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800B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800B1
KR101082800B1 KR1020100114452A KR20100114452A KR101082800B1 KR 101082800 B1 KR101082800 B1 KR 101082800B1 KR 1020100114452 A KR1020100114452 A KR 1020100114452A KR 20100114452 A KR20100114452 A KR 20100114452A KR 101082800 B1 KR101082800 B1 KR 101082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put
panel
display termi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Priority to KR102010011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점자 센서; 및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OF DIGITAL BRAILLE INPUT AND OUTPUT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들이 기존에 PC등의 기기에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해서는 점자 키보드(또는 점자 키보드 스킨)를 사용하거나 음성인식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입력을 해야 되고, PC 또는 웹(WEB) 등의 내용을 득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프로그램 등의 스크린 리더(screen reader)를 이용한 청각을 통해 이해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점자 키보드(또는 점자 키보드 스킨)는 모바일 기기로 변하면서 입력 환경이 어려워지고, 모바일 기기가 아니라 할지라도 특정 장소로 이동을 해야만 가능해지며,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그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프로그램 이용 역시 특정 장소로 이동해야 하거나 공간, 시간상의 많은 제약이 따른다.
마찬가지로, PC의 문서나 웹의 뉴스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또한 전체 내용을 원하는 부분만 시각 장애자의 취향에 따라 부분적으로 취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당히 취약하다.
특히,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시대의 뉴스나 기사를 읽기 위해서 TV나 라디오의 뉴스를 청취한다거나,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다 들어야 하거나, 부분적인 취사 선택이 불가능하므로 그 불편함을 이루 말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검색해서 얻어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점자 센서나 점자 패널을 이용하여 전기적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점자를 쉽고 간편하게 입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편한 현대 생활을 편하게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점자 센서; 및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점자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점자 패널;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점자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치되는 점자 패널; 및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문자가 상기 점자 패널에 상기 점자로서 1:1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방법은 상기 점자 변환부에서,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상기 점자 센서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점자 센서에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방법은 상기 점자 변환부에서,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치된 상기 점자 패널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점자 패널에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자 센서나 점자 패널을 이용하여 전기적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점자를 쉽고 간편하게 입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편한 현대 생활을 편하게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 점자 센서가 부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센서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점자 동글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점자 패널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점자 일람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패널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100)는 메모리부(110), 점자 변환부(120), 점자 센서(130), 신호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점자 일람표에 대응하는 점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점자 일람표에서, 점은 점자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각 6개 내지 12개의 점들이 모여서 하나의 점자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점이 하나의 점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점자 변환부(120)는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점자 변환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10)를 참조하여 상기 문자를 상기 점자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자 변환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점자 일람표를 이용하여,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점자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PC, 노트북,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북, E-북, 스마트 TV 등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점자 센서(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장착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과 연결된 키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점자 센서(130)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1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점자 센서(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단독으로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한 줄 또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다중 배열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점자 캐패드(132)의 점은 점자의 점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자 센서(130)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상기 점자 키패드(132)를 통해 상기 점자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점자 센서(130)는 6개의 점 중,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점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센서(130)는 상기 신호 출력부(14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통해 상기 점자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출력부(140)는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132)의 점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부(140)는 상기 점자 센서(130)의 점자 키패드(132)를 통해 점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10)의 점자 일람표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점자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와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IIC 등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해 