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510A -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 Google Patents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510A
KR20150087510A KR1020140007550A KR20140007550A KR20150087510A KR 20150087510 A KR20150087510 A KR 20150087510A KR 1020140007550 A KR1020140007550 A KR 1020140007550A KR 20140007550 A KR20140007550 A KR 20140007550A KR 20150087510 A KR20150087510 A KR 2015008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pollen
box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천
신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주식회사 나무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주식회사 나무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Priority to KR102014000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510A/en
Publication of KR2015008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5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planter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planters in a tilted position and a wall greening apparatus or a vertical leafy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hich can modulate the box-type planter containers and mount the box-type planter containers in a detachable manner. More specifically, the apparatus can modulate and detachably mount the commercially available seed ports having the identical size and shapes or hollow-box type planter containers capable of storing small planters in a tilted position and the box-type planter containers on a grid net to grow and harvest the leafy plants in a veranda or easily green the indoor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planter container (100) includes: a water supply hole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6); an opening (112) on the front surface (107) to arrange the planters at a predetermined height (h1) from the lower end in the tilted position; a guide wall protruding along the opening; a water discharge pipe (118)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108) by a predetermined length (h3); a catching unit (116)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rear surface (105); and an overflow guide wall (126) formed on the inside by another predetermined height (h2).

Description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pot receiving container capable of inclining pollen and a wall-type record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box-type pot receiving containers are detachably mounted in a modular manne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본 발명은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화분수용용기를 다수개 모듈화하여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벽면 녹화장치, 또는 엽채류(葉菜類) 수직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정 형상과 크기의 종묘포트 또는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중공(中空) 박스형 화분수용용기와,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를 평면형 그리드망에 모듈화하여 착탈식으로 걸어 장착함으로써 벽면, 특히 실내벽면을 녹화하거나 엽채류를 가꾸어 수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shaped pollen receiving container capable of receiving a pollen slantingly, and a wall surface recording device or a vertical leafing device for leafy vegetables that can be detachably mounted by modularizing a plurality of pollen receiving containers. A hollow box type pot container capable of inclining a seedling pot or a flowerpot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modularized box type pot container accommodated in a planar grid network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grid network to record wall surfaces, in particular indoor wall surfaces, To a device that can be harvested.

화초를 심어 가꾸기 위한 용기인 화분은 바닥면과 그 바닥면의 둘레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벽면에 의해 상부가 열린 깊은 그릇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화분은 그 바닥면을 지면과 같은 평편한 면에 수평하게 올려놓아 사용하는 형태의 것이 많지만, 끈을 사용하여 공중에 매달아 사용하는 현수화분도 있고 소정의 부착장치를 사용하여 벽면이나 난간에 부착 또는 걸어 사용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도 개발되어 있다.
The flowerpot, which is a container for planting plants, is mostly made of a deep bowl which is opened at the top by a bottom surface and a wall extending upward from the perimeter of the bottom surface. Pollen is often used to put the floor surface horizontally on the same flat surface as the ground. However, there is a hanging pollen that is hanged in the air using a string. It can be attached to a wall or a railing using a predetermined attachment device or Wall-mounted pollen has also been developed for hanging.

본 발명은 종래 다양한 방식의 화분 중에서 특히 화분을 벽면에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벽면녹화기술 또는 소정면적의 수직벽면 내에 엽채류를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설치공간이나 위치, 방향에 대한 제약을 적고 부분적인 수경재배 및/또는 저면급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아파트 베란다 등에서 도시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llowing a plant to grow and harvest leaf vegetables in a vertical wall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or a wall surface recording technique for allowing a flowerpot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wall surface in a variety of conventional pots.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to partially hydroponically cultivate hydroponic cultivation and / or bottom watering with restriction on installation space, position and direction, and to enable urban agriculture in an apartment veranda and the like.

국내 벽면부착용 화분 또는 벽면녹화와 관련하여 개발된 특허 또는 실용신안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There are two types of patents or utility model technologies developed for domestic wall-mounted pollen or wall surface coatings.

첫째, 화분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소정의 부착도구, 예컨대 진공흡착판이나 나사봉 체결기구, 환형 띠 체결기구와 같은 벽면 부착용 도구를 사용하여 화분을 개별적으로 직접 벽에 걸어 사용하는 방식의 화분이다.
First, the pollen is directly applied to walls directly by using a predetermined attachment tool for attaching the pollen to the wall, such as a vacuum adsorption plate or a nail bar fastening mechanism, or a wall attachment tool such as an annular band fastening mechanism.

이러한 예로는 특허발명으로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환형 띠 체결기구를 사용한 벽걸이식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등록특허 제791,405호)이 있고, 등록실용신안으로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흡착판과 이 흡착판에 부착할 수 있는 화분받침용 부착구를 구비한 진공흡착에 의한 벽면부착 장식용 화분(등록실용신안 제449,981호)의 예가 대표적이다. 또한 이와 유사한 구성으로 벽면부착장치(실용신안등록 제280,633호), 부착형 화분(실용신안등록 제466,628호), 화분걸이구(실용신안등록 제241,758호), 벽걸이 화분 받침대(실용신안등록 제193,539호), 벽걸이용 화분(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1- 0004289호), 벽체에 직립되게 걸 수 있도록 된 벽걸이 화분(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9- 0007860호) 등과 같은 다양한 것이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 patent, there is a wall-hanging pot and a hanging fixture for mounting a molding (Patent No. 791,405) using an annular band tightening mechanism capable of adjusting the diameter as shown in Fig. 1 as a patent invention. (Registered trademark design No. 449,981) by a vacuum adsorption having an adsorption plate and an attachment for a flowerpot support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adsorption plat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wall-mounted device (registered as a utility model No. 280,633), an attachment type flowerpot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66,628), a flowerpot hanger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41,758), a wall flowerpot support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3,539 (Utility Model No. 2011-0004289), a wall-hanging pot that can be hanged upright on the wall (Utility Model No. 2009- 0007860), and the like.

그런데 이와 같이 화분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소정의 부착도구를 사용한 벽걸이형 화분들은 화분 하나 하나를 개별적인 부착도구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벽면에 거치하는 형태의 것이어서 모듈 방식으로 소정 면적의 실내 벽면 전체를 녹화하기 위한 기술은 아니어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However, the wall-mounted pollen using the predetermined attachment tool for attaching the pollen to the wall surface is a type in which the pollen is individual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by using the individual attachment tool, so that the entire indoor wall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is recorded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둘째, 다수개의 화분을 종횡의 모듈방식으로 배열하여 소정 면적의 실내벽면 또는 실외벽면을 녹화하기 위한 기술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개발되어 있다.
Secondly, a technique for recording indoor or outdoor wall surfaces of a predetermined area by array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modular manner has been developed.

