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83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0836A KR20150080836A KR1020140000345A KR20140000345A KR20150080836A KR 20150080836 A KR20150080836 A KR 20150080836A KR 1020140000345 A KR1020140000345 A KR 1020140000345A KR 20140000345 A KR20140000345 A KR 20140000345A KR 20150080836 A KR20150080836 A KR 201500808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ing
- forming pattern
- pattern
- fan motor
- chass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팬모터가 체결부재로 설치되는 팬모터 마운터부와, 진동을 저감시키는 포밍패턴이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고, 팬모터 마운터부는 불연속 구간을 갖는 링 형상이고, 불연속 구간 이외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포밍패턴은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포밍패턴과 교차하는 제2포밍패턴을 포함하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 각각은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에 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방사 형상의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의 제2포밍패턴이 교차하면서 조합되어 다양한 방향의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팬모터가 섀시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청정시키는 정화유닛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고, 송풍팬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송풍팬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팬모터의 구동시, 팬이 회전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고, 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후 팬에 의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송풍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팬모터의 진동이 공기조화기로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로 고무재질의 방진부재를 이용하여 팬모터를 설치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팬모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방진고무가 설치되는 경우 방진고무의 재질이 무르기 때문에, 처짐에 의해 편심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방진고무 없이 팬모터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팬모터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체결부재로 설치되는 팬모터 마운터부와, 진동을 저감시키는 포밍패턴이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는 불연속 구간을 갖는 링 형상이고, 상기 불연속 구간 이외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포밍패턴은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포밍패턴과 교차하는 제2포밍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 각각은 상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에 리브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는 상기 섀시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는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불연속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 및 제2포밍패턴 각각은 포밍부와 리브가 교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밍패턴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포밍패턴은 내측 제2포밍패턴과,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 보다 크기가 큰 외측 제2포밍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시는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 영역 중 제1포밍패턴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비포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의 폭 및 외측 제2포밍패턴의 폭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비포밍부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은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직선형 포밍패턴 각각은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폭이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후판과, 상기 후판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후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기 팬모터 마운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제2포밍패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포밍패턴은 상기 제1포밍패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의 2개와 상기 제2리브의 2개는 상기 교차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 및 제2포밍패턴 각각은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 주변의 비포밍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팬모터 마운터부가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에는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이고 상기 제1포밍패턴과 교차하는 제2포밍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제1포밍패턴 및 제2포밍패턴 각각은 포밍부와 리브가 교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의 리브와 상기 제2포밍패턴의 리브는 상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밍패턴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와 이격된 내측 제2포밍패턴과, 상기 내측 제2포밍부 보다 크기가 큰 외측 제2포밍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시는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 영역 중 제1포밍패턴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비포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의 폭 및 외측 제2포밍패턴의 폭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비포밍부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 형상의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의 제2포밍패턴이 교차하면서 조합되어 다양한 방향의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터 마운터부의 불연속구간이 진동이 모터 마운터부를 순환하면서 증폭,공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섀시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포밍패턴의 포밍부와 그 주변의 비포밍부 폭이 상이하여, 폭이 동일할 때 발생될 수 있는 공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포밍패턴이 프레임과 연결되지 않고 끊길 때 발생되는 진동모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포밍패턴의 리브 및 제2포밍패턴의 리브가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 주변의 비포밍부를 연결할 수 있어, 섀시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높일 수 있고, 방진에 보다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팬모터가 섀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섀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팬모터 마운터부의 확대 도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섀시의 포밍부 및 리브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섀시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팬모터가 섀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섀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팬모터 마운터부의 확대 도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섀시의 포밍부 및 리브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섀시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2)와 공기토출구(4)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케이싱(10)에 설치된 송풍팬(20)과,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된 공조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2)로 흡입되어 공조유닛(30)에서 공조된 후 공기토출구(4)로 토출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섀시(12)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12)에는 공기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다. 섀시(12)는 공조유닛(30)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패널일 수 있다. 케이싱(10)은 공기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섀시(12)는 공기조화기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섀시(12)는 전체적인 형상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14)은 섀시(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패널(14)은 섀시(1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섀시(12)와 흡입패널(14) 사이에 송풍팬(20) 및 공조유닛(30)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섀시(12)는 공기토출구(4)가 형성된 토출패널일 수 있고, 흡입패널(14)은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패널일 수 있다.
