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006B1 -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 Google Patents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5006B1 KR102045006B1 KR1020190075172A KR20190075172A KR102045006B1 KR 102045006 B1 KR102045006 B1 KR 102045006B1 KR 1020190075172 A KR1020190075172 A KR 1020190075172A KR 20190075172 A KR20190075172 A KR 20190075172A KR 102045006 B1 KR102045006 B1 KR 102045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corner
- main body
- main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와 코너 플랜트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물 실내외의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쉽게 벽면의 녹화조경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for indoor and outdoor use, and more specifically,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ain plant and the corner plant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or facility indoors and outdoors, it is possible to easily wall greening landsca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조경이란 각종 시설물과 더불어 주변 경관에 친화적인 인테리어를 제공하는 여러 방식의 장식물을 총칭하는 것이다.Landscaping is the collective name for a variety of decorations that provide a variety of facilities and interiors that are friendly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현대사회에서는 좁은 국토의 영향, 국민들의 생활 질 향상, 건강을 위한 녹색생활, 환경의 관심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식물을 이용한 녹색조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interest in green landscaping using plants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the impact of narrow l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green living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
이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조경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가 좁고 높은 고층 건물이 많기 때문에 옥상 또는 벽면 조경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landscaping is made in various ways indoors or outdoors. In Korea, the importance of roof or wall landscaping is increasing due to the narrow land area and many high-rise buildings.
벽면 조경의 경우,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벽면에 바로 시공이 가능하고,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한정적인 토지면적을 사용하여 녹지율과 녹시율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case of wall landscaping,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it is possible to directly install on the wall of a building or facility, provide interior effects, and improve the greening rate and greening rate at the same time by using a limited land area. It is true.
이러한 종래의 벽면 조경 시설물에 대한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53728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23461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s No. 10-0853728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1) and Patent Publication No. 10-12346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2) are disclosed as a technology for such a conventional wall landscaping facility.
종래기술 1은 다수의 규격화된 벽면녹화 조립체를 시설물의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녹화조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데, 이는 조립체를 설치한 뒤, 식생 본체를 끼워넣어 설치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실내에 설치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The prior art 1 is to install a number of standardized wall recording assembly on the outer wall of the facility, so that the greening landscape is achieved, which is made to insert the vegetation body after installing the assembly, the install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indoor There is an unsuitable problem to install on.
한편, 종래기술 2는 복수 개의 플랜터 본체를 적층 조립한 상태로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녹화조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2 is attached to the wall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er body is laminated and assembled, so that the greening landscaping is made can be installed and used indoors.
그런데, 종래기술 2는 식물의 식재를 위해 모종을 구매한 경우, 항상 이를 옮겨 심는 분갈이가 필요하며, 수경 재배나 저면 관수를 통해 재배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By the way, in the prior art 2, when purchasing seedlings for planting plants, it is necessary to always divide the planting plant,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applied to cultivation through hydroponic cultivation or bottom watering.
또한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는 항상 벽면에 수직하게 조립되도록 이루어지는 바, 식물의 다양한 생육 조건에 맞춰 알맞은 형태로 변형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1 and the prior art 2 is always made to be assembled perpendicular to the wall, there is a limit that is difficult to deform in a suitable form to suit the various growth conditions of the plant.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와 코너 플랜트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물 실내외의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쉽게 벽면의 녹화조경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main plant and the corner plant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by installing on the wall of the building or facility indoors and outdoors, It is to provide a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for indoor and outdoor use that can be easily walled landscap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녹화벽면을 구성하는 벽면 녹화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본체 하부 배수구(110)가 형성되도록 하며, 벽면에 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본체 플랜트(100);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코너 하부 배수구(21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벽면 녹화 장치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 프랜트(200);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본체 물받이부(310) 및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코너 물받이부(320)를 포함하는 물받이부(300);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 또는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400);를 포함하며, 본체 플랜트(100b)의 하부가 다른 본체 플랜트(100a)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코너 플랜트(200b)의 하부가 다른 코너 플랜트(200b)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하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l record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greening wall surface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the
