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756A -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756A
KR20140010756A KR1020120077515A KR20120077515A KR20140010756A KR 20140010756 A KR20140010756 A KR 20140010756A KR 1020120077515 A KR1020120077515 A KR 1020120077515A KR 20120077515 A KR20120077515 A KR 20120077515A KR 20140010756 A KR20140010756 A KR 20140010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mage
key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07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756A/ko
Publication of KR2014001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점자 키패드에 점자 버튼을 위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문자, 이미지, 동영상이 구현되는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출력되는 문자, 이미지, 동영상에 대해 시각장애인이 읽을 수 있도록 한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점자로 문자 정보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동영상을 제공하여 모바일 웹페이지 제작자나 시각장애인에게 편리한 모바일 웹 환경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미지나 동영상에 접근하기 어려운 시각장애인에게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의 교육환경과 다양한 사회 참여를 기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문서/메일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사회 각계각층에서 취업중인 시각장애인 근로자에게 스마트워크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MOBILE DEVICE FOR VISUAL-HANDICAPPED PERSONS WITH TEXT/IMAGE/VIDEO PRESENTATION}
본 발명은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점자 키패드에 점자 버튼을 위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문자, 이미지, 동영상이 구현되는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출력되는 문자, 이미지, 동영상에 대해 시각장애인이 읽을 수 있도록 한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시각장애인들이 PC 등의 기기에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해서는 점자 키보드(또는 점자 키보드 스킨)를 사용하거나 음성인식 등의 특수 프로그램을 통해서 입력을 해야되고, PC 또는 웹(WEB) 등의 내용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텍스트-투-스피치(text to speech) 프로그램 등의 스크린리더(screen reader)를 이용한 청각을 통해 이해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에서는 점자 키보드(또는 점자 키보드 스킨)는 기구적인 한계로 적용이 어렵고, 또한 음성인식 등의 특수 프로그램도 모바일 환경에서는 그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져 적용이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PC의 문서나 웹의 뉴스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텍스트-투-스피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또한 전체 내용에서 특정 부분만 시각장애인의 취향에 따라 일부만 취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당히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출원번호 제10-2012-0011106호(명칭: 시각장애인용 태블릿PC, 본 특허출원일 당시 비공개 상태임)에서 태블릿PC 상에 점자 키패드에 점자 버튼을 위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s)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출력되는 문자를 읽고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모바일 웹브라우저 상에는 문자 정보에 비해 이미지나 동영상과 같은 비중이 크므로 이에 대한 정보 전달력이 취약점으로 제시된다. 즉, 점자로 표현하기 곤란한 이미지/동영상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모바일 웹페이지는 시각장애인이 접근하기 힘들고, 이러한 모바일 웹페이지를 텍스트로만 구성된 시각장애인 전용 페이지로 변환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문서나 메일을 편집할 때 그 편집되는 위치를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편집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컴퓨터 숙련자가 아닌 선천적 시각장애인이 문서편집을 이용하기에 많은 어려움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이미지와 동영상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종래에 텍스트만 제공하는 시각장애인 전용 웹페이지의 제약을 줄여 모든 모바일 웹 기반의 페이지를 점자로 번역가능한 편리한 웹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시각장애인용 태블릿 PC (특허출원 제10-2012-0011106호, 미공개)
2. 점자프린터를 이용한 웹문서 확인방법 (특허출원 제10-2002-00338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이 문자 정보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동영상이 포함된 모바일 웹페이지를 점자와 음성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바일 웹 브라우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은, 화면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점자 키패드(120)를 구비하는 점자 출력부(100); 디스플레이부 상에 모바일 웹브라우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되는 화면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이를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점자 출력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문자를 구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와 이미지를 구현하는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은, 점자일람표에 따라 한글자판, 영문자판, 숫자자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출력하는 점자 입력키(310)와, 점자 입력키에서 출력되는 자판을 선택하는 점자변환키(320)와, 점자 입력키를 통해 작성된 문자가 완료되거나 문자를 수정하는 점자 기능키(330)와, 전자 입력키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340)를 구비하는 점자입력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점자 키패드(120)는, 문자와 이미지를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표시부(121); 점자 표시부(121)로 출력되는 문자에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점자 표시부와 링크가 가능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점자와 소리로 변역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에서 하이퍼링크 표시부로 버튼 입력이 수행되면, 점자 출력부가 점자 버튼으로만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현하는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시각적으로 