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454A - 잔디 보호 매트 - Google Patents

잔디 보호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454A
KR20150084454A KR1020140004489A KR20140004489A KR20150084454A KR 20150084454 A KR20150084454 A KR 20150084454A KR 1020140004489 A KR1020140004489 A KR 1020140004489A KR 20140004489 A KR20140004489 A KR 20140004489A KR 20150084454 A KR20150084454 A KR 2015008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ground
grass
body port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680B1 (ko
Inventor
손창섭
Original Assignee
손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743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844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손창섭 filed Critical 손창섭
Priority to KR102014000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6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내려갈수록 지속적으로 함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발명으로, 잔디통과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지면 측으로 마련되는 러그;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디 보호 매트{GRASS PROTECTION MAT}
본 발명은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 잔디구장 및 공원의 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 생육 지역에서 잔디들은 사람 또는 차량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밟히면서 손상되기 때문에 잔디의 개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모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잔디 생육 지역에는 사람 또는 차량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밟히더라도 그 하중을 완충시키면서 잔디의 손상을 방지하는 잔디 보호용 매트가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잔디 보호 매트로 등록특허 제10-0898546호가 공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898546호는 인접 매트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되, 하중에 의한 잔디 보호 매트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바디부, 러그, 돌출기둥, 완충날개, 외곽틀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특히, 등록특허 제10-0898546호에는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에 의한 잔디 보호 매트의 함몰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함몰방지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함몰방지수단은 육각형태의 바디부의 모서리마다 형성되는 러그들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러그를 연결하는 막대형의 부재로 마련되며, 3개가 하나의 세트로 마련된다.
다시 설명하면, 육각형태의 바디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의 러그로 연결되게 마련되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함몰방지수단은 잔디 보호 매트의 함몰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는 있으나 잔디 통과 공간을 축소시켜 잔디가 광합성을 일으키는 것을 방해하여 잔디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함몰방지수단이 지면에 접촉시, 잔디가 생육되는 공간을 단속시킴으로써 잔디 러너가 신장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더 나아가, 종래 발명에 따른 함몰방지수단은 지속적으로 잔디 보호 매트의 함몰을 방지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양, 돌, 런너 등에 의하여 함몰방지수단이 지면으로 함몰되면 더 이상 함몰방지수단으로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잔디가 생육되는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잔디 러너가 신장하는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잔디가 증식하는 것을 보호하면서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잔디 보호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잔디통과공간이 연이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지면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러그;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 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지 않을 경우 일면은 지면과 수직을 형성하며, 타면은 상기 바디부 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일면 측으로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잔디통과공간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러그 사이에서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는 경우, 지면 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지면 측으로 구부러지는 정도가 커짐으로써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돌출기둥;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돌출기둥 사이마다 배치되는 완충날개; 상기 바디부의 외곽을 연결하는 외곽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디통과공간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곽틀부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훅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곽틀부는 인접하는 외곽틀부의 훅크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되, 지면으로 내려갈수록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잔디 런너 생장에 지장이 없는 지하부로 내려갈수록 토양, 돌, 뿌리 등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잔디의 생육 공간이 부당히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잔디 보호 매트가 제공된다.
또한, 잔디 보호 매트의 함몰을 방지하는 동시에 잔디 러너가 신장하는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잔디의 증식이 활발히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잔디 보호 매트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 탄성 부재가 탄력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잔디 보호 매트의 함몰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변형례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변형례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는 잔디 생육 공간을 유지하면서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바디부(110)와 러그(120)와 탄성부재(130)와 돌출기둥(140)과 완충날개(150)와 외곽틀부(16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110)는 잔디가 생육하는 지면 상측에 마련되되 잔디가 광합성을 하거나 또는 성장하도록 잔디 통과 공간(111)이 형성되는 것으로, 바디부(110)들이 연속적으로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인 잔디 보호 매트(100)의 골격을 구성한다.
