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170A -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 Google Patents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170A
KR20150084170A KR1020140003895A KR20140003895A KR20150084170A KR 20150084170 A KR20150084170 A KR 20150084170A KR 1020140003895 A KR1020140003895 A KR 1020140003895A KR 20140003895 A KR20140003895 A KR 20140003895A KR 20150084170 A KR20150084170 A KR 2015008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ir
water
aquariu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150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14000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1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조를 이용해 관상용 생물을 사육하는 어항과; 상기 어항이 상단에 얹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태로 케이스가 제작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으로 기포발생기가 구비되어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에 공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중앙으로 결합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가압부재를 상기 어항의 바닥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를 밀폐하는 누수방지수단과; 상기 어항의 내측 중앙으로 관통결합되며,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물의 하중을 이용해 밀폐패킹을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에 밀착시켜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항의 하단에 관통 구비되며, 상기 어항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안착 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일측까지 이어지는 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어항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를 갖는 배수수단이 더 구비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물을 사육하기 위한 어항이 기포발생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단순히 얹혀지는 구조의 분리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어항 내의 물이 간편하게 교체되며, 상기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에 탄성력을 이용해 밀폐시키는 누수방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로 어항 내에 수용된 물이 누수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수족관에서 사용되는 호스 및 전선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통해 어항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조사된 빛이 서로 조화를 이뤄 수족관의 외관미는 물론, 외형에 심미감이 느껴지는 다른 효과가 있고, 수족관의 유지보수를 위해 물을 퍼내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수족관의 이물질과 함께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 A Separating type of aquarium }
본 발명은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수족관의 어항을 기포발생기가 내장된 본체와 탈착되는 구조로 제작함에 따라 어항 내에 기포발생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어항 내의 물을 간편하게 교체하기 위한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물속이나 물가에서 생활하는 생물을 수집하여 그들의 생태조건에 적합한 환경 속에서 기르고 진열함에 따라 그들의 생태나 습성 따위를 여러 사람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리, 플라스틱(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어항에 어패류와 양서류, 해양 포유동물, 파충류 등의 동물과 수초(水草) 등을 넣어 관상용으로 널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족관은 대부분 유리 및 플라스틱(아크릴)을 이용해 어항을 제작하면 어패류와 같은 해양 생물의 산소호흡을 돕기 위한 기포발생기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어항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생물을 관상용으로 사육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초기 부담금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어항에 기포발생기와 같은 부수적인 장치들이 함께 설치된 수족관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실1998-018418호(1998.09.26)"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외측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관통되고 그 상단 내주에 돌출된 지지턱을 갖고 내부에 조명전구와 에어수단인 에어펌프가 구성된 받침대와, 상기 지지턱 상면부에 안착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 중앙부에 위로 돌출된 끼움구에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상,하로 유입공이 관통된 원기둥을 억지 끼움 구성한 원형의 어항으로 이루어진 수족관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받침대 내부에 구성된 에어펌프와 어항이 에어호스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통해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어항과 받침대가 억지 끼움을 통한 고정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어항과 받침대의 분리가 불편해짐에 따라 어항 내에 수용되는 물을 교체하기가 번거로우며, 상기 어항과 받침대의 결합부위 및 에어펌프와 어항의 연결부위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미비하기 때문에 상기 어항 내에 수용된 물이 어항과 받침대의 결합부위 내지 에어펌프와 어항의 연결부위로 유출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족관에서 사용되는 각종 부품 내지 호스 및 전선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수족관의 외관미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와 같이 각종 부품 내지 호스 및 전선들이 어항과 받침대에 복잡하게 연결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어항과 받침대를 각각 분리하기가 번거로운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었다.
