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118A - 플렉서블 전지셀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118A
KR20150082118A KR1020150000532A KR20150000532A KR20150082118A KR 20150082118 A KR20150082118 A KR 20150082118A KR 1020150000532 A KR1020150000532 A KR 1020150000532A KR 20150000532 A KR20150000532 A KR 20150000532A KR 20150082118 A KR20150082118 A KR 2015008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y cell
cell
flexi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723B1 (ko
Inventor
김성민
강중구
김주빈
성주환
우승희
윤성필
이진수
임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8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01M4/742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perforat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이 함침된 상태로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기 단위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 또는 굴곡이 가능한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을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전극은 그것의 전극 집전체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의 대향 면으로서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는 전극의 유연성을 위한 메쉬(mesh)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전지셀 {Flexible Battery Cell}
본 발명은 유연성이 높은 플렉서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의 확산이 이뤄짐으로써, 21세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고품질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사회’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발전 기반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디바이스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소형, 경박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전지셀, 각형 전지셀, 파우치형 전지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형 전지셀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다수의 전극 탭들(21, 22)이 돌출되어 있는 스택형 전극조립체(20), 전극 탭들(21, 2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 리드(30, 31), 및 전극 리드(30, 3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택형 전극조립체(20)를 수납 및 밀봉하는 구조의 전지케이스(4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40)는 스택형 전극조립체(2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41)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42)와 그러한 하부 케이스(42)의 덮개로서 스택형 전극조립체(20)를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43)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43)와 하부 케이스(42)는 스택형 전극조립체(20)를 내장한 상태에서 열융착되어, 상단 실링부(44)와 측면 실링부(45, 46), 및 하단 실링부(47)를 형성한다.
도 1에서는 상부 케이스(43)와 하부 케이스(42)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표시되어 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일측 단부가 일체되어 연속되어 있는 경첩식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가 연결된 구조의 전극 단자가 일단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을 도시하고 있으나, 전극 단자가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 등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사용한 파우치형 전지셀을 도시하고 있으나, 권취형 또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파우치형 전지셀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디자인은 직육면체 형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어질 수 있는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파지감의 향상을 위하여, 측면을 곡선 처리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같은 경우에는 휘거나 굽힐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렇게 곡선 처리된 부분을 가지도록 디자인된 디바이스 또는 휘어질 수 있는 디바이스의 경우, 직육면체 형상의 전지셀 또는 전지팩을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내장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는 바,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 내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전지의 유연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전지의 형상의 변형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연성이 향상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전지셀에 적용하는 경우,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전지의 형상을 변형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지 형상의 변형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하나 이상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이 함침된 상태로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기 단위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 또는 굴곡이 가능한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을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전극은 그것의 전극 집전체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의 대향 면으로서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는 전극의 유연성을 위한 패턴(pattern)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의 유연성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 집전체와 이를 포함하는 유연성 전극을 포함하는 바, 전지셀의 절곡 또는 굴곡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전지셀이 장착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보다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연성 전극은 전극 집전체의 제 2 면이 셀 케이스의 내면과 맞닿도록,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셀의 변형 시, 