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893A - 열융착기 - Google Patents

열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893A
KR20150086893A KR1020140007077A KR20140007077A KR20150086893A KR 20150086893 A KR20150086893 A KR 20150086893A KR 1020140007077 A KR1020140007077 A KR 1020140007077A KR 20140007077 A KR20140007077 A KR 20140007077A KR 20150086893 A KR20150086893 A KR 2015008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ng
main body
tip
flow path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112B1 (ko
Inventor
최병국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1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26Hot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열융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입구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구비하고, 툴체결구에 의해 강하판에 장착되어 상기 강하판의 하강에 의해 하강 동작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유로를 따라 공급된 가열 공기를 보스로 제공하고, 상기 강하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보스를 접촉 가압하여 융착헤드를 형성하는 융착팁;을 포함하되, 상기 융착팁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융착팁의 유로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금속성 재질의 볼부재; 및 자력을 통해 상기 볼부재를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는 열융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융착기 {HOT ST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열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부품 등의 조립에 사용되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있어서 플라스틱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중 하나로 열융착(또는, 열풍융착)이 알려져 있다. 열융착은 가열된 공기로 보스를 일부 용융시킨 후, 전기 가열된 융착팁으로 보스를 압착 및 용융시켜 보스의 끝단을 일부 변형시킴으로써, 각 부품 간을 조립 고정시키게 된다. 통상 이와 같은 열융착은 가열 공기를 제공하고 융착 팁을 구비한 열융착기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융착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열융착기(10)는 주입구(11)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히터(12)로 가열하여 본체(15)에 제공하게 된다. 본체(15)에는 가열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15a)가 마련되며, 히터(1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유로(15a)를 따라 본체(15) 하단의 융착팁(17)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융착팁(17)은 부재에 마련된 보스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고 보스를 압착하여 보스 끝단에 융착헤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15) 하부측에는 열융착시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리브(16)가 마련되어 융착팁(17)을 감싸게 되며, 본체(15)는 툴체결구(13)에 의해 강하판(1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융착기(10)는 강하판(14)이 하강됨에 따라 융착팁(17)이 보스로 접근되어 보스 끝단을 용융 압착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융착팁(17)의 하강거리나 압력이 적절히 조절되지 못하여 접합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하나의 강하판(14)에 복수개의 본체(15), 융착팁(17) 등이 설치된 경우 보다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융착팁(17)이 하나의 강하판(14)에 의해 하강되기 때문에 초기 장착 상태나 각 보스 간 편차 등에 따라 일부에서는 과도한 하강이나 압력이 부가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에서는 충분한 하강 거리나 압력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융착기에 있어서 접합 불량이 발생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도 1 하부측에 도시된 융착팁 부분을 중심으로 확대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제 1, 2 부재(B10, B20)의 조립을 위해, 융착팁(17)은 가열된 공기를 보스(B21)로 공급하여 보스(B21) 끝단을 일부 용융시키게 되며, 보스(B21)를 향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용융된 보스(B21) 끝단을 누르게 된다. 또한, 융착팁(17)은 전기 가열 등을 통해 가열된 상태로 보스(B21) 끝단을 누르게 되며, 보스(B21) 끝단은 가열된 공기 및 융착팁(17)에 의해 용융 및 변형되어 도 2의 (b) 또는 (c)와 같은 융착헤드(B22)를 형성하게 되며, 융착헤드(B22)에 의해 제 1, 2 부재(B10, B20)가 조립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있어 융착팁(17)의 적절한 하강 거리나 압력 조절은 양호한 접합 품질을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도 2의 (b) 및 (c)는 융착팁(17)의 적절한 하강 거리나 압력 조절이 이뤄지지 않아 접합 불량이 발생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의 (b)와 같이 융착팁(17)이 지나치게 많이 하강되거나 보스(B21)를 강하게 누르게 되면, 융착팁(17)에 의해 보스(B21)나 제 1, 2 부재(B10, B20)에 변형,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도 2의 (c)와 같이 융착팁(17)이 충분히 하강되지 않으면, 융착헤드(B22)와 제 1 부재(B10)의 표면 간 갭(G)이 형성되어 접합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강하판(14)에 복수개의 융착팁(17) 등이 설치된 경우 상기와 같은 각 융착팁(17) 간 편차 등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접합 불량은 보다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융착팁의 하강 거리 또는 압력이 적절히 조절되어 접합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열융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입구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구비하고, 툴체결구에 의해 강하판에 장착되어 상기 강하판의 하강에 의해 하강 동작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유로를 따라 공급된 가열 공기를 보스로 제공하고, 상기 강하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보스를 접촉 가압하여 융착헤드를 형성하는 융착팁;을 포함하되, 상기 융착팁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융착팁의 유로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금속성 재질의 볼부재; 및 자력을 통해 상기 볼부재를 이동시키는 전자석;을 더 포함하는 열융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입구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구비하고, 