섀시(1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일 수 있다. 섀시(12)는 공기조화기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부일 수 있다. 섀시(12)는 실내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섀시(12)는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섀시(12)는 후판(16)과, 후판(16)에 형성된 프레임(1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7)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다. 후판(16)은 공기조화기의 배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부일 수 있고, 프레임(17)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패널부일 수 있다.
케이싱(10)은 공기흡입구(2)를 가리는 흡입구패널(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패널(18)은 프론트 패널(1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거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흡입구패널(34)를 동작시키는 흡입구패널 구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흡입구패널 구동기구는 흡입패널(14)에 설치된 모터와, 모터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과 치합되고 흡입구패널(18)에 연결된 랙(19)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22)과, 팬(22)을 회전시키는 팬모터(24)를 포함한다. 팬(22)은 중앙에 팬모터(24)의 회전축(25)에 연결되는 허브(23)가 형성될 수 있다. 팬(22)은 허브(23)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24)는 회전축(25)이 돌출되게 구비된 모터 본체와, 모터 본체에 구비된 모터브래킷(26)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브래킷(26)은 모터 본체와 별도로 구성되어 모터 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모터 본체에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브래킷(26)은 모터 본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모터브래킷(26)은 모터 본체의 외둘레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팬(20)은 프로펠러팬 등의 축류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터보팬이나 시로코팬 등의 원심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팬(20)은 원심팬으로 구성될 경우, 팬(22)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20)은 팬모터(24)의 회전축(25)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팬모터(24)는 케이싱(1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팬모터(24)는 섀시(12)나 흡입패널(14)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팬모터(24)는 섀시(12)에 설치될 경우 회전축(25)이 전방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팬모터(24)는 흡입패널(14)에 설치될 경우 회전축(25)이 후방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20)이 오리피스(28)를 더 포함할 경우, 팬모터(24)는 오리피스(28)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섀시(12), 흡입패널(14), 오리피스(28)와 별도의 모터 마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팬모터(24)는 섀시(12)와 흡입패널(14)과 오리피스(28) 중 하나에 설치되거나 모터 마운터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섀시(12)와, 흡입패널(14)과, 오리피스(28), 모터 마운터 중 하나에 팬모터(24)가 설치될 수 있고, 섀시(12)와, 흡입패널(14)과, 오리피스(28), 모터 마운터 중 팬모터(24)가 설치되는 것이 팬모터 설치부재가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팬모터 설치부재에 후술하는 팬모터 마운터부(50)가 형성될 수 있고,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포밍패턴(P1)(P2)(P3)이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와 포밍패턴(P1)(P2)(P3)은 팬모터 설치부재에 일체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와 포밍패턴(P1)(P2)(P3)은 팬모터 설치부재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팬모터(24)가 섀시(12)에 설치되고, 섀시(12)는 팬모터(24)가 설치되는 팬모터 설치부재일 수 있다. 팬모터(24)는 스크류나 핀 등의 체결부재(27)에 의해 섀시(12)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나 핀 등의 체결부재(27)는 모터브래킷(26)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섀시(12)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모터 브래킷(26)은 별도의 방진고무 없이 섀시(12)에 접촉될 수 있고, 모터 브래킷(26)과 섀시(12)는 체결부재(27)로 체결될 수 있다. 모터 브래킷(26)은 섀시(12)에 형성된 모터 마운터부(50)에 직접 접촉되고 모터 마운터부(5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공조유닛(30)은 공기의 온도와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공조유닛(30)은 공기의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열교환유닛(31)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유닛(31)은 냉매가 통과하면서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냉매 열교환기와, 전류가 흐르면 발열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와, 방열부와 흡열부를 갖고 방열부가 공기를 가열하거나 흡열부가 공기를 냉각하는 열전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32)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와,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정전 방식으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와,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팬모터가 섀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섀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팬모터 마운터부의 확대 도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섀시의 포밍부 및 리브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섀시(12)는 팬모터(24)가 설치되는 팬모터 마운터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섀시(12)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24)는 팬모터 마운터부(50)에 스크류나 핀 등의 체결부재(27)로 체결될 수 있다. 