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200A -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200A
KR20150083200A KR1020140002677A KR20140002677A KR20150083200A KR 20150083200 A KR20150083200 A KR 20150083200A KR 1020140002677 A KR1020140002677 A KR 1020140002677A KR 20140002677 A KR20140002677 A KR 20140002677A KR 20150083200 A KR20150083200 A KR 2015008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achine
article
data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083B1 (ko
Inventor
이현균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엔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엔그룹 filed Critical (주)신우엔그룹
Priority to KR102014000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에서 게임기의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 뽑기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게임기의 케이스 내에 담긴 센서내장 물품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물품 인식부; 상기 게임기의 화폐투입구를 통해 입력되는 화폐의 금액을 감지하는 금전 확인부;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 집합과 상기 물품 인식부 및 상기 금전 확인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 담긴 물품을 뽑는 뽑기수단의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물품 인식부 및 상기 금전 확인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lable picking commodity type game machine and remote control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물품 뽑기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에서 게임기의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인형 뽑기라고 불리는 물품 뽑기 게임기는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성인들까지 연령층에 상관없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러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대부분 케이스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수납된 인형이나 장난감과 같은 물품을 소정의 화폐를 투입하면 소정 시간 동안 구동되는 크레인 등의 픽업기구에 의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게임기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뽑기 게임기는 게임기의 기능과 성능에 따라서 다양한 외형과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크레인 형태의 픽업방식 게임기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픽업방식 게임기의 몇 가지 일례를 도시하였다. 픽업방식 게임기는 전면에는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물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내부에 충전된 물품을 파지하여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픽업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 외부에 레버 또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부와, 이 조작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픽업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게임기는 사용자가 전면의 동전 및 지폐 투입구에 동전 또는 지폐를 넣으면 기기가 작동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에 의한 조작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집게가 달려 있는 크레인 아암 등의 픽업수단이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크레인 아암을 위치시킨 다음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면 크레인 아암이 하강하여 물품을 집어 올린 후 게임기 밖으로 통하는 배출구 입구로 물품을 이동시켜 이를 획득하게 된다.
도 1e는 전술한 픽업방식 대신에 푸셔를 이용한 푸싱방식의 게임기로서, 보통 물품이 진열된 물품진열대의 전방에 구비된 푸셔가 물품을 푸싱하여 진열된 물품을 정확한 좌표의 인식에 의하여 전방에서 밀어줌으로써 물품인출이 가능토록 한다.
도 1f는 도 1e의 푸싱방식의 게임기와는 달리 물품진열대의 물품이 놓여지는 받침판의 후단부가 승강되도록 회동시켜서 물품이 물품진열대의 전방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한 방식의 게임기이다.
도 1g는 키 홀더(Key holder)와 같은 볼 체인을 구비하여 물품들을 꺼낼 수 있도록 한 방식의 게임기를 도시한 것으로, 게임자는 코인 슬롯 안으로 코인을 넣고 상향 버튼과 우향(좌향) 버튼을 조작하여 걸림 해제 부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그 곳에서 걸림 해제 부재에 의해 키 홀더의 걸림을 해제하고, 키 홀더를 낙하시켜 물품 배출구에서 획득하게 되어 있다.
도 1h는 포크레인 형태의 물품 획득 수단을 가진 물품 인출 게임기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대와 물품 박스와 제어 스위치와 포크레인 미니어쳐와 푸싱 다이스와 물품 배출구와 카운터와 물품 저장고로 구성된다. 포크레인 미니어쳐는 제어 스위치의 구동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도 1i는 타켓부의 전방에서,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를 장착하고,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평이동하여 선택적으로 타켓플레이트에 흡착되는 진공흡착부를 구비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부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물품을 인출시키는 게임장치이다.