상기 점자 센서(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LCD와 통신함으로써, LCD의 정보를 상기 점자 센서(130)에 점자로 보내주거나, 상기 점자 센서(130)를 통해 입력된 점자의 입력 정보를 상기 LCD로 표시해 준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IIC 뿐 아니라 어떠한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이 해당 디바이스(device)의 환경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100), 즉 상기 메모리부(110), 점자 변환부(120), 점자 센서(130), 신호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200)는 메모리부(210), 점자 변환부(220), 점자 동글(230), 신호 출력부(240), 인터페이스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100)와 점자 동글(230)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기능에 있어서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자 동글(23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점자 동글(23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250)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인터페이스부(270) 간의 접속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자 동글(230)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 동글(230)은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234)를 구비하는 점자 센서(232)가, 패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자 동글(23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점자 센서(232)에 구비된 점자 키패드(23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300)는 메모리부(310), 점자 변환부(320), 점자 패널(330), 신호 출력부(340), 인터페이스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300)는 도 2의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200)와 점자 패널(330)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기능에 있어서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자 패널(33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참고로 점자 패널(330) 설명 시 도 2의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200)의 점자 동글(230)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점자 패널(330)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점자 패널(330)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자 패널(330)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또는 가능하지 않은) LCD 패널 위에 인터페이스 되어 LCD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1:1 로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 점자 센서가 부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점자 센서 방식은 기존의 PC나 PC의 키보드 또는 모니터의 특정 부위 또는 모바일 기기 등에 가로세로 1cm 미만의 크기의 센서 형태로 어떤 기기에든 쉽게 장착이 가능한 형태이다
이러한 점자 센서는 PC나 모바일 기기의 내용을 시각 장애인에게 빠르고 간편하게 전달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센서는 문서의 전체적인 내용을 빠르게 검색하거나 일부분의 내용만 간편하게 취하고자 할 경우, 쉽고 간편하게 부착해서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이 점자 센서를 여러 개 사용해서 한 줄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단말에 다중 재배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 센서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는 IIC 등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해 점자 센서 및 LCD와 통신함으로써, LCD의 정보를 상기 점자 센서에 점자로 보내주거나, 상기 점자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점자의 입력 정보를 상기 LCD로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I/F)는 상기 IIC 뿐 아니라 어떠한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이 해당 디바이스(device)의 환경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점자 패널은 점자 동글 방식과 점자 패널 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점자 동글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동글(Dongle) 방식은 점자 패널을 사용하지 않는 디바이스에서, 예를 들면 PC나 노트북, 핸드폰, 일반 스마트폰 등에 USB 인터페이스 형태로 점자 패널을 접속해서, 해당 디바이스의 정보를 점자 패널(동글)로 전달받아 시각 장애인에게 점자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점자 동글 방식은 도 4 및 도 5와 같은 점자 센서 방식과 유사하나, 점자 패널에 여러 개의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어, 마치 전체 LCD를 보면서 부분적으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점자 센서 방식은 기기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하지만, 상기 점자 동글 방식은 어떤 기기에서든 USB 인터페이스만 지원한다면 장착을 해서 사용 가능하므로, PC,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북, E-북, 스마트 TV 등 어떤 기기에서도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점자 동글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도 7은 유선 통신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 8은 무선 통신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점자 패널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든 디바이스에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가 있으므로,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기기 또는 스마트 TV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일반 유저(User)들이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점자 패널로 보내주거나, 상기 점자 패널을 통해서 입력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USB 뿐 아니라 어떠한 인터페이스라도 상관없이 해당 디바이스의 환경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자 패널은 유선뿐 아니라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적외선 통신(IrDA) 등을 이용한 무선 연결을 통해서도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에 의한 요구가 있다면 3G, CDMA, GSM, 와이브로 등의 무선 통신망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서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점자 패널은 유무선 인터페이스의 제한을 따로 두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사용자와 기존의 디바이스 그리고 시각 장애자들 모두 커뮤니케이션 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모든 디바이스의 질서를 유지한 채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하고 편리하고 쉬운 소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는 무선을 이용한 어떠한 시스템을 응용해도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점자 패널을 이용한 방식 중 나머지 하나인 점자 패널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LCD는 기존에 사람의 눈으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형태였다. 하지만, 이제는 터치 입력을 통한 양방향 정보 제공 및 입력이 가능하게 됐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터치 입력 LCD 위에 얇은 패드를 깔아서 겉으로 보기에는 기존의 터치패널 LCD와 똑같지만,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패널을 통해 점자 기능을 제공하는 점자 패널 방식을 제안한다.
