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447B1 -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447B1
KR102070447B1 KR1020120130921A KR20120130921A KR102070447B1 KR 102070447 B1 KR102070447 B1 KR 102070447B1 KR 1020120130921 A KR1020120130921 A KR 1020120130921A KR 20120130921 A KR20120130921 A KR 20120130921A KR 102070447 B1 KR102070447 B1 KR 10207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anel
panel
guid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635A (ko
Inventor
김중호
길용현
윤연섭
윤준호
최선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4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패널을 마련하고, 하우징패널을 제1펀칭작업을 통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패널과 토출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분리하고, 제2펀칭작업을 통해 가이드부에 그릴을 형성하고, 가이드부를 외형패널에 결합하고, 외형패널의 일측에는 가이드부 외주면을 따라 토출공기를 가이드 하는 벨마우스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하우징을 제작함에 있어서, 공정을 개선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형패널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고,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면패널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전면패널의 제작에 있어서, 개구부분을 제거하고, 해당 부분에 송풍팬을 보호하며, 토출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팬가드(3)를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결합하였다. 또한 송풍팬으로부터 불어나오는 유로를 형성하는 벨마우스(4)의 경우 전면패널(1)의 개구(2)를 제거할 시에 포밍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벨마우스(4)의 축방향길이 형성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면판넬에서 개구를 위해 버려지는 부분을 가이드부로 제작하여 쓰이는 재료를 줄이고, 벨마우스를 별도로 제작하여 송풍팬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로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패널을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패널을 제1펀칭작업을 통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패널과 토출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분리하고, 제2펀칭작업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에 그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외형패널에 결합하고, 상기 외형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을 따라 토출공기를 가이드 하는 벨마우스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펀칭작업과 상기 제2펀칭작업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외곽부에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기 위해 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형패널에는 외형패널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분리된 후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외형패널결합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벨마우스는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부측에 벨마우스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패널을 마련하고, 상기 패널에 펀칭작업을 통해 그릴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을 따라 토출공기를 가이드 하는 벨마우스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는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부측에 벨마우스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이루며 개구가 형성된 외형패널과, 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외부로 토출공기를 안내하도록 그릴형상으로 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외형패널의 일측에 결합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형패널과 상기 가이드부는 펀칭작업을 통해 동일한 패널로부터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외형패널과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 외곽에 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패널에는 상기 가이드결합부와 대응되는 외형패널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전면판넬의 제작에 있어 공정을 개선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송풍팬의 송풍용량에 따라 벨마우스의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a,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상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상부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부패널(미도시), 후면패널(12), 측면패널(14)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압축실(20)과 열교환실(24)로 구획하는 격벽(28)을 구비한다. 열교환실(24)과 압축실(20) 상측에는 상부패널(미도시)이 마련된다.
열교환실(24)에는 하우징의 후면패널(12)과 측면패널(14)을 따라서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26)와, 하우징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열교환기(26)를 통과시킨 후 하우징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는 축류팬(30)과, 축류팬(30)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90)가 마련된다. 벨마우스(90)의 내측 공간에는 축류팬(30)을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가이드부(80)가 마련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축류팬(30)을 구동시키는 모터(32)가 구비된다.
후면패널(12)과 측면패널(14)에는 열교환기(26)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전면패널(60a)에는 열교환기(26)를 통과한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82)가 형성된다.
축류팬(30)에 의해 생기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 측으로부터 열교환기(26), 모터(32), 축류팬(30), 벨마우스(90)의 순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압축실(2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2)가 설치된다. 압축기(22)에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26)측으로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구성 및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패널(60)을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패널(60)을 제1펀칭작업을 통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패널(70)과 토출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0)로 분리하고, 제2펀칭작업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80)에 그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80)를 상기 외형패널(70)에 결합하고, 상기 외형패널(7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80) 외주면을 따라 토출공기를 가이드 하는 벨마우스(90)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패널(60)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형패널(70)은 토출구(82)를 구비한 전면패널(60a)로 설명한다.
하우징패널(60)을 제1펀칭작업을 통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패널(70)과 토출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0)로 분리한다. 종래에는 외형패널(70) 제작시 토출공기의 배출을 위한 개구부분의 부재를 커팅하여 버리게 되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팅한 개구부분의 부재를 가이드부(80)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종래와는 달리 외형패널(70)의 개구와 가이드부(80)의 크기를 맞추기위한 별도의 공정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외형패널(70)과 가이드부(80)를 분리할 때, 제1외형패널결합홀(71), 제2외형패널결합홀(72)을 형성한다. 제1외형패널결합홀(71)은 이후에 설명할 바와 같이 가이드부(80)의 결합시 가이드결합부(8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며, 스크류결합이나 후크결합을 위한 홀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외형패널결합홀(71)은 외형패널(70)의 개구부 외주부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제1외형패널결합홀(71)의 형성은 제1펀칭작업과 함께 형성할 수도 있으나, 외형패널(70)과 가이드부(80)를 분리하고 나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외형패널결합홀(72)은 벨마우스플랜지(91)의 벨마우스결합부(92)와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벨마우스결합부(92)의 후크나, 스크류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크가 걸리거나,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부(80)는 제2펀칭작업을 통해 그릴을 형성한다. 그릴이 형성된 가이드부(80)는 외형패널(70)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고,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그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축류팬(30)의 회전에 따른 토출공기의 방향을 고려하여 복수의 토출구(82)를 구비한다.
