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658B1 - 잔디 보호 매트 - Google Patents

잔디 보호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658B1
KR101755658B1 KR1020170025559A KR20170025559A KR101755658B1 KR 101755658 B1 KR101755658 B1 KR 101755658B1 KR 1020170025559 A KR1020170025559 A KR 1020170025559A KR 20170025559 A KR20170025559 A KR 20170025559A KR 101755658 B1 KR101755658 B1 KR 10175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ing
buffer
pack
l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박노찬
강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102017002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A01G1/0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 식생 구역 상에 설치되어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매트로서, 제 1 지지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 교차하는 제 2 지지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 사이의 개구 상측에 지지단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단으로부터 4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는 연결부가 상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단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고, 상부의 하중을 1차로 완충시키는 다수의 1차완충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교차부분에 상기 1차완충부보다 낮게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의 하중을 2차로 완충시키는 다수의 2차완충부;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 상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착탈결합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교차부분에 고정팩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팩고정구;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설치면에 박힘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유동을 억제하는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도록 한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잔디의 잎과 뿌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자가 편하게 걸을 수 있도록 보행감을 높이며, 나아가서 동절기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잔디 보호 매트{Grass protection mat}
본 발명은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잔디의 잎과 뿌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행자가 편하게 걸을 수 있도록 보행감을 높이도록 한 잔디 보호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 잔디구장, 공원의 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생육지역에서 사람이 주로 다니는 통로나, 골프장에서의 카트의 이동로 등과 같은 이동동선지역에 있는 잔디는 지속적으로 이동자 또는 이동차에 의해 손상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동로의 잔디를 보호하기 위하여 잔디 보호 매트를 깔아서 이동로 상의 잔디를 보호하고 있다.
종래의 잔디 보호 매트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015-0084454호의 "잔디 보호 매트"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잔디통과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지면 측으로 마련되는 러그;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중을 인가받아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보행자의 보행감 개선에 대하여 전혀 고려하지 않아 이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고, 안정적이면서 편리한 설치를 향상시키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잔디의 잎과 뿌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자가 편하게 걸을 수 있도록 보행감을 높이며, 안정적이면서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동절기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잔디 식생 구역 상에 설치되어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매트로서, 제 1 지지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 교차하는 제 2 지지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 사이의 개구 상측에 지지단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단으로부터 4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는 연결부가 상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단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고, 상부의 하중을 1차로 완충시키는 다수의 1차완충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교차부분에 상기 1차완충부보다 낮게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의 하중을 2차로 완충시키는 다수의 2차완충부;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 상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착탈결합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교차부분에 고정팩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팩고정구;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설치면에 박힘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유동을 억제하는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잔디 보호 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1차완충부는, 상기 지지단이 사각형 테두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지지단의 모서리 각각으로부터 곡률을 이루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지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차완충부는, 상하 관통하도록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 또는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사선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어느 2개의 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고, 하방으로 이동시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외측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부;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다른 2개의 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결합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팩고정구에 관통하여 설치면에 박히는 고정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팩은, 횡단면이 "+"자 형태를 가지는 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끝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팁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확대된 평면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팩고정구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머리부; 및 상기 몸체의 4개 측면마다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설치면으로부터 뽑힐 때 저항으로 작용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2차완충부의 하측에 상기 2차왕충부의 중심 둘레를 따라 다수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가 상하로 적층시,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의 2차완충부 둘레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중심부가 하방으로 볼록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둘레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볼록한 횡단면을 가진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의하면, 잔디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잔디의 잎과 뿌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1차 및 2차적으로 각각 완충시키는 완충부와 이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베이스에 의해 보행자가 편하게 걸을 수 있도록 보행감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정적이면서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고, 굴곡면 등의 대상지 면에 따라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고탄성 소재의 사용으로 인해 보행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와 소재 특성을 통해서 동절기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녹시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재 보관시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1차 및 2차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서 착탈결합부의 결합돌기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서 착탈결합부의 결합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고정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적층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서 2차완충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100)는 잔디 식생 구역 상에 설치되어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매트로서, 베이스(110), 1차완충부(120), 2차완충부(130), 착탈결합부(140), 팩고정구(150) 및 스파이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100)는 일례로 상기한 구성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예로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조립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푹신한 보행감과 곡면 밀착 및 설치 등을 고려하여, 고탄성 연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500mm(가로)×500mm(세로)×32mm(두께)의 규격을 가지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필요에 따라 그 규격을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제 1 지지대(111)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고, 제 1 지지대(111)에 교차하는 제 2 지지대(112)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된다. 