더불어, 이끼 또는 관상어의 배설물 등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며, 이에 따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어항을 청소해야하는데, 어항에 관상어를 옮기고, 물을 퍼낸 후 어항을 청소하고 다시 물을 담아 관상어를 집어넣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물을 사육하기 위한 어항을 기포발생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단순히 얹혀지는 구조의 분리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어항 내의 물이 간편하게 교체되도록 하면서 상기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로 탄성력을 이용해 밀폐되도록 하는 누수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를 통해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로 어항 내에 수용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어항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수족관에서 사용되는 호스 및 전선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통해 어항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조사된 빛이 서로 조화를 이뤄 수족관의 외관미는 물론, 외형에 심미감이 느껴지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어항의 하단 및 본체를 관통하여 어항에 오염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족관의 유지보수를 위해 물을 퍼내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수족관의 이물질과 함께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조를 이용해 관상용 생물을 사육하는 어항과; 상기 어항이 상단에 얹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태로 케이스가 제작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으로 기포발생기가 구비되어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에 공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중앙으로 결합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가압부재를 상기 어항의 바닥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를 밀폐하는 누수방지수단과; 상기 어항의 내측 중앙으로 관통결합되며,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물의 하중을 이용해 밀폐패킹을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에 밀착시켜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항의 하단에 관통 구비되며, 상기 어항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안착 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일측까지 이어지는 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어항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를 갖는 배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물을 사육하기 위한 어항이 기포발생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단순히 얹혀지는 구조의 분리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어항 내의 물이 간편하게 교체되며, 상기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에 탄성력을 이용해 밀폐시키는 누수방지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어항과 본체의 결합부위로 어항 내에 수용된 물이 누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어항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수족관에서 사용되는 호스 및 전선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통해 어항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조사된 빛이 서로 조화를 이뤄 수족관의 외관미는 물론, 외형에 심미감이 느껴지는 다른 효과가 있다.
더불어, 어항의 하단 및 본체를 관통하여 어항에 오염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족관의 유지보수를 위해 물을 퍼내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수족관의 이물질과 함께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수족관의 어항(100)이 본체(200)의 상단에 탈착되는 구조로 제작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태로 케이스(220)가 제작되며, 상기 케이스(220)의 내부 일측으로 기포발생기(221)가 구비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100)에 공급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내측 중앙으로 결합되며,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을 이용해 가압부재(214)를 상기 어항(100)의 바닥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를 밀폐하는 누수방지수단(210)과;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얹혀지는 방식으로 수조(120)가 결합되어 상기 수조(120)를 이용해 관상용 생물을 사육하는 어항(100)과; 상기 어항(100)의 내측 중앙으로 관통결합되며, 상기 수조(120) 내에 수용된 물의 하중을 이용해 밀폐패킹(114)을 상기 가압부재(214)의 상면에 밀착시켜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220)의 일측에는 상기 기포발생기(221) 및 LED램프(23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224,231)가 각각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200)는 어항(100)의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내부에 내장된 기포발생기(221)를 이용해 상기 어항(1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函) 형태로 케이스(220)가 제작되며, 상기 케이스(220)는 고강도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외형이 원형, 사각, 다각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220)의 내부 일측으로 바닥면에 기포발생기(221)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100)에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포발생기(221)는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임에 따라 어패류와 같은 해양 생물의 산소호흡을 돕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상기 기포발생기(221)는 일반적인 공기펌프의 형태로 해양 생물을 어항(100)에서 사육하기 위한 부수적인 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기포발생기(221)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됨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은 상기 본체(200)의 내측 중앙으로 결합되어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은 상기 본체(200)의 내측 중앙으로 금속 재질의 원통 관체 형태로 제작되는 고정부재(211)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211)의 내측 하부로 공기호스(222)의 눌림을 방지하는 지지부재(213)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213)의 상단으로 일반적인 스프링 형태로 제작되는 탄성부재(212)와 