도 3에 도시한 것은 국내 등록특허 제989,705호에 개시된 벽걸이용 화분장치로서, 실내 환경변화를 위해 또는 채광위치 등에 따라 간편하게 화분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화분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수로(21)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대(20) 사이에 낙수를 안내하는 가이드(30)를 개재하여 화분(100)을 장착한 구성을 갖는데, 물과 흙이 담겨 무거운 화분을 고정대에 거는 걸림부의 구성이 취약하고, 고정대(20), 화분(100) 및 가이드(30)의 구성이 서로 분리된 다부품이고 복잡하며, 화분의 전방측 화초성장 개구부가 극히 협소하여 식재 가능한 화초의 종류가 제약되는 단점이 있다. 다만 이 기술에서 하단에 집수된 물을 수중모터(40)를 사용하여 상부로 공급함으로써 위쪽 화분으로부터 아래쪽 화분으로 순차 공급하고 집수하여 재사용하는 순환식 자동급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FIG. 3 shows a wall-mounted polle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989,705, which is capable of easily moving the position of a pollen depending on a mining position or the like in order to change the indoor environment. The pollen dispens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llen pot 100 is mounted through a guide 30 for guiding water dropping between a plurality of fixed rods 20 on which a water channel 21 for supplying water is formed. The constitution of the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pots on the fixing table is weak and the components of the fixing table 20, the pots 100 and the guides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complicated, and the planting openings on the front side of the pots are extremely narrow,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kinds of plants possible are limited. However, in this technique, the water collected at the lower end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by using the submersible motor 40 so that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water supply structure for sequentially supplying the water from the upper flowerpot to the lower flowerpot and collecting and reusing the same is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4는 국내 등록특허 제1,249,812호에 개시된 벽면 고정형 식물재배장치이다. 이 기술은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지만, 화분수용체(141)와 연결덮개부(143)의 투피스(two piece)로 이루어진 화분수용부재(140)의 구조가 대단히 복잡한 점에서 본 발명과 크게 다르다. 또한 이 기술에서는 다수의 화분수용부재(140)가 다수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벽면(A)에 서로 적층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여러개의 화분수용부재(140)를 스크류를 사용하여 벽면에 직접 고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고정형이어서 화분수용부재(140)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손쉽게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 다르다. 화분을 어떻게 손쉽게 벽면에 걸 수 있는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가, 유지관리는 편리한가, 전체적으로 얼마나 간단한 구조인가 등의 포인트는 기술의 현실적인 실용화 측면에서 중요한 설계요소인데 이 기술은 이런 점에서 많이 불리하다. 한편 이 기술에서도 물저장부(120)를 맨 아래쪽에 두고 수중펌프(130)를 사용하여 물저장부에 집수된 물을 상부로 공급함으로써 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물을 차례로 공급하는 순환식 자동급수방식은 전술한 등록특허 제989,705호의 경우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이 부분의 기술구성이 다르지 않다.
4 is a wall-fixe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249,812. This technique is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a plant can be easily planted and the structure of the pollen receiving member 140 made up of two pieces of the pollen receiver 141 and the connecting lid 143 is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is extremely complicated. Also, in this technique, a plurality of pollen receiving members 140 are described as being fixedl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A by using a plurality of screws. When a plurality of pollen receiving members 140 are screwed to a wall surface It is not easy to fix directly, and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because it is fixed so that the pollen receiving member 140 can not be arbitrarily and easily replaced as needed. The point of how easy it is to hang poles on the wall, easy to replace, easy to maintain, and simple structure as a whole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in terms of realistic practical use of technology,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is respect. In the meantime, the circulation type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the water storage part 120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torage part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by using the underwater pump 130, The same is tru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989,705, and the technical constitution of this part is not different eve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국내 등록특허 제1,296,738호에 따른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전후좌우판(1)(2)(3)(4)과 밑판(8) 및 내부 식물식재공간(6)를 구비하고 상면이 열린 박스형 벽면녹화화분(1)을, 그 후면판(3)에 돌출 설치된 막대끼움홈(7a)이 구비된 걸이부(7)가 화분설치용 프레임(20)에 가로로 가설된 화분걸이용 막대부재(25)에 거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하 소정 간격을 두어 다수개의 화분걸이용 막대부재(25)가 장착된 화분설치용 프레임(20)이 앵커볼트(31)에 의해 벽면(30)에 고정되며, 수도배관(65)을 사용한 물공급배관(60)이 상하의 벽면녹화화분(1) 사이를 지그재그로 배관되어 급수된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lower pot for wall greening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1,296,738 and a wall gardening vertical gardening system using the same. This system comprises a box-type wall-surface planting pot 1 hav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plates 1, 2, 3, 4, a bottom plate 8 and an internal plant planting space 6, And the hook portion 7 provided with the rod fitting groove 7a protruding from the potting frame 3 is hooked on the potting rod member 25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potting frame 20. A pollen-attaching frame 20 having a plurality of pollen-hanging rod members 25 mounted there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30 by the anchor bolts 31 and a water supply pipe (60) is piped zigza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 surface greening flower pots (1) and supplied.

이 국내 등록특허 제1,296,738호는 화분설치용 프레임(20)을 벽면(30)에 앵커볼트(31)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구조와, 벽면녹화화분(1)에 공급된 급수를 물받이하는 구성이 제시되지 않아, 실내벽면녹화용 시스템이 아니고 실외벽면 녹화용 시스템을 이해되어 본 발명과 그 응용분야가 다르다. 또한 간헐적으로 물을 주기 위한 제어부(70)가 사용되어야 하는 점에서도 다르다. 이 기술에서는 식물식재공간(6)에 화초가 식재된 각 벽면녹화화분(1) 자체를 프레임(20)의 화분걸이용 막대부재(25)에 직접 걸어 재치(載置)하는 구성이어서 화초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식물식재공간(6) 내의 흙을 비워내고 다시 새 화초를 심어 교체하거나, 그렇게 사전에 마련된 새 화초가 식재된 벽면녹화화분(1)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초의 교체가 번거롭다. 따라서 이 기술은 녹화식물의 가변성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296,738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erpot mounting frame 2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30 using an anchor bolt 31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wall surface flowerpot 1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its application field because it is understood that the system is not an indoor wall-painting system but an outdoor wall-painting system. Also, it differs in that a control unit 70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water is used. In this technique, each of the wall greening pots 1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 space 6 is directly placed on the rod-shaped bar members 25 of the frame 20 for placement, In order to do so,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the plant because the soil in the planting plant space 6 needs to be emptied and replaced with a new planting plant or replaced with a wall-planting flowerpot 1 planted beforehand with new plants. Therefore, this technology can be said to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variability and maintenance of green plants.

도 6은 국내 등록특허 제653,790호에 따른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 컬러블록 화분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발명도 앞서 언급한 국내 등록특허 제1,296,738호와 마찬가지로 건물 외벽면(30)에 부착되는 시스템으로서, 건물 외벽면(30)에 부착되는 용접망 또는 스크린망(40)으로 구성된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탈착이 가능한 바탕판(11)과, 이 바탕판에 결합되고 화초류가 생육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게 하는 외판(12)과, 이 외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물이 자동으로 빠질 수 있게 하는 복수개의 배수구(13)를 포함하는 컬러블록화분(10)을 다수개 배열하여 컬러블록화분세트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결합식 투피스(two piece) 구조물인 결합홈(15)이 마련된 바탕판(11)과 결합돌기(25)가 마련된 외판(12)으로 이루어진 칼라블록화분(10)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칼라블록화분(10) 자체가 화초를 직접 식재하는 화분이어서, 화분이 아닌 화분을 수용하는 화분수용용기가 스크린 망에 부착되는 본 발명과 다르고, 화초에 필요한 물을 집수하여 재사용하는 순환식 자동급수 구성이 채택되지 않는 점, 실외벽면을 녹화하기 위한 기술인 점 등에서 본원발명과 다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wall-mounted color block flower pot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653,790 and a color block flower pot set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ystem for attaching to an exterior wall surface 30 of a building as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1,296,738, which comprises a mounting plate composed of a welding net or screen net 40 attached to an exterior wall surface 30 of a building, An outer plate (12)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flowers can grow, an outer plate (1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plate and capable of automatically releasing water A plurality of color block flower pots 10 includ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13 to form a color block flower pot set. This technique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lor block pot 10 made up of the base plate 11 provided with the coupling groove 15 which is a two piece piece structure and the outer plate 12 provid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5 is relatively simple However, since the color block flower pot 10 itself is a flower pot for planting flowers directly, it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ower pot 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he flower pot is attached to the screen net, and water necessary for the flower pot is collected and reused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a circulation type automatic water supply structure is not adopted and a technique for recording an outdoor wall surface.

도 7은 국내 등록특허 제1,043,958호에 따른 조립식 벽면조경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시스템은 건물의 벽면을 장식하거나 조경하기 위한 기술로서 가로 또는 세로로 1열 이상 모듈화하여 배열하여 설치되고 복수의 체결구멍(61)과 파이프홈(63)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판(60)과; 한 쪽 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는 지지판의 체결구멍(61)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6)와 파이프홈(13)과 조립구멍(14)이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상자(2)와; 지지판(60)의 파이프홈(13)과 식재상자의 파이프홈 사이에 위치하고 조립구멍(14)에 끼워지는 복수의 급수돌기(32)가 형성되는 급수파이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기술에서 지지판(60)에는 복수의 고정구멍(6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고정구멍을 통해 앵커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벽면(102) 등에 고정되며, 지지판(60)을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에는 이 지지판(60)에 결합되는 식재상자(2)를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도 소개되고 있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all surface landscape system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1,043,958. This system is a technique for decorating or landscaping a wall of a bui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60, each of which is modularly arranged in one row or more in a longitudinal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61 and pipe grooves 63 ;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6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61 of the support plate and a plurality of planting cans 16 having pipe grooves 13 and assembly holes 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2); And a water supply pipe (30) formed between the pipe grooves (13) of the support plate (60) and the pipe grooves of the food preparation box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rojections (32) fitted in the assembly holes (14) . In this techniqu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65 ar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60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102 or the like by using anchor bolts or screws through the fixing holes. When the support plate 60 is formed to be inclined An advantage that the planting box 2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60 can be inclined can be introduced.

이 등록특허 제1,043,958호는 건물의 벽면을 장식하거나 조경함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 모듈로 규격화된 지지판(60) 및 식재상자(2)를 사용한 모듈화 기술이 사용되는 점, 식재상자가 경사지게 착탈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한 점 등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난다.
This Patent Application No. 1,043,958 discloses that a modularization technique using a support plate 60 and a planting box 2 that are standardized with a predetermined unit module in decorating or landscaping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is used and that the planting box is slidably and detachably fastened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erms of the following points.