팬모터(24)는 모터 브래킷(26)이 팬모터 마운터부(50)에 직접 접촉되게 안착될 수 있고, 체결부재(27)는 모터 브래킷(26)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팬모터 마운터부(50)에 체결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섀시(12)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구간(I)을 갖는 링 형상일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일측에 개구부(51)가 형성된 링 형상일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C' 자 형상과 같이, 일측에 개구부(51)가 형성된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개구부(51)는 팬모터 마운터부(50)가 연속되지 않고 끊기게 하는 불연속 구간(I)을 형성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연속 구간(C)일 수 있고, 연속 구간(C)은 개구부(51) 이외에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개구부(51) 이외에 팬모터(24)가 체결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체결부재(27)가 체결되는 체결부(5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구간(I) 이외에 체결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2)는 팬모터 마운터부(50) 중 불연속 구간(I) 이외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52)는 불연속 구간(I) 이외인 연속구간(C)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2)가 복수개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체결부(52)는 연속구간(C)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52)는 체결부재(27)가 체결되는 체결공 또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공 또는 체결홈은 팬모터 마운터부(50) 자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팬모터 마운터부(50)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스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개구부(51)는 팬모터 마운터부(50)의 상부와 하부 중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획될 수 있고, 팬모터 마운터부(50)는 팬모터 마운터부(5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51)가 불연속 구간(I)을 형성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상부 전체가 연속 구간(C)이 될 수 있고, 후술하는 팬모터 수용공간(S1)으로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섀시(12)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이너 마운터부(54)와, 섀시(1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너 마운터부(54)를 둘러싸는 아우터 마운터부(55)와, 이너 마운터부(54)와 아우터 마운터부(55)를 잇는 프론트 마운터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개구부(51)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개구부 형성부(57A)(5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마운터부(54)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이너 마운터부(54)의 내측에 팬모터(24)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팬모터 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마운터부(55)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마운터부(55)는 이너 마운터부(54) 보다 크기가 크고 이너 마운터부(54)와 이격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이너 마운터부(54)와 아우터 마운터부(55) 사이에 빈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S2)은 체결부재(27) 중 체결부(52)를 관통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프론트 마운터부(56)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마운터부(56)는 이너 마운터부(54)의 선단과 아우터 마운터부(55)의 선단을 잇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마운터부(56)는 내측 둘레가 이너 마운터부(54)와 연결될 수 있고, 외측 둘레가 아우터 마운터부(55)와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52)는 프론트 아우터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2)는 복수개가 프론트 아우터부(56)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부 형성부(57A)(57B)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개구부(51)가 형성되게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부 형성부(57A)(57B)는 그 각각이 이너 마운터부(54)와 아우터 마운터부(55)를 잇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부 형성부(57A)(57B)는 둘 중 하나가 이너 마운터부(54)의 일측과 아우터 마운터부(55)의 일측을 잇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이너 마운터부(54)의 타측과 아우터 마운터부(55)의 타측을 잇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51)는 팬모터 수용공간(S1)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는 팬모터 수용공간(S1)이 개구부(51)에 의해 형성된 불연속 구간(I)을 통해 팬모터 마운터부(50) 외둘레 주변과 연통될 수 있다.
