2018-02-06 Ebay Inc. Data mesh visualization
US9324067B2 (en) 2014-05-29 2016-04-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1343335B2 (en) 2014-05-29 2022-05-24 Apple Inc. Message processing by subscriber app prior to message forwarding
TWI647608B (zh) 2014-07-21 2019-01-11 美商蘋果公司 遠端使用者介面
KR102206533B1 (ko) * 2014-08-05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모바일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웨어러블 장치, 웨어러블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KR102418119B1 (ko) 2014-08-25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시계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웨어러블 전자장치
WO201603660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9696815B2 (en) * 2014-10-02 2017-07-04 Futureplay Inc.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0216351B2 (en) * 2015-03-08 2019-02-26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KR20160133154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160358133A1 (en) 2015-06-05 2016-12-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KR102548687B1 (ko) * 2015-10-07 2023-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23830B1 (ko) 2015-11-10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8943B1 (ko) * 2015-11-17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
CN113068165B (zh) * 2016-09-22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能资源的配置方法及设备
US10684693B2 (en) 2017-03-02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a ges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423236B2 (en) * 2017-05-25 2019-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tro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en
US10564915B2 (en) * 2018-03-05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ing content based on positional state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CN109067986A (zh) * 2018-07-26 2018-12-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的同步显示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JP6921338B2 (ja) 2019-05-06 2021-08-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の制限された動作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CN110995991B (zh) * 2019-11-28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控制方法及穿戴设备
WO2024049094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방향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8399A1 (en) * 2003-12-19 2005-08-04 Palmquist Robert D. Display of visual data as a function of position of display device
US20130262298A1 (en) * 2012-03-28 2013-10-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wristban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2196B2 (en) 2003-10-30 2009-05-12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7809406B2 (en) * 2006-09-15 2010-10-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inued transfer or streaming of a data file after loss of a local connection
US20090239591A1 (en) 2008-03-19 2009-09-24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with an orientation detector
KR101529921B1 (ko) 2008-11-0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KR101595384B1 (ko) 2009-07-20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US20120130203A1 (en) 2010-11-24 2012-05-24 Fujitsu Limited Inductively-Powered Ring-Based Sensor
US8279716B1 (en) * 2011-10-26 2012-10-02 Google Inc. Smart-watch including flip up display
US8467270B2 (en) 2011-10-26 2013-06-18 Google Inc. Smart-watch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US20140018094A1 (en) * 2012-07-13 2014-01-16 Microsoft Corporation Spatial determination and aiming of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8399A1 (en) * 2003-12-19 2005-08-04 Palmquist Robert D. Display of visual data as a function of position of display device
US20130262298A1 (en) * 2012-03-28 2013-10-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wristba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32A1 (ko) * 2015-08-10 2017-02-16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06472B2 (en) 2015-08-10 2020-03-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52004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17323B (zh) 2019-07-05
EP3097490A1 (en) 2016-11-30
EP3097490B1 (en) 2020-04-29
CN105917323A (zh) 2016-08-31
EP3097490A4 (en) 2017-09-06
KR102188266B1 (ko) 2020-12-08
WO2015111790A1 (en) 2015-07-30
US8983539B1 (en)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66B1 (ko)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195219B2 (en)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42264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85093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063076B1 (ko) 모바일 디바이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10206540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086687B2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722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2797299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of an external display us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remote controller
KR101969351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출력 제어 방법
KR1022511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98724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700171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17763A1 (zh) 事件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1460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2160727A1 (zh) 组件的吸附操作方法及终端
US20220057978A1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111860B (zh) 数字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600861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584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4348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49873A1 (zh) 智能交互方法、设备及系统
JP6968689B2 (ja) 電子機器、ウェアラブル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