즉, 이 등록특허 제1,043,958호에 따른 시스템에서 식재상자(2)는 직접 화초를 식재한 화분이어서, 전술한 등록특허 제1,296,738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초를 바꾸기 위해서는 식재상자(2) 내의 흙을 비워내고 다시 새 화초를 심어 교체하거나, 그렇게 사전에 마련된 새 화초가 식재된 식재상자(2)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초의 교체 자유도가 떨어진다. 또한 식재상자(2)와 지지판(60) 사이에 배관된 급수파이프(30)로부터 식재상자(2)의 저면을 통해 물이 직접 공급되는 구성이어서 급수량의 조절이 어렵다.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급수된 물은 식재상자(2)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통기공(12)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기 쉬우며 이 과급수는 회수 재사용될 수 없어 주위를 더럽힌다. 급수파이프(30)가 식재상자(2)와 지지판(60) 사이를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배치하는 구성은 장치의 설치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또한 이 기술에서는 식재상자(2)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6)가 지지판(60)의 체결구멍(61)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인데 이와 같은 식재상자(2)와 지지판(60)의 촉이음 방식의 결합구조에서는 흙이 담긴 무거운 식재상자의 하중이 비교적 연약한 구성의 결합돌기(16)에 모멘트로 작용하여 휨응력이 집중됨으로써 파손되기 쉬운 구조적 단점도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특히 아래쪽에 배치되는 식재상자일수록 위쪽 식재상자의 하중을 누적적으로 받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That is,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atent No. 1,043,958, the planting box 2 is a flower pot planted directly with a plant. As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296,738, in order to change plants, the soil in the planting box 2 is emptied (2) which is planted with a new plant,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plant replacement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water is directly suppli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box 2 from the water supply pipe 30 piped between the planting box 2 and the support plate 60,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water supply amount. In addition, the excessively watered water easily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12 form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food preparation box 2, and this supercharged water can not be recovered and reused so that the surroundings are dirty.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30 is arranged so as to pass zigzag between the planting box 2 and the support plate 60 is a factor that makes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apparatus difficult. In this technique, the coupling protrusions 16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lanting box 2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61 of the support plate 60 to be coupled to the planting box 2, There is a structural disadvantage that the load of the heavy planting box containing the soil acts as a moment on the coupling protrusion 16 having a comparatively weak structure and is likely to be damaged due to concentration of the bending stress. This is more so since the load of the upper planting box is cumulatively received.

도 8은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13-4204호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공기정화장치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포트(10)와; 이 포트를 복수개 수평 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거치시 각 포트를 상향 경사지도록 위치시키는 프레임(20)과; 이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다단 배치할 수 있는 고정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이 기술에서 포트(10)의 상면(13)에는 물을 주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관수홀(13a)이 중심에 마련되며, 관수홀(13a)의 좌우에 포트(10)의 길이방향으로 공기순환홀(13b)이 슬릿 형태로 마련되며 좌우 측면(14)과 바닥면(15)에도 포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형태의 공기순환홀(14b)이 복수개 설치된다. 이 기술은 비교적 작은 포트(10)를 모듈화 방식으로 구성된 프레임(20)에 장착할 수 있고, 포트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한 이점이 있으나 이 기술은 포트(10)의 상면(13)에 마련된 관수홀(13a)에 호스(P)가 직접 연결되어 급수하는 구조인 점 및 포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형태의 공기순환홀(14b)이 형성됨으로써 이 공기순환홀을 통해 급수된 물이 손쉽게 배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8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using plants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No. 2013-4204. The air purifier includes a port (10) having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through which plants can be planted; A frame 20 which is provided to horizontally mount a plurality of the ports, and positions each port so as to be inclined upward when the port is mounted; And a fixed frame (30) capable of multi-stage arranging the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surface 13 of the port 10 is provided with an irrigation hole 13a to which a hose for supplying water is connected at the center and air circul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10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irrigation hole 13a Holes 13b are provided in a slit shape and a plurality of slit-shaped air circulation holes 14b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14 and the bottom surface 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10, respectively. This technique is advantageous in that a relatively small port 10 can be mounted on a frame 20 constructed in a modular manner and the port can be positioned at an upward slope and the structure of the frame is comparatively simple. However, The hose P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hole 13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3 to supply water and a slit-shaped air circulation hole 14b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1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supplied is easily drained.

도 9는 국내 등록특허 제722,371호에 따른 화분의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발명은 받침판의 안착홈 내에 삽입된 화분의 내측으로 물 저장통 내에 저장된 물에서 증발된 습기가 유입되어 화초의 뿌리에 양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화분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종의 수경재배 내지 저면급수방식의 호분 물공급장치이다. 이 장치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결합부(12)가 양측에 형성되고, 내측에는 물이 저장되며, 내부에는 흡수부재(13)가 설치되고, 벽면에는 내부를 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1a)이 형성된 물저장통(10)과; 이 물저장통(10)의 상측에 안착되며, 물 저장통(10)의 내측에 저장된 물에서 증발된 습기 또는 물이 유통되도록 내측에는 화분(2)이 안착되고, 화분(2)의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도록 복수 개의 유통구(21a)를 가진 복수개의 안착홈(21)이 형성된 받침판(20)을 구비한다.
9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pollen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722,3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such that moisture evaporated from water stored in a water reservo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a flowerpot inserted into a seating groove of a support plate to supply nutrients to roots of the flowerpot, It is a flush water supply system. In this apparatus, a joining part (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verandah railing, water is stored inside, an absorbing member (13) is installed in the inside, and a viewing window (11a) A formed water reservoir 10; The pollen 2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reservoir 10 so that moisture or water evaporated from the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reservoir 10 is allowed to flow and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pollen 2 (20)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21) having a plurality of flow openings (21a) to be introduced therethrough.

이 기술은 벽면 녹화장치가 아니라 저면급수 내지 수경재배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과 기술적 유사성은 없으며, 다만 물저장통(10)의 벽면에 내부를 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1a)을 개시한 점에서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This technique is not a wall-screening device but a device for enabling water supply from the bottom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It does not have a technical similarity with the present invention, but discloses a sight window 11a that allows the interior of the water storage container 10 to be identified inside the wall Only in the poin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국내 등록특허 제10-989,705호Korean Patent No. 10-989,705 국내 등록특허 제10-1,249,812호Korean Patent No. 10-1,249,812 국내 등록특허 제10-1,296,738호Korean Patent No. 10-1,296,738 국내 등록특허 제10-653,790호Korean Patent No. 10-653,790 국내 등록특허 제10-1,043,958호Korean Patent No. 10-1,043,958 국내 등록특허 제10-722,371호Korean Patent No. 10-722,371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13-4204호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No. 2013-4204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다양한 종래 벽면 녹화기술, 특히 종래 실내벽면 녹화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설계 포인트의 충족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ll wall recording technology, especially the conventional wall wall screening technology, and aims to satisfy the following design points.

- 모듈화 방식의 벽면 녹화기술이되, 가능한 한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It should be a modular wall recording technology, and should be able to simplify its configuration as much as possible.

모듈화 방식은 벽면녹화의 연출과 표현에서 변화와 통일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적 핵심 요소이다. 또한 구성이 간단할수록 제조비의 절감, 설치와 유지관리의 편리함 및 보급의 용이함에 기여한다.
Modularization is a key element of design that allows freedom of change and unification in the direction of presentation and expression of wall painting. Also, the simpler the configuration, the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the easier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easier it is to spread.

- 기존의 소형 종묘포트에 화초가 처음 식재된 상태 그대로를 분갈이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xisting small seedling pot without using the plant as it is planted first.

본 발명은 화초가 심어진 화분자체를 직접 벽면에 직접 거는 것이 아니라 화분, 특히 소정 크기의 종묘포트나 그와 유사한 크기의 소형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안출된 화분수용용기를 벽면에 거는 방식에 의해 화분의 교체를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분갈이는 화초의 입장에서 볼 때 큰 환경변화인데, 화초의 성장으로 인해 큰 화분으로 분갈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라면 모를까 모듈화 방식으로 실내벽면을 녹화하기에 적합한 화초의 종류라면 기존의 소형 종묘포트에 화초가 최초 식재된 그대로를 유지하여 그런 종묘포트를 화분수용용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화초의 성장과 건강상 바람직하다. 이런 구성에서는 종묘포트 또는 소형화분의 본 발명에 따른 화분수용용기에 대한 장착 및 교체가 극히 쉬워 벽면녹화를 연출함에 있어서 화초의 종류를 바꾸고자 할 때 분갈이하여 바꾸는 것이 아니라 화초가 식재된 상태의 첫 포트 자체를 바꿀 수 있어서 유지관리 및 연출이 극히 자유롭다. 한편 기존의 소형 종묘포트로는 극히 얇은 두께로 원 피스(one piece)로 사출된 합성수지재 포트가 있는데 그 가격이 저렴하고 규격과 종류의 편차가 심하지 않으며, 기존에 종묘 농장 등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화초의 유통이 이런 종묘포트에 심어진 상태로 이루어져 일반인에게 친숙하므로 이를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재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directly spray pots planted with plant flowers directly on a wall surface but also to a method of hanging a pots container, specifically a pot container accommodating a small size flower pot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exchange of pollen can be made extremely simple. It is a big environmental change from the standpoint of the plant, but if the plant grows, it should not be used as a large flower pot. If it is a kind of plant suitable for recording the indoor wall by the modular method, It is desirable for the growth and health of the plants that the seedling pot can be attached to the pot container by keeping the original planting as it is. In such a configuration, it is very easy to mount and replace the seed pot or small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when changing the kind of flowerpot in order to play the wall, The port itself can be changed, so maintenance and directing are extremely free. On the other hand, existing small seedling pots have synthetic resin pots which are extruded as one piece with extremely thin thickness. They are inexpensive, and there is not much variation in specifications and kinds, and they are widely used in seedling farms and the like In addition, since the flowering of plants in the market is planted in these seed pots, it is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and thus it can be utilized as a wall green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급수장치의 구성이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관수 조절이 쉬워야 한다.
-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system should be reliable and the water control should be easy.

