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971A -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971A
KR20150082971A KR1020140002550A KR20140002550A KR20150082971A KR 20150082971 A KR20150082971 A KR 20150082971A KR 1020140002550 A KR1020140002550 A KR 1020140002550A KR 20140002550 A KR20140002550 A KR 20140002550A KR 20150082971 A KR20150082971 A KR 2015008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put
unit
output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316B1 (ko
Inventor
백준상
신민소
박정민
임왕희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3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손쉽게 점자를 입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점자를 입출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과 측면들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전면으로 상기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입력된 문자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출력부; 배면에 형성되며, 하나의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입력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점자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점자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처리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Input and output device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으로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IT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종래 피쳐폰 위주의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인 통화 및 문자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자체적인 OS와 카메라, GPS, 진동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력장치는 패널,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하므로, 영상 신호, 다양한 소리 신호 및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는 통상 터치패널로 구현되어 응용프로그램(앱)의 여부에 따라 역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시각 장애인이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스피커 및 진동기를 통한 출력은 인지할 수 있으나, 터치패널을 입력 장치의 사용은 다소 무리가 있어 점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휴대폰에 사용할 수 있는 점자 입력 장치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501896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표준점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표준점자 정보 저장 수단; 사용자로부터 점자정보 형태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고, 점자정보로 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진동을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점자정보 형태로 입력되어 점자번역 수단에 의해 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 출력할 문자 데이터를 점자정보로 번역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점자정보를 상기 표준점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점자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로 역번역하기 위한 상기 점자번역 수단; 상기 점자번역 수단에 의해 역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점자정보를 상기 점자번역 수단으로 전달하여 역번역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였다가 역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무선송수신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 출력할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점자번역 수단으로 전달하여 번역되도록 한 후에 번역된 점자정보에 따라 상기 입출력수단으로 진동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는 기존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실제 터치패널을 이용하는 스마트폰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부착이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점자를 입출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점자 입출력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손쉽게 점자를 입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점자를 입출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과 측면들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전면으로 상기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입력된 문자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출력부; 배면에 형성되며, 하나의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입력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점자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점자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처리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는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무선부와 연동하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모듈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은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모듈은 스마트폰 입력 장치를 통하여 묵자를 처리하는 묵자 입력부와 입력된 묵자의 출력을 지시하는 출력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입력부는 6개의 단위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점자 버튼과 입력된 점자를 삭제하는 삭제 버튼과 입력된 점자의 완료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완료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입력부의 단위 버튼들의 표면에는 각 단위 버튼을 구별할 수 있는 인식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출력부는 6개의 돌기와 상기 돌기를 구동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단위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출력부는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점자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상기 점자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모듈의 단위탭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처리모듈은 이전에 입력된 묵자를 점자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정보를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점자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입력부는 공백 문자를 입력하는 스페이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출력부는 출력된 점자의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는 스마트폰의 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되고, 간단한 방법으로 점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점자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구성이며, 또한 점자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려부를 포함하고 있이 소리를 잘 인식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점자출력에 의하여 스마트폰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외부 환경에서 시각 장애인들의 스마트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전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후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구동을 위한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출력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80)과 상기 스마트폰(80)과 통신에 의하여 연동하되, 상기 스마트폰(80)이 완전히 안착되는 휴대폰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는 패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상기 스마트폰(8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과 수용공간(11) 인근에 배치되어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출력부(20)와 상기 점자출력부(20)의 출력물을 스크롤하는 스크롤스위치(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10)의 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입력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패드(10)의 후면에는 상기 스마트폰(80)의 카메라나 기타 장치의 사용을 위한 개방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부의 위치와 형상을 장착되는 스마트폰(80)의 종류에 따라 달리 구성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11)은 역시 장착되는 스마트폰(80)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을 결정하며, 스마트폰(80)이 장착되는 경우 적절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스마트폰(80)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자출력부(20)는 6개의 한조로 구성되는 단위출력부(21)가 다수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각 단위출력부(21)가 하나의 점자를 형성하며, 출력의 편리를 위해서 상기 단위출력부(21)는 10개 내지 20개 정도 구성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2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출력부(21)는 6개의 돌기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어장치(70)의 신호에 따라 상기 6개의 돌기 중 선택된 돌기를 돌출하며, 각 돌기에는 액추에이터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단위출력부(21)에 필요한 액추에이터만을 동작시켜 점자를 표현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스위치(25)는 상기 점자출력부(20)의 문자를 스크롤하는 것으로, 해당 위치의 스크롤스위치(25)를 조작하면, 상기 점자출력부(20)의 출력문구가 이동하며, 상기 이동 제어 역시 후술하는 제어장치(70)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편, 점자 입력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0)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버튼(31)으로 구성되며, 6개의 단위 버튼(31)으로 구성되는 점자 버튼(35)과 입력된 단위 버튼(31)을 삭제하는 삭제 버튼(36)과 점자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입력된 점자를 완료하는 완료 버튼(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30) 중앙에는 문자의 공백을 입력하는 스페이스바(38)를 포함하여, 공백 문자의 입력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버튼(31)에는 각 버튼을 인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인식자(32)가 돌출형성되어 손가락의 접촉만으로 해당 단위 버튼(31)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70)는 별도의 무선 모듈(60)과 메모리(6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 모듈(60)은 스마트폰(80)과의 연동을 위한 구성으로 블루투스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스마트폰(80)과의 연결성이 우수하나, 다른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80)과 유선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 인터페이스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65)는 상기 점자입력부(30)를 통하여 입력되는 단위 점자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스마트폰(80)을 통하여 전송되는 점자 출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점자입력부(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처리하여 상기 스마트폰(80)으로 전송하며, 필요한 경우 전송된 점자를 상기 점자 출력부(20)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점자출력부(20)의 점자 출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최초로 출력된 점자 출력부를 삭제하고 나머지 점자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삭제된 출력은 상기 스크롤스위치(25)의 조작에 의하여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70)는 상기 스마트폰(80)을 통하여 전송되는 점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점자출력부(2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해당 점자를 인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부(81)와 상기 무선부(81)로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모듈(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모듈(90)은 상기 스마트폰(80)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로 묵자 입력부(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묵자 입력부(91)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통하여 일반적인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글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인식된 묵자는 상기 처리모듈(90)을 통하여 스마트폰(80) 내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묵자 입력부(91)에 저장된 정보의 출력을 원하는 경우 상기 처리모듈(90)에 포함된 출력탭(92)을 선택하며, 상기 처리모듈(90)이 저장된 정보를 점자로 변환한 후 상기 무선 모듈(60)을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7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70)는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점자 출력부(2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출력탭(92)은 묵자 입력부(91)의 인근에 형성하며, 물론 스마트폰(80)의 입력 장치인 터치 패널로 작동하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출력 장치(100)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며,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점자를 입력하므로, 외부 케이스 대용으로 장착되어 스마트폰(1)의 점자 입출력 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패드 11: 수용공간
20: 점자출력부 21: 단위출력부
25: 스크롤스위치 30: 점자입력부
31: 단위 버튼 32: 인식자
32: 인식자 35: 점자 버튼
36: 삭제 버튼 37: 완료 버튼
38: 스페이스바 60: 무선 모듈
65: 메모리 70: 제어장치
80: 스마트폰 81: 무선부
90: 처리모듈 91: 묵자 입력부
92: 출력탭 100: 점자 입출력 장치