툴체결구에 의해 강하판에 장착되어 상기 강하판의 하강에 의해 하강 동작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유로를 따라 공급된 가열 공기를 보스로 제공하고, 상기 강하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보스를 접촉 가압하여 융착헤드를 형성하는 융착팁;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융착팁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융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융착기는, 볼부재의 위치 이동에 의한 에어 스프링 효과 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융착팁이 보스를 가압시 가압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양호한 융착헤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부품 간 열융착시 접합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융착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융착기에 있어서 접합 불량이 발생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하부측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 하단의 유로, 소켓부의 유로, 볼부재 간의 직경 크기를 비교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하부측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 및 8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히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20)는 주입구(11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를 하부측의 본체(150)로 제공하게 된다. 히터(120)는 종래의 열융착기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는 거리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히터(120) 하부측에 체결되는 본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0) 내측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15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유로(151) 상단은 히터(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유로(151) 하단은 융착팁(17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150)는 툴체결구(130)에 의해 강하판(140)에 장착되어, 강하판(140)의 하강에 의해 하강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본체(150) 하단에 장착되는 융착팁(170)을 포함할 수 있다. 융착팁(170)은 본체(150) 하단에 장착되어 보스에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한편, 강하판(140) 및 본체(150)의 하강에 의해 보스를 소정정도 눌러 융착헤드를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하부측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융착팁(170)은 본체(150)에 체결되는 소켓부(171)와, 용융된 보스 끝단을 가압하여 융착헤드를 형성하기 위한 팁부(172)로 구성될 수 있다.
소켓부(171)는 상단 일부가 본체(150) 하단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본체(150)의 유로(151)와 연통되는 유로(171a)를 구비할 수 있다. 소켓부(171)의 유로(171a)에는 히터(120)에서 본체(150)를 거쳐 제공된 가열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또한, 소켓부(171) 하단에는 유로(171a)를 따라 유동된 가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171b)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홀(171b)로 배출된 가열 공기는 슬리브(160)와 팁부(172) 사이의 갭을 통해 하부측의 보스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보스의 끝단을 일부 용융시키게 된다 (도 6 참고). 또한, 필요에 따라 소켓부(171)의 외주면에는 스토퍼(171c)가 돌출 형성되어 소켓부(171)가 본체(15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켓부(171)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챔퍼(171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챔퍼(171d)는 후술할 볼부재(181)가 소켓부(171)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소켓부(171) 등으로 가압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팁부(172)는 소켓부(171)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용융된 보스 끝단을 접촉 가압하여 융착헤드를 형성하는 헤드홈(172a)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본체(150)의 유로(151) 내측에 배치되는 볼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다. 볼부재(181)는 금속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소켓부(171)의 유로(171c) 상단에 배치되어 가열 공기가 유로(171c)로 공급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후술할 도피공간(183a)에 배치되어 유로(171c)로 가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볼부재(181)는 소켓부(171)의 유로(171c) 상단을 폐쇄하고, 가열 공기의 압력을 통해 소켓부(171) 또는 융착팁(170)에 하방으로 가압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직경이 소켓부(171)의 유로(171c) 직경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이 소켓부(171)가 삽입 체결된 본체(150) 하단의 유로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 하단의 유로, 소켓부의 유로, 볼부재 간의 직경 크기를 비교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71)가 삽입 체결된 본체(150) 하단의 유로 직경을 제 1 직경(D1)으로 지칭하고, 소켓부(171)의 유로(171c) 직경을 제 2 직경(D2)으로 지칭하면, 볼부재(181)의 직경(D3)은 제 1 직경(D1)보다는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직경(D2)보다는 소정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부재(181)는 소켓부(171)의 유로(171c) 상단에 배치시, 소켓부(171)의 유로(171c)를 폐쇄시키는 한편, 본체(150)를 통해 공급되는 가열 공기로 인해 소켓부(171) 또는 융착팁(170)을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즉, 도 5와 같은 배치 상태에서 가열 공기의 압력은 볼부재(181)를 통해 소켓부(171) 또는 융착팁(170)으로 작용되어 소켓부(171) 또는 융착팁(170)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6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볼부재(181)의 도피공간(183a)을 형성하는 브런치(18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런치(183)는 융착팁(170)과 인접하도록 본체(150) 하부측에서 분지되어 본체(150)의 측부에 볼부재(181)의 도피공간(183a)을 형성하게 된다. 볼부재(181)가 도피공간(183a)에 배치되면 소켓부(171)의 유로(171a) 상단은 개방되며 소켓부(171) 또는 융착팁(170)으로 가열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6 참고).