화초를 재배할 때 물주기, 햇빛 쏘이기 및 통풍이 중요하지만 이 중에서도 물주기가 기본이며 가장 중요하고 어렵다. 물을 적게 주어서도 안되지만 특히 많이 주어서도 안되는데 그 신뢰할 수 있는 관수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그 관리가 편리해야 한다.
Watering, sunshine and ventilation are important when planting plants, but water cycle is the most basic and most important. You should not give less water, but you should not give too much, and you should be able to suggest a reliable watering method and its management should be convenient.

- 벽면녹화장치의 시공이 편리해야 하고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It is desirable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wall-screen recording apparatus should be convenient and movable.

실내벽면 녹화장치를 나사못이나 기타 별도의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실내벽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는 그 장치의 시공이 매우 어렵고 벽을 훼손하며 고정형이어서 유지보수 측면뿐만 아니라 햇빛 쏘이기, 바람 쏘기기 등의 면에서도 불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이동형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면녹화장치는 실내벽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직의 녹화벽면을 만들어 이를 실내 벽면 가까이에 세워두거나 또는 실내공간을 구획하여 공간을 나누기 위한 가변 칸막이로 사용하거나 또는 실내장식 오브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또한 필요에 따라 햇빛과 바람이 좋은 실외나 창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case of installing the indoor wall surface recording device directly on the indoor wall surface by using screws or other attachment means, it is very difficult to construct the device and damages the wall, so that it is fixed type so that not only the maintenance side but also sunlight shooting, The indoor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developed as a portable type. The movabl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not as a method of directly attaching to a wall of an indoor wall but as a vertical partition wall which is used as a variable partition for setting up a wall near a room wall or dividing a space by dividing an indoor space,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to move to a sunny and windy outdoors or a window, if necessary.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효과는 후술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의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는 그 일 특징에 따라,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l-

상면(106)에 급수구(114)가 형성되고, 전면(107)에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h1)를 두어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한편 이 개구부 둘레를 따라 화분을 경사지게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벽(110)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저면(108)에 소정 길이(h3)의 출수관(118)이 저면으로 부터 돌출형성되고, 후면(105)에 걸이구(116)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높이(h2)의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이 형성된 박스형 화분수용용기(100)와;
A water supply port 114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6 and an opening 112 for receiving a flowerpot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07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1 from the lower end thereof, And a water outlet pipe 118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3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08 and a hook hole 116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05 A box-shaped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in which an overflow guide wall 12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2 is formed;

수직하게 설치된 사각틀형 외곽 프레임(172)과 이 외곽 프레임 내에 소정 종횡간격을 두어 설치된 종횡방향 그리드바(175)(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화분수용용기(100)를 연접하여 걸 수 있는 장착틀(170)과;
And a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oriented grid bar (175) (174)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ngitudinally and longitudinally spaced interval in the outer frame. The transverse grid bar (17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 mounting frame (170) for connecting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to each other;

상기 장착틀(170)의 전방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부에 집수용 드레인부(162)가 구비된 집수조(160)와, 이 집수조 내부에 구비된 수중모터펌프(190)와, 일단은 이 수중모터펌프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틀에 걸린 각 박스형 화분수용용기(100) 내로에 급수하기 위한 분배기(188)에 연결되는 급수파이프(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관수장치(150);
An underwater motor pump 190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tank 170 and a water pump 17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frame 170 and having a collecting drain portion 162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ater supply pipe (180)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188)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box type pot storage container (100) attached to the mounting frame at the other en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그 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wall-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오버플로우의 수면높이(h2)는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화분(200)이 장착되었을 때 그 화분의 적어도 하단 일부분이 상기 오버플로우 수면(128) 내로 잠기는 부분잠김부(129)가 형성될 수 있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overhanging water surface height h2 is formed such that when the pollen 200 is loaded through the opening 112, at least a lower portion of the pollen is locked into the overflow water surface 128 And the height of the wall-side wall of the wall-side wall of the wall-side wall.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그 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wall-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에는 그 후면(105)으로부터 전면(107)을 향하여 경사지게 뻗는 화분(200)의 저면 상단측 받침편(1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bottom wall top side support piece 120 of the pollen 200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rear face 105 toward the front face 107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그 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wall-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분배기(188)는, 수평관부(184)와, 이 수평관부(184)로부터 다수개 분지하여 각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에 형성된 급수구(114)에 접속하는 수직분지관부(186) 및 이 수직분지관부를 통과하는 물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량조절놉(18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distributor 188 includes a horizontal tube portion 184 and a vertical branch tube portion 186 branched from the horizontal tube portion 184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ot storage container 100, And a quantity control knob 187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branch pipe portio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그 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wall-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착틀(170)과 상기 관수장치의 집수조(160)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mounting frame (170) and the water collecting tank (160) of the watering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그 다른 일 특징에 따라,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wall-

상면(106), 좌우면(102)(104), 후면(105) 및 소정 형상의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둘레로 소정 경사각도로 돌출된 가이드벽(110)이 구비된 전면(107)을 포함하는 중공(中空) 박스형 화분수용용기(300)와;
A front surface 107 having a top surface 106, left and right surfaces 102 and 104, a rear surface 105 and an opening 11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 guide wall 110 projecting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round the opening, A hollow box-type pot storage container 300 comprising:

수직하게 설치된 사각틀형 외곽 프레임(172)과 이 외곽 프레임 내에 소정 종횡간격을 두어 설치된 종횡방향 그리드바(175)(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화분수용용기(300)를 연접하여 걸 수 있는 장착틀(170);
And a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oriented grid bar (175) (174)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ngitudinally and longitudinally spaced interval in the outer frame. The transverse grid bar (17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 mounting frame (170) for connecting the pot storage container (300) in a connected stat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녹화장치는 그 다른 일 특징에 따라,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wall-pa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분수용용기(300)의 전후좌우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하단부에 는 화분수용용기(300)의 내부에 담긴 물의 높이를 화분수용용기(30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사이트 글라스(30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nd a screen glass (302) is further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는 소정의 규격화된 크기의 단위 화분수용용기 다수개를 모듈화 방식으로 수직면상에 배치할 수 있는 벽면녹화기술 또는 엽채류 수직재배 기술이어서 벽면녹화의 연출과 표현이 자유롭고 특히 모듈화의 핵심구성인 단위(單位) 화분수용용기의 구성이 극히 간단하여 그 제조비를 줄일 수 있고 설치와 유지관리가 편리하여 대중화하기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The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l-screening technology or a vertical vegetable-growing techniqu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flowerpot accommodating containers of a predetermined standardized size can be arranged on a vertical plane in a modular man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direct and express w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convenient to install and maintain and popularize the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는 기존의 종묘포트에 화초가 최초 식재된 상태 그대로를 분갈이 하지 않고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벽면녹화장치의 초기 연출뿐만 아니라 시간경과에 따라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변화연출이 자유롭고 화초 건강상의 이유로 인한 부분적인 교체도 편리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existing seedling pots without changing the initial planting state of the plants. Thus, it is possible to use the wall- There is also a convenient advantage of partial replacement due to free and health reasons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는 평상시 사람이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화초에 대한 물주기를 자동으로 신뢰성 있게 할 수 있어서 관수조절이 대단히 편리한 이점이 있다.
Also, the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nd reliably make the water cycle for a plant even if a person does not pay any special attention, so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control irrig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는 그 설치시공과 유지관리가 쉬워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가 설치된 실내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그 어느 누구라도 남녀노소 구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를 손쉽게 유지관리할 수 있고 쉽게 그 위치를 옮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so that any person who uses the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ny wal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maintained and easily relocated.