점자 패널은 평상시에 평평한 상태에 있지만,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OS)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다양한 형태의 점자 또는 디자인, 코드, 형상 등을 전달해줄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은 점자 책을 읽듯이 터치 패널을 만지면 점자 패널을 통해 점자에 해당하는 신호(예: 전기 신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각 장애인은 점자 패널 (물리)키보드나 쿼티(QWERTY) (SW) 점자 키보드를 통해 입력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점자 패널 방식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이 가능한(또는 가능하지 않은) LCD 패널 위에 점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점자 패널을 인터페이스 시켜서 LCD의 정보를 점자 패널에 1:1 로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점자 패널의 입력 정보를 LCD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PU로 입력 정보를 보내주고, 그 정보를 LCD로 나타내 보여줄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은 LCD 정보가 필요 없지만 일반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필요 시 LCD 화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보여 줄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은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은 형태로 가능하다. 터치 LCD 패널(또는 LCD 패널)은 시각 장애인보다는 일반인을 위한 장치인데, 일반인과 시각 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터치 LCD 패널(또는 LCD 패널) 없이 점자 패널 단독으로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 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점자 일람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점자 일람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점자 센서 방식 또는 점자 동글 방식은 한 글자가 6개의 점으로 표시된다. 6개의 점이 하나의 코드를 나타내는 방식이 대표적이므로 6개의 점 방식인 '브라유'의 6점식 점자 방식을 예로 든다.
하지만,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여사의 4점자나 자음 3점, 모음 2점으로 구성된 3·2점 점자 또는 그 이하거나 그 이상의 점으로 구성된 어떤 방식이든 상관 없다.
상기 점자 센서 방식 또는 점자 동글 방식은 크게 전기적인 방식과 물리적인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전기적인 방식에 대해 설명한 후, 도 14를 참조하여 물리적인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적인 방식은 점자 키패드의 6개의 점에 시각 장애자가 쉽게 점의 온/오프(on/off)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미세하지만 분명한 전류를 흘려 보내 점자의 상태를 표시한다.
전기적인 방식은 전류 소모량도 적게 사용하지만, 점자 패널(동글)의 넓은 면적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LCD 창의 전면에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약하지만 분명하게 점자를 느낄 수 있는 전류를 흘려 보내는 방식 외에, 전류를 직접 느끼지 않고, 전류를 통해서 그 위에 있는 얇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막대나, 뾰족한 침 또는 6점의 각 위치에서 진동하는 구슬이나 진동 장치 등의 움직임으로 촉감을 전달해 줄 수 있는 어떤 형태 또는 어떤 재료의 물질이라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물리적인 방식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혹은 전후 좌우로 움직이는 6개의 막대를 이용해서 물리적인 점의 상태를 표시해 주는 방식이다. 총 6개의 점이 한 개의 코드이므로 이 막대 2개를 조합해서 한 개의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물리적인 방식은 대표적인 예를 나타냈을 뿐, 다른 방식으로도 다양하게 점의 조합을 표시해줄 수 있다. 참고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인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패널 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점자 패널은 터치 LCD 위에 점자 패널을 한 장 더 깔아서 LCD의 모든 정보를 1:1로 표시해 준다. 이 점자 패널은 평시에는 아주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텍스트 등의 정보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면 시각 장애자가 느끼기에 알맞은 높이의 크기로 쏟아 올라 정보를 표시해준다.
이러한 점자 패널은 대량의 LCD 정보(예: 웹의 뉴스나 내 문서의 텍스트 등)를 빠르게 점자로 변환시켜 주며, LCD 패널 전체적으로 1:1로 매칭 시켜주므로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분석해서 원하는 정보만을 골라서 빠르게 검색하고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점자 패널은 미세한 전류의 온/오프를 패널의 특수 재료에 흘려 보내 그 해당픽셀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은 그래픽 LCD처럼 전체 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점자 패널을 손바닥 전체로 슥~ 훑어 보는 것만으로도 LCD 전체 면적의 전체 기사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원하는 부분을 골라서 선택할 수 있다.