또한, 브런치(183)는 볼부재(181)가 자중에 의해 도피공간(183a)에서 소켓부(171)의 유로(171a)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150)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피공간(183a)에 배치된 볼부재(181)는 외력(즉, 후술할 전자석(182)에 의한 외력)이 사라지면, 브런치(183)를 따라 굴러 내려가 소켓부(171)의 유로(171a) 상단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볼부재(181)의 이동을 위한 전자석(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182)은 브런치(183)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자력을 통해 볼부재(181)를 도피공간(183a)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전자석(18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볼부재(181)는 전자석(182)에 붙어 도피공간(183a)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볼부재(181)는 브런치(183)를 따라 굴러 내려가 다시 소켓부(171)의 유로(171a) 상단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6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는 본체(150) 하부측에 장착되어 융착팁(17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슬리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0) 하부측은 이와 같은 슬리브(160)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융착팁(170)은 슬리브(160) 내측에 배치되어 가열 공기를 통한 보스의 용융시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전자석(182)에 전원이 공급되고 볼부재(181)는 전자석(182)에 의해 브런치(183) 또는 도피공간(183a)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소켓부(171)의 유로(171a)는 개방될 수 있으며, 본체(150)로부터 제공되는 가열 공기는 배출홀(171b)을 거쳐 보스(B21)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보스(B21) 끝단은 가열 공기로 인해 일부 용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 공기를 통한 보스(B21)의 용융이 이뤄지면, 본체(150) 및 융착팁(170)이 보스(B21)를 향해 하강된다. 이와 같은 하강 동작은 본체(150)가 장착 설치된 강하판(140)이 하강됨으로 인해 이뤄질 수 있다 (도 3 참고).
융착팁(170)이 하강됨으로 인해 보스(B21) 끝단은 헤드홈(172a)에 접촉 가압되며, 도 6의 (b)와 같은 융착헤드(B22)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볼부재(181)는 도 6의 (b)와 같이 소켓부(171)의 유로(171a)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융착팁(170)이 소정정도 하강되거나 가열 공기를 통한 보스(B21)의 용융이 충분히 이뤄지면, 전자석(182)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며, 이로 인해, 볼부재(181)는 브런치(183)를 따라 굴러 내려가 소켓부(171)의 유로(151) 상단에 안착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가열 공기는 더이상 보스(B21)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체(150) 내부는 폐쇄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경우 본체(15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는 볼부재(181)를 밀어 내리게 되며, 이는 소켓부(171) 또는 융착팁(170)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힘으로 작용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융착팁(170)은 일종의 에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와 유사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스(B21) 끝단을 접촉 가압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형태의 융착헤드(B2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하부측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200)는, 주입구(210)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20)와, 가열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251)를 구비하고 툴체결구(230)를 통해 강하판(240)에 장착되는 본체(2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220) 및 본체(250)는 전술한 실시예의 히터(120) 및 본체(15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200)는, 본체(250) 하단에 장착되는 융착팁(270)을 포함할 수 있다. 융착팁(270)은 소켓부(271) 및 팁부(27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켓부(271)는 유로(271a), 배출홀(271b), 스토퍼(271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팁부(273)는 소켓부(271) 하단에 마련되어 융착헤드의 형성을 위한 헤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의 소켓부(171) 및 팁부(172)와 유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열융착기(200)는 소켓부(271) 또는 융착팁(270)을 본체(250)에 대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9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이 본체(250) 내측에 형성된 단턱(252)에 접촉 지지되고, 하단이 소켓부(271)의 스토퍼(271c)에 접촉 지지되어 소켓부(271) 또는 융착팁(27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90)는 융착팁(270)을 통한 보스의 가압시 탄성력을 통해 양호한 융착헤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도 7 및 8에 도시된 열융착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9의 (a)를 참고하면, 히터(220)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본체(250) 내부의 유로(251)를 따라 융착팁(270)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배출홀()로 배출되어 보스(B21)를 가열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보스(B21) 끝단은 일부 용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스(B21)가 용융되면, 강하판(240)에 의해 본체(250) 및 융착팁(270)이 하강되며, 도 9의 (b)와 같이 융착팁(270)이 보스(B21) 끝단을 눌려 융착헤드(B22)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90)는 융착팁(270)을 탄성 지지하여 융착팁(270)에 의한 가압력이 보스(B21)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양호한 융착헤드(B22)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융착기(100, 200)는, 볼부재(281)의 위치 이동에 의한 에어 스프링 효과 또는, 탄성부재(290)의 탄성력을 통해 융착팁(170, 270)이 보스(B21)를 가압시 가압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양호한 융착헤드(B22)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부품 간 열융착시 접합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강하판(140, 240)에 복수개의 융착팁(170, 270) 등이 설치된 경우에도, 가열 공기에 의한 에어 스프링이나 탄성부재(290)를 통해 각 융착팁(170, 270) 간의 위치 편차 등이 적절히 조정 흡수될 수 있으며, 융착팁(170, 270)이 보스(B21)를 지나치게 가압하거나 충분히 보스(B21)를 가압하지 못해 접속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열융착기 (제 1 실시예)
110: 주입구 120: 히터
130: 툴체결구 140: 강하판
150: 본체 160: 슬리브
170: 융착팁 181: 볼부재
182: 전자석 183: 브런치
200: 열융착기 (제 2 실시예)
210: 주입구 220: 히터
230: 툴체결구 240: 강하판
250: 본체 260: 슬리브
270: 융착팁 290: 탄성부재

Claims (8)

  1. 주입구(110)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20);
    상기 히터(12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151)를 구비하고, 툴체결구(130)에 의해 강하판(140)에 장착되어 상기 강하판(140)의 하강에 의해 하강 동작되는 본체(150); 및
    상기 본체(150)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50)의 유로(151)를 따라 공급된 가열 공기를 보스(B22)로 제공하고, 상기 강하판(140)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보스(B21)를 접촉 가압하여 융착헤드(B22)를 형성하는 융착팁(170);을 포함하되,
    상기 융착팁(170)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15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융착팁(170)의 유로(171a)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금속성 재질의 볼부재(181); 및
    자력을 통해 상기 볼부재(181)를 이동시키는 전자석(182);을 더 포함하는, 열융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부재(181)는,
    상기 전자석(182)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본체(150)로부터 공급되는 가열 공기의 압력이 상기 융착팁(170)에 작용되도록, 상기 융착팁(180)의 유로(171a) 상단에 안착 배치되어 상기 융착팁(170)의 유로(171a)를 폐쇄하고,
    상기 전자석(182)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182)으로 접근되어 상기 융착팁(170)의 유로(171a) 상단을 개방하는, 열융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부재(181)의 직경(D3)은,
    상기 융착팁(180)의 유로(171a) 상단이 형성하는 제 1 직경(D1)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며,
    상기 융착팁(170)이 장착된 상기 본체(150)의 유로 하단이 형성하는 제 2 직경(D2)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되는, 열융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팁(170)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150)의 하부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볼부재(181)의 배치를 위한 도피공간(183a)을 형성하는 브런치(18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부재(181)는, 상기 전자석(182)으로 접근되어 상기 도피공간(183a)에 배치되거나, 상기 전자석(182)에서 이격되어 상기 융착팁(170)의 유로(171a)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열융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런치(183)는,
    상기 전자석(182)에 의한 자력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볼부재(181)가 자중에 의해 상기 도피공간(183a)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50)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열융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팁(170)은,
    가열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171a)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50) 하단에 삽입 체결되는 소켓부(171); 및
    상기 소켓부(171)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보스(B21)가 접촉 가압되는 헤드홈(172a)을 구비하고, 상기 융착헤드(B22)를 형성하는 팁부(172a);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부(171)의 유로(171a)는, 내측 상단에 상기 볼부재(181)의 안착을 위한 챔퍼(171d)가 형성된, 열융착기.