도 1j는 물품을 비치하는 공간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다수의 물품을 비치할 수 있어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복수로 이루어진 공간에서 각각의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금액별 다양한 물품을 구획하여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물품 뽑기 게임기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게임기들은 모양과 방식은 다르지만 소정 금액을 투입하고, 케이스 내부의 물품을 모터로 움직이는 구동수단을 게임자의 조작에 따라 움직여 케이스 외부로 배출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이러한 종래의 게임기들은 산재된 장소에 설치되는데, 게임이 운영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물품이 줄어들기 때문에 게임기의 관리자는 필요한 물품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채워주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게임기가 설치된 위치에 직접 가서 게임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여 필요한 물품을 파악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물품을 현장에 가서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다양한 물품을 모두 구비하고 이동해야 하고, 이에 따라 인기 없는 물품들은 악성재고가 되어 이중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가 게임기의 매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게임기마다 게임기 내의 물품을 체크하는 것과 병행하여 금전수납부에서 금전을 수거하여 금액을 확인한 후에라야 비로소 매출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매출현황이 늦게 집계되어 게임자의 기호에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하여 매출 증가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종적으로 게임기의 물품을 뽑는 구동수단의 힘을 조절함으로써 게임기의 뽑기 난이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구동수단의 힘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게임기의 내부에 장착된 조절부를 수동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 게임기를 일부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3399호(1998. 05. 25.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233호(2000. 06. 01.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441호(2000. 09. 15.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092호(2000. 10. 12.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0248호(2000. 11. 0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0813호(2005. 08. 19.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3690호(2007. 08. 24.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079호(2010. 03. 0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1717호)2012. 04. 24.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572호(2012. 12. 1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8607호(2013. 06. 1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9432호(2013. 06. 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216호(2013. 11. 13. 등록)
따라서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물품상태, 매출상태 등의 판매현황을 현장에 가서 게임기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뽑기 난이도를 현장에 가서 게임기를 뜯어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관리자에게 물품의 재고, 이동거리, 거래처 관리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물품 뽑기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게임기의 케이스 내에 담긴 센서내장 물품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물품 인식부; 상기 게임기의 화폐투입구를 통해 입력되는 화폐의 금액을 감지하는 금전 확인부;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 집합과 상기 물품 인식부 및 상기 금전 확인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 담긴 물품을 뽑는 뽑기수단의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물품 인식부 및 상기 금전 확인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부; 및 상기 음성 재생부에서 재생된 음성신호를 청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매장을 찾은 고객들에게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매장을 찾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광고 또는 문자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은, 케이스 내에 담긴 센서내장 물품의 판매정보 데이터, 화폐투입구를 통해 입력되는 화폐의 매출정보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으로 수신한 구동력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로부터 판매정보 데이터 및 매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판매현황 및 매장별 현황을 산출하고,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에 구동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판매현황 및 매장별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의 구동력 조정을 위한 구동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단말; 및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와 무선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원격지의 관리서버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통신선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로 매장별 정보 및 매장별 경로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품상태, 매출상태 등 판매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게임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실시간으로 판매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게임기 관리자의 시간적 물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요한 물품만을 구비할 수 있어 재고비용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출통계를 자동으로 집계하여 제공함으로써, 게임기 관리자가 인기물품에 대한 정보를 통해 매출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뽑기 난이도를 현장에 가서 게임기를 뜯어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게임기 관리자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게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통해 판매현황, 매장별 현황, 매장별 정보, 물품의 재고, 매장경로, 거래처 관리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게임기 관리자가 쉽고 빠르게 다수의 게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게임기의 오작동이나 장애에 대하여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1j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품 뽑기 게임기의 다양한 방식과 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내부 블록구성도,