나눌 수 있는 부분을 나누어 객체화하여 나누어진 영역이 선택되면 시각적인 형태를 설명하는 안내 음성을 음성 출력부를 통해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점자로 문자 정보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동영상을 제공하여 모바일 웹페이지 제작자나 시각장애인에게 편리한 모바일 웹 환경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미지나 동영상에 접근하기 어려운 시각장애인에게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의 교육환경과 다양한 사회 참여를 기대할 수 있으며 모바일 문서/메일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사회 각계각층에서 취업중인 시각장애인 근로자에게 스마트워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점자 출력부에 표시되는 점자 키패드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점자 입력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구현되는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와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의 점자 출력부(100)에 표시되는 점자 키패드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점자 입력부(3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주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비교적 소형의 휴대형 컴퓨터 상의 디스플레이부(100)에 점자 키패드(120)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 구성은 크게 구분하면 점자 출력부(100), 제어부(200), 점자입력부(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점자 출력부(100)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그 상부에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점자 키패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모바일 단말에서 출력 표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서 터치에 의해서 입력할 수 있는 것이고 터치 펜 또는 손가락으로 필름을 누르면 접촉위치에 대한 저항치가 가변되며, 이 가변된 저항치에 따라 전류 또는 전압이 달라지게 되어 이를 입력신호로 모바일 단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의 터치스크린에 해당된다.
점자 키패드(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예컨대 상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문자를 점자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그 점자를 손의 접촉으로 인지하는 것으며, 점자 표시부(121)과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로 구성된다.
점자 표시부(121)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문자를 6개로 이루어진 점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패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 개 배치된다. 점자 표시부(121)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점자 표시부(121)의 하단에는 하이퍼링크 표시부(122)가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모바일 웹페이지 상의 각종 문자를 점자 표시부(121)에 점자 형태로 출력하면 당해 해당되는 문자가 실행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인지 또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하이퍼링크 문자인지를 손의 접촉으로 알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점자 표시부(121)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를 구성하였다.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출력 문자에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1개의 점자키와 대응되어 바(bar) 형태로 구성되며 점자를 이루는 6개의 점과 동일하게 패널 상에 출몰하는 동작으로 표시된다. 이때 온(ON) 동작을 전기신호의 입력으로 패널 상에 바가 돌출되는 것으로 하고, 오프(OFF) 동작을 전기 신호의 차단으로 패널 상에 바가 인입되는 것으로 정의하면,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출력 문자에 링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온 상태로 출력하고, 문자 입력창인 경우에는 온/오프가 반복되는 상태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의 점자 출력부(100)에 표시되는 점자 키패드(120)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하이퍼링크 표시부(122)에 표시되는 문자는 응용 프로그램, 하이퍼링크 문자, 문자입력창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2]에 표시되는 점자가 모바일 단말의 바탕화면에 출력되는 아이콘이라 한다면, 해당 아이콘의 이름이 점자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바탕화면에 '인터넷' 아이콘, '네비게이션' 아이콘이 존재하면, 첫 번째 줄에는 '인터넷'이라는 점자를 출력하고 두 번째 줄에는 '네비게이션'이라는 점자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점자는 모두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되므로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온 상태 즉, 활성화상태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시각장애인은 점자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점자를 손의 접촉으로 읽을 수 있으며, 또한 그 읽혀진 문자가 링크 가능한 것인지 동작되는 프로그램인지를 알 수 있다. 이에 응용 프로그램 또는 링크 가능한 문자인 경우에는 이 점자를 눌러서 실행한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점자 키패드(120)를 제어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문자를 추출하고, 점자 키패드(120)에 이 추출된 문자에 대응는 점자를 출력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종료하는 것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시각장애인이 문자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온/오프가 반복되는 상태로 출력하게 되어 사용자는 이를 손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출력 문자에 링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온 상태로 출력하고, 문자 입력창인 경우에는 온/오프가 반복되는 상태로 출력하여 하이퍼링크된 문자와 문자 입력창을 구분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창의 경우 점자 입력부(300)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에서 점자입력부(3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점자 입력부(300)는 점자일람표에 따라 한글자판, 영문자판, 숫자자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출력하는 점자 입력키(310), 점자 입력키(310)에서 출력되는 자판을 선택하는 점자변환키(320), 점자 입력키(310)를 통해 작성된 문자가 완료되거나 문자를 수정하는 점자 기능키(330), 전자 입력키(310)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점자 입력키(310)는 한글자판의 자음과 모음, 영문자판의 영문, 숫자를 저장된 점자 일람표에 따라 출력한다.