  7. 주입구(210)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20);
    상기 히터(22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251)를 구비하고, 툴체결구(230)에 의해 강하판(240)에 장착되어 상기 강하판(240)의 하강에 의해 하강 동작되는 본체(250); 및
    상기 본체(250)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250)의 유로(251)를 따라 공급된 가열 공기를 보스(B21)로 제공하고, 상기 강하판(240)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보스(B21)를 접촉 가압하여 융착헤드(B22)를 형성하는 융착팁(270);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250)에 대해 상기 융착팁(27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90);를 더 포함하는, 열융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90)는,
    상단이 상기 본체(250) 내측의 단턱(252)에 접촉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융착팁(270)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271c)에 접촉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열융착기.
KR1020140007077A 2014-01-21 2014-01-21 열융착기 KR10157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77A KR101576112B1 (ko) 2014-01-21 2014-01-21 열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77A KR101576112B1 (ko) 2014-01-21 2014-01-21 열융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93A true KR20150086893A (ko) 2015-07-29
KR101576112B1 KR101576112B1 (ko) 2015-12-21

Family

ID=5387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077A KR101576112B1 (ko) 2014-01-21 2014-01-21 열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1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555A (ja) * 1999-11-26 2001-06-05 Pearl Kogyo Kk 熱カシメ装置
KR200378917Y1 (ko) * 2004-12-21 2005-03-16 (주)건양아이티티 직립형 열풍융착기
KR20070059714A (ko) *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에어컨의 가변 압축기 구조
KR100851217B1 (ko) * 2007-10-18 2008-08-07 한일이화주식회사 열융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555A (ja) * 1999-11-26 2001-06-05 Pearl Kogyo Kk 熱カシメ装置
KR200378917Y1 (ko) * 2004-12-21 2005-03-16 (주)건양아이티티 직립형 열풍융착기
KR20070059714A (ko) *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에어컨의 가변 압축기 구조
KR100851217B1 (ko) * 2007-10-18 2008-08-07 한일이화주식회사 열융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112B1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1771A (zh) 用于连接工件的方法和连接装置
US8931684B2 (en) Induction bonding
KR101404288B1 (ko) 보조가열전극이 부착된 스폿용접기 및 이를 이용한 스폿용접방법
JP2008168437A (ja) 熱溶着装置
US6525289B2 (en) Piston for magneto-rheological fluid system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1252722B1 (ko) 열풍 융착용 융착툴
KR100962606B1 (ko) 열풍융착용 모듈
KR101405116B1 (ko) 자동차 내장부품 가공용 고주파 유도가열 융착 툴 어셈블리
KR101576112B1 (ko) 열융착기
JP6457287B2 (ja) 熱溶着装置
CN109130196A (zh) 热风焊接装置
CN110831745A (zh) 接合系统及接合方法
EP3705221B1 (en) Ultrasonic joining method and arrangement with active cooling and/or heating between two succesive joining operations
KR20150001448U (ko) 열풍 융착 장치
KR101192577B1 (ko) 열융착장치
KR102243174B1 (ko) 가이드핀을 갖는 융착 장치
KR101393506B1 (ko) 세라믹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부품 가공용 융착 툴 어셈블리
KR102285069B1 (ko) 프로젝션 용접 장치
KR102084546B1 (ko) 스터드 용접 건
JP6785369B2 (ja) 熱かしめ装置
CN209305004U (zh) 热风焊接装置
CN107695478B (zh) 一种焊接装置
KR20210040901A (ko) 용융산포를 높여주는 가이드핀을 갖는 융착 장치
KR101532950B1 (ko) 패널과 패드 접착용 가열장치
KR101244215B1 (ko) 배터리 커버 열융착 조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