점자 패널의 전류 조절로 점자의 높이를 조절해 2차원 형태의 정보 또한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 이외의 그림이나 사진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정보 또한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자 패널은 온/오프의 2진 정보뿐 아니라, 동영상이나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온/오프의 높낮이를 2진 이상의 형태로 달리 나타내어, 텍스트뿐 아니라 동영상이나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많은 인쇄물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 시대에 점자 책으로 나오지 않는 인쇄물의 경우 사실상 시각장애인들이 그러한 정보를 접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모든 매체의 인쇄물이 신규로 나올 때마다 점자 책으로 내놓기 또한 현실적으로 더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이북(E-BOOK) 리더의 경우, 이 점자 패널을 적용한다면, 세상의 모든 활자로 인쇄될 수 있는 매체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100% 시각장애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일반 텍스트는 기존의 점자 표시와 같이 표현하고, 그림이나 사진 또는 동영상은 2진 형태의 높낮이 외에 2진 이상의 높낮이로 표현해 입체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어, 시각 장애인들에게 텍스트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UI)와 어플리케이션(App)들은 모두 일반적으로 일반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동일하지만, 인터페이스를 바꿔주기만 하면 점자 패널의 정보 제공부가 알아서 점자를 표현해주므로 따로 설치하거나 추가해야 될 작업이 없어진다.
일반 문서나 텍스트, 소설, 성경, 실시간으로 쏟아져 나오는 뉴스와 기사, 그리고 E-BOOK까지의 모든 정보를 점자 패널에서 점자로 바꿔주므로,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PC, 스마트폰 그리고 E-BOOK 등의 다양한 어플 등과 어울려 최신의 다양한 많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점자 패널과 동글을 통해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해주므로 시각장애인의 불편을 많이 해소할 수 있다.
길 찾기 안내 서비스나, 공공장소의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의 이용도, 위치 기반을 이용한 안내 서비스와 음성 및 점자 안내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면 편리하다.
지도와 나침반 그리고 위치 기반을 이용한 길 찾기 안내 서비스를 사용하면, 시각 장애인도 일반인과 같이 지팡이나 안내견의 도움 없이도 LCD 표면에 현재 위치와 진행 방향의 화살표와 진동 그리고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안내를 해주어 아무런 불편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평상시에는 평평하지만 특정 정보를 받으면 그 정보를 점자나 다른 이미지의 형태로 반응을 하는 점자 패널을 이용해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편한 현대 생활을 편하게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PC나 노트북(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그리고 E-BOOK 리더의 출현으로 넘쳐나는 정보를, 시각장애인들이 일반인들과 똑같이 누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100, 200, 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110, 210, 310: 메모리부
120, 220, 320: 점자 변환부
130, 232, 332: 점자 센서
132, 234, 334: 점자 키패드
140, 240, 340: 신호 출력부
150, 250, 270, 350: 인터페이스부
160, 260, 360: 제어부
230: 점자 동글
330: 점자 패널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점자 변환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패널 상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는 점자 센서가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개 배치되는 점자 패널; 및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점자 패널 상에 상기 문자를 상기 점자로서 1:1 매칭하여 표시하는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막대와 점자로 이루어진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점자 패널은 상기 입력 수단의 막대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막대가 가리키는 점자를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입력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에 의한 상기 전기 신호의 조절을 통해 온/오프의 이진 신호 또는 이진 이상의 신호로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2차원 이상 형태의 정보를 점자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점자 일람표에 대응하는 점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자 변환부는
    상기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문자를 상기 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한 줄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다중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점자 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통해 상기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점 중,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점을 감지하여 상기 점자를 입력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점자 일람표에 대응하는 점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점자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7. 삭제
  8.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복수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의 해당 점으로 출력하여 점자 패널 상에 상기 문자를 점자로서 1:1 매칭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조절하여 온/오프의 이진 신호 또는 이진 이상의 신호로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2차원 이상 형태의 정보를 점자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막대와 점자로 이루어진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점자 패널은 상기 입력 수단의 막대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막대가 가리키는 점자를 해당 문자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00114452A 2010-11-17 2010-11-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082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52A KR101082800B1 (ko) 2010-11-17 2010-11-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52A KR101082800B1 (ko) 2010-11-17 2010-11-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800B1 true KR101082800B1 (ko) 2011-11-11