셀 케이스에는 전극조립체의 최외각 면에 접촉하는 일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주름 또는 접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셀 케이스의 주름 또는 접힘은 전지셀의 변형이 반복될수록 마모되면서, 종국에는 셀 케이스를 파손시켜, 셀 케이스 내부로부터 전해액이 누액되거나, 셀 케이스가 절연의 기능을 상실하는 심각한 안전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한 제 2 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 면은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서 패턴 형상으로 나타나며, 그에 따라, 전극 면적 대비 셀 케이스의 표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전지셀을 변형하는 경우에, 셀 케이스 상에 의도하지 않은 주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셀 케이스에도 그것의 내면 일부에 제 2 면의 패턴에 밀착하기 위한 주름 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셀 케이스와 제 2 면이 더욱 밀착하여, 전지셀의 변형 시, 셀 케이스 상에 의도하지 않은 주름의 발생 빈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유연성 전극 및 전극조립체의 변형에 도움을 주고, 셀 케이스의 주름 방지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 또는 다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메쉬 구조, 또는 양각 또는 음각과 다수의 기공들이 혼재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같은 패턴의 구조는, 양각 또는 음각, 또는 기공들이 유연성 전극의 변형에 필요한 응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유연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의 변형에 필요한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 집전체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경우, 양각 또는 음각의 패턴, 또는 다공성 메쉬의 기공들이 전극조립체 외면에 굴곡을 형성하므로, 전극 면적 대비 셀 케이스의 표면적을 더 크게 하는 효과를 발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양각 또는 음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전극집전체 상에 형성된 패턴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일자 형태, 격자 형태, 또는 다각형에서 선택되는 형상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상기 일자 형태는 음각 또는 양각의 일반적인 예로서, 서로 평행한 다수의 일직선의 음각 또는 양각이 유연성 전극의 제 2 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고, 이러한 일자 형태의 음각 또는 양각은 유연성 전극의 일 방향성 절곡 또는 굴곡에 특화된 형태일 수 있다. 반면, 격자 형태 또는 다각형의 음각 또는 양각은 격자 또는 다각형을 이루는 다수의 직선들에 의해, 유연성 전극의 다 방향성 절곡 또는 굴곡에 용이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메쉬 구조는 다수의 기공들이 메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기공은 금속 집전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금속 집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만입한 구조의 만입공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메쉬 구조는 기공의 직경이 0.1 밀리미터 내지 1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 기공의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전극 집전체의 기계적 강성을 담보할 수 없고, 전하가 직경이 큰 기공의 단부에 집중되어 유연성 전극의 내부저항이 증가할 수 있으며, 기공의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극의 응력 완화 효과가 미미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다공성 메쉬 구조는 기공의 직경 대비 300% 내지 1000 %의 간격으로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간격이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유연성 전극이 소량의 기공만을 포함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소망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반면에, 상기 기공의 간격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극 집전체의 기계적 강성을 담보할 수 없고, 전하가 다수의 기공들에 집중되어 유연성 전극의 내부저항이 증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패턴들은 제 2 면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극 집전체의 기계적 강성과 유연성 전극의 변형 부위를 고려하여, 제 2 면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 2 면의 일부는 유연성 전극의 전극 탭이 위치한 단부 및 그 대향 단부로부터 제 2 면의 전체 면적 대비 1% 내지 90%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면일 수 있다.
한편,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 내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전지의 유연한 특성을 갖고,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울퉁불퉁한 굴곡을 셀 케이스의 표면에까지 반영시키기 위해, 상기 셀 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금속 차단층의 일면(외면)에 내구성이 우수한 수지 외곽층이 부가되어 있고, 타면(내면)에 열용융성의 수지 실란트층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 외곽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수지 외곽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연신 나일론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차단층은 가스, 습기 등 이물질의 유입 내지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실란트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금속과의 접착력이 낮으므로, 상기 금속 차단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금속층과 수지 실란트층 사이에 접착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접착력 및 차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소재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urethane)계 물질, 아크릴(acryl)계 물질,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를 함유하는 조성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전해액에 함침된 상태로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둘 이상의 단위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거나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셀들은, 상세하게는 제 1 전극, 분리막 및 제 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제 1 전극, 분리막, 제 2 전극, 분리막 및 제 1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바이셀(bi-cell)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단위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이 