모터 마운터부(50)는 불연속 구간(I)이 형성되지 않고, 그 전체가 링 형상(또는 원형 형상)의 연속 구간만을 갖는 경우, 팬모터(24)에서 전달된 진동이 모터 마운터부(50)를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달되면서 순환될 수 있고 팬모터(24)에서 전달된 진동은 모터 마운터부(50)에서 증폭,공진될 수 있다. 그러나, 모터 마운터부(50)에 불연속 구간(I)이 형성될 경우, 팬모터(24)에서 전달된 후 모터 마운터부(50)를 따라 전달되는 진동은 불연속 구간(I)에서 끊기고, 진동이 모터 마운터부(50)를 따라 순환하면서 증폭, 공진되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섀시(12)는 팬모터(2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방진(防振)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방진패턴은 섀시(12)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되고 전체적으로 특정 형상으로 포밍된 포밍패턴(P1)(P2)(P3)을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24)의 구동시 팬모터(24)에서 발생된 진동은 팬모터 마운터부(50)로 전달된 후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섀시(12)를 따라 전달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섀시(12)를 따라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팬모터 마운터부(5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섀시(12)는 후판(16)과, 공기토출구(4)가 형성된 프레임(17)을 포함할 수 있고, 팬모터 마운터부(50)와 포밍패턴(P1)(P2)(P3)은 후판(16)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후판(16) 중 팬모터 마운터부(5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후판(16) 중 팬모터 마운터부(50)와 프레임(1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섀시(12)의 서로 다른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밍부와, 인접한 포밍부 사이에 위치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포밍부와 리브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포밍부는 리브를 사이에 두고 함몰된 함몰부일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복수개의 포밍부와 복수개의 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포밍부의 개수와 리브의 개수가 동일한 것이 가능하고, 포밍부의 개수가 리브의 개수 보다 1개 더 많은 것이 가능하며, 리브의 개수가 포밍부의 개수보다 1개 더 많은 것이 가능하다.
포밍패턴은 리브를 포함하지 않은 단수개의 방사형 포밍부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진동은 단수개의 방사형 포밍부를 따라 계속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단수개의 방사형 포밍부 자체만으로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어렵다.
반면에, 포밍패턴(P1)(P2)(P3)이 복수개의 인접한 포밍부 사이에 리브가 형성되고 이러한 포밍부와 리브가 교대로 형성될 경우, 리브는 포밍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포밍부 사이에 위치하는 리브는 인접한 포밍부와 함께 섀시(12)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밍패턴(P1)과, 라운드 형상이고 제1포밍패턴(P1)과 교차하는 제2포밍패턴(P2)(P3)을 포함할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제1포밍패턴(P1) 단독으로 구성되지 않고,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이 교차되는 것에 의해, 팬모터(24)에서 발생된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 각각은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교차영역(R)에 리브(71)(7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섀시(12)는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교차영역(R) 주변에 비포밍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포밍패턴(P1)(P1)과 제2포밍패턴(P2)(P3) 각각은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교차영역(R) 주변에 위치하는 비포밍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은 팬모터 마운터부(5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은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은 팬모터 마운터부(50)를 중심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은 그 각각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것이 가능하고, 일부의 길이가 나머지와 상이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의 길이가 모두 서로 상이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은 그 각각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폭(L1)이 모터 마운터부(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은 각각은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폭(L1)이 모터 마운터부(50)와의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은 복수개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이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그 각각의 폭(L1)이 최대한 넓을수록 바람직하고, 복수개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 각각은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폭(L1)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포밍패턴(P1)은 포밍부(69)(70)와 리브(71)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은 그 각각이 포밍부(69)(70)와, 리브(71)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제1포밍패턴(P1)의 포밍부(69)(70)와 리브(71)는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 형성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의 리브(71)는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의 서로 인접한 