점자 변환키(320)는 점자 입력키(310)에 출력되는 자판의 형식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한글자판과 영문자판을 상호 변경 출력하는 한/영키(321)와 숫자키를 출력하는 숫자키(322)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한/영키(321)를 눌러 동작시킬 때마다 점자 입력키(310)는 점자 형식의 한글자판과 점자 형식의 영문자판이 변경 출력된다. 또한 숫자키(322)를 눌러 동작시키면 점자 입력키(310)는 점자 형식의 숫자를 출력한다.
점자 기능키(330)는 점자 입력을 완료하는 입력키(331), 그 입력된 점자 사이에 여백을 입력하는 스페이스키(332), 그 입력된 점자를 삭제하는 백스페이스키(333), 점자의 약자를 표시하는 약자키(334)를 포함한다.
또한, 점자 입력부(300)는 음성 출력부(340)를 더 포함하는데, 이 음성 출력부(340)는 전자 출력키(310)의 눌림 동작에 따라 대응되는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을 음성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는 문자 및 프로그램을 점자로 출력하여 이를 시각장애인이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읽고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상에서의 하이퍼링크 및 문자 입력창을 구분하고 인지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시각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10)와 점자키패드(120)를 포함하는 점자 출력부(11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와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4a]는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도 4b]는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낸다. 점자 출력부(100)는 기본적으로는 문자와 하이퍼링크를 표시하기 위해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미지/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된다. 이를 위해 하이퍼링크 표시부(120)의 기능에 인터넷의 하이퍼링크 문자만 표현과 함께 웹에서 링크가 가능한 이미지, 동영상을 점자와 소리로 변역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즉,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에서 하이퍼링크 표시부(120)로 버튼입력이 수행되면 점자 출력부(100)의 레이아웃이 변환되는데, 하이퍼링크 표시부(120)가 사라지고 점자 출력부(100)가 점자 버튼으로만 구성되어 간단한 이미지를 점자로 표현하는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된다.
다른 예로, [도 4a]에서 그림을 나타내는 네모 영역상에 포함된 임의의 점자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가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로 변환되고,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이미지가 점자 키패드(120)에 출력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의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점자 버튼의 연결부분에 선 모양의 하이퍼링크 표시부(122)가 존재하여 이미지의 모양을 감지하기 어려우므로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시 선 모양의 하이퍼 링크 표시부(122)는 제거되어 구현된다.
