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549A -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549A
KR20150083549A KR1020140003210A KR20140003210A KR20150083549A KR 20150083549 A KR20150083549 A KR 20150083549A KR 1020140003210 A KR1020140003210 A KR 1020140003210A KR 20140003210 A KR20140003210 A KR 20140003210A KR 20150083549 A KR20150083549 A KR 2015008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main body
discharge port
gat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14000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549A/ko
Publication of KR2015008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제의 파손이나 이물질의 혼합 없이 정제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Tablet transfer apparatus and table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의 파손이나 이물질의 혼합 없이 정제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이송장치는 생산공정에서 생산된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제이송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1659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제이송장치는, 저장용기(1)의 상부를 밀폐시킬수있는 뚜껑(2)에 있어서, 상기 뚜껑(2)에 이송관(3)을 관통시켜 설치하고, 이 이송관(3) 일측에 분기관(4)을 고정하여 형성하되, 상기 이송관(3)과 분기관(4)이 연결되는 부분에 소공(5)이 다수 천공된 다공판(6)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정제이송장치는 정제가 수직낙하 및 자유낙하 하므로 정제의 파손이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정제이송장치는 정제의 이송 중에 이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정제이송장치는 정제의 이송 중에 발생 된 분진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제의 파손이나 이물질의 혼합 없이 정제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제이송장치는,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를 구동하는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구를 형성하는 본체 내부의 하단 측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게이트 사이의 기밀을 위한 가스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파이프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수단이 작동하면 상기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흡입수단이 정지하면 상기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제기의 정제배출구에 입구가 연결되고, 정제분석장치의 정제투입구에 배출구가 연결되는 정제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이송장치는,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는 상기 정제배출구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는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정제의 파손 없이 효과적으로 정제를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는 배출구와 게이트의 기밀을 위한 가스켓 및 적절한 게이트의 개폐를 통하여 정제의 이송 시에 이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는 정제의 이송 시에 발생하는 분진을 석션파이프로 배출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를 포함한 정제장치는 정제분석장치를 통하여 정확한 정보(중량, 크기, 경도)를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제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의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의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의 정제 이송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를 포함한 정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의 배출구(15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의 배출구(15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의 정제(500) 이송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를 포함한 정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는,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400)와; 석션파이프(400)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본체(100)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140)와;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50)와; 배출구(150)를 개폐하는 게이트(16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다각부(110)와, 원통부(120)와,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다각부(110)는 칠각기둥 형상으로 일곱 개의 측면이 형성된다.
다각부(110)의 전방 좌측면(이하 설치면이라 함)에는 플랜지(200)가 우측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플랜지(200)의 중공은 다각부(110)의 설치면(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후술할 입구(140)와 연통된다.
플랜지(200)의 일부분은 후술할 입구(14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다각부(110)는 본체(100)의 상부를 이룬다.
원통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다각부(11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합부(130)는 원통부(120)의 하부에 형성된다.
결합부(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원통부(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결합부(130)의 하단은 후술할 정제분석장치(3000)의 정제투입구(3100)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00) 내부의 횡방향 단면은 원형이다.
본체(100) 내부의 종방향 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 내부의 종방향 단면이 상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위치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다가 일정 위치부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기 위한 커버(300)가 형성된다.
커버(300)의 하부 일부는 본체(100)의 상단에 삽입되어 본체(100)와 결합 된다,
커버(300)의 중앙에는 석션파이프(40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석션파이프(400)는 일단이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흡입수단(미도시)과 결합 된다.
이때, 흡입수단(미도시)은 집진기(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수단(미도시)에는 필터가 형성되어, 흡입수단(미도시) 측으로 배출되는 분진은 포집하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킨다.
석션파이프(400)는 흡입수단(미도시)의 작동 시,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석션파이프(400)는 원형 관이지만,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본체(100)의 다각부(110) 측면 중 설치면(112)에는 본체 외부에서 본체 내부를 연통하는 입구(140)가 형성된다.
입구(140)는 설치면(112)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이다.
입구(140)는 정제(500)가 본체(100) 내부로 투입되는 곳이다.
입구(140)의 하단은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석션파이프(400)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러한 이유는 입구(14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투입되는 정제(500)가 석션파이프(40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입구(140)는 본체(100)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한다.
입구(140)가 형성되는 설치면(112)의 내부 둘레면 중 일면은 안내면(114)을 이룬다.