포밍부(69)(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포밍패턴(P2)(P3)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은 그 각각의 복수개 포밍부(69)(70) 중 일부가 제2포밍패턴(P2)(P3)과 교차되지 않는 포밍부(69)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각각의 복수개 포밍부(69)(70) 중 나머지가 제2포밍패턴(P2)(P3)과 교차되는 포밍부(7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포밍부(69)(70) 중 제2포밍패턴(P2)(P3)과 교차되지 않는 포밍부(69)는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일 수 있고,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포밍부(69)(70) 중 제2포밍패턴(P2)(P3)과 교차되는 포밍부(70)는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겸용 포밍부(70)일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이 복수개일 경우,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포밍부(69)(70)는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단독 포밍부(69)와, 리브(71)와, 겸용 포밍부(70)와, 리브(71)와, 단독 포밍부(69)와, 리브(71), 겸용 포밍부(70)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은 제2포밍패턴(P2)(P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겸용 포밍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포밍부(69)(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의 길이 방향으로 단독 포밍부(69)의 폭(L2)과, 겸용 포밍부(70)의 폭(L3)이 상이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포밍부(69)(70)는 단독 포밍부(69)의 길이(L2)가 겸용 포밍부(70)의 길이(L3) 보다 더 길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은 팬모터 마운터부(50)를 중심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포밍패턴(P2)(P3)은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내측 제2포밍패턴(P2) 보다 크기가 큰 외측 제2포밍패턴(P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제2포밍패턴(P2)은 팬모터 마운터부(50)와 이격될 수 있다. 외측 제2포밍패턴(P3)은 내측 포밍패턴(P2)과 이격될 수 있다.
이하,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2포밍패턴(P2)(P3)으로 설명하고,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외측 제2포밍패턴(P3)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외측 제2포밍패턴(P3)으로 각각 설명한다.
제2포밍패턴(P2)(P3)은 일측이 개방되지 않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C'자 형상과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포밍패턴(P2)(P3)은 포밍부(70)(72)와 리브(73)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은 포밍부(70)(72)와, 리브(73)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제2포밍패턴(P2)(P3)의 포밍부(70)(72)와 리브(73)는 제2포밍패턴(P2)(P3)이 연속되는 방향으로 교대 형성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리브(73)는 제2포밍패턴(P2)(P3)의 서로 인접한 포밍부(70)(7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포밍패턴(P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은 복수개의 포밍부(70)(72) 중 일부가 제1포밍패턴(P1)과 교차되는 포밍부(70)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포밍부(70)(72) 중 나머지가 제1포밍패턴(P1)과 교차되지 않는 포밍부(7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복수개의 포밍부(70)(72) 중 제1포밍패턴(P1)과 교차되는 포밍부(70)는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겸용 포밍부(70)일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복수개의 포밍부(70)(72) 중 제1포밍패턴(P1)과 교차되지 않는 포밍부(72)는 제2포밍패턴(P2)(P3)의 단독 포밍부(72)일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은 제2포밍패턴(P2)(P3)이 연속되는 방향으로 단독 포밍부(72)와 리브(73)와 겸용 포밍부(70)와 리브(73)와 단독 포밍부(72)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복수개 포밍부(70)(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밍패턴(P2)(P3)이 연속되는 방향으로 겸용 포밍부(70)의 길이(L4)와 단독 포밍부(72)의 길이(L5)가 상이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복수개 포밍부(70)(72)는 단독 포밍부(72)의 길이(L5)가 겸용 포밍부(70)의 길이(L4) 보다 더 길 수 있다.
포밍패턴(P1)(P2)(P3)은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교차영역(R)에 리브(71)(7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는 바, 제1포밍패턴(P1)은 교차영역(R)에 제2포밍패턴(P2)(P3)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리브(7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포밍패턴(P2)(P3)은 교차영역(R)에 제1포밍패턴(P1)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리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12)는 제1리브(71)의 2개와 제2리브의 2개가 교차영역(R)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한쌍의 제1리브(71)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한 쌍의 제2리브(73)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리브(71)와 제2리브(72)는 교차영역(R)과 그 주변의 비교차영역의 경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섀시(12)는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모터 마운터부(50)의 사이 영역 중 제1포밍패턴(P1)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함몰되지 않는 비포밍부(91)가 형성될 수 있다.