따라서 베이스(110)는 다수의 제 1 지지대(111)와 다수의 제 2 지지대(112)가 서로 교차하는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일례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가 사선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1차 및 2차완충부(120,130)에 의해 가해지는 상부의 하중, 예컨대 보행자의 하중을 전달받아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를 통해서 분산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1차완충부(120)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 사이의 개구(113) 상측에 지지단(121)이 위치하고, 지지단(121)으로부터 4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는 연결부(122)가 개구(113)의 경계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지지단(121)이 베이스(1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고, 상부의 하중을 1차로 완충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1차완충부(120)는 지지단(121)을 통해서 4방향의 연결부(122)를 통해 완충시키는 크로스 볼트(Cross Vault)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1차완충부(120)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개구(113) 모두 또는 일부에 걸쳐서 각각 마련됨으로써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완충부(120)는 지지단(121)이 사각형 테두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123)가 다수로 사각형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22)가 지지단(121)의 모서리 각각으로부터 곡률을 이루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 또는 제 2 지지대(111,11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1차완충부(120)는 보행자 등의 하중이 지지단(121)에 인가시, 곡률을 이루는 연결부(122) 각각의 변형에 의해 완충 작용과 함께 푹신한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
2차완충부(130)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의 교차부분에 1차완충부(120)보다 낮게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의 하중을 1차완충부(120) 다음으로 2차로 완충시키도록 한다. 또한 2차완충부(130)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의 교차부분 모두에 각각 마련되거나,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의 교차부분 일부, 예컨대 이러한 교차부분을 하나씩 띄어서 각각 마련됨으로써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2차완충부(13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상하 관통하도록 중공부(131)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 또는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단이 생략된 콘(Cone)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132)가 다수로 원형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2차완충부(130)는 보행자의 하중이 인가시, 인근하는 1차완충부(120)에서 1차적으로 완충한 후, 1차완충부(120)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2차적으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2차완충부(131)는 중공부(131) 상단의 폭이나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미끄럼방지돌기(132)에 의한 접지면적 확보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착탈결합부(140)는 베이스(110)가 설치면 상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베이스(1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베이스(110) 간의 안정적이면서 편리한 착탈을 위하여, 결합돌기부(141)와 결합링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부(141)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베이스(110)의 가장자리 중 어느 2개의 변,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변에서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하방으로 이동시 걸리기 위한 걸림턱(142)이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링부(143)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베이스(110)의 가장자리 중 다른 2개의 변, 예컨대 결합돌기(141)가 마련된 변을 제외한 2개의 변에서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결합돌기부(141)가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걸림턱(142)을 지지하는 지지턱(144)이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결합돌기부(141)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가 수용되도록 수용홈(145)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팩고정구(150)는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의 교차부분에 고정팩(170; 도 8에 도시)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제 1 및 제 2 지지대(111,112)의 교차부분 중에서 2차완충부(130)가 마련되지 아니한 일부에 걸쳐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100)는 팩고정구(150; 도 1에 도시)에 관통하여 설치면에 박히는 고정팩(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팩(170)은 횡단면이 "+"자 형태를 가지는 길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에 끝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팁(172)이 형성되는 몸체(171)와, 몸체(171)의 상단에 확대된 평면을 제공함으로써 팩고정구(150; 도 1에 도시)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머리부(173)와, 몸체(171)의 4개 측면마다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몸체(171)가 설치면으로부터 뽑힐 때 저항으로 작용하는 다수의 걸림돌기(17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팩(17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금속재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파이크(160)는 베이스(11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설치면에 박힘으로써 경사면이라 할지라도 베이스(110)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하며,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파이크(160)는 2차완충부(130)의 하측에 2차완충부(130)의 중심 둘레를 따라 다수, 예컨대 4개로 마련됨으로써, 베이스(110)가 상하로 적층시,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10)의 2차완충부(130) 둘레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적층에 의한 보관 및 운반에 편리하도록 한다. 스파이크(160)는 2차완충부(130)의 모두 또는 일부의 하측 각각에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160)는 기존제품의 돌출부 또는 기둥 등에 결합될 수 있는 규격 및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제품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1차완충부(120)에 형성되는 미끄림방지돌기(223)는 이전 미끄럼방지돌기(123)가 사각형인 것과는 달리, 원형임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예들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2차완충부(130)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232)는 중심부가 하방으로 볼록한 홈부(232a)가 형성될 수 있고, 홈부(232a) 둘레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볼록한 횡단면을 가진 볼록부(232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232)의 구조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보행성을 좋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보호 매트에 따르면, 잔디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잔디의 잎과 뿌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1차 및 2차적으로 각각 완충시키는 완충부와 이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베이스에 의해 보행자가 편하게 걸을 수 있도록 보행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이면서 편리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고, 굴곡면 등의 대상지 면에 따라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고탄성 소재의 사용으로 인해 보행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와 소재 특성을 통해서 동절기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녹시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재 보관시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베이스 111 : 제 1 지지대
112 : 제 2 지지대 113 : 개구
120 : 1차완충부 121 : 지지단
122 : 연결부 123,223 : 미끄럼방지돌기
130 : 2차완충부 131 : 중공부
132,232 : 미끄럼방지돌기 140 : 착탈결합부
141 : 결합돌기부 142 : 걸림턱
143 : 결합링부 144 : 지지턱
145 : 수용홈 150 : 팩고정구
160 : 스파이크 170 : 고정팩
171 : 몸체 172 : 팁
173 : 머리부 174 : 걸림돌기
232a : 홈부 232b : 볼록부