Claims (10)

  1.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점자를 입출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과 측면들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전면으로 상기 스마트폰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입력된 문자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출력부;
    배면에 형성되며, 하나의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입력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상기 점자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점자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처리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스마트폰에 포함된 무선부와 연동하는 무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모듈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모듈은 스마트폰 입력 장치를 통하여 묵자를 처리하는 묵자 입력부와 입력된 묵자의 출력을 지시하는 출력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자입력부는 6개의 단위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점자 버튼과 입력된 점자를 삭제하는 삭제 버튼과 입력된 점자의 완료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완료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자입력부의 단위 버튼들의 표면에는 각 단위 버튼을 구별할 수 있는 인식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자출력부는 6개의 돌기와 상기 돌기를 구동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단위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출력부는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점자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상기 점자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의 단위탭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처리모듈은 이전에 입력된 묵자를 점자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정보를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점자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자입력부는 공백 문자를 입력하는 스페이스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자출력부는 출력된 점자의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1020140002550A 2014-01-08 2014-01-08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58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50A KR101580316B1 (ko) 2014-01-08 2014-01-08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50A KR101580316B1 (ko) 2014-01-08 2014-01-08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971A true KR20150082971A (ko) 2015-07-16
KR101580316B1 KR101580316B1 (ko) 2015-12-24

Family

ID=5388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550A KR101580316B1 (ko) 2014-01-08 2014-01-08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3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61B1 (ko) * 2018-07-02 2019-05-07 이단경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90085570A (ko) * 2018-01-10 2019-07-19 장은진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653698B1 (ko) * 2023-10-25 2024-04-02 스마일샤크 주식회사 점자패드와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범용성 확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106A (ko) * 2003-10-10 2005-04-15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크 점자표시장치
KR100690841B1 (ko) * 2005-09-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스위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점자 입력 장치
JP2007241227A (ja) * 2006-02-07 2007-09-20 Kenta Nakamura バリアフリーを実現した視覚障害者用情報機器
KR101082800B1 (ko) * 2010-11-17 2011-11-1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106A (ko) * 2003-10-10 2005-04-15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크 점자표시장치
KR100690841B1 (ko) * 2005-09-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스위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점자 입력 장치
JP2007241227A (ja) * 2006-02-07 2007-09-20 Kenta Nakamura バリアフリーを実現した視覚障害者用情報機器
KR101082800B1 (ko) * 2010-11-17 2011-11-1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570A (ko) * 2018-01-10 2019-07-19 장은진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1975761B1 (ko) * 2018-07-02 2019-05-07 이단경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653698B1 (ko) * 2023-10-25 2024-04-02 스마일샤크 주식회사 점자패드와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범용성 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316B1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6025B2 (en) Gesture control method, gesture control device and gesture control system
AU2012229256B2 (en) Selection of text prediction results by an accessory
KR102116053B1 (ko) 스마트 와치
KR101580316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200493961Y1 (ko) 다기능 무선이어폰 케이스
KR101491039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KR101612382B1 (ko) 정전식 터치 패널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내장한 휴대폰 케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휴대폰 본체 제어 방법
KR101645446B1 (ko) 점자 입출력장치
WO2018196136A1 (zh) 用于遥控移动设备的遥控装置和遥控移动套装
KR1016776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5761B1 (ko)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40104305A (ko)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KR201600726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676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제어 시스템
JP5928550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情報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4228927A (ja) 電子機器
JP2013168762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101792131B1 (ko) 단자음과 쌍자음 간 자동으로 전환하는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101806507B1 (ko) 인터넷전화 기능을 갖는 일체형 컴퓨터 장치
KR20190068697A (ko) 단자음과 쌍자음 간 자동으로 전환하는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KR20170121135A (ko) 단자음과 쌍자음 간 자동으로 전환하는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기
AU2014200860B2 (en) Selection of text prediction results by an accessory
KR101171109B1 (ko) 키워드 연상 기능을 구비한 프리젠테이션용 휴대장치, 그 장치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키워드 연상 기능 제공방법
KR20130128959A (ko) 스마트폰용 키보드
JP2011035697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