도 1은 국내 등록특허 제10-791,405호에 따른 벽걸이식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국내 실용신안 제20-0449981호에 따른 진공흡착에 의한 벽면부착 장식용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국내 등록특허 제10-989,705호에 개시된 벽걸이용 화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249,812호에 개시된 벽면 고정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296,738호에 따른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국내 등록특허 제10-653,790호에 따른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 컬러블록 화분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043,958호에 따른 조립식 벽면조경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20-2013-4204호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국내 등록특허 제10-722,371호에 따른 화분의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고,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를 모듈화 방식으로 걸어 수직벽면을 이루기 위한 장착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그 전방측 사시도이고, (b)는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가 도 11에 도시한 장착틀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그 전방측 사시도이고, (b)는 그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가 장착틀에 장착된 상태의 관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장착틀의 맨 윗단 상부에 설치되는 분배기의 수직분지관부가 동일 높이로 인접하게 장착된 맨 윗단 각 단위 화분수용용기의 상면 급수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그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틀의 하부에 구비된 집수조 및 집수조의 내부에 비치된 수중모터펌프를 도시한 후방측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가 장착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화분수용용기에 종래 공지된 소형 종묘포트가 장착되는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방에서 본 전체 외관 사시도이고, (b)는 후방측 사시도이며 (c)는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hanger fixture for a wall-mounted type flower pot and a molding fixture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10-791,405.
FIG. 2 is a view showing a decoration attachment for wall attachment by vacuum adsorption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No. 20-044998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wall pott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989,705.
FIG. 4 is a view showing a plant for planting a fixed wall typ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49,812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erpot for wall-painting greening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96,738 and a wall gardening vertical gardening system using the same.
6 is a view showing a wall-mounted color block flower pot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10-653,790 and a color block flower pot set using the same.
FIG. 7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all surface landscape system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10-1,043,958.
FIG. 8 is a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 20-2013-4204.
9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pollen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722,371.
Fig. 10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unit pot storage container of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n entire outline perspective view, (b) Sectional view.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frame for forming a vertical wall surface by modularly hanging a unit pot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hereof, to be.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unit pot storage container of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11, wherein (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hereof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thereof.
1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rriga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unit pot storage container of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unting frame, wherein (a)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5, and FIG.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Fig.
FIG. 14 is a rear side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tank provided in a lower part of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underwater motor pump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tank; FIG.
Figs. 15 (a) and 15 (b)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in which a conventionally known small seedling port is mounted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in a state where the unit pot storage container of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Fig.
Fig. 1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unit pot container for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고, (b)는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unit pot storage container of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n entire outline perspective view, (b) Sectional view.

도 10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100)는 대체로 상자형 중공박스의 전면에 중공 원통체 가이드벽(110)가 비스듬하게 결합된 형태의 외관을 갖는 부재이다.
10, the unit pot storage container 100 of the wall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appearance in which the hollow cylindrical guide wall 110 is oblique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x- Member.

구체적으로, 박스를 이루는 상면(106)에는 급수구(給水口)(114)가 형성되고, 박스의 전면(107)에는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h1)를 두어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한편 이 개구부(112) 둘레를 따라 예컨대 중공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벽(11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가이드벽(110)은 도 10(b) 단면도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그 하단측이 상단측(110-1)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단측(110-1)은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 공간으로 뻗도록 형성됨으로서, 이 가이드벽(110)에 안내되어 삽입되는 화분(200)의 경사진 상측 부분은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로 수용되어 은폐됨으로써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되는 한편 화초나 옆채류가 심어진 식재면이 가능한 한 상부를 향하여 많이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Specifically, a water supply port 114 is formed on a top surface 106 forming a box, and a front surface 107 of the box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12 (see FIG. 1) for accommodating the flowerpot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1 from the lower end thereof, And a guide wall 110 made of, for example, a hollow cylindrical body is formed to protrude around the opening 112. 10 (b),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110 protrudes further forward than the upper end 110-1 and the upper end 110-1 of the guide wall 110 protrudes forward from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So that the inclined upper portion of the pollen 200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wall 110 is received and hidden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ake the planting surface on which the lateral side stream is planted to be seen more toward the upper side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의 전술한 부분 돌출형 가이드벽(110)은 그 크기와 형상이 시중에서 유통되는 크기의 종묘포트(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특별하게 구분표기하지 않고 화분이라고 지칭하는 경우 이 화분의 용어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종묘포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게 디자인된 형태의 화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를 꼭 들어맞게 수용하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화분을 장착한 이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벽(110)의 직경 내지 그 상하측 내주면 간의 거리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광하협형(上廣下狹形)으로 테이퍼지게 가변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 경사각의 크기를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직경과 크기의 화분에 대해 그 삽입되는 크기와 깊이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artially projecting guide wall 110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eedling port of a size and a size that can be circulated in the market (hereinafter, The terminology of the pollen should be understood as a pollen which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including a commercially available seedling port) So that it can be stably managed without shaking after mounting.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guide wall 110 and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guide wall 110 may be varied so as to be tapered in an upwardly oblique shape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As the size varies, it may be possible to vary the size and depth of the inserts for different diameters and sizes of pollen.

본 발명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는 이 화분수용용기(100)에 수용된 화분에 저면급수방식(底面給水方式)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개별 저류조(貯留槽)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서, 화분수용용기(100) 내로의 물의 공급은 그 상면(106)에 형성된 급수구(114)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 저면(108)에 담기는 물은 소정 높이(h2)의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에 의해 그 저류되는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lso as a separate storing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llen contained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in a bottom surface water feeding system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100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6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108 of the pot storage container 100 is filled with water The height thereof stored by the flow guide wall 126 can always be kept constant.

따라서 가이드벽(110)에 안내되어 전면 개구부(112)를 통해 인입된 화분은, 도 10(b)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적어도 그 하단부의 저면 일부가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에 의해 저류되는 최대 수면높이(128) 아래로 잠길 수 있게 구성되는 경우, 이 부분잠김부(129) 내의 물이 화분(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데, 이처럼 화분(200)의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에 대한 부분잠김부(129)의 구성은 전술한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의 구성과 함께 화초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되 과수(過水)되지 않도록, 즉 물을 필요적정하게 급수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그 기술적 유용성이 있다.
10 (b),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ot is guided by the overflow guide wall 126, The water in the part-locked portion 129 can be supplied into the pollen 200 whe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is configured to be locked below the maximum water surface height 128, The structure of the partial locking portion 129 with respect to the water stored in the inside of the overflow guide wall 126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overflow guide wall 126 described above, There is a technical merit because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water properly.

한편 종래의 종묘포트 화분은 그 저면에 흔히 방사상의 물빠짐 천공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사상의 물빠짐 천공부는 그런 화분을 임의의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에 장착하더라도 전술한 부분잠김부(129) 내에 적어도 하나의 물빠짐 천공부가 직접 물에 접하게 되어 그 화분 내로의 물공급에 유리하다. 한편 필요한 경우 이와 같은 공지의 화분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에 장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디자인된 별도의 화분을 따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meantime, the conventional seed pot pot is often provided with a radial water fall-out perforation (not shown) on its bottom surface. Such a radial water fall-off perforation is such that the pollen can be moved in any direction in the pot receiving container 100 The at least one water-impermeable perforation is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above-mentioned partial-securing portion 129, which is advantageous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pot. If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known pollen, a separate pot designed for use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prepared.

본 발명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의 바닥 저류조에 담긴 물을 화분에 모세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급수용심지(給水用沁地)(202)가 사용되며, 이 급수용 심지는 저류조에 딤긴 물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그 저류조의 물을 빨아들여 화분(200) 내에 물을 공급한다. 이 급수용심지(202)는 그 일단이 화분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저류조 내의 물에 접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이며, 직물과 같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소재이면 족하다.
A water supply mast 202 for allowing capillary movement of water contained in the bottom tank of the pot storag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water supply wick, Water is supplied to the pots 200 by sucking the water from the tank. The water supply inertial paper 202 is long enough to have one end thereof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lowerpot and the other end thereof to be in contact with water in the storage tank, and a material capable of sucking water by capillary phenomenon like a fabric is satisfactory.

상기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은 도시한 것처럼 수직벽(122)에 이어서 경사벽(124)이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닥 저류부 내의 낙엽과 같은 이물질이 오버플로우 공간으로 넘어가 출수관(118)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overflow guide wall 12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clined wall 124 is extended to the vertical wall 122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leaves in the bottom reservoir is passed to the overflow space, And it is preferable.

도 10(b)에서 도면부호 118은 상면(106)의 급수구(114)를 통해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이 h2 높이를 넘어 오버플로우되는 경우, 그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배수하여 그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단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 급수구(114)로 인입시키기 위한 소정 길이(h3)의 출수관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는 상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저면(108)에 돌출형성된 출수관(118)이 그 하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106)에 형성된 급수구(114)에 유체연통(流體連通)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세로줄 맞추어 끼워지는 극히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시스템 전체에 걸쳐 또는 세로줄 단위로 각 화분수용용기(100) 내로 연속하여 물을 공급하게 된다.
In FIG. 10 (b), reference numeral 118 denotes a case in which, when the water supplied into the pot receiving container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14 of the upper surface 106 overflows over the height h2, Is a water outlet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3) for draining water to enter the upper surface water feed port (114) of the lower pot pollutant container (100) disposed below the water tub. That is, in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pipe 118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08 of the upper pot storage container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6 of the lower pot storage container 100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ot receiving container 100 over the entire system or in the form of a vertical line by an extremely simple structure that is successively fitted in vertical lines so as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pot receiving container 10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부 출수관(118)의 하부 급수구(114)에 대한 삽입체결을 쉽게 하는 한편 상하 화분수용용기(100) 상호간의 다소간의 좌우방향 엇갈림이 있더라도 그러한 장착유격(裝着裕隔)을 ?수할 수 있도록 급수구(114)의 직경을 출수관(118)의 직경보다 크게 하거나 가로로 긴 장공(長空)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ile it is easy to insert the upper water pipe 118 into the lower water supply port 114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a slight lateral shif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werpot containers 100, the installation clear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water supply port 114 is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discharge pipe 118 or that the water supply pipe 114 is formed into a horizontally elongated shape.