Claims (7)

  1. 잔디 식생 구역 상에 설치되어 잔디를 보호하기 위한 매트로서,
    제 1 지지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 교차하는 제 2 지지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 사이의 개구 상측에 지지단이 위치하고, 상기 지지단으로부터 4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는 연결부가 상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단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고, 상부의 하중을 1차로 완충시키는 다수의 1차완충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교차부분에 상기 1차완충부보다 낮게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의 하중을 2차로 완충시키는 다수의 2차완충부;
    상기 베이스가 설치면 상에 2차원적으로 다수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착탈결합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의 교차부분에 고정팩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팩고정구; 및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설치면에 박힘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유동을 억제하는 다수의 스파이크;
    를 포함하는, 잔디 보호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완충부는,
    상기 지지단이 사각형 테두리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지지단의 모서리 각각으로부터 곡률을 이루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에 연결되는, 잔디 보호 매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완충부는,
    상하 관통하도록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 또는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로 형성되는, 잔디 보호 매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사선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어느 2개의 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고, 하방으로 이동시 걸리기 위한 걸림턱이 외측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부;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다른 2개의 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만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결합링부;
    를 포함하는, 잔디 보호 매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팩고정구에 관통하여 설치면에 박히는 고정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팩은,
    횡단면이 "+"자 형태를 가지는 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끝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팁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확대된 평면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팩고정구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머리부; 및
    상기 몸체의 4개 측면마다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설치면으로부터 뽑힐 때 저항으로 작용하는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잔디 보호 매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2차완충부의 하측에 상기 2차완충부의 중심 둘레를 따라 다수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가 상하로 적층시,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의 2차완충부 둘레에 끼워지도록 하는, 잔디 보호 매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중심부가 하방으로 볼록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둘레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볼록한 횡단면을 가진 볼록부가 형성되는, 잔디 보호 매트.
KR1020170025559A 2017-02-27 2017-02-27 잔디 보호 매트 KR10175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559A KR101755658B1 (ko) 2017-02-27 2017-02-27 잔디 보호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559A KR101755658B1 (ko) 2017-02-27 2017-02-27 잔디 보호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658B1 true KR101755658B1 (ko) 2017-07-11

Family

ID=5935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559A KR101755658B1 (ko) 2017-02-27 2017-02-27 잔디 보호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6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41B1 (ko) * 2018-08-06 2019-01-04 제해득 잔디보호매트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KR101935742B1 (ko) 2018-08-06 2019-04-03 제해득 잔디보호매트 제조방법
KR101967608B1 (ko)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KR101980084B1 (ko)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CN110886169A (zh) * 2018-09-03 2020-03-17 苏州澄湖爱上飞行航空营地有限公司 草坪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011A (ja) 2004-12-24 2008-07-17 ソン、チャングースブ 芝保護マット及びこれを含むマット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011A (ja) 2004-12-24 2008-07-17 ソン、チャングースブ 芝保護マット及びこれを含むマット組立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41B1 (ko) * 2018-08-06 2019-01-04 제해득 잔디보호매트
KR101935742B1 (ko) 2018-08-06 2019-04-03 제해득 잔디보호매트 제조방법
CN110886169A (zh) * 2018-09-03 2020-03-17 苏州澄湖爱上飞行航空营地有限公司 草坪砖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KR101967608B1 (ko)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KR101980084B1 (ko)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658B1 (ko) 잔디 보호 매트
JP4886699B2 (ja) 芝保護マット及びこれを含むマット組立体
KR101772846B1 (ko) 연약 지반용 잔디 보호 매트 및 하부 받침 매트의 시공 방법
KR101884877B1 (ko) 잔디보호용 매트
KR100898546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844876B1 (ko) 잔디 보호 매트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KR100807329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882618B1 (ko) 잔디보호 매트
KR200416783Y1 (ko) 잔디보호매트
KR101793875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잔디보호용 매트
KR200381257Y1 (ko) 잔디 보호 매트
US10358775B2 (en) Grass protection ma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598680B1 (ko) 잔디 보호 매트
JP7220929B2 (ja) 芝保護用二重マット
KR101092347B1 (ko) 잔디 보호 매트
KR200346130Y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2431091B1 (ko) 푹신한 잔디보호매트
KR102181285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KR20230002311U (ko)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KR102181284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KR102431092B1 (ko) 다종 재질의 잔디보호매트
KR102181286B1 (ko) 받침 매트용 잔디 보호 매트
KR102431090B1 (ko) 설치가 간편한 잔디보호매트
US20230008205A1 (en) Padding layer for athletic field for water retention and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