이때, 상기 본체 플랜트(100)는, 전면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복수 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전면 유도부(120); 및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전면에서 전면 유도부(120)의 좌우방향 양단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본체 전면 배수구(130);를 포함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에는, 하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 개의 저수격벽(140)이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저수공간(S)을 형성하며, 상기 저수격벽(140) 중 좌우방향 최외측에 구비된 저수격벽(140)은 좌우방향 최외측에 구비된 전면 배수 유도부(120)와 동일한 수직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후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본체 단턱부(151);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양측면 하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측면에 위치한 본체 단턱부(15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수직 끼움부(152); 및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상기 수직 끼움부(152) 사이를 연결하는 본체 지지부(153);를 포함하는 본체 수직 체결부(15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수직 끼움부(152)에는, 복수 개의 제 1수직 체결구(h1)가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가 상하방향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수직 체결구(h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와 제 2수직 체결구(h2)를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asteners h1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한편, 상기 본체 플랜트(100)에는,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는 토심 확장부(160)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본체 물받이부(31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단부와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코너 물받이부(32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하단부와 걸림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한편, 상기 수평 연결부재(4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단에는 손잡이(4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끝단 둘레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412)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타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측면상에는 둘레를 따라 정지돌기(413)가 돌출 형성되는 수평 연결돌기(410); 및 수평 연결돌기(410)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 상에 형성되는 수평 연결홈(420);을 포함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에는, 내부에 걸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50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에는 10cm 표준규격화분(P)의 배수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하면에서 경사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화분 고정부(510); 및 상기 화분 고정부(510)보다 상방측의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수용 배수구(520);를 포함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와 코너 플랜트가 좌우 또는 상하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식물의 다양한 생육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lurality of main plant and the corner plant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ssemble the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growth conditions of the plan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플랜트 및 코너 플랜트의 상하 조립의 경우, 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고, 좌우 조립의 경우, 수평 연결부재를 삽입한 뒤 회전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조립되는 바, 일반인이 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vertical assembly of the main body plant and the corner plant, the assembly can be assembled by fitting, and in the case of left and right assembly, the assembly is made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after inserting the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It is easy to install and inst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 플랜트의 하부 일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 플랜트의 상부 일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 플랜트의 상부 타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의 수직 조립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너 플랜트의 일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 쌍의 코너 플랜트의 수직 조립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물받이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연결 부재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연결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과 표준규격화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과 표준규격화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배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식물의 생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indoor and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la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la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op othe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pla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assembly embodiment of a pair of main body pla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 corner pla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assembly embodiment of a pair of corner plant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ra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us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ottom irrigation bas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combined with the base irrigation base and the standard flower po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to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combined with the base irrigation base and the standard flower po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state of the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growth state of the plant using the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물 실내외의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쉽게 벽면의 녹화조경이 가능한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 플랜트의 하부 일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 플랜트의 상부 일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 플랜트의 상부 타측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의 수직 조립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너 플랜트의 일측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한 쌍의 코너 프랜트의 수직 조립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물받이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연결 부재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 연결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과 표준규격화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과 표준규격화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의 배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를 이용한 식물의 생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plan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one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plant applied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조립함으로써 녹화벽면을 구성하는 벽면 녹화 장치에 있어서, 본체 플랜트(100), 코너 플랜트(200) 및 물받이부(300), 수평 연결부재(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a green wall i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상기 본체 플랜트(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본체 하부 배수구(110)가 형성되도록 하며, 벽면에 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The
상기 코너 플랜트(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코너 하부 배수구(21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벽면 녹화 장치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상기 물받이부(300)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본체 물받이부(310) 및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코너 물받이부(320)를 포함한다.The
상기 수평 연결부재(400)는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는 본체 플랜트(100)의 하부가 다른 본체 플랜트(10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코너 플랜트(200)의 하부가 다른 코너 플랜트(20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하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물받이부(300)는 최하단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 및 코너 플랜트(200)의 하단에 체결되도록 한다.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for indoor and outdoor combined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조립된 플랜트 장치의 최상단에 물을 공급하면, 이의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 및 코너 플랜트(200)로 순차적으로 물이 낙하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assembled plant device, water is sequentially dropped to the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플랜트(100)는 전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면과 양측면이 직립 구비되면서 상방이 개방된 함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하면에 복수 개의 본체 하부 배수구(110)가 관통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한편, 상기 본체 플랜트(100)는 전면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복수 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전면 유도부(120) 및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전면에서 전면 유도부(120)의 좌우방향 양단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본체 전면 배수구(1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에는 하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 개의 저수격벽(140)이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저수공간(S)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저수격벽(140) 중 좌우방향 최외측에 구비된 저수격벽(140)은 좌우방향 최외측에 구비된 전면 배수 유도부(120)와 동일한 수직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low