여기서, 잔디 통과 공간(111)은 바디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잔디의 광합성을 위한 태양빛이 통과할 수 있고, 바디부(110)의 하측으로부터 잔디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잔디 통과 공간(111)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잔디 통과 공간(111)이 연이어 연결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 중에서 잔디 통과 공간(111)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육각형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육각형 형태로 잔디 통과 공간(111)이 마련되는 경우, 사각, 팔각 또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보다 잔디 통과 공간(111)의 면적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잔디의 광합성 작용을 활발히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잔디 보호 매트(100)의 강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러그(120)는 바디부(11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지면과 접촉하여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바디부(11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러그(120)는 육각 형태의 잔디 통과 공간(111)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을 형성하며 지면 측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지면과 바디부(110) 사이의 공간에서 러그(120)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여 잔디의 러너가 신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잔디 상측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100)가 설치되더라도 잔디 통과 공간(110)의 대면적화를 통해 잔디 보호 매트(100)가 잔디의 성장 및 잔디 성장에 필수적인 광합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 바람직하게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러그(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잔디의 러너들이 충분히 신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바디부(110)로부터 지면 측으로 마련되며, 바디부(110)에 하중이 인가됨으로써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바디부(110)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부재(130)가 제공하는 탄성력은 탄성부재(130)의 변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힘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잔디 보호 매트(100)의 최초 설치시에 탄성부재(130)는 단부가 지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사용에 따라 잔디 보호 매트(100)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인가되어 잔디 보호 매트(100)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경우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구부러져 탄성력에 의해 잔디 보호 매트(100)의 함몰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잔디 보호 매트(1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커질수록 탄성부재(130)가 변형되는 정도도 더 커지므로 탄성부재(130)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도 더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0)는 잔디 보호 매트(10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탄력적으로 반응하여 지속적으로 함몰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0)는 잔디 보호 매트(10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 구부러져 지면 측과의 접촉면적이 더 증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탄성부재(130)는 바디부(110) 측에서 지면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도록 마련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탄성부재(130)의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면 중에서 제1면(131)은 바디부(110) 또는 지면과 수직을 형성하며, 제2면(132)는 지면 측으로 근접할수록, 즉 바디부(110) 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면(131) 측으로 접근하여 탄성부재(130)의 단부측에서 제1면(131)과 제2면(132)이 하나로 수렴한다.
즉, 탄성부재(130)가 상술한 것과 같이 형상을 가짐으로써, 잔디 보호 매트(100)에 하중이 인가되어 탄성부재(130)가 지면과 접촉하면 탄성부재(130)는 제1면(131) 측으로 구부러진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제1면(131) 측과 지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자연스럽게 조절되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는 잔디 보호 매트(100)의 함몰을 방지하는 동안 탄성부재(130)에 의해 잔디가 생육되는 공간을 부당히 축소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부재(130)가 구부러짐에 따라 러그(120) 사이의 공간을 탄성부재(130)가 마감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잔디의 러너들이 탄성부재(130)와 러그(120) 사이의 공간 및 러그(1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신장함으로써 잔디가 자유롭게 번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130)의 구부러짐 정도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탄성부재(130)를 구성하는 소재는 잔디 보호 매트(10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달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0)는 제조의 편의성을 위해 바디부(110)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0)의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변형례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변형례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0)는 제1면(131)이 지면 또는 바디부(110)와 수직을 형성하였으나, 변형례에서는 제1면도(131')도 좌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제1면(131')은 좌측으로 만곡되고, 제2면(132')도 좌측으로 만곡되되 지면 측으로 향할수록 제1면(131')과의 간격을 좁아지게 만곡되는 정도가 제1면(131')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바디부(110)에 하중이 인가되어 탄성부재(130')가 지면에 접촉하면, 탄성부재(130')는 제1실시예에서보다 더 용이하게 지면 측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잔디 보호 매트(100)에 하중이 급작스럽게 인가되더라도 탄성부재(130)가 지면 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본래의 기능에 따라 지면 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재(1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잔디 보호 매트(100)의 최초 설치 상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130)를 지면에 접촉시키는 상태로 잔디 보호 매트(100)의 최초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돌출기둥(140)은 바디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잔디 보호 매트(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적으로 인가받는 것이다. 여기서, 돌출기둥(140)은 상술한 러그(120)와 같이 잔디 통과 공간(111)의 모서리마다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기둥(140)의 형상은 잔디 보호 매트(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완충날개(150)는 잔디 보호 매트(100)로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것으로서, 바디부(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되 돌출기둥(140) 사이에 마련된다.
여기서, 완충날개(150)가 효율적으로 잔디 보호 매트(100)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완충날개(150)의 높이는 돌출기둥(140)의 높이보다 더 높게 마련된다.