유연성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극은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 및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음극을 모두 지칭하는 바, 상기 제 1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고, 이 경우, 제 2 전극은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의 유연성을 위한 패턴 구조의 전극 집전체와 이를 포함하는 유연성 전극을 포함하는 바, 전지셀의 절곡 또는 굴곡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전지셀이 장착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 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보다 정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유연성 전극이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하여,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 집전체의 제 2 면이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 그대로 드러나게 되는 바, 전극 면적 대비 셀 케이스의 표면적을 더 크게 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전지셀을 변형하더라도 셀 케이스 상에 의도하지 않은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구성하는 단위셀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은 도 3의 단위셀에서, 유연성 전극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5은 도 4의 유연성 전극에서 전극 집전체의 제 2 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연성 전극이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유연성 전극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구성하는 단위셀의 예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6에는 도 3의 단위셀에서, 유연성 전극만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단위셀(200)은 유연성 전극인 제 1 전극(210), 분리막(201), 제 2 전극(220), 분리막(201’) 및 제 1 전극(23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들(210, 230)과 제 2 전극(220)은 상호 반대 극성의 전극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단위셀(200)은 양극인 제 1 전극, 분리막, 음극인 제 2 전극, 분리막 및 양극인 제 1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음극인 제 1 전극, 분리막, 양극인 제 2 전극, 분리막 및 음극인 제 1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전극들(210, 230) 중, 단위셀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 1 전극(210)을 유연성 전극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연성 전극(210)은 단위셀(200)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고, 전극 집전체(240) 및 전극 활물질층(2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연성 전극(210)의 전극 집전체(240)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제 1 면(260)과 도포되지 않는 제 2 면(250)으로 구분되며, 제 1 면(260)에는 전극 활물질층(280)이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고, 제 2 면(250)에는 전극 집전체(24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기공들(270)이 포함된 다공성 구조의 메쉬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 집전체(240)의 일측 단부에는 전극 탭들(290, 290’) 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 탭들(290, 290’)이 위치한 단부(291)와 그 대향 단부(292)로부터 제 2 면(250)의 전체 면적 대비 대략 30 %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면(250)상에 다수의 기공(27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전극 집전체(240)의 기계적 강성을 고려한 것으로, 전극 집전체(240)의 제 2 면(250) 전체에 기공(270)이 형성되는 경우, 유연성 전극(210)의 변형 특성은 향상될 수 있지만, 변형에 따른 전극 집전체(240)의 파손, 또는 전극 집전체(240) 및 전극 활물질층(240)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전극 활물질층(280)이 전극 집전체(240) 표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곡 또는 굴곡과 같은 변형에서 응력의 적용이 큰 부위, 즉 변형의 중심이 되는 제 2 면(25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메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전극은 도 6에서와 같이 변형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유연성 전극(210a)은 전극 탭들(290, 290’)이 돌출된 단부(291)와 그 대향 단부(292)가 상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반면에, 유연성 전극은(210b) 전극 탭들(290, 290’)이 돌출된 단부(291)와 그 대향 단부(292)를 제외한 유연성 전극(210b)의 나머지 단부가 절곡되는 형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는, 변형의 몇 가지 예로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연성 전극이 두 번 절곡되는 형상 또는 트위스트형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유연성 전극의 또 다른 예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유연성 전극(310)의 전극 집전체(340)는 그것의 일측 단부에 전극 탭들(390, 390’)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 탭들(390, 390’)이 위치한 단부와 그 대향 단부로부터 제 2 면(350)의 전체 면적 대비 대략 40 %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면(350)상에 다수의 음각(37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음각(370)은 제 2 면(350)을 횡(x축)으로 가로지르는 일자 형태의 음각 패턴이며, 전극 집전체(340)의 수직 단면상 ‘V’자 형태로 전극 집전체(340)의 제 2 면(35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턴은(370)은 유연성 전극(310)의 종(y) 방향으로의 절곡 또는 굴곡에 특화된 패턴이다.
반면에, 도 8의 유연성 전극(410)은 전극 탭들(490, 490’)이 위치한 단부와 그 대향 단부로부터 제 2 면(450)의 전체 면적 대비 대략 50 %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면(450)상에 격자 형태의 음각 패턴(470)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자 형태의 음각 패턴(470)은 제 2 면(450)의 일부에서 종(y축) 및 횡(x축)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의 음각 패턴이다. 격자 형태의 음각 패턴(470)은 도 7의 패턴과 비교하여, 유연성 전극(310)의 종(y축) 방향뿐만 아니라, 횡(x축) 방향으로의 절곡 또는 굴곡도 가능하며, 종(y축) 및 횡(x축)에 대해 대각 축인 z축으로의 절곡 또는 굴곡이 가능하다.