섀시(12)는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외측 제2포밍패턴(P3) 사이 영역 중 제1포밍패턴(P1)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함몰되지 않는 비포밍부(9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폭(L6) 및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폭(L7)은 적어도 하나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비포밍부(92)의 폭(L8)과 상이할 수 있다.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폭(L6) 및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폭(L7)은 그 둘 모두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비포밍부(92)의 폭(L8)과 동일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폭이 동일한 것에 의해 공진의 우려가 있다.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폭(L6) 및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폭(L7)은 둘 중 적어도 하나가 비포밍부(92)의 폭(L8)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섀시(12)는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폭(L6) 및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폭(L7) 각각이 비포밍부(92)의 폭(L8)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섀시(12)는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외측 주변에 비포밍부(93)가 형성될 수 있다. 비포밍부(93)는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외측 주변 중 제1포밍패턴(P1)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함몰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모터 마운터부(50)의 사이의 비포밍부(91)는 제1비포밍부(91)일 수 있고, 내측 제2포밍패턴(P2)과 외측 제2포밍패턴(P3) 사이의 비포밍부(92)는 제2비포밍부(92)일 수 있으며, 외측 제2포밍패턴(P3) 외측 주변의 비포밍부(93)는 제3비포밍부(93)일 수 있다.
제1비포밍부(91)와 제2비포밍부(92)와 제3비포밍부(93)는 포밍패턴(P1)(P2)(P3)의 복수개 포밍부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고, 포밍패턴(P1)(P2)(P3)의 리브(71)(7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제1리브(71) 중 일부는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 쌍의 제1비포밍부(9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포밍패턴(P1)의 복수개 제1리브(71) 중 또 다른 일부는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 쌍의 제2비포밍부(9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복수개 제2리브(73) 중 일부는 제2포밍패턴(P2)(P3)의 단독 포밍부(72)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비포밍부(91)와 제2비포밍부(9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포밍패턴(P2)(P3)의 복수개 제2리브(72) 중 또 다른 일부는 제2포밍패턴(P2)(P3)의 단독 포밍부(72)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포밍부(92)와 제3포밍부(93)를 연결할 수 있다.
섀시(12)는 위치가 상이한 복수개 비포밍부(91)(92)(93)가 제1포밍패턴(P1)의 제1리브(71)와 제2포밍패턴(P2)의 제2리브(7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섀시(12)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방진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팬모터(24)의 구동시, 팬모터 마운터부(50)로 전달된 진동이 팬모터 마운터부(50)의 주변으로 전달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제1비포밍부(91)로 전달되는 진동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비포밍부(91)와,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단독 포밍부(72)와, 제2비포밍부(92)와,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단독 포밍부(72)를 따라 제3포밍부(93)로 전달될 수 있는데, 제1비포밍부(91)와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단독 포밍부(72)의 사이의 꺽인 구조,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단독 포밍부(72)와 제2비포밍부(92)의 사이의 꺽인 구조, 제2비포밍부(92)와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단독 포밍부(72)의 사이의 꺽인 구조,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단독 포밍부(72)와 제3비포밍부(93)의 사이의 꺽인 구조 각각에서 진동이 저감되고, 최종적으로 제3비포밍부(93)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된다.
한편,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로 전달되는 진동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와, 리브(71)와, 제1포밍패턴(P1)과 내측 제2포밍패턴(P2)의 겸용 포밍부(70)와, 리브(71)와,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와, 리브(71)와, 제1포밍패턴(P1)과 외측 제2포밍패턴(P3)의 겸용 포밍부(70)을 따라 제3비포밍부(93)로 전달될 수 있는데, 제1포밍패턴(P1)의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리브(71) 각각에서 진동이 저감되고, 최종적으로 제3비포밍부(93)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된다.