또한, 상기 저수공간(S) 중 최소 하나 이상의 저수공간(SC)은 하부가 폐쇄된 상태, 즉, 상기 본체 하부 배수구(110)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이때, 하부가 폐쇄된 저수공간(SC)은 상기 전면 배수 유도부(12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orage space (SC) of the storage space (S)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closed,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즉, 상기 본체 하부 배수구(110)는 상기 저수공간(S) 중 선택되는 저수공간(SO)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SO)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main body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되는 물의 일부는 전면 배수 유도부(12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된 저수공간(SC)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본체 전면 배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며, 일부는 본체 하부 배수구(110)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downward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즉,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저수된 상태가 되며, 더욱 많은 물이 유입되면, 저수된 물은 저수격벽(140)을 넘어 인접한 다른 저수공간(SO)의 본체 하부 배수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at i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always stored inside the
한편,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가 견고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본체 수직 체결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수직 체결부(150)는 본체 단턱부(151), 수직 끼움부(152) 및 본체 지지부(15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본체 단턱부(151)는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이 서로 동일한 수직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후면의 하부에 형성된다. The
부연하면, 상기 본체 단턱부(151)는 본체 플랜트(10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의 본체 단턱부(151)가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의 상부 공간으로 면접촉되는 상태로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상기 수직 끼움부(152)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양측면 하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 단턱부(151)로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측면에 위치한 본체 단턱부(15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The vertical
상기 본체 지지부(153)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상기 수직 끼움부(152)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는 상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b)의 수직 끼움부(152)와 본체 단턱부(151)가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a)와 끼움 결합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air of
이때, 상호 구성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끼움부(152)에는 복수 개의 제 1수직 체결구(h1)가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a, 100b)가 상하방향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수직 체결구(h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와 제 2수직 체결구(h2)를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도록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oupling of the configuration is made firmly, as shown in Figure 5, the vertical
이때, 상기 제 2수직 체결구(h2)는 나사의 몸통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는 제 2수직 체결부보다 작은 폭을 갖되 하방이 개방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econd vertical fastener (h2)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screw, the first vertical fastener (h1)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second vertical fastening portion of the groove is open downward In the form of
이에 따라, 상기 제 2수직 체결구(h2)와 제 1수직 체결구(h1)를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면, 나사가 억지 체결되면서 더욱 견고하게 체결된다.Accordingly, when the screw is fastened through the second vertical fastener h2 and the first vertical fastener h1, the screw is forcibly fastened and more firmly fasten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전면이 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식물이 경사진 상태로 식재될 수 있는 바,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을 더욱 연장하기 위해 상기 토심 확장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f the
상기 토심 확장부(160)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다. The
부연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심 확장부(160)는 하부가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토심 확장부(160)와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16, the
상술하면, 상기 토심 확장부(160)가 걸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가 상하 조립된 상태일 때, 상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의 상기 토심 확장부(160)와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 사이 공간으로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 상부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호 구성이 더욱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In detail, the
즉, 상기 토심 확장부(160)는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여 식재된 식물의 생장을 돕는 한편, 본체 플랜트(100)의 상하 조립시 더욱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 상부에는 벽면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한 쌍의 고리부(170)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데, 이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리부(170)의 이격거리(L1)는 상기 토심 확장부(160)의 하부측 좌우길이(L2)에 대응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즉, 상기 고리부(170)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가 상하 조립된 상태일 때, 상기 고리부(170)의 사이로 상기 토심 확장부(160)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 상부에 구비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고리부(170)는 별도로 구비되는 벽면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상기 코너 플랜트(200)는 한 쌍의 측면이 직교한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측면의 사이에 전면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코너 하부 배수구(210)는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전면 하부측에 구비되고, 복수 개의 코너 전면 배수구(230)는 코너 플랜트(200)의 전면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관통 형성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FIGS. 6 and 7, the
부연하면,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전면은 곡률진 형태 또는 각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한 쪽 측면이 본체 플랜트(100)의 좌우측면과 면대향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이 본체 플랜트(100)의 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가 되면서 체결된다. In detail, the front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코너 하부 배수구(210)는 코너 플랜트(2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 전면 배수구(230)는 코너 하부 배수구(210)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코너 하부 배수구(210)보다 상단측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이에 따라,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 유입된 물 중 일부는 유동되는 과정중에 상기 코너 전면 배수구(200)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코너 플랜트(200)의 하부 공간에 저수된 상태가 되며, 이후, 계속된 물의 공급에 의해 수위가 코너 하부 배수구(210)에 다다르면 이를 통해 물이 배출되게 된다. Accordingly, some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즉, 상기 코너 플랜트(200)에는 항상 일정 양의 물이 저장된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에는 하부에 코너 단턱부(221)가 형성된 코너 수직 체결부(220)가 더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이때, 상기 코너 수직 체결부(220)는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위치한 코너 플랜트(200b)의 코너 단턱부(221)가 코너 플랜트(200a)의 상부측으로 끼임 체결됨에 따라 한 쌍의 코너 플랜트(200a, 200b)가 상하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corner
