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210A -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 Google Patents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210A
KR20230166210A KR1020220065862A KR20220065862A KR20230166210A KR 20230166210 A KR20230166210 A KR 20230166210A KR 1020220065862 A KR1020220065862 A KR 1020220065862A KR 20220065862 A KR20220065862 A KR 20220065862A KR 20230166210 A KR20230166210 A KR 2023016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n protection
protection mat
hole
eas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무 김
Original Assignee
성 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무 김 filed Critical 성 무 김
Priority to KR102022006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210A/ko
Publication of KR2023016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잔디통과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바디에 구비된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는 측면이 상기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상부 몸체 상부홀 내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잔디보호매트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An easy-to-load lawn protection mat}
본 발명은 잔디가 식재된 토양에 설치하여 잔디를 보호해주는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 잔디구장 및 공원의 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 생육지역에서 사람이나 차량이 주로 다니는 통로부분에 식재되어 있는 잔디는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에 의해 지속적으로 눌려지면서 손상되기 때문에 잔디의 개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잔디 생육지역 중 특히 통로부분 등에는 잔디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갈 때 그 하중을 완충시켜 잔디의 손상을 방지하는 잔디보호매트가 시공된다.
이와 같은 잔디보호매트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는 구조로 제작되고, 이 기본 골격의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지지기둥이 돌출되면서 다수의 완충리프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재한 후 시공 장소로 운반할 때, 상하로 적재된 잔디보호매트 사이에 서로 겹쳐지거나 연결되는 구조가 없어서 약간의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적층된 잔디보호매트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려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59868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때 상하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 사이에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있어서 상하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재된 상태가 쉽게 무너지지 않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는 잔디통과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바디에 구비된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는 측면이 상기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상부 몸체 상부홀 내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부 몸체의 상부홀과 연결되는 하부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홀 직경과 상기 하부 몸체의 외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한편, 본 발명은 잔디통과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바디에 구비된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는 잔디통과홀 내부에 구비되면서 브릿지를 통해 기본 골격과 연결되는 고리와;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고리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고리 내에 삽입되는 삽입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디통과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바디에 구비된 상하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는 양단이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탄성아치부와; 상기 탄성아치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관과; 상기 탄성아치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삽입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일측면에 후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후크홀이 형성되어,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인접 설치될 때 상기 후크가 인접한 후크홀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후크는 일단이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연결편과, 중간부분이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삽입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편의 앞쪽이 후크홀 내로 진입할 때 삽입편의 뒤쪽 절반은 상기 연결편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후크홀을 관통한 이후에는 삽입편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는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부의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하부 몸체가 하부의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상부 몸체 상부홀 내에 삽입되므로, 다수개의 잔디보호매트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하연결구의 하부 몸체에 상하방향의 하부홀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몸체에 더 많은 탄성이 부여되므로, 상부 몸체의 상부홀에 하부 몸체를 삽입했을 때 상부 몸체의 내측면과 하부 몸체의 내측면이 좀 더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몸체의 상부홀 직경과 상기 하부 몸체의 외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므로, 상부홀 내에 하부 몸체를 좀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부의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삽입판이 하부의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고리에 삽입되므로, 다수개의 잔디보호매트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부의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삽입돌기가 하부의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삽입관에 삽입되므로, 다수개의 잔디보호매트를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삽입편의 중간부분이 연결편의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삽입편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후크가 구성되므로, 화살표 모양의 후크를 끼울 때보다 후크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잔디보호매트의 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200)과, 상기 바디(100)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0)는 잔디통과홀(100a)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0)는 상면에 다수의 상부 지지기둥(110)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하부 지지기둥(120)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기둥(110)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리프(13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잔디통과홀(100a)은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시공했을 때 잔디가 통과하여 생육이 가능하도록 만든 공간이다.
상기 상부 지지기둥(110)은 기본 골격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시공한 상태에서 그 위를 사람들이 밟고 걸어갈 때 사람들의 신발 밑창 부분에 접촉하면서 사람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 지지기둥(120)은 기본 골격의 저면에 상부 지지기둥(110)과 같은 수직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시공한 잔디보호매트 위를 사람들이 밟고 걸어갈 때 지면을 헤집으면서 파고 들어간다. 이러한 하부 지지기둥(120)은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저항하여 상부 지지기둥(110)과 함께 바디(100)를 지지해준다.