어항(1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214)가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13)는 상기 탄성부재(212)를 긴장상태로 만들어 탄성력을 증대시킴으로서 상기 가압부재(214)가 어항(1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힘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기포발생기(221)에 연결되는 공기호스(222)가 상기 탄성부재(212)가 수축되면 눌리지 않도록 상기 공기호스(222)의 연결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며, 상기 가압부재(214)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상기 가압부재(214)의 상면이 어항(100)의 바닥면 중앙에 구비되는 공기배출수단(110)의 밑면에 밀착됨에 따라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가 밀폐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214)의 중앙을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214)의 하단 중앙으로 니뿔(215)이 나선결합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1)와 가압부재(214)가 공기호스(222)를 통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어항(100)에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항(100)은 내부에 물을 채워넣어 어패류와 같은 해양 생물을 관상용으로 사육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어항(100)은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 얹혀지는 방식으로 수조(120)가 결합되며, 상기 수조(120)는 투명한 유리재 또는 플라스틱(아크릴)을 이용해 외형이 원형, 사각, 다각의 다양한 형태로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됨에 따라 상기 수조(120)의 내부로 다양한 생물을 물과 함께 수용하여 관상용으로 상기 어항(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조(120)의 하부 외측으로 바닥면에는 본체(200)의 상단에 어항(100)이 얹혀지면 상기 어항(100)을 본체(200) 상에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12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20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돌기(122)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홈(22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22)와 결합홈(223)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어항(100)이 본체(200)에 결합되는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본체(200)의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어항(100)에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수단(110)은 상기 어항(100)의 내측 중앙으로 관통결합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어항(100)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수단(110)은 상기 어항(100)의 내측 중앙으로 합성수지재의 관체 형태로 제작되는 공기유입부재(111)가 관통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의 하단으로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의 가압부재(214)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밀폐패킹(114)이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의 상부에는 상기 어항(100)의 내부로 공기를 다수의 방울형태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스톤(115)이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와 연통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기(22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스톤(115)을 통해 어항(100)의 내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의 가압부재(214) 상면에 밀폐패킹(114)의 하면이 면착되면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의 탄성부재(212)를 통해 가압부재(214)와 밀폐패킹(114)이 상호 밀착되어 상기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가 밀폐됨에 따라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밀폐패킹(114)은 중앙이 관통되는 도넛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214)와 밀폐패킹(114)이 밀착된 상태에서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공기유입부재(111)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의 내측에는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차단부재(112)가 결합되며, 상기 역류차단부재(112)는 고무재질을 이용해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역류차단부재(112)의 상면으로 십자형태의 절개홈(11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역류차단부재(112)의 절개홈(113)이 벌어져 어항(100)의 내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기포발생기(221)의 작동이 중단되거나 본체(200)로부터 어항(100)을 분리하게 되는 경우 상기 역류차단부재(112)의 내부공간과 공기유입부재(111)의 내부공간과의 기압차에 의해 역류차단부재(112)의 절개홈(113)이 닫혀 어항(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내측으로 상부 벽에는 어항(100) 측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LED램프(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어항(100)의 수조(120) 내측 하부에는 상기 LED램프(2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조사되는 빛을 수조(120) 내부에서 확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확산관(121)이 돌출형성됨에 따라 어항(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LED램프(230)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서로 조화를 이뤄 수족관(1)의 외형에 심시감이 느껴져 수족관(1)을 조명기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LED램프(230)의 전기적 연결 및 이에 대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LED램프(230)를 이용해 빛을 조사하는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조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어항(100)의 내측으로 수조(120)의 바닥에는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에서 불순물이 가라앉아 물과 분리되도록 하는 거름판(300)이 구비되며, 상기 거름판(300)은 평면상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해양 생물의 배설물이나 물속에 섞인 불순물이 가라앉으면 상기 거름판(300)의 관통공을 통해 수조 바닥에 쌓이게 됨과 동시에 수조(120) 내에 수용된 물을 순환시키는 공기배출수단(110)의 에어스톤(115)이 상기 거름판(300)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거름판(300)의 내측으로 쌓인 불순물은 물이 순환에 의해 유동되지 않아 수조 내에 수용된 물과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어항(100)의 상단에는 수조(120)의 상측 둘레를 덮기 위한 뚜껑(140)이 