한편, 점자 키패드(120)에서 점자 이미지/동영상 표현 방식은 시각장애인이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점자 이미지/동영상 표현을 구현한다. 이미지/동영상에서 시각적으로 나눌 수 있는 부분을 구분하여 객체화로 이해하기 곤란한 이미지/동영상의 영역을 사용자가 클릭하면 시각적인 형태를 설명하는 안내 음성을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출력부(34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점자 이미지 모드로 변환시, 그 출력된 점자 이미지에 대한 음성을 출력한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점자 이미지로 데스크 램프(desk lamp)가 점자 키패드(120)에 출력되며, 점자 이미지로 구현된 데스크 램프에서 각 구성부분(1 내지 3)에 대해 시각장애인이 선택시 각 구성부분에 대한 안내 음성이 음성 출력부(340)로 출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이 1번을 선택하면“데스크 램프의 헤드(head)입니다. 일반적인 데스크 램프의 헤드는 원뿔 모양입니다. 이를 2차원 그림에 표현하면 세모 모양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와 같이 안내 음성을 음성 출력부(340)가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간단한 도형이 아닌 사진과 같은 복잡한 이미지를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 키패드(120)에 구현하면 시각장애인은 촉각만으로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미지의 모든 부분을 객체화하여 시각장애인이 해당 객체 영역에 포함된 점자 버튼을 누르면 음성으로 객체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성으로 객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점자로 구현되는 객체 각각에 대한 점자 이미지 포맷 구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점자 이미지 포맷은 점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작과 표현을 위한 점자 미디어 포맷 구조로, 2D 점자 이미지는 점자의 깊이, 점자의 위치로 표현되며 부가 기능으로 시각장애인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음성 설명 이벤트로 구성된다.
제어부(200)는 점자 정보, 객체 정보, 이벤트 정보와 이미지/점자 변환모듈(Image to Braille Converter Module)을 이용하며, 마크-업(mark-up) 언어로 점자 이미지 포맷을 생성한다.
먼저, 점자 정보는 점자의 위치와 점자의 깊이로 점자 이미지를 표현한 데이터이다. 여기서 점자의 위치와 점자의 깊이 각각은 일반적으로 흑백 이미지의 표현 방식과, 흑백 이미지의 명도 구현 방식을 따른다.
객체 정보는 시각장애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나눌 수 있는 부분을 객체화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이미지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촉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벤트 정보는 객체 정보에 의해 나뉘어진 객체영역에 해당하는 "점자 버튼"을 클릭시 안내 음성을 들을 수 있거나 특정 영역의 점자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안내 음성과 함께 애니메이션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이미지/점자 변환모듈은 2D 점자 이미지가 컬러 이미지라면 그레이 이미지로 변환하여 그레이 이미지 픽셀을 각 점자 위치에 대치하여 픽셀 값은 점자의 깊이로 구현하여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6]은 이미지 픽셀값이 점자의 깊이로 구현된 예로서 차례로 255, 100, 25가 점자로 구현된 것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한편, 제어부(200)는 편집할 위치를 점자 키패드(120) 상에 점자 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7(a)]와 같이 "아"와 "차" 사이의 점자 버튼을 상하운동과 진동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점자 블록은 [도 7(d)]와 같이 점자 표시부(121) 상의 6 점자와 하이퍼링크 표시부(122)가 상하로 선형운동을 반복하며, 해당 위치에서 진동을 일으켜 시각장애인의 촉각으로 위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b)]와 같이 제어부(220)는 점자 키패드(120) 상에 점자 블록을 다수의 점자 버튼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편집 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 "점자 블록"을 활용한 문서/메일 편집 방식에 대한 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7(c)]는 점자 블록이 점자 키패드(120) 상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점자 블록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점자 기능키(330) 중 삭제키(미도시)가 입력된 이후에 점자 키패드(120)에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점자 출력부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점자 키패드
121 : 점자 표시부
122 : 하이퍼링크 표시부
200 : 제어부
300 : 점자 입력부
310 : 점자 입력키
320 : 점자 변환키
321 : 한/영키
322 : 숫자키
330 : 점자 기능키
331 : 입력키
332 : 스페이스키
333 : 백스페이스키
334 : 약자키
340 : 음성 출력부

Claims (6)

  1. 화면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점자 키패드(120)를 구비하는 점자 출력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모바일 웹브라우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구현되는 화면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이를 점자로 변환하여 상기 점자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자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문자를 구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와 이미지를 구현하는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되는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자일람표에 따라 한글자판, 영문자판, 숫자자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출력하는 점자 입력키(310)와, 상기 점자 입력키에서 출력되는 자판을 선택하는 점자변환키(320)와, 상기 점자 입력키를 통해 작성된 문자가 완료되거나 문자를 수정하는 점자 기능키(330)와, 상기 전자 입력키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340)를 구비하는 점자입력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120)는,
    문자와 이미지를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표시부(121);