상기 완충리프(130)는 바디(100)의 기본 골격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완충리프(130)는 그 높이가 상부 지지기둥(110)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사람들이 걸어갈 때 신발 밑창이 상부 지지기둥(110)에 앞서 먼저 완충리프(130)에 접촉된다.
상기 외곽프레임(200)은 바디(100)의 외곽을 4각 형태로 둘러쌈으로써 잔디보호매트의 형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4각의 외곽프레임(200) 중 2개의 일측면에는 후크(210)가 구비되고, 나머지 2개의 타측면에는 후크홀(220)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210)는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지면 위에 인접 설치될 때 인접한 잔디보호매트의 후크홀(220)에 끼워진다.
이러한 후크(210)는 연결편(211)과, 상기 연결편(211)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편(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편(211)은 일단이 외곽프레임(200)의 외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로서, 외곽프레임(200)의 외측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곽프레임(200)에서 휨이나 절곡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편(212)은 일측면 중간부분이 연결편(211)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특정한 잔디보호매트의 후크(210)를 인접 배치된 잔디보호매트의 후크홀(220)에 끼우고자 하면 삽입편(212)의 앞쪽이 후크홀(220) 내부로 진입하도록 밀어 넣어야 한다.
이렇게 삽입편(212)의 앞쪽을 후크홀(220) 내로 밀어 넣어 진입시킬 때, 삽입편(212)의 뒤쪽 절반은 연결편(21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후크(210)의 두께가 줄어든 상태에서 삽입편(212)의 앞쪽을 후크홀(220) 내에 진입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삽입편(212)의 뒤쪽 절반을 연결편(211)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삽입편(212)이 후크홀(220)을 관통한 이후에는 삽입편(212)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즉 삽입편(212)이 후크홀(220)을 관통한 이후에는 연결편(21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던 삽입편(212)이 분리되면서 외곽프레임(200)의 안쪽면에 밀착되어(도 3 참조) 잡아당겨도 후크홀(220) 내에서 후크(210)가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상하연결구(30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하연결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하연결구(300)는 상부 몸체(310)와, 상기 상부 몸체(3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몸체(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310)는 측면이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부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320)는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상부 몸체(310)에 형성된 상부홀(311)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하부 몸체(32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부홀(321)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홀(321)은 상부홀(311)과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상부홀(311)과 하부홀(321)이 각각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에 형성됨으로써,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는 원래 재질(합성수지)이 갖는 탄성력에, 상부홀(311)과 하부홀(32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확장과 축소가 가능한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갖게 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310)의 상부홀(311) 직경과 하부 몸체(320)의 외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하부 몸체(320)를 상부 몸체(310)의 상부홀(311) 내에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고, 상부 몸체(310)의 내측면에 하부 몸체(320)의 외측면이 좀 더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하연결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하연결구(300)는 고리(330)와, 다수의 지지봉(340)과, 상기 지지봉(340)의 하단에 연결되는 지지판(350)과, 상기 지지판(35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판(3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330)는 잔디통과홀(100a) 내부에 구비되면서 브릿지(140)를 통해 기본 골격과 연결된다. 즉 고리(330)는 잔디통과홀(100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브릿지(140)는 일측 끝단이 기본 골격의 내측면에 연결되면서 타측 끝단이 고리(33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고리(330)를 잔디통과홀(100a) 내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다수의 지지봉(340)은 기본 골격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지지봉(340)은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가까워지는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판(350)은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고리(330) 상단에 안착된다. 즉 지지판(350)은 고리(33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고리(330)의 상단에 안착되되 고리(330)의 구멍 안쪽으로 삽입될 수는 없게 한다.