한편, 제2포밍패턴(P2)(P3)를 따라 전달되는 진동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밍패턴(P2)(P3)의 단독 포밍부(72)와, 리브(73)와,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겸용 포밍부(70)와, 리브(73)와, 제2포밍패턴(P2)(P3)의 단독 포밍부(72)와, 리브(73)와, 제1포밍패턴(P1)과 제2포밍패턴(P2)(P3)의 겸용 포밍부(70)를 따라 전달될 수 있는데, 제2포밍패턴(P2)(P3)의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리브(73) 각각에서 진동이 저감되고, 최종적으로 제2포밍패턴(P2)(P3)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된다.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제1비포밍부(91)로 전달된 진동은 제2포밍패턴(P2)(P3)의 단독 포밍부(72)에서 제2포밍패턴(P2)(P3)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과 교차되어 상쇄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제3비포밍부(93)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팬모터 마운터부(50)에서 제1포밍패턴(P1)의 단독 포밍부(69)로 전달된 진동은 교차영역(R)에서 제2포밍패턴(P2)(P3)을 따라 전달되는 진동과 서로 상쇄되는 것에 의해 제3비포밍부(93)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섀시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섀시(12)가 후판(16)과, 후판(16)에 돌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4)가 형성된 프레임(17)을 포함하고, 제1포밍패턴(P1)이 후판(16)에 형성된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61)(62)(63)(64)(65)(66)(67)(68)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팬모터 마운터(50)에 연결되고, 타단이 프레임(17)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부(61)(62)(63)(64)(65)(66)(67)(68) 중 적어도 하나와 프레임(17)의 연결구조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조화기는 제1포밍패턴(P1)이 프레임(17)까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제1포밍패턴(P1)과 프레임(17)이 끊기는 부분에서 진동모드가 생성될 수 있는데, 제1포밍패턴(P1)이 팬모터마운터(50)에서부터 프레임(17)까지 연속되는 경우, 제1포밍패턴(P1)의 끊김에 따른 진동모드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패널(14)이 섀시(12)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패널이고, 섀시(12)가 흡입패널(14)의 전방에 위치하고 공기토출구(2)가 형성된 프론트패널인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섀시(12)의 전판과 프레임 중 전판에 팬모터 마운터부(50)와 포밍패턴(P1)(P2)(P3)이 함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는 섀시(12)가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흡입구(2)와 공기토출구(4)가 각각 형성된 흡토출 패널(미도시)이 섀시(12)의 하측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섀시(12)의 상판과 둘레판 중 상판에 팬모터 마운터부(50)와 포밍패턴(P1)(P2)(P3)이 함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2: 새시
16: 후판
17: 프레임 22: 팬
24: 팬모터 27: 체결부재
50: 팬모터 마운터부 51: 개구부
P1: 제1포밍패턴 P2,P3: 제2포밍패턴
69: 단독 포밍부 70: 겸용 포밍부
71: 리브 72: 단독 포밍부
73: 리브
17: 프레임 22: 팬
24: 팬모터 27: 체결부재
50: 팬모터 마운터부 51: 개구부
P1: 제1포밍패턴 P2,P3: 제2포밍패턴
69: 단독 포밍부 70: 겸용 포밍부
71: 리브 72: 단독 포밍부
73: 리브
Claims (22)
-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체결부재로 설치되는 팬모터 마운터부와, 진동을 저감시키는 포밍패턴이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는 불연속 구간을 갖는 링 형상이고, 상기 불연속 구간 이외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포밍패턴은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포밍패턴과 교차하는 제2포밍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 각각은 상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에 리브가 각각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는 상기 섀시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의 주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는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불연속 구간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 및 제2포밍패턴 각각은 포밍부와 리브가 교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밍패턴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포밍패턴은
내측 제2포밍패턴과,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 보다 크기가 큰 외측 제2포밍패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는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 영역 중 제1포밍패턴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비포밍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의 폭 및 외측 제2포밍패턴의 폭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비포밍부의 폭과 상이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은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직선형 포밍패턴 각각은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폭이 일정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후판과, 상기 