또한, 한 쌍의 코너 플랜트(200a, 200b)의 상하 조립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 상부에는 나사 몸통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3수직 체결구(h3)가 형성되고, 상기 코너 단턱부(221)에는 돌출된 끝단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4수직 체결구(h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vertical fastener (h3)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crew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이때, 상기 제 4수직 체결구(h4)의 폭은 상기 제 3수직 체결구(h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3수직 체결구(h3)를 관통하여 상기 제 4수직 체결구(h4)와 체결되는 나사는 억지 체결되면서 상호 구성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as the width of the fourth vertical fastener h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vertical fastener h3, the fourth vertical fastener h3 passes through the third vertical fastener h3. h4) and the screw is fastened so that the mutual configuration can be tightened more firmly.
한편, 상기 물받이부(30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벽면 녹화 장치의 최하단에서 배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8, the
부연하면, 본체 물받이부(31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단부와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main
즉, 상기 본체 물받이부(310)는 상단에 형성된 본체 걸림돌기(311) 상기 본체 단턱부(151)에 형성된 본체 걸림턱(151a)과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본체 플랜트(100)와 체결된 상태가 된다.That is, the main
한편, 상기 코너 물받이부(32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하단부와 걸림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부연하면, 상기 코너 물받이부(320)의 상단에 형성된 코너 걸림돌기(321)가 상기 코너 단턱부(221)와 억지 끼움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상기 코너 플랜트(200)와 체결된 상태가 된다.In other words, the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상기 수평 연결부재(400)는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를 연결하거나,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 연결돌기(410) 및 수평 연결홈(420)을 포함한다.9 and 10, the horizontal connecting
상기 수평 연결돌기(4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단에는 손잡이(4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끝단 둘레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412)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타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측면상에는 둘레를 따라 정지돌기(413)가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수평 연결홈(420)은 수평 연결돌기(410)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수평 연결홈(420)은 상기 본체 지지부(153)와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상태일 때, 각 면에 형성된 수평 연결홈(420)이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connecting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수평 연결돌기(410)가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 또는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연결돌기(410)를 회전하는 동작으로 상호 구성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부연하면, 상기 수평 연결돌기(410)의 타단측이 상기 수평 연결홈(420)을 향하는 상태에서 인접한 한 쌍의 수평 연결홈(420)을 통과하도록 인입하면 상기 정지돌기(413)에 의해 상기 수평 연결돌기(410)의 진입이 정지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 연결돌기(41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돌기(412)에 의해 수평 연결돌기(410)가 본체 플랜트(100) 또는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과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other end side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를 생육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 및 설치 장소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조립한 뒤, 최상단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로 물을 공급하면, 일정량이 물만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에 저장되고 나머지 물은 배수구들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최하단의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까지 관수가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a, 100b, 100c)를 상하방향으로 적층 연결한 상태에서 식물을 식생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a와 100b 또는 100b와 100c) 중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 또는 100b)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하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b 또는 100c)의 내부로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식생면적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7, when planting vege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main body plants (100a, 100b, 100c) laminated in the vert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ain body plant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 Since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b, 100c)의 내부에 토양을 가득 수용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적층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의 하단부가 하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b)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과 맞닿는 상태로 적층된다.Referring to FIG. 17, wh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st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soil is fully accommodated inside the pair of
이때, 상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본체 플랜트(100c)의 토양 중 일부가 물의 유동에 따라 상기 본체 전면 배수구(130)와 본체 하면 배수구(110)를 통해 누출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b)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a, 100b)의 토양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이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에 식재된 식물이 생장하게 되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점차 깊은 토심으로 자라면서 상기 본체 전면 배수구(130)) 및 본체 하면 배수구(110)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b)의 내부로 뿌리 내림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plant planted in the main plant (100c)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grows, the root of the planted plant gradually grows into a deep soil,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main
이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뿌리내림 깊이가 달라지는데, 깊은 토심이 필요한 식물이 식재된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뿌리는 최상부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에서 중간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b)를 통과하여 최하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까지도 생장할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depth of rooting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When a plant that requires deep soil is planted, as shown in FIG. 17, its roo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즉, 본 발명에서는 상하방에 위치한 본체 플랜트(100c, 100b, 100a)의 내부 토양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서 식재된 식물은 연결된 토양을 공유하면서 생장이 가능한 바, 식물의 생장 면적이 증가하면서 깊은 토심을 요구하는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internal soil of the main plant (100c, 100b, 100a)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organically connected state, the planted plant is capable of growing while sharing the connected soil, increasing the growth area of the plant deep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ows the cultivation of plants that require soil.