안내면(114)은 설치면(112)의 내부 둘레면 중 다각부(110)에 삽입된 플랜지(200)의 끝단에서 본체(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부분까지 길게 형성된 면이다.
다각부(110)에 삽입된 플랜지(200)의 끝단은 다각부(110) 내부의 안내면(114)과 연결되고, 안내면(114)은 본체(100)의 내주면에 접선의 형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입구(14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투입되는 정제(500)는 본체(100) 내주면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며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100)의 하부에는 배출구(150)가 형성된다.
배출구(150)는 원형 구멍이다.
배출구(150)는 본체(100) 내부로 투입된 정제(500)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배출구(150)를 형성하는 본체(100) 내부의 하단 측 외주면에는 단턱부(152)가 형성된다.
배출구(150)의 하부에는 게이트(160)가 위치한다.
게이트(160)는 실린더(180)에 의해 구동되어 배출구(15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160)는 원판(162)과 원판(162)의 중앙에서 돌출된 사각기둥 형상의 돌출부(164)로 구성된다.
게이트(160)는 링크부(170)와 체결된다.
링크부(170)는 서로 힌지 결합 된 제1링크(172)와 제2링크(174)로 구성된다.
제2링크(174)는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고, 제1링크(172)는 힌지축(17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링크(172)의 일측부는 게이트(160)와 체결되고, 타측부는 실린더(180)의 피스톤로드(182)와 체결된다.
게이트(160)는 실린더(180)의 피스톤로드(18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배출구(150)를 폐쇄하고, 실린더(180)의 피스톤로드(18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배출구(150)를 개방한다.
게이트(160)는 흡입수단(미도시)이 작동하면 배출구(150)를 폐쇄하고, 흡입수단(미도시)이 정지하면 배출구(150)를 개방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배출구(150)를 형성하는 본체(100) 내부의 하단 측 외주면에는 가스켓(190)이 형성된다.
가스켓(190)은 원형 링 형상이다.
가스켓(190)의 내주면에는 홈(192)이 형성된다.
가스켓(190)의 홈(192)에는 단턱부(152)가 끼워져서 배출구(150)를 형성하는 본체(100) 내부의 하단 측 외주면과 가스켓(190)이 결합된다.
가스켓(190)은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재질임이 바람직하다.
가스켓(190)은 게이트(160)가 배출구(150)를 폐쇄할 때, 배출구(150)와 게이트(16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스켓(190)은 배출구(150)의 하부로 날카롭게 돌출되어 있어서 게이트(160)의 개폐 시, 게이트(160)와 배출구(1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수단(미도시)이 작동하는 순간 게이트(160)는 배출구(150)를 폐쇄한다.
흡입수단(미도시)이 작동함에 따라 본체(100) 외부의 정제(500) 및 공기가 본체(100)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다.
투입된 정제(500)는 사이클론 원리에 따라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하고, 공기 및 정제(500)의 이송으로 인한 분진은 석션파이프(400)를 통해 흡입수단(미도시)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석션파이프(400)를 통해 흡입수단(미도시) 측으로 배출된 분진은 흡입수단(미도시)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고, 공기만이 흡입수단(미도시) 외부로 배출된다.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한 정제(500)는 게이트(160)의 상부에 쌓인다.
게이트(160)의 상부에 정제(500)가 일정량만큼 쌓이면 흡입수단(미도시)이 정지하고, 그 순간 게이트(160)는 배출구(150)를 개방한다.
정제(500)는 개방된 배출구(15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음 공정에 필요한 장치로 이송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이송장치(1000)를 포함한 정제장치는, 정제기(2000)의 정제배출구(2100)에 정제이송장치(1000)의 입구(140)가 연결되고, 정제분석장치(3000)의 정제투입구(3100)에 정제이송장치(1000)의 배출구(150)가 연결되며, 정제이송장치(1000)가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400)와, 석션파이프(400)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본체(100)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140)와,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50)와, 배출구(150)를 개폐하는 게이트(160)를 포함하되, 입구(140)는 정제배출구(2100)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제이송장치(1000)의 구성은 앞서 설명했던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정제기(2000)는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정제기(2000)에는 정제배출구(2100)가 형성된다.