이때, 사람 또는 차량과 같이 잔디 보호 매트(100)에 하중을 가하는 대상이 돌출기둥(140)보다 완충날개(150)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완충날개(150)에 의해 먼저 하중이 분산된 후 돌출기둥(140)이 잔여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100)에 의해 잔디를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날개(150)는 잔디와 접촉할 수 있는 측면 모서리 부분을 완만하게 가공함으로써 완충날개(150)에 의한 잔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곽틀부(150)는 바디부(110)의 외곽을 마감하는 사각형상의 부재로서 잔디 보호 매트(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인접하는 잔디 보호 매트(100)와의 연결 시공을 위해 훅크수단(미도시)과 체결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훅크수단(미도시)는 외곽틀부(15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인접하는 잔디 보호 매트(100)의 체결홈(미도시)에 체결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훅크수단(미도시)는 중앙부에는 압축 팽창이 용이하도록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홈(미도시)의 저부측에 체결되는 고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훅크수단(미도시)이 체결홈(미도시)에 체결되는 경우, 절개부(미도시) 측을 압축시켜 고리부(미도시)가 상측으로부터 체결홈(미도시)을 통과시킨 후 절개부(미도시)를 팽창시켜 고리부(미도시)에 의해 훅크수단(미도시)이 체결홈(미도시)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훅크수단(미도시)의 형상이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주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체결홈(미도시)은 외곽틀부(160)의 내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잔디 보호 매트(100)의 훅크수단(미도시)이 체결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체결홈(미도시)은 훅크수단(미도시)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적어도 훅크수단(미도시)의 절개부가 팽창되는 경우에 고리부(미도시)가 이탈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한편, 상술한 훅크수단(미도시)과 체결홈(미도시)의 체결시, 훅크수단(미도시)과 체결홈(미도시)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온도 변화에 따라 잔디 보호 매트(100)는 열팽창이 발생하여 부피가 일부 증가할 수 있으므로 훅크수단(미도시)과 체결홈(미도시)을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잔디 보호 매트(100)의 열팽창에 의해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훅크수단(미도시)과 체결홈(미도시)은 이격 간격은 잔디 보호 매트(100)를 구성하는 소재의 열팽창, 더 자세히는 여름과 겨울 사이 또는 혹서기와 혹한기 사이에서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외곽틀부(160)에 훅크수단(미도시) 및 체결홈(미도시)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외곽틀부(160)에는 훅크수단(미도시) 만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외곽틀부(160)에는 체결홈(미도시) 만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는 잔디 생육 공간을 유지하면서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바디부(110)와 러그(120)와 탄성부재(230)와 돌출기둥(140)과 완충날개(150)와 외곽틀부(160)와 미끄럼방지부(27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와 상기 러그(120)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9는 도 7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230)는 바디부(110)로부터 지면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바디부(110)에 하중이 인가됨으로써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구부러져 바디부(110)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에서는 제1실시예(100)에서와는 달리 배치관계에 특징이 있으며 각각의 형상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서의 탄성부재(230)는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육각 형상의 잔디 통과 공간(111)의 6개의 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인 제1변(110a)과 제1변(110a)을 마주보는 제2변(110b)을 동시에 통과하는 방향을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육각 형상의 잔디 통과 공간(111)이 연이어 연결된 구조가 바디부(110)이기 때문에,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은 바디부(1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공간은 하나의 잔디 통과 공간(111)을 기준으로 잔디 통과 공간(111)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부재(230)는 지면과의 접촉시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마련된다.
즉, 각각의 탄성부재(230)는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전면부에 제1면(231)이 배치되게 마련되거나 전면부에 제2면(232)이 배치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부재(230)의 구부러지는 방향을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바디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잔디 통과 공간(1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잔디 통과 공간(111)의 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탄성부재(230) 사이의 이격 간격은 사용 태양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러그(120) 사이의 공간에 복수개의 탄성부재(230)가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기둥(140), 상기 완충날개(150) 및 상기 외곽틀부(16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70)는 바디부(11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돌출기둥(1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잔디 보호 매트(200)에 하중을 부가하는 물체, 예컨대 사람이 잔디 보호 매트(200)를 밟은 경우 잔디 보호 매트(200)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돌출기둥(140) 및 미끄럼방지부(270)는 잔디 보호 매트(200)를 통과하는 사람의 발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사람이 잔디 보호 매트(200)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270)는 잔디 보호 매트(200)가 경사진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에 미끄럼 방지라는 본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것이나 잔디 보호 매트(200)가 평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는 잔디 생육 공간을 유지하면서도 잔디 보호 매트가 지면으로 함몰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바디부(110)와 러그(120)와 탄성부재(330)와 돌출기둥(140)과 완충날개(150)와 외곽틀부(160)와 미끄럼 방지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와 상기 러그(120)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330)는 바디부(110)로부터 지면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바디부(110)에 하중이 인가됨으로써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구부러져 바디부(110)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300)에서는 제1실시예(100) 또는 제2실시예(200)에서와는 다른 배치관계에 특징이 있으며 각각의 형상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30)는 서로 이웃하는 러그(120) 사이에 복수개가 이웃하게 마련되는 제1 탄성부재(330a)와 제2 탄성부재(330b)를 포함한다. 즉, 잔디 통과 공간(111)의 하나의 변 상에 제1 탄성부재(330a)와 제2 탄성부재(330b)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330a)와 제2 탄성부재(330b)는 지면과의 접촉시 구부러지는 방향이 반대 방향이 되도록 구비된다.