한편, 상기에서는 식물의 생장시 토양을 공유하여 자라는 기술에 대해 복수 개의 본체 플랜트(100)를 연결한 구조로서 설명하였는데, 이는 코너 플랜트(200)에서도 동일하게 발현될 수 있는 효과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bed as a structure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the
한편,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키우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특히, 실내 실물의 경우, 깊은 토심을 요구하지 않고, 저면관수 또는 수경 재배로 재배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1 to 16,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s to be grow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door real, it may be necessary to cultivate by bottom irrigation or hydroponic cultivation without requiring a deep soil.
이 경우,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면으로부터 띄워진 상태로 재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에는 내부에 걸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be cultivated in a floating stat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은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본체 저면 관수용 받침(500a)과 코너 플랜트(200)의 배부로 삽입 체결되는 코너 저면 관수용 받침(500b)을 포함한다.The
이때, 상기 본체 저면 관수용 받침(500a)과 코너 저면 관수용 받침(500b)은 구비되는 플램트의 형태만 상이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상기 본체 저면 관수용 받침(500a)은 하부가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 공간에 띄워진 상태로 삽입 체결되되, 하면의 전방측이 하방을 향하고 후방측이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기울어지게 구비된다. The main body
이때, 상기 본체 저면 관수용 받침(500a)의 하면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돌출되는 화분고정부(5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화분 고정부(510)보다 상방측의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관수용 배수구(52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bottom watering support (500a) is further provided with a
부연하면, 상기 화분고정부(510)는 10cm 표준규격화분(P)의 배수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하면에서 경사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수용 배수구(520)는 상기 화분 고정부보다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구비된다. In other words, the flow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식물원 등에서 일반적으로 모종의 판매에 사용되는 10cm 표준규격화분(P)의 분갈이를 하지 않고 바로 저면 관수용 받침(500)에 고정함으로써, 식물의 재배가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directly to the
한편, 상기 코너 저면 관수용 받침(500b)은 하부가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내부 공간에 띄워진 상태로 삽입 체결되되, 하면의 전방측이 하방을 향하고 후방측이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구비되며, 하면에는 상기 화분고정부(510)와 복수 개의 관수용 배수구(52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rner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에 저면 관수용 받침(500)이 구비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적층 조립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물이 공급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에는 점차 물이 차오르게 되고,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수위가 상기 관수용 배수구(520)에 다다르게 되면 물이 상기 관수용 배수구(520)를 통해 본체 플랜트(100) 또는 코너 플랜트(200)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water is supplied upward in a state of being laminated and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이후, 상기 본체 플랜트(100) 또는 코너 플랜트(200)의 내부로 낙하된 물은 이들에 형성된 각종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이의 하부에 위치한 저면 관수용 받침(500)으로 공급되며, 이의 수위가 다시 관수용 배수구(520)에 다다르면 물이 낙하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water dropped into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플랜트(100)의 상방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토심 확장부(16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이 수압에 의해 패이거나 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o supply water above the
부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심 확장부(160)의 상단에는 관수용 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관수용 홈(180)이 공급밸브(미도시) 등과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4, the
이때, 상기 관수용 홈(180)은 상기 본체 저면 관수용 받침(500a)보다는 하방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저면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관수용 홈(180)은 상기 수평 연결홈(420)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수용 홈(180) 및 상기 수평 연결홈(420)은 배수마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ing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에 복수 개의 수평 연결홈(420)과 관수용 홈(180)이 형성된 바, 상기 홈들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토양이나 물이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connecting
따라서 상기 수평 연결홈(420)과 관수용 홈(180)은 식물의 생장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밀폐함으로써 청결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horizontal connecting
이때, 수평 연결홈(420)과 관수용 홈(180)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배수마개를 범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홈들을 쉽게 밀폐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range tha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P : 표준규격화분 S : 저수공간
h1 : 제 1수직 체결구 h2 : 제 2수직 체결구
h3 : 제 3수직 체결구 h4 : 제 4수직 체결구
1 : 벽면 녹화 장치
100 : 본체 플랜트 110 : 본체 하부 배수구
120 : 전면 유도부 130 : 본체 전면 배수구
140 : 저수격벽 150 : 본체 수직 체결부
151 : 본체 단턱부 151a : 본체 걸림턱
152 : 수직 끼움부 153 : 본체 지지부
160 : 토심 확장부 170 : 고리부
180 : 관수용 홈
200 : 코너 플랜트 210 : 코너 하부 배수구
220 : 코너 수직 체결부 221 : 코너 단턱부
221a : 코너 걸림턱 230 : 코너 전면 배수구
300 : 물받이부 310 : 본체 물받이부
311 : 본체 걸림돌기 320 : 코너 물받이부
321 : 코너 걸림돌기
400 ; 수평 연결부재 410 : 수평 연결돌기
411 : 손잡이 412 : 고정돌기
413 : 정지돌기 420 : 수평 연결홈
430 : 수평 연결캡
500 : 저면 관수용 받침 500a : 본체 저면 관수용 받침