한편, 도 9의 유연성 전극은 전극 탭들(590, 590’)이 위치한 단부와 그 대향 단부로부터 제 2 면(550)의 전체 면적 대비 대략 50 %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면(550)상에 다각형의 양각 패턴(5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양각 패턴(570)은 앞선 도 7 및 도 8의 패턴(370, 470)들과 마찬가지로, 유연성 전극(510)의 절곡 또는 굴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술한 구조적 특징에 기반하여 유연성이 높고 변형이 용이한 유연성 전극을 포함하는 바, 전지셀의 굴곡 또는 절곡과 같은 변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기와 같은 또 다른 특징에 기반하여, 전지셀의 변형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유연성이 높은 유연성 전극이 위치하고, 유연성 전극에서 메쉬가 형성되어 있는 전극 집전체의 제 2 면이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바, 전극 면적 대비 셀 케이스의 표면적을 더 크게 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전지셀을 변형하는 경우에, 셀 케이스의 일부가 제 2 면의 메쉬에 대응하면서 셀 케이스 상에 의도하지 않은 주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의 변형 시, 셀 케이스의 주름으로 인한 나타나는 금속층의 노출로 인한 절연 파괴 또는 전해액 누출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단위셀들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이 함침된 상태로 가변적인 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기 단위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 또는 굴곡이 가능한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을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전극은 그것의 전극 집전체가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제 1 면 및 제 1 면의 대향 면으로서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는 전극의 유연성을 위한 패턴(pattern)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둘 이상의 단위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거나 긴 시트형의 분리필름에 의해 폴딩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들은 제 1 전극, 분리막 및 제 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제 1 전극, 분리막, 제 2 전극, 분리막 및 제 1 전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바이셀(bi-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이 유연성 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전극은 전극 집전체의 제 2 면이 셀 케이스의 내면과 맞닿도록, 전극조립체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는 양각 또는 음각, 및/또는 다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메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음각은 일자 형태, 격자 형태, 또는 다각형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메쉬 구조의 기공은 금속 집전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금속 집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만입한 구조의 만입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메쉬 구조는 기공의 직경이 0.1 밀리미터 내지 1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메쉬 구조는 기공의 직경 대비 300% 내지 1000 %의 간격으로 기공이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제 2 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의 일부는 유연성 전극의 전극 탭이 위치한 단부 및 그 대향 단부로부터 제 2 면의 전체 면적 대비 1% 내지 90%의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그것의 내면 일부에 제 2 면의 패턴에 밀착하기 위한 주름 또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 항에 따른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
  16. 제 15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넷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50000532A 2014-01-06 2015-01-05 플렉서블 전지셀 KR101623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125 2014-01-06
KR1020140001125 2014-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118A true KR20150082118A (ko) 2015-07-15
KR101623723B1 KR101623723B1 (ko) 2016-05-24

Family

ID=5349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532A KR101623723B1 (ko) 2014-01-06 2015-01-05 플렉서블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6887B2 (ko)
EP (1) EP3067978B1 (ko)
JP (1) JP6306710B2 (ko)
KR (1) KR101623723B1 (ko)
CN (1) CN105814730B (ko)
WO (1) WO20151024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303A1 (en) * 2017-10-26 2019-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362386B2 (en) 2017-06-20 2022-06-14 Samsung Sdi Co., Ltd. Sheath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865B1 (ko) * 2015-06-18 2023-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2395482B1 (ko) * 2016-11-07 2022-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EP3644426B1 (en) * 2017-09-04 2021-11-03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battery, and flexible battery manufactured thereby
WO2019151063A1 (ja) * 2018-01-30 2019-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用負極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32A (ja) * 1992-09-11 2001-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柔軟性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US5587253A (en) 1993-03-05 1996-12-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Low resistance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DE69837838T2 (de) * 1997-01-27 2008-01-31 Fuji Jukogyo K.K. Organische, elektrolytische batterie
US6110622A (en) * 1998-07-22 2000-08-29 Wilson Greatbatch Ltd. Chemically machined current collector design
JP2000090979A (ja) * 1998-09-16 2000-03-31 Toshiba Corp 密閉型電池