Family

ID=4539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52A KR101082800B1 (ko) 2010-11-17 2010-11-17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8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971A (ko) * 2014-01-08 2015-07-16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583290B1 (ko) 2014-11-24 2016-01-19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화면해설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케이블 셋탑 장치 시스템
KR101583291B1 (ko) 2014-11-24 2016-01-19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음성 안내 서비스를 지원하는 케이블 셋탑 장치 시스템
KR101639805B1 (ko)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KR101975761B1 (ko) 2018-07-02 2019-05-07 이단경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2019523898A (ja) * 2016-05-10 2019-08-29 フェーリフ、ディー.オー.オー. 盲人または視覚障害者用コンピューティング機器のマルチメディアを管理するためのツール
WO2022145827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닷 정보 접근성이 개선된 레이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64263B1 (ko) * 2022-06-14 2022-11-09 주식회사 네츠로 전자 등기 발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0054A (ja) 1996-07-26 1998-02-13 Nec Commun Syst Ltd 情報表示装置
JP2007241227A (ja) 2006-02-07 2007-09-20 Kenta Nakamura バリアフリーを実現した視覚障害者用情報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0054A (ja) 1996-07-26 1998-02-13 Nec Commun Syst Ltd 情報表示装置
JP2007241227A (ja) 2006-02-07 2007-09-20 Kenta Nakamura バリアフリーを実現した視覚障害者用情報機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971A (ko) * 2014-01-08 2015-07-16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580316B1 (ko) 2014-01-08 2015-12-24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583290B1 (ko) 2014-11-24 2016-01-19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화면해설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케이블 셋탑 장치 시스템
KR101583291B1 (ko) 2014-11-24 2016-01-19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음성 안내 서비스를 지원하는 케이블 셋탑 장치 시스템
KR101639805B1 (ko) 2015-05-07 2016-07-1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하이브리드 모바일 키보드 및 그의 스크린 맵핑 방법
JP2019523898A (ja) * 2016-05-10 2019-08-29 フェーリフ、ディー.オー.オー. 盲人または視覚障害者用コンピューティング機器のマルチメディアを管理するためのツール
KR101975761B1 (ko) 2018-07-02 2019-05-07 이단경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WO2022145827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닷 정보 접근성이 개선된 레이어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64263B1 (ko) * 2022-06-14 2022-11-09 주식회사 네츠로 전자 등기 발송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800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
US8595643B2 (en) Scrolling a subsequently displayed block with a delay from a previously displayed block
US10437337B2 (en) Wearable haptic pattern display device for blind person
KR101375166B1 (ko) 문자화장단말기 및 제어방법
US8633907B2 (en) Touch screen overlay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US10002501B2 (en) Electronic device
EP199824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arasewich Wireless device for mobile commerce: User interface design and usability
CN101019092A (zh) 屏幕上内容的处理和滚动
EP2416309B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1258462A (zh) 软键盘上的软键标签
KR20160031619A (ko)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03722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raille
KR20140010756A (ko)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US2015000709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e-book
US20130155094A1 (en) Mobile terminal having non-readable part
US20190355276A1 (en) Tactile computing device
KR101077207B1 (ko) 글자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80096255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600865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learning of language
KR102066123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도서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EP22113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lle input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00126149A (ko) 정보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20150008620A (ko) 전자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82547B1 (ko) 형상 변환 기반의 인터렉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