500b : 코너 저면 관수용 받침 510 : 화분고정부
520 : 관수용 배수구
P: Standard flower pot S: Water storage
h1: first vertical fastener h2: second vertical fastener
h3: third vertical fastener h4: fourth vertical fastener
1: wall recording device
100: main body plant 110: main body lower drain
120: front induction unit 130: main body front drain
140: low water barrier 150: body vertical fastening portion
151:
152: vertical fitting portion 153: main body support
160: depth expansion portion 170: ring portion
180: watering groove
200: corner plant 210: corner lower drain
220: vertical corner fastening portion 221: corner step portion
221a: corner jam jaw 230: corner front drain
300: drip tray 310: body drip tray
311: main body locking projection 320: corner drip
321 corner corner bumps
400;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horizontal connecting protrusion
411: handle 412: fixing protrusion
413: stop protrusion 420: horizontal connection groove
430 horizontal connection cap
500:
500b: corner bottom irrigation base 510: potted plant
520: Drainage for watering
Claims (10)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본체 하부 배수구(110)가 형성되도록 하며, 벽면에 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본체 플랜트(100);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코너 하부 배수구(21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벽면 녹화 장치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 프랜트(200);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본체 물받이부(310) 및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코너 물받이부(320)를 포함하는 물받이부(300);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 또는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400);
를 포함하며,
본체 플랜트(100b)의 하부가 다른 본체 플랜트(100a)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코너 플랜트(200b)의 하부가 다른 코너 플랜트(200b)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하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플랜트(100)는,
전면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복수 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전면 유도부(120); 및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전면에서 전면 유도부(120)의 좌우방향 양단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본체 전면 배수구(13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에는,
하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 개의 저수격벽(140)이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저수공간(S)을 형성하며,
상기 저수격벽(140) 중 좌우방향 최외측에 구비된 저수격벽(140)은 좌우방향 최외측에 구비된 전면 배수 유도부(120)와 동일한 수직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In the wall recording apparatus for constituting the greening wall surface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plant 100 and the corner plant 200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front is inclined forward, so that a plurality of main body lower drain 110 is formed at the bottom, and is attachable to the wall;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one surface is inclined forward, so that a plurality of corner lower drain holes 210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the corners of the wall recording apparatus are selectively fasten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plant 100. Corner plant 200 to form;
A drip tray 300 including a main body drip tray 310 for receiving water drained from the main plant 100 and a corner drip tray 320 for receiving water drained from the corner plant 200;
Connecting between a pair of the main body plant 100 or the corner plant 200 disposed adjacen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connecting between the main plant 100 and the corner plant 200 disposed adjacen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00;
Includ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lant 100b is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main plant 100a, and the lower part of the corner plant 200b is screwed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corner plant 200b. Done,
The main plant 100,
A front induction part 120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and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ain body front drains 130 formed through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induction part 120 at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lant 100;
Including;
In the body plant 100,
The plurality of storage partitions 140 for dividing the lower space are arrange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form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S),
The interior and exterior combined-use modular wall surface of the low water barrier wall 140 is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front drain guide unit 120 provid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cording device.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본체 하부 배수구(110)가 형성되도록 하며, 벽면에 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본체 플랜트(100);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에는 복수 개의 코너 하부 배수구(21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좌우방향 양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면서 벽면 녹화 장치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 프랜트(200);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본체 물받이부(310) 및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코너 물받이부(320)를 포함하는 물받이부(300);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 또는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400);