결합되며, 상기 뚜껑(140)은 원판 형태로 평면상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조(120) 내에 수용된 물의 수분이 증발형태로 배출되어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뚜껑(140)의 하단에는 3 ~ 4개의 뚜껑결합부재(141)가 등간격 이격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뚜껑결합부재(141)를 이용해 상기 수조(120)로부터 뚜껑(140)을 일정간격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결합부재(141)는 수조(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단턱(142)이 다단으로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조(120)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뚜껑결합부재(141)를 이용해 뚜껑(140)을 어항(100)의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르면,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족관(1)을 작동시켜 어패류와 같은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어항(100)을 본체(20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해양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물을 어항(100)의 수조(120) 내부로 채워 넣으면 상기와 같이 물이 수용된 어항(100)은 본체(200)의 상면에 얹혀지며 상기 어항(100)과 본체(200)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122)와 결합홈(223)을 상호 결합시킴에 따라 어항(100)이 본체(200)의 결합위치로 정확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물이 수용된 어항(100)이 본체(200)의 상면에 안착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본체(200)의 내부 중앙에 결합된 누수방지수단(210)의 가압부재(214)와 어항(100)의 하부 중앙에 결합된 공기배출수단(110)의 밀폐패킹(114)이 상호 밀착되게 되어 상기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가 밀폐되며,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의 가압부재(214)가 탄성부재(212)를 통해 상기 밀폐패킹(114)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수단(110)으로 유출될 수 있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누수방지수단(210)의 가압부재(214)와 공기배출수단(110)의 밀폐패킹(114)이 밀착되면 상기 본체(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기포발생기(221)를 가동하여 공기를 공기호스(222)를 통해 상기 가압부재(214) 측으로 공급하게 되며, 상기 가압부재(214) 측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수단(110)의 공기유입부재(111) 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역류차단부재(112)의 절개홈(113)이 벌어짐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수단(110)의 상부에 결합된 에어스톤(115)을 통해 어항(100)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어 사육하고자 하는 해양 생물의 산소호흡을 돕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상부에 다수로 결합된 LED램프(230)에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LED램프(230)를 온(ON) 상태로 만들면 상기 어항(100)의 수조(120) 측으로 LED램프(230)의 빛이 조사되어 수조(120)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은은하게 조사된 빛이 퍼짐에 따라 수족관(1)을 조명기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수로 결합된 LED램프(230)의 발광되는 수를 조절하여 어항(100) 측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항(100)의 하단에 관통 구비되며, 상기 어항(100)이 상기 케이스(220)의 상부에 안착 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220)의 상측에서 일측까지 이어지는 배수관(420)에 연결되어 상기 어항(100)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410)를 갖는 배수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수단(400)을 통해 상기 어항(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0)로부터 상기 어항(1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어항(100)에 침전된 배설물이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어 어항(10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항(100)의 무게가 가벼워 용이하게 본체(200)로부터 어항(1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어항(100)을 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항(100)에 침전된 배설물 또는 이물질이 배수수단(40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어항(100)의 바닥부분을 배수밸브(410)를 향해 구배면(10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생물을 사육하기 위한 어항(100)이 기포발생기(221)가 내장된 본체(200)의 상면에 단순히 얹혀지는 구조의 분리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어항(100) 내의 물이 간편하게 교체되며, 상기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에 탄성력을 이용해 밀폐시키는 누수방지수단(210)이 구비됨에 따라 이를 통해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로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이 누수되지 않는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200)의 내측에 어항(100)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230)가 설치됨에 따라 이를 통해 어항(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조사된 빛이 서로 조화를 이뤄 수족관(1)의 외형에 심미감이 느껴지게 되는 또 다른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수족관 100: 어항
110: 공기배출수단 111: 공기유입부재
112: 역류차단부재 113: 절개홈
114: 밀폐패킹 115: 에어스톤
120: 수조 121: 확산관
122: 결합돌기 140: 뚜껑
141: 뚜껑결합부재 142: 단턱
200: 본체 210: 누수방지수단
211: 고정부재 212: 탄성부재
213: 지지부재 214: 가압부재
215: 니뿔 220: 케이스
221: 기포발생기 222: 공기호스
223: 결합홈 230: LED램프
300: 거름판 400: 배수수단
410: 연결밸브 420: 배수관
430: 배수밸브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수조(120)를 이용해 관상용 생물을 사육하는 어항(100)과;
    상기 어항(100)이 상단에 얹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태로 케이스(220)가 제작되고, 상기 케이스(220)의 내부 일측으로 기포발생기(221)가 구비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100)에 공급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내측 중앙으로 결합되며,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을 이용해 가압부재(214)를 상기 어항(100)의 바닥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어항(100)과 본체(200)의 결합부위를 밀폐하는 누수방지수단(210)과;
