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788A - 다기능 파티션 - Google Patents

다기능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788A
KR20150086788A KR1020140006849A KR20140006849A KR20150086788A KR 20150086788 A KR20150086788 A KR 20150086788A KR 1020140006849 A KR1020140006849 A KR 1020140006849A KR 20140006849 A KR20140006849 A KR 20140006849A KR 20150086788 A KR20150086788 A KR 2015008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auxiliary frame
frame
presen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린
Original Assignee
김경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린 filed Critical 김경린
Priority to KR102014000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788A/ko
Publication of KR2015008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상 또는 선반의 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설치 구역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지지되고 설치 구역의 공간을 분할하는 메인 프레임부와 메인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메인 프레임부의 면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턱을 형성하고, 보조 프레임은 보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제1 및 제2 단턱에 회전축의 각 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Description

다기능 파티션{Multi-functional partition}
본 발명은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상 또는 선반의 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또는 가정 등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파티션이 사용되고 있다. 파티션을 사용함으로써, 공간을 용도에 따라 분할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990040201호에는 조립식 파티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지만, 단순히 공간의 분할에 대한 기능만을 구현하고 있다.
한국공제특허공보 제2019990040201호
본 발명은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상 또는 선반의 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설치 구역의 지면에서 수직으로 지지되고 설치 구역의 공간을 분할하는 메인 프레임부와 메인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메인 프레임부의 면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턱을 형성하고, 보조 프레임은 보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제1 및 제2 단턱에 회전축의 각 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파티션을 필요에 따라 책상 또는 선반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가구를 설치하거나 구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용도에 따라서 파티션 형태, 책상의 형태, 선반의 형태 등 각각의 형태로 변형이 자유로움으로써,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설치 및 철거, 운반이 편리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의 결합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 프레임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의 결합홈(2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설치 구역의 지면에 수직으로 지지되고 설치 구역의 공간을 분할하는 메인 프레임부(100)와 메인 프레임부(1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200)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부(100)는 일반적인 파티션의 기본적 기능을 하기 위한 요소이다. 사무실, 식당, 박람회 등의 장소에서 공간을 목적 및 효율을 고려해서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의 기능을 한다.
메인 프레임부(10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메인 프레임부(100)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레임부(100)와 다른 메인 프레임부(100)와의 결합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부(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홈(250)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부(100) 간의 결합이 단순히 접촉된 것이 아니라 결합홈(250)을 통해서 이루어짐으로써, 결합을 더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부(100)는 면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턱(111, 11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단턱(111, 113)은 메인 프레임부(100)의 면의 지면에 수직한 임의의 선상에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부(100)는 단순히 평평한 판이 아니라 제1 및 제2 단턱(111, 113)을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재료로 지면에 수직 방향의 응력을 높일 수 있다.
보조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부(100)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선반 및 책상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00)은 평상시에는 메인 프레임부(100)에 평행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선반 및 책상 등의 기능의 수행하기 위해서 메인 프레임부(10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있다.
보조 프레임(200)은 보조 프레임(200)의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메인 프레임부(100)의 제1 및 제2 단턱(111, 113)에 회전축의 각 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보조 프레임(200)의 회전축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면과 이격되어 메인 프레임부(100) 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의 높이와 보조 프레임(200)의 사이즈는 보조 프레임(200)의 용도, 즉 선반 또는 책상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보조 프레임(200)은 필요에 따라 메인 프레임부(100)에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부(100)의 결합은 넉다운 미니픽스로 이루어짐으로써, 간단하게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보조 프레임(200)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210)는 보조 프레임(200)에 일단이 연결되고, 메인 프레임부(100)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210)는 보조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일단과 메인 프레임부(100)에 연결되는 타단 사이에서 접혀지는 절첩지점(211)을 가지며, 보조 프레임(200)의 회전시에 절첩지점(211)이 완전히 펼쳐져서 보조 프레임(200)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대(210)에 절첩지점(211)이 형성됨으로써, 보조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부(100)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을 할 때, 지지대(210) 또한 자연스럽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지지대(210)는 원터치 원형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00)이 책상등의 용로로 사용될 시에 과도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기둥부(230)가 회전축의 반대측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기둥부(230)는 필요에 따라 보조 프레임(200)의 면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기둥부(230)는 길이를 가변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파티션은 회전축과 마주보는 반대 모서리 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부(100)와 보조 프레임(20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부(100)와 평행하게 접혀있을 경우에, 접혀있는 상태로 보조 프레임(200)을 메인 프레임부(100)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130)가 구비된다.
고정부(130)는 착탈이 용이한 구조인 원터치 자석 빠찌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메인 프레임부 111...제1 단턱
113...제2 탄턱 130...고정부
200...보조 프레임 210...지지대
211...절첩지점 230...기둥부
250...결합홈

Claims (3)

  1. 설치 구역의 지면에 수직으로 지지되고 상기 설치 구역의 공간을 분할하는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턱에 상기 회전축의 각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다기능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접혀지는 절첩지점을 가지며, 상기 보조 프레임의 회전시에 상기 절첩지점이 완전히 펼쳐져서 상기 보조 프레임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다기능 파티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반대 모서리 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상기 보조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파티션.
KR1020140006849A 2014-01-20 2014-01-20 다기능 파티션 KR20150086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49A KR20150086788A (ko) 2014-01-20 2014-01-20 다기능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49A KR20150086788A (ko) 2014-01-20 2014-01-20 다기능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788A true KR20150086788A (ko) 2015-07-29

Family

ID=5387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849A KR20150086788A (ko) 2014-01-20 2014-01-20 다기능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7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40B1 (ko) 2016-07-08 2016-10-24 주식회사 세계로 자석을 이용한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KR102461371B1 (ko) 2022-06-03 2022-10-31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40B1 (ko) 2016-07-08 2016-10-24 주식회사 세계로 자석을 이용한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KR102461371B1 (ko) 2022-06-03 2022-10-31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5151B2 (ja) グラウンドパネル
US8091846B1 (en) Work supporting apparatus
US20120175408A1 (en) Collapsible triangular storage container-based combination storage container
WO2016089973A8 (en) Portable table saw
KR20150086788A (ko) 다기능 파티션
KR101583141B1 (ko) 절첩식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20160084166A (ko) 의류처리장치 적층 구조물
JP2010004961A (ja) 家具システム
CN102960964A (zh) 多功能家具
KR200468716Y1 (ko) 접이식 선반
CN206403427U (zh) 桌面空间延伸装置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JP2015139662A (ja) 調整可能な角度を有する机の構造
CN102705680A (zh) 一种显示器用的底座壁挂一体式机构
CN107803446A (zh) 一种建筑工地用钢筋切割机
CN204071100U (zh) 一种带隔板的茶几
CN204239999U (zh) 用于计算机显示器的方位调节装置
JP3171846U (ja) カーペット用パーティション
KR20110130041A (ko) 접이식 책상
CN204071097U (zh) 一种带隔板的茶几
KR20110007636U (ko) 접이식 공구대
CN204146606U (zh) 一种带隔板的茶几
KR101172010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설치대
CN106285064A (zh) 一种可伸展舞台
JP2007084110A (ja) 養生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