를 포함하며,
본체 플랜트(100b)의 하부가 다른 본체 플랜트(100a)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코너 플랜트(200b)의 하부가 다른 코너 플랜트(200b)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하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연결부재(4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 일단에는 손잡이(4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끝단 둘레 일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돌기(412)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타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측면상에는 둘레를 따라 정지돌기(413)가 돌출 형성되는 수평 연결돌기(410); 및
수평 연결돌기(410)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코너 플랜트(200)의 측면 상에 형성되는 수평 연결홈(4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In the wall recording apparatus for constituting the greening wall surface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plant 100 and the corner plant 200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front is inclined forward, so that a plurality of main body lower drain 110 is formed at the bottom, and is attachable to the wall;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one surface is inclined forward, so that a plurality of corner lower drain holes 210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the corners of the wall recording apparatus are selectively fasten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plant 100. Corner plant 200 to form;
A drip tray 300 including a main body drip tray 310 for receiving water drained from the main plant 100 and a corner drip tray 320 for receiving water drained from the corner plant 200;
Connecting between a pair of the main body plant 100 or the corner plant 200 disposed adjacen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connecting between the main plant 100 and the corner plant 200 disposed adjacen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00;
Includ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lant 100b is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main plant 100a, and the lower part of the corner plant 200b is screwed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corner plant 200b. Done,
The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00,
Consists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handle 411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12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around the end is radially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A horizontal connection protrusion 410 on which a stop protrusion 413 is formed to protrude along a circumference on a side surfac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And
A horizontal connection groove 420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plant 100 and the side of the corner plant 200 to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rotrusion 410;
Combined indoor and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후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본체 단턱부(151);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양측면 하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측면에 위치한 본체 단턱부(15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수직 끼움부(152); 및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측면과 상기 수직 끼움부(152) 사이를 연결하는 본체 지지부(153);
을 포함하는 본체 수직 체결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plant 100,
A main stepped part 151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ide and the rear of the main plant 100;
Vertical fitting portions 15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main plant 100 and extending forward from the main step 151 located on the side; And
A main body support part 153 connecting between the side of the main body plant 100 and the vertical fitting part 152;
Indoor and outdoor combined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ain body vertical fastening unit 150 including a.
상기 수직 끼움부(152)에는, 복수 개의 제 1수직 체결구(h1)가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본체 플랜트(100)가 상하방향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수직 체결구(h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직 체결구(h1)와 제 2수직 체결구(h2)를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n the vertical fitting portion 152,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fasteners h1 are dispos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On both sides of the main plant 100, when the pair of main plant 100 is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vertical fastener (h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rtical fastener (h1) ) Is formed,
Indoor and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is fastened through the first vertical fastener (h1) and the second vertical fastener (h2).
상기 본체 플랜트(100)에는,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는 토심 확장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main plant 100,
Combined indoor and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pth expansion unit 160 provid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lant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plant 100 to expand the internal space .