JP2000173559A (ja) * 1998-12-03 2000-06-23 Tokai Rubber Ind Ltd 薄型電池用袋体
JP2001266894A (ja) * 2000-03-22 2001-09-28 Sony Corp 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JP2002343340A (ja) 2001-05-21 2002-11-29 Sony Corp 電極および電池
JP2003059486A (ja) 2001-08-10 2003-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21990U1 (de) * 2002-06-06 2010-06-10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KR100582557B1 (ko) * 2004-11-25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면 패터닝된 음극 집전체로 이루어지는 리튬금속 고분자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72773A (ja) * 2004-12-13 2006-06-29 Ngk Spark Plug Co Ltd 薄型電池
KR100637505B1 (ko) * 2005-03-25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전극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전극판을 이용한이차전지
JP4819399B2 (ja) * 2005-05-26 201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薄型電池
US7682733B2 (en) 2006-08-25 2010-03-23 Motorola, Inc. Thin film battery having textured layer
JP5114036B2 (ja) * 2006-09-08 2013-01-09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142589B1 (ko) * 2006-11-15 2012-05-10 파나소닉 주식회사 비수계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계 이차전지용 전극판 및 비수계 이차전지
JP5526475B2 (ja) * 2007-12-28 2014-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薄型電池
KR101104147B1 (ko) 2008-01-10 2012-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품 정보의 추적이 가능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전지팩
KR101503458B1 (ko) * 2008-06-25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이 개선된 이차전지
JP2010238403A (ja) * 2009-03-30 2010-10-21 Nec Corp 電池及び電池の製造方法
KR101282204B1 (ko) * 2009-09-25 2013-07-04 이홍희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1847747A (zh) * 2010-05-12 2010-09-29 清华大学 锂离子电池组
JP5426771B2 (ja) * 2010-06-29 2014-0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薄型フレキシブル電池
JP2012113843A (ja) * 2010-11-19 2012-06-14 Sony Corp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テリユニット、ならびに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5753258B2 (ja) * 2011-04-11 2015-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081209B (zh) * 2011-04-11 2016-08-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薄型电池及电池装置
JP2012227067A (ja) * 2011-04-21 2012-11-15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巻回電極体用集電体、積層電極体用集電体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用集電体の製造方法
KR20120131779A (ko) 2011-05-26 201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한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
JP6095961B2 (ja) * 2011-12-06 2017-03-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角形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968640B1 (ko) * 2012-04-03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2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2386B2 (en) 2017-06-20 2022-06-14 Samsung Sdi Co., Ltd. Sheath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19083303A1 (en) * 2017-10-26 2019-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0862080B2 (en) 2017-10-26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7978A4 (en) 2016-11-23
US10276887B2 (en) 2019-04-30
KR101623723B1 (ko) 2016-05-24
WO2015102442A1 (ko) 2015-07-09
US20160308241A1 (en) 2016-10-20
JP2017504933A (ja) 2017-02-09
EP3067978B1 (en) 2018-06-06
EP3067978A1 (en) 2016-09-14
CN105814730B (zh) 2019-02-26
CN105814730A (zh) 2016-07-27
JP6306710B2 (ja)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23B1 (ko) 플렉서블 전지셀
KR101572836B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675950B1 (ko) 교번 배열된 무지부와 코팅부를 포함하고 있는 플렉서블 전극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셀
US10483502B2 (en) Battery cell having anti-wrinkle member
KR101637071B1 (ko) 부분 절곡 기능을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KR101762669B1 (ko)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US10115938B2 (en) Battery case having anti-wrinkle pattern
KR101671421B1 (ko) 패턴 코팅된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극조립체
KR101717197B1 (ko) 복수의 단위셀들로 구성된 플렉서블 전지
KR101192092B1 (ko) 적층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KR101699846B1 (ko)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KR101786908B1 (ko) 주름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KR102060679B1 (ko) 시트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723035B1 (ko)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684396B1 (ko) 유연성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28006B1 (ko) 가변 연신부를 포함하는 전지 케이스
KR20150096124A (ko) 셀 케이스의 내면에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KR101675988B1 (ko)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09546B1 (ko) 유연성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50084139A (ko) 안전성이 개선된 플렉서블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