후판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후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직선형 포밍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기 팬모터 마운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제2포밍패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포밍패턴은 상기 제1포밍패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의 2개와 상기 제2리브의 2개는 상기 교차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 및 제2포밍패턴 각각은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 주변의 비포밍부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팬모터 마운터부가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에는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밍패턴과, 라운드 형상이고 상기 제1포밍패턴과 교차하는 제2포밍패턴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 및 제2포밍패턴 각각은 포밍부와 리브가 교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의 리브와 상기 제2포밍패턴의 리브는 상기 제1포밍패턴과 제2포밍패턴의 교차영역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밍패턴은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포밍패턴은
상기 팬모터 마운터부와 이격된 내측 제2포밍패턴과,
상기 내측 제2포밍부 보다 크기가 큰 외측 제2포밍패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는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 영역 중 제1포밍패턴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비포밍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의 폭 및 외측 제2포밍패턴의 폭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내측 제2포밍패턴과 외측 제2포밍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비포밍부의 폭과 상이한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0345A KR102285281B1 (ko) | 2014-01-02 | 2014-01-02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0345A KR102285281B1 (ko) | 2014-01-02 | 2014-01-02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0836A true KR20150080836A (ko) | 2015-07-10 |
KR102285281B1 KR102285281B1 (ko) | 2021-08-02 |
Family
ID=5379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0345A KR102285281B1 (ko) | 2014-01-02 | 2014-01-02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528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9267B1 (ko) | 1997-06-16 | 2000-04-01 | 구자홍 | 공조기의 팬모터 지지구조 |
JP2006105573A (ja) * | 2004-09-08 | 2006-04-20 | Daikin Ind Ltd |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
JP2010085048A (ja) * | 2008-10-01 | 2010-04-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空気調和機 |
-
2014
- 2014-01-02 KR KR1020140000345A patent/KR1022852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9267B1 (ko) | 1997-06-16 | 2000-04-01 | 구자홍 | 공조기의 팬모터 지지구조 |
JP2006105573A (ja) * | 2004-09-08 | 2006-04-20 | Daikin Ind Ltd |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
JP2010085048A (ja) * | 2008-10-01 | 2010-04-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空気調和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5281B1 (ko) | 2021-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5199488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20160044998A (ko) |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
JP6108080B2 (ja) | 空気調和機 | |
KR20040017497A (ko) | 공기조화 시스템 | |
CN111033144B (zh) | 空气调和机的室内机 | |
KR20040010899A (ko) | 공기조화 시스템 | |
KR101229343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20150080836A (ko) | 공기조화기 | |
CN1979017A (zh) | 分体式空调器室内机的电机盖结构 | |
JP6020084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20180044650A (ko) | 공기조화기 | |
KR20180044684A (ko) | 원심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
KR102070447B1 (ko) |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49061B1 (ko) | 공기조화기 | |
JP2010048468A (ja) | 空気調和機 | |
KR102278182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730649B1 (ko) | 국부 공조 시스템 | |
CN115046276B (zh) | 一种换气装置及空调器 | |
KR100471437B1 (ko) |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팬 하우징 착탈구조 | |
CN219572081U (zh) | 空调器 | |
JP6281676B2 (ja) | 空気調和機 | |
CN112432355B (zh) | 蜗壳组件、送风组件和空调系统 | |
CN102478299A (zh) | 分体壁挂式空调室内机的电机风扇组件 | |
KR102362389B1 (ko) | 공기조화기 | |
JP2008309444A (ja) | 空気調和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