또한 상부 출수관(118)의 하부 급수구(114)에 대한 삽입체결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출수관 외주면에 외나사를 형성하고 급수구 내주면에 내나사를 형성하여 이들 출수관과 급수구 상호간을 나사결합하는 구성, 또는 출수관의 단부(端部) 외주면에 뭉뚝한 돌기나 융기부를 형성하고 급수구(114)의 형상을 이 융기부가 삽입되어 빠지지 않는 땅콩형상의 이중 직경 홀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상하측 화분수용용기(100)간의 수직방향 연결을 이러한 출수관(118)과 하부 급수구(114) 자체의 체결구성에 의해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하는 장착틀이 필요하지 않고 최상단 화분수용용기(100)만을 벽걸이하여 수직하게 매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sertion of the upper water outlet pipe 118 into the lower water inlet 114, an external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outlet pipe (not shown), and an intern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inlet. And the water supply port 114 is formed in a shape of a peanut-shaped double-diameter hole which does not come off because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port 114, The vertical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t storage containers 100 can be achieved by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118 and the lower water supply hole 114. In this case, Only the wall 100 can be hanged vertic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에는 후면(105) 상단측으로부터 전면(107) 하단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뻗는, 화분(200) 저면 상단측 받침편(12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받침편은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첫째는 화분의 종류(직경)에 상관없이 그 화분수용용기(100) 내로의 삽입깊이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함으로써 전술한 화분(200)의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에 저류된 물에 대한 부분잠김부(129)의 정도(깊이 내지 부피)를 일정하게 설정하는 데에 기여하며, 둘째는 급수구(112) 통해 낙수되는 물을 받아내려 그 물이 화분(200)의 저면에 접하도록 하는 관수(灌水)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ot bottom 200 side bottom support piece 120 slanting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rear face 105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front face 107 is provided inside the pot receiving container 100 of the wall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serve two functions. First, it functions as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pollen receptacle 100 into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regardless of the type of pollen (diameter) (Depth to volume) of the partial submerged portion 129 with respect to the water stored in the pot 200. The second portion receives the water dripp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12, And a water guide for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한편 이 받침편(120)을 그 두께나 재료를 조절하여 탄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탄성이 있으면 화분(200)의 자중에 의해 또는 수동조작으로 그 경사각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경시적(經時的) 처짐을 방지하려면 그 경사진 이면에 추가의 받친돌기(미도시)를 형성해 둘 수도 있다.
The supporting piece 120 may be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by adjusting its thickness or material. If the supporting piece 120 is elastic, its inclination angle can be variably controlled by the weight of the pot 200 or by manual operation. On the other hand,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oblique back surface to prevent (temporarily) deflection.

도 10(b)에서 도면부호 116은 화분수용용기(100)를 후술하는 장착틀(170)의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걸기 위한 걸이구이다. 장착틀(170)의 횡방향 그리드바(174)는 철망이나 합성수지망과 같은 직경이 작은 선재(線材)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어서 이러한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아무런 어려움 없이 단순히 걸도록 구성된 걸이구(116)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시스템의 사용을 대단히 편리하게 한다. 그러나걸이구(116)가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화도 가능하다.
10 (b), reference numeral 116 denotes a hook for hooking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to the lateral grid bar 174 of the mounting frame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ransverse grid bar 174 of the mounting frame 170 may be made of a wire having a small diameter such as a wire net or a synthetic resin net so that the transverse grid bar 174 can be easily hooked to the transverse grid bar 174 without any difficulty. (116) greatly facilitates the use of the wall-scree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hook 116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용 화분수용용기(100)는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전체적으로 좌우가 대칭형이기 때문에 재료량이 적고 제조가 쉽다. 예컨대 좌우로 분할된 형태의 한 쌍의 금형만으로 사출성형한 후 그 두 분할편을 마주보게 하여 열용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출성형을 위한 좌우분할금형은 사출물의 형빼기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극히 단순한 금형이다.
The potting container 100 for a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symmetrical in its entirety, so that the amount of material is small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For example, the mold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molding only a pair of mold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then thermally welding the two divided pieces fac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split molds for injection molding are used for mold- It is an extremely simple mold that can be easily don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전술한 바와 같은 단위 화분수용용기(100)를 모듈화 방식으로 걸어 수직벽면을 녹화연출하기 장착틀(17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그 전방측 사시도이고, (b)는 후방측 사시도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frame 170 for recording and directing a vertical wall surface by modularly hanging a unit pot storage container 100 as described above of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틀(170)은 수직하게 설치된 사각틀형 외곽 프레임(172)과, 이 외곽 프레임 내에 소정 종횡간격을 두어 설치된 종횡방향 그리드바(175)(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전술한 화분수용용기(100)를 복수개 횡방향으로 연접되도록 걸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mounting frame 170 includes a vertically installed frame-shaped outer frame 172 an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al grid bars 175 and 174 provided at predetermined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in the outer frame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pollen receiving containers 100 can be attached to the transverse grid bar 174 in the lateral direction.

틀부재(170)의 종방향 그리드(175)는 그 좌우측 간격을 전술한 화분수용용기(100)의 좌우방향 폭과 같게 하거나 좌우방향 단위눈금자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화분수용용기를 모듈화 방식으로 장착하는데 기여하는 외에 화분수용용기(100)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화분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횡방향 그리드(174)가 처지지 않도록 역학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화분수용용기(100)의 좌우방향의 폭 및/또는 이 화분수용용기(100)에 담겨지는 화분의 상, 하/좌, 우 간격은 화초나 채소의 성장볼륨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grid 175 of the frame member 170 contributes to modularly mounting the pot receiving container by making the left and right gaps equal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or by acting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unit rulers And also serves to dynamically support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nd the transverse grid 174 supporting the vertical load of pollen received therein. The lateral width of the pot storage container 100 and / or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pacing of the pots contained in the pot storage container 1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growth volume of plants and vegetables.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100)가 도 11에 도시한 장착틀(170)에 장착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그 전방측 사시도이고, (b)는 그 후방측 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unit pot storage container 100 of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70 shown in Fig. 11 (a)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thereof, and (b)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thereof.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100)는 장착틀의 상단부부터 횡방향으로 걸려지며, 그 하부에 두 번째 행이 상하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각 열 맞추어 연결장착된다. 상하방향 연결은 전술한 것처럼 상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저면(108)에 돌출형성된 출수관(118)이 그 하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106)에 형성된 급수구(114)에 유체연통(流體連通)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세로줄 맞추어 끼워짐으로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unit pot storage container 100 of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is hu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traight lines. The upward and downward connec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water pipe 118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08 of the upper pot storage container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6 of the lower pot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y are successively fitted in vertical lines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100)가 장착틀(170)에 장착된 상태의 관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장착틀의 맨 윗단 상부에 설치되는 분배기(188)의 수직분지관부(186)가 동일 높이로 인접하게 장착된 맨 윗단 각 단위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 급수구(114)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그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rriga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unit 100 for accommodating a unit flowerpot of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unting frame 170, The vertically branched pipe portion 186 of the distributor 188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water supply port 114 of the uppermost stage unit pot storage container 100 mounted adjacent to the same height,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도 13(a)에 의해 분배기(188)가 수평관부(184)와, 이 수평관부(184)로부터 다수개 분지하여 각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에 형성된 급수구(114)에 접속하는 수직분지관부(186) 및 이 수직분지관부를 통과하는 물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량조절놉(187)(선택적 요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13(b)에 의해 상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저면(108)에 돌출형성된 출수관(118)이 그 하측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106)에 형성된 급수구(114)에 유체연통(流體連通)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세로줄 맞추어 끼워지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13 (a), the distributor 188 has a horizontal tube portion 184 and a vertical portion 184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ot storage container 100 by a plurality of branches from the horizontal tube portion 184, And a quantity control knob 187 (optional element)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branch pipe portion 186 and the vertical branch pipe portion. The water pipe 118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08 of the lower pot storage container 100 is vertically stitched in order to fluidly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6 of the lower pot storage container 100 It is well known that it loses.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틀(170)의 하부 전방에 구비된 집수조(160) 및 이 집수조(160)의 내부에 비치된 수중모터펌프(190)를 포함하는 관수장치(150)의 후방측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14 is a sid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150 including a water collection tank 16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mounting frame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underwater motor pump 190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on tank 160 Partial perspective view.