상기 본체 물받이부(31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본체 플랜트(1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본체 플랜트(100)의 하단부와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코너 물받이부(320)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코너 플랜트(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코너 플랜트(200)의 하단부와 걸림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body drip tray 310 is formed in the upper part to collec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plant 100 located at the lower end, the upper end is fastened by slid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lant 100 ,
The corner drip tray 3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open to collec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orner plant 200 located at the lower end, the upper end is fastened by engag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corner plant 200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상기 본체 플랜트(100)와 코너 플랜트(200)에는,
내부에 걸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저면 관수용 받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main plant 100 and the corner plant 200,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for indoor and outdoor combined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se for receiving water irrigation 500 that is provided in a form that hangs inside.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에는
10cm 표준규격화분(P)의 배수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하면에서 경사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화분 고정부(510); 및
상기 화분 고정부(510)보다 상방측의 저면 관수용 받침(500)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수용 배수구(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bottom irrigation base 500 is
A pot fixing part 510 which is made to penetrate a drain hole of a 10 cm standard pot (P), and protrudes upwardly inclin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irrigation base 500; And
A watering drain 520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watering receiving base 500 above the pot fixing part 510;
Combined indoor and outdoor modular wall recording devic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172A KR102045006B1 (en) | 2019-06-24 | 2019-06-24 |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172A KR102045006B1 (en) | 2019-06-24 | 2019-06-24 |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5006B1 true KR102045006B1 (en) | 2019-11-14 |
Family
ID=6857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5172A KR102045006B1 (en) | 2019-06-24 | 2019-06-24 |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5006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2150A (en) * | 1999-03-15 | 2000-09-26 | Kajima Corp | Container for greening |
KR100853728B1 (en) | 2006-10-02 | 2008-08-22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Sectional facade greenery device |
KR101234615B1 (en) | 2012-02-03 | 2013-02-20 | 주식회사 그리움 | Planter for green wall |
KR101279133B1 (en) * | 2012-09-19 | 2013-07-01 | 나종원 | Vegetable culturing apparatus |
KR20150087510A (en) * | 2014-01-22 | 2015-07-30 |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
KR20150123066A (en) * | 2014-04-24 | 2015-11-03 | 테라아미주식회사 |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indoor garden system using the flower pot |
-
2019
- 2019-06-24 KR KR1020190075172A patent/KR1020450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2150A (en) * | 1999-03-15 | 2000-09-26 | Kajima Corp | Container for greening |
KR100853728B1 (en) | 2006-10-02 | 2008-08-22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Sectional facade greenery device |
KR101234615B1 (en) | 2012-02-03 | 2013-02-20 | 주식회사 그리움 | Planter for green wall |
KR101279133B1 (en) * | 2012-09-19 | 2013-07-01 | 나종원 | Vegetable culturing apparatus |
KR20150087510A (en) * | 2014-01-22 | 2015-07-30 |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
KR20150123066A (en) * | 2014-04-24 | 2015-11-03 | 테라아미주식회사 | Plant cultivation flower pot for air purification and the indoor garden system using the flower p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58925A1 (en) | Vertical planter | |
US7140149B2 (en) | High density planter | |
US7043877B1 (en) | Stackable planter | |
US4803806A (en) | Material for multi-level flower beds | |
EP0244935B1 (en) | Indoor hydroponic cultivation planter | |
US9374947B2 (en) | Wall planting module | |
AU2010258104A1 (en) | Vegetation support system | |
KR200479346Y1 (en) |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 |
JP2004248533A (en) | Planting greening wall | |
KR200386097Y1 (en) |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 |
US8635808B1 (en) | Partitioned planter | |
KR100479212B1 (en) |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 |
US20130042528A1 (en) |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 |
JP5368041B2 (en) | Container unit for greening | |
KR102045006B1 (en) | Indoor / outdoor combination modular wall planting device | |
US20020121048A1 (en) | High density planter | |
KR102038769B1 (en) | Plant-grown pots with a watering pot | |
KR101940697B1 (en) | Apparatus for growing shape installation surface of a wall | |
KR102002827B1 (en) | the greening fence manufactured using the 3D printer | |
KR102077897B1 (en) | Plant-grown pots that can block radiant heat | |
TW202202039A (en) | Planting pot, water supplying pot for use with the plant pot and planting structure comprising the planting pot and the water supplying pot | |
KR100676469B1 (en) | Water supply/drainage easy trees protection device for installing apartment house inside | |
KR100827572B1 (en) | Prefabricated flower garden of variableness type forapartment house | |
GB2475864A (en) | A modular planter | |
JP2007197993A (en) | Wall surface installation type pla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