    상기 점자 표시부(121)로 출력되는 문자에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하이퍼링크 표시부(12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표시부(122)는 상기 점자 표시부와 링크가 가능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점자와 소리로 변역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에서 상기 하이퍼링크 표시부로 버튼 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점자 출력부가 점자 버튼으로만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현하는 점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동영상의 시각적으로 나눌 수 있는 부분을 나누어 객체화하여 나누어진 영역이 선택되면 시각적인 형태를 설명하는 안내 음성을 음성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KR1020120077515A 2012-07-17 2012-07-17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KR20140010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515A KR20140010756A (ko) 2012-07-17 2012-07-17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515A KR20140010756A (ko) 2012-07-17 2012-07-17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56A true KR20140010756A (ko) 2014-01-27

Family

ID=501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515A KR20140010756A (ko) 2012-07-17 2012-07-17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75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03A1 (ko) * 2016-04-20 2017-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70128196A (ko) * 2017-11-15 2017-11-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893014B1 (ko) * 2017-08-03 2018-08-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별도의 가상적인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0488959Y1 (ko) * 2017-11-27 2019-04-09 이선민 시각장애인을 위한 그림-활자 점자 변환 장치
KR20190134191A (ko) * 2018-05-25 2019-12-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워드프로세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90135189A (ko) * 2018-05-28 2019-12-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78363B1 (ko) * 2019-03-14 2020-04-23 주식회사 피씨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이미지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03A1 (ko) * 2016-04-20 2017-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0845880B2 (en) 2016-04-20 2020-11-24 Gachon University-Industry Found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interacting with user
KR101893014B1 (ko) * 2017-08-03 2018-08-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별도의 가상적인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70128196A (ko) * 2017-11-15 2017-11-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0488959Y1 (ko) * 2017-11-27 2019-04-09 이선민 시각장애인을 위한 그림-활자 점자 변환 장치
KR20190134191A (ko) * 2018-05-25 2019-12-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워드프로세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90135189A (ko) * 2018-05-28 2019-12-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78363B1 (ko) * 2019-03-14 2020-04-23 주식회사 피씨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이미지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0756A (ko)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US8633907B2 (en) Touch screen overlay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US20040218451A1 (en) Accessible user interface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20020151283A1 (en) Coordinating images displayed on devices with two or more displays
Pal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vision-impairments: anagenda for the ICTD community
EP2608189A1 (en) Braill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Adipat et al. Interface design for mobile applications
JP2006024204A (ja) テキストメッセージング装置
US614091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generate graphical data in a computer
Bornschein et al. Inclusive production of tactile graphics
CN104156164A (zh) 终端
JPWO2013051077A1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Garcia-Lopez et al. Comparing zooming methods in mobile device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in touch and nontouch smartphones
JP2009204710A (ja) 触覚提示装置及び触覚提示方法
US20180240363A1 (en) Laptop computer with user interface for blind,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40216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mages representing ideas
KR20150024170A (ko) 필기 입력기반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37369A (ko) 이북 및 워드 문서의 요약노트 작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암기학습 시스템 및 방법
Evans et al. Architectures of assistive software applications for Windows-based computers
KR100805259B1 (ko)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Muniandy et al. THE ROLE OF MULTIMEDIA DESIGN ELEMENTS IN COMPUTER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A COMPLETE REVIEW.
Gardner Can mainstream graphics be accessible?
CN111580684A (zh) 基于Web技术实现多学科智能键盘的方法、存储介质
Guo An icon recognition study on different simplicity levels
Vanderheiden et al. Development of a multisensory nonvisual interface to computers for blind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