도 11 및 도 14에 의해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관수장치(150)는 장착틀(170)의 전방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부에 집수용 드레인부(162)가 구비된 집수조(160)와, 이 집수조 내부에 구비된 수중모터펌프(190)와, 일단은 이 수중모터펌프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틀에 걸린 각 화분수용용기(100) 내로 급수하기 위한 분배기(188)에 연결되는 급수파이프(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1 and 14, the watering apparatus 150 of the wall-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llection tank 170 having a collection drain port 162 disposed at a lower front end side of the installation frame 170, A distributor 188 connected to the underwater motor pump at one end and watering into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t the other end, the underwater motor pump 190 being provid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a water supply pipe 18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80.

이상과 같은 관수장치(150)는 도 11 및 도 14에서 전술한 장착틀(170)의 전방 하단측에 그 장착틀(170)과 일체되는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지만 장착틀(170)과 관수장비(150의 물리적인 일체화 구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을 서로 분리되게 구성한 후 사용할 때 이들 요소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수장치(150)와 장착틀(170)의 분리구성은 실내공간의 형태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간을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유익하다. 또한 저수조(160)는 관엽식물, 채소류에 관계없이 적절하게 급수 배수 처리만 해주면 되므로 그 생략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watering apparatus 150 described above is shown as being integrated with the mounting frame 170 at the front lower end side of the mounting frame 17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4, 150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physically integrated, but they may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when us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water storage tank 160 can be omitted because it is required to appropriately perform water supply and drainage regardless of the plants and vegetables. Should be understood.

한편, 도 14에는 수중모터펌프(19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라인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지만 전원인가 구성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수중모터펌프(190)의 간헐적 구동은 굳이 전기회로적인 설비의 구비하지 않고 기계적인 타이머(timer)(미도시)와 같은 설비로도 가능한데, 타이머의 구동에 의해 필요한 시간 간격으로 관수할 수 있고, 이러한 물의 공급시 아래쪽 화분수용용기로 순차적으로 오버플로우되는 물은 드레인부(160)를 거처 다시 집수조로 환수되어 재사용된다. 급수조에 담기는 물은 화초나 옆채류의 성장에 유익한 영양소가 용해된 양액(養液)인 것이 바람직하다.
14, a wiring line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mersible motor pump 190 is not shown,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ower supply configuration must be provided. The intermittent driving of the submersible motor pump 190 may be performed by a mechanical timer such as a timer (not shown) without an electric circuit, When the water is supplied, the water that is sequentially overflowed to the lower pollen receiving container is returned to the collecting tank through the drain 160 and re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tank is a nutrient solution in which the nutrients beneficial for the growth of the plant or the side stream are dissolved.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에서는 타이머를 사용한 수중모터펌프의 간헐구동방식, 각 화분수용용기(100) 내의 받침편(120)을 활용한 적심급수, 오버플로우 구조를 활용한 저면급수구조, 심지급수 및 분배기(188)의 수량조작놉(187)을 사용한 급수량의 열별(列別) 수동조작과 같은 다중의 관수제어기구에 의해 화초재배의 가장 어려운 과제인 물주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ittent driving method of the underwater motor pump using the timer, the bottom surface utilizing the wetted water supply utilizing the support pieces 120 in each pot storage container 100, The water system, which is the most difficult task of planting flower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multiple watering control mechanisms, such as manual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structure using the water quantity control knob 187 of the water supply structure and the water supply and distribution unit 188 .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가 직접 화분을 벽면에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단위 화분수용용기(100)를 모듈화하여 장착틀(170)에 거치한 후, 그 단위 화분수용용기(100)의 전방측에 형성된 경사 개구부(112)를 통해 시중에 널리 공지된 통상의 종묘포트와 같은 화분을 단순 장착하는 것만으로 벽면녹화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인 것을 잘 알 수 있다.
FIG. 15 is a schematic view of a unit flower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nit 100 is modularized and mounted on a mounting frame 170, It can be seen that the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wall surface is recorded by simply mounting a flowerpot such as a common seedling port well known in the market through the inclined opening 112 formed on the side of the wall.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장치의 단위 화분수용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전방에서 본 전체 외관 사시도이고, (b)는 후방측 사시도이며 (c)는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unit pot container for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300)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와 다른 점은,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장착틀(170)에 모듈화 방식으로 다수개 장착하여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단위 화분수용용기(300) 자체만을 개별적으로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벽에 못걸이 방식으로 걸어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사용방식을 넓힌 것이다.
As can be seen from these drawings,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300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70 as described above in a modular manner. In addition, the unit pot 300 can be individually placed on a desk and us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dividually.

이처럼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300)가 책상 위에 같은 평면상에 올려 놓여져 개별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100)의 저면(108) 상에 구비되었던 출수관(118)을 제거하여야 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급수구(114) 및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 구조가 불필요하여 이를 제거한 것이다.
In order to use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n the same plane and to be used individually, it is necessary to use the water receiving pipe 300, which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08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ort 114 and the overflow guide wall 126 structure for eliminating the water supply hole 118 and connecting the water supply hole 114 and the overflow guide wall 126 in a fluid communication man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unnecessary.

이러한 구성과 용도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300)에서는 그 급수를화분수용용기(100)의 전면(107) 개구부(112)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이때 화분수용용기(300)의 저면에 저류된 물에 대한 소정 부피의 부분잠김부(129)를 형성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받침편(120)이 채택되며 아울러 화분수용용기(300)의 전후좌우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하단부에는 화분수용용기(300)의 내부에 담긴 물의 높이를 화분수용용기(300)의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사이트 글라스(30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opening 112 of the front face 107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Similarly, the support piece 120 is adopted to form a partial volume locking portion 129 for the water stored in the bottom surface, and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ight glass 30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300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300.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300)가 장착틀(170)에 모듈방식으로 장착된 경우에는 각 개별 화분수용용기(300)의 전면 개구부(112)를 통해 먼저 소정량의 물을 각각 급수한 후 화분을 장착하게 되며, 시간 경과에 따라 그 각 화분수용용기(300)에 잔류되어 남아 있는 물의 양의 확인, 즉 추가 급수시점의 확인은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302)를 통해서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Whe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modularly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70,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first supplied through the front opening 112 of each individual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nd the confirmation of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each pot storage container 300 over time, that is, the confirmation of the timing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sight glass 302 You will know.

도 16에서 도면부호 130은 못걸이용 구멍이고, 132는 통기공이다.
In FIG. 16, 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n overtopping hole, and reference numeral 132 denotes a through-hole.

이상과 같은 제1, 2실시예에 따른 화분수용용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꾸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가능한 변경의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ainer for pot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 of possible changes is defined by the claims.

또한 이상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화분수용용기를 주로 벽면녹화용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구조의 변경없이 그대로 옆채류 재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옆채류 재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아파트 베란다와 같이 폭이 좁은 공간에서 수직재배할 수 있어서, 공간이 아쉬운 도시 농업에서는 이러한 수직 재배방식이 특히 유용하다. 식용채소를 가꾸기 위한 포트는 친환경 플라스틱포트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면서 농업을 영위할 수 있으며, 엽채류 재배용기로 사용할 경우 포트의 종횡방향 장착간격을 그 엽채류의 성장볼륨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절해 주면 족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for a flowerpot has been mainly described for wall-painting, but it can be used as a side-harvesting culture without changing its structure. This type of vertical cultivation is particularly useful in urban agriculture, which can be grown vertically in a narrow space, making it less spaceful. Ports for cultivating edible vegetables can be used for agriculture while maintaining a more hygienic environment by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 pots. When used as a leafy vegetables container, It is enough to adjust it to.