    상기 어항(100)의 내측 중앙으로 관통결합되며, 상기 수조(120) 내에 수용된 물의 하중을 이용해 밀폐패킹(114)을 상기 가압부재(214)의 상면에 밀착시켜 상기 기포발생기(22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수단(210)은 상기 본체(200)의 내측 중앙으로 결합되는 원통형태의 고정부재(211)와;
    상기 고정부재(211)의 하단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13)와;
    상기 지지부재(213)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어항(10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가압부재(214)와;
    상기 가압부재(214)의 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기포발생기(221)와 가압부재(214)를 상호 연결시키는 니뿔(21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110)은 상기 어항(100)의 내측 중앙으로 관통결합되는 공기유입부재(111)와;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의 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누수방지수단(210)과 밀착되는 밀폐패킹(114)과;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의 상부로 결합되어 기포발생기(221)에서 생성되는 공기를 상기 어항(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에어스톤(115)과;
    상기 공기유입부재(111)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차단부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는 어항(100)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램프(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어항(1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LED램프(2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다수의 확산관(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100)의 내측 바닥에는 어항(100) 내에 수용된 물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거름판(3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100)의 상단에는 수조(120) 상측을 덮는 뚜껑(1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100)의 하단에는 상기 어항(100)이 상기 케이스(220)의 상부에 안착 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220)의 상측에서 일측까지 이어지는 배수관(420)에 연결되어 상기 어항(100)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410)를 갖는 배수수단(4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KR1020140003895A 2014-01-13 2014-01-13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KR101598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895A KR101598150B1 (ko) 2014-01-13 2014-01-13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895A KR101598150B1 (ko) 2014-01-13 2014-01-13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170A true KR20150084170A (ko) 2015-07-22
KR101598150B1 KR101598150B1 (ko) 2016-02-26

Family

ID=5387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895A KR101598150B1 (ko) 2014-01-13 2014-01-13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1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489A (zh) * 2019-08-22 2019-11-08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鱼缸观赏池密闭抗压结构
WO2022010005A1 (ko) * 2020-07-07 2022-01-13 주식회사 하이팟 식물 재배가 가능한 어항 장치
WO2022163970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하이팟 관상어를 키울 수 있는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637A (ko) 2018-02-12 2019-08-21 김승환 삼차원 확장형 입체 수족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528A (ja) * 1994-08-24 1996-03-05 Akio Iwashita 魚用水槽
KR970073324A (ko) * 1997-08-29 1997-12-10 김노중 공기주입겸용 물배출장치를 구비한 하부경사오목형 수족관
KR200230524Y1 (ko) * 2001-02-12 2001-07-03 김홍열 이동식 어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528A (ja) * 1994-08-24 1996-03-05 Akio Iwashita 魚用水槽
KR970073324A (ko) * 1997-08-29 1997-12-10 김노중 공기주입겸용 물배출장치를 구비한 하부경사오목형 수족관
KR200230524Y1 (ko) * 2001-02-12 2001-07-03 김홍열 이동식 어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489A (zh) * 2019-08-22 2019-11-08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鱼缸观赏池密闭抗压结构
WO2022010005A1 (ko) * 2020-07-07 2022-01-13 주식회사 하이팟 식물 재배가 가능한 어항 장치
KR20220005693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하이팟 식물 재배가 가능한 어항 장치
WO2022163970A1 (ko)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하이팟 관상어를 키울 수 있는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150B1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03161U (zh) 一种宠物自动饮水器
KR101598150B1 (ko)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US9282728B2 (en) Aquarium with an integrated cleaning system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US4174589A (en) Bathroom planter box
KR20170001535U (ko)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WO2018039921A1 (zh) 桌面型智能花箱
US5228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rtificial aquatic system
US7544290B2 (en) Aquarium
KR20200000051U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CN211424230U (zh) 一种喷泉灯
CN215500936U (zh) 一种自动排污鱼缸
CN108684600B (zh) 水族箱和非破坏性过滤系统
KR10082862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1150540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수중 기포발생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DE502004008738D1 (de) Wassertank mit filterpatrone
CN111296349A (zh) 一种带潜水压力式过滤系统的鱼缸
JP2009296976A (ja) 水槽
JP3128595U (ja) 水槽用備品、及び観賞魚水槽用ポンプ
KR101707616B1 (ko) 조립파이프형 수조
CN215123362U (zh) 一种无管线生态水族箱
RU2186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кубации цист артемии
CN211595094U (zh) 具透明绕旋水道的水族用紫外线灯装置
KR200263061Y1 (ko) 다기능 복합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