상기 삽입판(360)은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고리(330) 내에 삽입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하연결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하연결구(300)는 탄성아치부(370)와, 상기 탄성아치부(37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관(380)과, 상기 탄성아치부(37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39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아치부(370)는 양단이 기본 골격의 저면에 연결되면서 하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관(380)은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서 탄성아치부(37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390)는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삽입관(380) 내에 삽입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연결구(300)는 탄성아치부(370)가 아래의 삽입돌기(390)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하중을 흡수하여 잔디보호매트의 전체 변형을 방지하고, 삽입돌기(390)는 탄성아치부(370)의 중심에서 지면에 지지되어 아치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변형을 방지해준다.
100: 바디 100a: 잔디통과홀
110: 상부 지지기둥 120: 하부 지지기둥
130: 완충리프 140: 브릿지
200: 외곽프레임 210: 후크
211: 연결편 212: 삽입편
220: 후크홀 300: 상하연결구
310: 상부 몸체 311: 상부홀
320: 하부 몸체 321: 하부홀
330: 고리 340: 지지봉
350: 지지판 360: 삽입판
370: 탄성아치부 380: 삽입관
390: 삽입돌기

Claims (7)

  1. 잔디통과홀(100a)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200)과, 상기 바디(100)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300)는 측면이 상기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부홀(311)이 형성된 상부 몸체(310)와;
    상기 상부 몸체(310)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상부 몸체(310) 상부홀(311) 내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320)에는 상부 몸체(310)의 상부홀(311)과 연결되는 하부홀(32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310)의 상부홀(311) 직경과 상기 하부 몸체(320)의 외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4. 잔디통과홀(100a)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200)과, 상기 바디(100)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300)는 잔디통과홀(100a) 내부에 구비되면서 브릿지(140)를 통해 기본 골격과 연결되는 고리(330)와;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340)과;
    상기 지지봉(34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고리(330)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판(350)과;
    상기 지지판(350)의 저면에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고리(330) 내에 삽입되는 삽입판(3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5. 잔디통과홀(100a)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200)과, 상기 바디(100)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연결구(300)는 양단이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탄성아치부(370)와;
    상기 탄성아치부(37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관(380)과;
    상기 탄성아치부(37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300)의 삽입관(380) 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6.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200)은 일측면에 후크(210)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후크홀(220)이 형성되어,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인접 설치될 때 상기 후크(210)가 인접한 후크홀(22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크(210)는 일단이 상기 외곽프레임(200)의 외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연결편(211)과, 중간부분이 상기 연결편(211)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삽입편(212)으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편(212)의 앞쪽이 후크홀(220) 내로 진입할 때 삽입편(212)의 뒤쪽 절반은 상기 연결편(2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후크홀(220)을 관통한 이후에는 삽입편(212)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KR1020220065862A 2022-05-30 2022-05-30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KR2023016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862A KR20230166210A (ko) 2022-05-30 2022-05-30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862A KR20230166210A (ko) 2022-05-30 2022-05-30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210A true KR20230166210A (ko) 2023-12-07

Family

ID=8916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862A KR20230166210A (ko) 2022-05-30 2022-05-30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2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80B1 (ko) 2014-01-14 2016-02-29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80B1 (ko) 2014-01-14 2016-02-29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6892B2 (ja) 芝保護マット
US8225566B2 (en) Tile for a synthetic grass system
US7587865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multi level support system
KR101083294B1 (ko) 잔디 보호매트
US5117583A (en) Landscape terracing material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AU662031B2 (en) Interlocked gridwork for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KR20230166210A (ko)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KR101945158B1 (ko) 하천 제방의 사면 보호용 결속블록 구조물
US4169339A (en) Plate for grating and grating resulting therefrom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CN215482586U (zh) 一种道路防护栏
KR20230002311U (ko)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KR101564352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18945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20120059876A (ko) 생태조경을 위한 가드레일
KR102181285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KR102181286B1 (ko)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KR102181287B1 (ko) 잔디 보호용 이중 매트
KR102431090B1 (ko) 설치가 간편한 잔디보호매트
KR102431092B1 (ko) 다종 재질의 잔디보호매트
KR102167586B1 (ko)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된 보행매트
KR101330754B1 (ko) 야광탄성부재를 구비한 데크로드 바닥면 구조물
CN214902467U (zh) 一种高强度植草格
KR102526099B1 (ko) 소형물품 보관용 셔틀 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