100 : 화분수용용기(제1실시예)
110 : 가이드벽 112: 개구부
120 : 화분저면 받침편 126 : 오버플로우 가이드벽
114 : 급수구 118 : 출수관
128 : 오버플로우 수면
150 : 관수장치 160: 집수조
170 : 틀부재 174 : 횡방향 그리드부재
175 : 종방향 그리드부재
180 : 급수파이프 188: 분배기
200: 종묘포트(화분)
300 : 화분수용용기(제2실시예)
100: pot storage container (first embodiment)
110: guide wall 112: opening
120: pot support base 126: overflow guide wall
114: water supply port 118: water outlet pipe
128: Overflow Sleep
150: Watering device 160: Water collecting tank
170: frame member 174: transverse grid member
175: longitudinal grid member
180: water pipe 188: dispenser
200: seedling pot (pot)
300: pot storage container (second embodiment)

Claims (10)

상면(106)에 급수구(114)가 형성되고, 전면(107)에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h1)를 두어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한편 이 개구부 둘레를 따라 화분을 경사지게 안내하여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벽(110)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저면(108)에 소정 길이(h3)의 출수관(118)이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후면(105)에 걸이수단이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높이(h2)의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이 형성된,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A water supply port 114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6 and an opening 112 for receiving a flowerpot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07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1 from the lower end thereof, A guiding wall 110 for guiding and guiding the guiding wall 11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water outlet pipe 118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3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08, And a box-shaped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 having an overflow guide wall (12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2)
상면(106)에 급수구(114)가 형성되고, 전면(107)에 그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h1)를 두어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한편 이 개구부 둘레를 따라 화분을 경사지게 안내하여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벽(110)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저면(108)에 소정 길이(h3)의 출수관(118)이 저면으로 부터 돌출형성되고, 후면(105)에 걸이수단이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높이(h2)의 오버플로우 가이드벽(126)이 형성된 박스형 화분수용용기(100)와;

수직하게 설치된 사각틀형 외곽 프레임(172)과 이 외곽 프레임 내에 소정 종횡간격을 두어 설치된 종횡방향 그리드바(175)(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화분수용용기(100)를 연접하여 걸 수 있는 장착틀(170)과;

상기 장착틀(170)의 전방 하단측에 위치하고 상부에 집수용 드레인부(162)가 구비된 집수조(160)와, 이 집수조 내부에 구비된 수중모터펌프(190)와, 일단은 이 수중모터펌프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장착틀에 장착된 각 박스형 화분수용용기(100) 내로 급수하기 위한 분배기(188)에 연결되는 급수파이프(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관수장치(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A water supply port 114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6 and an opening 112 for receiving a flowerpot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107 with a predetermined height h1 from the lower end thereof, A guide wall 110 for guiding and guiding the guiding wall 11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08. A water outlet pipe 118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3 is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08, A box-shaped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in which an overflow guide wall 126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2 is formed;

And a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oriented grid bar (175) (174)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ngitudinally and longitudinally spaced interval in the outer frame. The transverse grid bar (17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 mounting frame (170) for connecting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to each other;

An underwater motor pump 190 provid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tank 170 and a water pump 17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frame 170 and having a collecting drain portion 162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water supply pipe (180) connected to a distributor (188) for supplying water into each box-type pot storage container (100)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at the other end thereof;

A wall surface recording apparatu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의 수면높이(h2)는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화분(200)이 장착되었을 때 그 화분의 적어도 하단 일부분이 상기 오버플로우 수면(128) 내로 잠기는 부분잠김부(129)가 형성될 수 있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verhanging water surface height h2 is formed such that when the pollen 200 is loaded through the opening 112, at least a lower portion of the pollen is locked into the overflow water surface 128 A wall surface record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분수용용기(100)의 내부에는 그 후면(105)으로부터 전면(107) 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뻗어나온 화분(200)의 저면 상단측 받침편(1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
Claim 2
Wherein the bottom part upper end side support piece 120 of the pollen 20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face 105 toward the front face 107 is further formed in the inside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188)는, 수평관부(184)와, 이 수평관부(184)로부터 다수개 분지하여 각 화분수용용기(100)의 상면에 형성된 급수구(114)에 접속하는 수직분지관부(186) 및 이 수직분지관부를 통과하는 물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량조절놉(18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
Claim 2
The distributor 188 includes a horizontal tube portion 184 and a vertical branch tube portion 186 branched from the horizontal tube portion 184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ort 1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ot storage container 100, And a quantity control knob (187)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branch pipe portion.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틀(170)과 상기 관수장치의 집수조(160)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frame (170) and the water collecting tank (160) of the watering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수용용기(100)의 후면(105)에 그 내부와 통기하기 위한 통기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a ventilation hole for ventilating is further formed on a rear surface (105)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100)
상면(106), 좌우면(102)(104), 후면(105) 및 소정 형상의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둘레로 소정 경사각도로 돌출된 가이드벽(110)이 구비된 전면(107)을 포함하는 중공(中空) 박스형 화분수용용기(300)
A front surface 107 having a top surface 106, left and right surfaces 102 and 104, a rear surface 105 and an opening 11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 guide wall 110 projecting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round the opening, And a hollow box-type pot receiving container 300 including the container-
상면(106), 좌우면(102)(104), 후면(105) 및 소정 형상의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둘레로 소정 경사각도로 돌출된 가이드벽(110)이 구비된 전면(107)을 포함하는 중공(中空) 박스형 화분수용용기(300)와;

수직하게 설치된 사각틀형 외곽 프레임(172)과, 이 외곽 프레임 내에 소정 종횡간격을 두어 설치된 종횡방향 그리드바(175)(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횡방향 그리드바(174)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화분수용용기(300)를 연접하여 걸 수 있는 장착틀(1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A front surface 107 having a top surface 106, left and right surfaces 102 and 104, a rear surface 105 and an opening 11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a guide wall 110 projecting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round the opening, A hollow box-type pot storage container 300 comprising:

Shaped frame frame 172 provided vertically and vertical and horizontal grid bars 175 and 174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vertical and horizontal spacing in the outer frame. The transverse grid bar 174 is provided with transverse A mounting frame 170 capable of connecting and holding a plurality of the pot receiving containers 30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화분수용용기(300)의 전후좌우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하단부에 는 화분수용용기(300)의 내부에 담긴 물의 높이를 화분수용용기(30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사이트 글라스(30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pollen receiving container 300 And a screen glass (302)
KR1020140007550A 2014-01-22 2014-01-22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KR201500875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550A KR20150087510A (en) 2014-01-22 2014-01-22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550A KR20150087510A (en) 2014-01-22 2014-01-22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10A true KR20150087510A (en) 2015-07-30

Family

ID=5387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550A KR20150087510A (en) 2014-01-22 2014-01-22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7510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53B1 (en) * 2017-01-20 2018-07-27 주식회사 하츠 Block apparatus for plant
CN110063168A (en) * 2019-04-28 2019-07-30 武汉市安友科技有限公司 One kind is green to plant planting apparatus
KR102045006B1 (en) * 2019-06-24 2019-11-14 씨엠아이 주식회사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KR102081448B1 (en) * 2019-04-24 2020-02-26 합자회사 거광산업 Expension type garden system
KR102103575B1 (en) *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Modular planter and wall greening systems using them
KR102163153B1 (en) * 2020-05-20 2020-10-08 (주)비오시스 Wall greening module and wall gree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10051949A (en)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한설그린 Wall planting structure with air purification
KR102271415B1 (en) *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sing green plants
KR20210132840A (en) * 2020-04-28 2021-11-05 한경수 modular flowerpot using a multipurpose
KR102539608B1 (en) * 2022-08-29 2023-06-0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The Structure of vertical growing container for fruits and vegetabl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53B1 (en) * 2017-01-20 2018-07-27 주식회사 하츠 Block apparatus for plant
KR102081448B1 (en) * 2019-04-24 2020-02-26 합자회사 거광산업 Expension type garden system
CN110063168A (en) * 2019-04-28 2019-07-30 武汉市安友科技有限公司 One kind is green to plant planting apparatus
CN110063168B (en) * 2019-04-28 2023-12-29 武汉市安友科技有限公司 Green planting device
KR102045006B1 (en) * 2019-06-24 2019-11-14 씨엠아이 주식회사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KR102103575B1 (en) * 2019-09-19 2020-04-23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Modular planter and wall greening systems using them
KR20210051949A (en)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한설그린 Wall planting structure with air purification
KR20210132840A (en) * 2020-04-28 2021-11-05 한경수 modular flowerpot using a multipurpose
KR102163153B1 (en) * 2020-05-20 2020-10-08 (주)비오시스 Wall greening module and wall gree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71415B1 (en) *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sing green plants
KR102539608B1 (en) * 2022-08-29 2023-06-0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The Structure of vertical growing container for fruits and vegetab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7510A (en)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US5826375A (en) Modular planter system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102137860B1 (en) The Device of the Multiple Vertical Planting Vegetation
KR101127310B1 (en) Rotatable multistage flower pot
JP2016518120A (en) Vertical garden system
US10383287B2 (en) Vertical planter for growing plants
KR200477950Y1 (en) Apparatus of plant-pot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US10506771B2 (en) Modular hydroponic system
KR101227836B1 (en) Hydroponics flower port and hydroponics growing apparatus
JP2014076013A (en) Plant growing device
KR102117368B1 (en) Movable Flowerpot Display Stand
KR101079974B1 (en) Framed wall hangings
KR101466179B1 (en) Hydroponics apparatus with aquarium
KR20190137201A (en) Election type garden system
EP3533319A1 (en)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CN206413464U (en) A kind of planting unit for coordinating support body to use
KR200475823Y1 (en) Landscaping flower pot
JP2018174744A (en) Raising/display device for foliage plant
KR102073242B1 (en) Flowerpot and Assembled Tower flowerpot Assembly
CN211322202U (en) Green cultivation device that plants
RU173971U1 (en) MODULAR DEVICE FOR VERTICAL OR TILTED PLANT PLACEMENT
CA2284389C (en) Modular plan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