도 4a 내지 4s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자단말의 제어화면의 일례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다양한 물품을 취급할 수 있으며, 특히 실물의 미니어처를 물품으로 하여, 게임자가 뽑은 미니어처에 대응하는 실물을 제공하는 매장에 설치되어, 해당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과 연관된 미니어처를 물품으로 취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가 설치된 매장에서는 고객이 뽑은 미니어처에 대응하는 제품이나 제품의 일부 또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게임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객은 게임기를 통해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부가적인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는 게임자가 뽑은 물품에 대한 정보와 게임에 따른 금전수익 정보를 게임기가 설치된 매장의 정보에 매칭하여 게임기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관리자단말로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지에서 게임기의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쉽고 빠르게 게임기의 난이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100)는 WiFi통신과 같이 소정 반경 내의 근거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어댑터(210)를 통해 인터넷(220)에 연결된 관리서버(3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10)는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자단말(400)에 게임기(100)의 원격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100)는 인접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는 경우에 하나의 인터넷 어댑터(210)에 다수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310)는 DB서버(320), 백업서버(330) 및 미러서버(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별도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통합된 서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내부 블록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4s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자단말의 제어화면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100)는 원격제어보드(110)를 구비한다. 상기 원격제어보드(110)는 통상 게임기에 구비되는 제어판과 별도로 구비되어 기존의 제어판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기존의 제어판과 통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원격제어보드(110)는 원격제어보드(1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1)와,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물품 인식부(113), 금전 확인부(114), 모터 구동부(115), 음성 재생부(116), 음성 출력부(117), 표시부(118) 및 무선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s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와 게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관리자단말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도 2의 관리자단말(400)에서 구동되는 관리서버(310) 접속을 위한 제어프로그램의 초기화면으로서, 관리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다. 관리서버(310)는 관리자단말(400)이 적법하게 로그인되면, 도 4b와 같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메인메뉴로 제공한다. 도 4c 내지 도 4p는 도 4b의 메인메뉴의 첫 번째 메뉴에서 시계방향으로 각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상세정보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판매현황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매출목록 정보로서, 관리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기간 동안에 해당 게임기(100)가 설치된 매장정보 및 매출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도 4d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판매현황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매출통계 정보로서, 관리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매장의 조회기간 동안에 해당 게임기(100)가 설치된 매장에서의 총 매출건수 및 총 매출금액 정보가 그래프와 함께 제공된다.
도 4e 및 도 4f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매장별 현황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매장목록 정보로서, 관리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매장별 현황이 매출일자 및 매출금액과 함께 제공된다.
도 4g 및 도 4h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매장별 정보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매장별 정보로서, 관리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매장별 정보가 주소, 전화번호 및 맵(Map)과 함께 제공된다.
도 4i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고객센터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고객센터 연결정보와 공지사항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도 4j 및 도 4k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거래처 관리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거래처 리스트와 신규 거래처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화면이 제공된다.
도 4l 및 도 4m은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매장경로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매장경로 선택화면과 선택된 매장들을 경유하는 최단경로 화면이 제공된다.
도 4n은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미니어처 주문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물품 주문화면으로서, 해당 물품을 주문할 매장을 선택하고 해당 미니어처에 대응하는 음식사진 및 설명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화면이 제공된다.
도 4o는 도 4b의 메인메뉴에서 뽑기통 설정 아이콘을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뽑기수단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원격지에서 조정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기가 설치되어 있는 매장을 선택하고, 해당 매장의 게임기에 대하여 잡는 힘, 들어올리는 힘, x축 힘 및 y축 힘을 1에서 250까지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입력화면이 제공된다.