즉, 잔디 통과 공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제1 탄성부재(330a)는 전면부에 제1면(331a)가 배치되나, 제2 탄성부재(330b)는 전면부에 제2면(332b)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330a)와 제2 탄성부재(330b)가 지면과 접촉하여 구부러지는 경우, 각각의 단부는 지면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보다 이격 간격이 더 멀어지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지면과의 접촉시 제1 탄성부재(330a)와 제2 탄성부재(330b)의 구부러지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면,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에 상관없이 잔디 보호 매트(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잔디 보호 매트(300)가 지면 측으로 근접할수록 제1 탄성부재(330a)와 제2 탄성부재(330b)의 구부러지는 정도가 증가함으로서 함몰을 방지시키는 탄성력의 크기가 가중되어 지속적으로 잔디 보호 매트(300)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중을 인가받아 잔디 보호 매트(30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3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탄성부재(330)에 의해 잔디의 번식이 방해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잔디 보호 매트(300)에 하중을 가하는 물체가 사람이 아닌 차량으로 잔디 보호 매트(30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가 더 커지는 경우에도 탄성부재(33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부재(330)에 의한 지지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러그(12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30)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출기둥(140), 상기 완충날개(150) 및 상기 외곽틀부(16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270)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제1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 110: 바디부
120: 러그 130: 탄성부재
140: 돌출기둥 150: 완충날개
160: 외곽틀부
200: 제2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 230: 탄성부재
270: 미끄럼 방지부
300: 제3실시예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 330: 탄성부재

Claims (11)

  1. 잔디통과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지면 측으로 마련되는 러그;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일면은 지면과 수직을 형성하며, 타면은 상기 바디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일면 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잔디통과공간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러그 사이에서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는 경우, 지면 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지면 측으로 구부러지는 정도가 커짐으로써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돌출기둥;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돌출기둥 사이마다 배치되는 완충날개;
    상기 바디부의 외곽을 연결하는 외곽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디통과공간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부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훅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부는 인접하는 외곽틀부의 훅크수단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보호 매트.
KR1020140004489A 2014-01-14 2014-01-14 잔디 보호 매트 KR10159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89A KR101598680B1 (ko) 2014-01-14 2014-01-14 잔디 보호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89A KR101598680B1 (ko) 2014-01-14 2014-01-14 잔디 보호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54A true KR20150084454A (ko) 2015-07-22
KR101598680B1 KR101598680B1 (ko) 2016-02-29

Family

ID=5387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89A KR101598680B1 (ko) 2014-01-14 2014-01-14 잔디 보호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092B1 (ko) 2022-03-04 2022-08-09 손결 다종 재질의 잔디보호매트
KR20230166210A (ko) 2022-05-30 2023-12-07 성 무 김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29B1 (ko) * 2006-08-28 2008-02-28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KR20090062723A (ko) * 2007-12-13 2009-06-17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083294B1 (ko) * 2011-04-27 2011-11-14 김신 잔디 보호매트
JP2012105665A (ja) * 2006-08-25 2012-06-07 Chang-Sub Son 芝生保護マ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5665A (ja) * 2006-08-25 2012-06-07 Chang-Sub Son 芝生保護マット
KR100807329B1 (ko) * 2006-08-28 2008-02-28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KR20090062723A (ko) * 2007-12-13 2009-06-17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083294B1 (ko) * 2011-04-27 2011-11-14 김신 잔디 보호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680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846B1 (ko) 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
KR101844876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769737B1 (ko) 일체형 조립 방식의 잔디보호매트 및 잔디보호매트의 시공 방법
KR101755658B1 (ko) 잔디 보호 매트
JP4886699B2 (ja) 芝保護マット及びこれを含むマット組立体
JP5037568B2 (ja) 芝保護マット
US8403592B2 (en) Grass protection mat
KR100807329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882618B1 (ko) 잔디보호 매트
KR101598680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0962271B1 (ko) 잔디 보호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381257Y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793875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잔디보호용 매트
JP6707102B2 (ja) 芝保護マット及び芝保護マットの施工方法
KR200354896Y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0898547B1 (ko) 잔디 보호 매트
KR200469908Y1 (ko) 잔디 보호용 매트
KR102620498B1 (ko) 가로수 보호판 지주대 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가로수 보호판
KR200346130Y1 (ko) 잔디 보호 매트
KR20150137821A (ko) 잔디 보호 매트
KR100905527B1 (ko) 잔디의 테두리 보호대
KR101195058B1 (ko) 도로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용 매트의 고정장치
KR101301043B1 (ko) 방초매트를 이용한 식생 차단 공법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JP2002348808A (ja) 一体成形合成樹脂製敷き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11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28

Effective date: 201912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