정제배출구(2100)는 정제이송장치(1000)의 입구(140)와 파이프(1500)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정제기(2000)의 정제배출구(2100)는 정제이송장치(1000)의 입구(140)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제기(2000)에서 배출되는 정제의 이동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정제기(2000)에서 생산된 정제는 정제배출구(2100)를 통해 배출되어 정제이송장치(1000)로 투입된다.
정제이송장치(1000)는 생산 공정인 정제기(2000)에서 생산된 정제를 다음 공정인 정제분석장치(30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제이송장치(1000)의 하단은 정제분석장치(3000)에 체결된다.
이 때문에 정제이송장치(1000)의 배출구(150)는 정제분석장치(3000)의 정제투입구(3100)와 연결된다.
정제이송장치(1000)에 투입된 정제는 배출구(150)를 통해 배출되어 정제분석장치(3000)의 정제투입구(3100)로 투입된다.
정제분석장치(3000)는 정제기(2000)에서 생산된 정제, 특히 정제샘플을 분석하여 중량, 크기, 경도 등의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정제장치는 정제기(2000)와 정제분석장치(3000)에 정제이송장치(1000)를 직접 설치, 연결하여 사용함으로 정제(500)의 파손이나 이물질의 혼합 없이 효과적으로 정제(500)를 이송할 수 있고, 정제(500) 이송 시에 발생하는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정제(500)의 정확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다각부
112 : 설치면 114 : 안내면
120 : 원통부 130 : 결합부
140 : 입구 150 : 배출구
152 : 단턱부 160 : 게이트
162 : 원판 164 : 돌출부
170 : 링크부 172 : 제1링크
174 : 제2링크 176 : 힌지축
180 : 실린더 182 : 피스톤로드
190 : 가스켓 192 : 홈
200 : 플랜지 300 : 커버
400 : 석션파이프 500 : 정제
1000 : 정제이송장치 1500 : 파이프
2000 : 정제기 2100 : 정제배출구
3000 : 정제분석장치 3100 : 정제투입구

Claims (6)

  1.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
    상기 석션파이프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를 구동하는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구를 형성하는 본체 내부의 하단 측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게이트 사이의 기밀을 위한 가스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이프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이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이 작동하면 상기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흡입수단이 정지하면 상기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이송장치.
  6. 정제기의 정제배출구에 입구가 연결되고, 정제분석장치의 정제투입구에 배출구가 연결되는 정제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이송장치는,
    내부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영역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석션파이프;
    상기 석션파이프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접선하게 위치하는 입구;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는 상기 정제배출구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장치.
KR1020140003210A 2014-01-10 2014-01-10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KR20150083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10A KR20150083549A (ko) 2014-01-10 2014-01-10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10A KR20150083549A (ko) 2014-01-10 2014-01-10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49A true KR20150083549A (ko) 2015-07-20

Family

ID=5387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10A KR20150083549A (ko) 2014-01-10 2014-01-10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3217A1 (zh) * 2021-12-09 2023-06-15 上海矩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片剂的外观检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3217A1 (zh) * 2021-12-09 2023-06-15 上海矩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片剂的外观检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BO20070549A1 (it) Giostra di supporto e pesatura per contenitori.
MX2017014143A (es) Filtro neumatico y elemento de filtro.
JP2006312462A (ja) 貯留槽設備
CN105797440A (zh) 制药用沉淀装置
KR20150083549A (ko) 정제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제장치
KR101709465B1 (ko) 분진제거용 싸이클론
JP2019043644A (ja) キャップ
JP2013078726A (ja) 洗米機
CN205405823U (zh) 物料堵塞自动报警装置
CN210952243U (zh) 一种食品加工烘干系统
RU26345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бункера
KR20190027244A (ko) 정제 배출 슈트
CN106217687A (zh) 一种干燥设备
KR20160109873A (ko) 복합 사이클론 집진기
KR100721540B1 (ko) 판유리 이송장치
CN106144437B (zh) 一种电子接插件自动装盖机
KR20090092188A (ko) 정제약 계수 포장기의 비산분진 포집장치
TW202306734A (zh) 低輪廓接收器
JP5711644B2 (ja) 洗米機
CN204957807U (zh) 一种夹套型真空输送机
CN208213622U (zh) 一种大麦颗粒分级筛选装置
CN105752597A (zh) 高效水泥生产物料输送装置
CN212199166U (zh) 一种燃煤原料的脱硫脱硝处理机
CN215391270U (zh) 一种清洁设备
ES2570541T3 (es) Contenedor para almacenar productos alimenta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