도 4p는 도 4b의 메인메뉴를 비롯한 모든 화면의 하단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설정메뉴를 통해 관리자단말(400)에 제공되는 화면으로서, 관리자가 관리서버(310)로부터 수신하는 각종 정보에 대한 알람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도 4q 내지 도 4s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장애 및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A/S화면으로서, 4q와 같이 게임기의 다양한 장애 및 오류에 대응할 수 있는 상세한 조치사항을 각종 장애 및 오류에 대해 제공하는 A/S 관련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며, 콜센터 등에 A/S상담 및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b의 메인메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메뉴에 아이콘으로 추가될 수도 있으며, 모든 화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r은 게임기에 장애 및 오류가 발생할 시 자동으로 관리자단말(400)에 표시되는 팝업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관리자가 이를 수신하고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도록 도 4q의 화면과 함께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도 4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 및 오류가 발생한 게임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발생한 장애 및 오류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4s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4s는 4q의 화면에서 선택된 A/S 관련 정보에서 선택된 오류에 대하여 또는 4r의 화면에서 직접 해당되는 오류에 대하여 동영상이나 사진을 비롯하여 현장에서 관리자가 자가로 조치할 수 있도록 조치과정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화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물품상태, 매출상태 등의 판매현황을 현장에 가서 게임기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뽑기 난이도를 현장에 가서 게임기를 뜯어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은 물품 뽑기 게임기의 관리자에게 물품의 재고, 이동거리, 거래처 관리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물품 뽑기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게임기의 케이스 내에 담긴 센서내장 물품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물품 인식부;
    상기 게임기의 화폐투입구를 통해 입력되는 화폐의 금액을 감지하는 금전 확인부;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 집합과 상기 물품 인식부 및 상기 금전 확인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 담긴 물품을 뽑는 뽑기수단의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물품 인식부 및 상기 금전 확인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부; 및
    상기 음성 재생부에서 재생된 음성신호를 청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4. 케이스 내에 담긴 센서내장 물품의 판매정보 데이터, 화폐투입구를 통해 입력되는 화폐의 매출정보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으로 수신한 구동력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물품 뽑기 게임기;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로부터 판매정보 데이터 및 매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판매현황 및 매장별 현황을 산출하고,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에 구동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판매현황 및 매장별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의 구동력 조정을 위한 구동력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관리자단말; 및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와 무선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원격지의 관리서버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물품 뽑기 게임기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통신선로를 제공하는 인터넷 어댑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로 매장별 정보 및 매장별 경로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140002677A 2014-01-09 2014-01-09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KR10154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77A KR101542083B1 (ko) 2014-01-09 2014-01-09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77A KR101542083B1 (ko) 2014-01-09 2014-01-09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00A true KR20150083200A (ko) 2015-07-17
KR101542083B1 KR101542083B1 (ko) 2015-08-12

Family

ID=5387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677A KR101542083B1 (ko) 2014-01-09 2014-01-09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9941A1 (en) * 2016-04-27 2017-11-01 Paokai Electronic Enterprise Co., Ltd. Gam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KR20190003897A (ko) * 2017-06-30 2019-01-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에 적용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의 파지력 조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767A (ja) 2003-10-03 2005-04-28 Taito Corp ゲーム機等のインカム集計システム
JP2013005855A (ja) 2011-06-23 2013-01-10 S Plan:Kk クレーンゲーム機の遠隔通信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9941A1 (en) * 2016-04-27 2017-11-01 Paokai Electronic Enterprise Co., Ltd. Gam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KR20190003897A (ko) * 2017-06-30 2019-01-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에 적용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의 파지력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83B1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6281B2 (ja) 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001806B1 (ko)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
JP6432143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それによる通信方法及びサーバ装置
JP4914126B2 (ja) 遊技装置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装置
JP6843384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KR101542083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물품 뽑기 게임기 및 그 원격제어 시스템
WO2017116306A1 (en) Vending machine
JP5567317B2 (ja) 景品管理システム
JP2003164662A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及び景品取得ゲーム装置の運用方法
JP2013191048A (ja) 商品販売システム
JP2013042969A (ja) 遊技場管理システム
JP6742199B2 (ja) 遊技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2369961A (ja) Cr遊技システムおよび媒体貸出単価制御装置
JP2008123250A (ja) ゲーム装置付き自動販売機
JP5937484B2 (ja) 遊技場用システム
EP3808225A1 (en) Tobacco fixture
JP2012061100A (ja) 遊技媒体計数装置および遊技媒体計数システム
TWI605422B (zh) A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interaction system and its interactive management method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o manage personal information of members
JP2018092380A (ja) 箱体取出装置、及び、箱体取出システム
US9541120B2 (en) Prize dispenser and prize dispensing hook assembly therefor
CN210091282U (zh) 一种自动售货设备
JP2008295646A (ja) 遊技媒体収納箱管理システム
JP4347321B2 (ja) 遊技場設備
JP6569879B2 (ja) 台間機用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
JP2024055012A (ja) 遊技場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