제1펀칭작업과 제2펀칭작업은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동시에 이루어 질수도 있다.
가이드부(80)의 외주부에는 외형패널(70)과의 결합을 위해 가이드결합부(81)가 마련된다. 가이드결합부(81)는 가이드부(80)의 외주부에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후크형상이나 스크류홀 형상등으로 마련되어, 제1외형패널결합홀(71)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결합부(81)가 스크류홀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결합부(81)와 제1외형패널결합홀(71)을 일치시킨 후 스크류를 결합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벨마우스(90)는 외형패널(70)의 일측에 개구의 외주부를 따라 결합된다. 벨마우스(90)는 축류팬(3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구(82)로 안내할 수 있도록, 축류팬(30)과 가이드부(80)사이에서 중공부를 가진 환형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외형패널(70)을 제작할 때 개구부분을 커팅해내어 버리고, 일부의 구성을 벨마우스(90)로 제작함으로서, 벨마우스(90)의 축방향길이가 제한이 있어, 축류팬(30)의 송풍효율에 제한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벨마우스(90)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 있는 제조방법이므로, 벨마우스(90)의 축방향 길이를 축류팬(30)의 송풍용량에 맞게 가변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송풍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벨마우스(90)는 외형패널(70)과 결합을 위해 결합되는 측에 플랜지형상의 벨마우스플랜지(91)를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플랜지(91)는 외형패널(7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구성되어 있어, 실외기 자체의 진동이나 외부에 영향으로 인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벨마우스플랜지(91)에는 외형패널(7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벨마우스결합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결합부(92)는 후크형상이나, 스크류홀형상으로 구비되어 외형패널(70)의 대응되는 제2외형패널결합홀(72)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패널을 마련하고, 상기 패널에 펀칭작업을 통해 그릴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80)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80) 외주면을 따라 토출공기를 가이드 하는 벨마우스(90)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조방법과 구성에 대해 위에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패널에 대해 펀칭작업을 통해 그릴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부(80)를 형성하게 되는 데, 이를 통해 마련된 패널은 외형패널(70)과 가이드부(8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공정을 줄임으로서,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실외기 20 : 압축실
22 : 압축기 24 : 열교환실
26 : 열교환기 30 : 축류팬
32 : 모터
60 : 하우징패널 60a : 전면패널
70 : 외형패널 71 : 제1외형패널결합홀
72 : 제2외형패널결합홀
80 : 가이드부 81 : 가이드결합부
82 : 토출구
90 : 벨마우스 91 : 벨마우스플랜지
92 : 벨마우스결합부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패널을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패널을 제1펀칭작업을 통해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패널과, 외곽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결합부를 포함하며 토출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분리하고,
    상기 외형패널로부터 상기 가이드부가 분리되어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의 외측에 제1외형패널결합홀을 형성하고,
    제2펀칭작업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에 그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펀칭작업을 통해 상기 하우징패널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외형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외형패널결합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형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을 따라 토출공기를 가이드하는 벨마우스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칭작업과 상기 제2펀칭작업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패널에는 상기 벨마우스와의 결합을 위한 제2외형패널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는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부측에 벨마우스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내측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외측에 형성된 제1외형패널결합홀을 포함하는 외형패널과;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형패널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로 토출공기를 안내하도록 그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곽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결합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외형패널의 일측에 결합되는 벨마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형패널과 상기 가이드부는 펀칭작업을 통해 동일한 패널로부터 제작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펀칭작업을 통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외형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외형패널결합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패널은 상기 벨마우스와의 결합을 위한 제2외형패널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
KR1020120130921A 2012-11-19 2012-11-19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921A KR102070447B1 (ko) 2012-11-19 2012-11-19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921A KR102070447B1 (ko) 2012-11-19 2012-11-19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35A KR20140065635A (ko) 2014-05-30
KR102070447B1 true KR102070447B1 (ko) 2020-01-29

Family

ID=5089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921A KR102070447B1 (ko) 2012-11-19 2012-11-19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8233B (zh) * 2015-03-31 2019-05-14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出风结构及空调室外机
DE102019100109A1 (de) * 2019-01-04 2020-07-09 Vaillant Gmbh Effizienzerhöhung für Wärmepumpen-Lüf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828A (ja) * 2002-11-06 2004-06-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5195243A (ja) * 2004-01-07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1052882A (ja) * 2009-09-01 2011-03-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828A (ja) * 2002-11-06 2004-06-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5195243A (ja) * 2004-01-07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1052882A (ja) * 2009-09-01 2011-03-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35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7647B (zh) 氣流交換裝置
EP2233851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0107507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50075934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85280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28355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60081720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070447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66110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111270A (ko)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
KR101734722B1 (ko) 공기 조화기의 오리피스
WO2018025325A1 (ja) 室外ユニット、空気調和装置、及び、室外ユニットの取っ手の製造方法
KR20046230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30109515A (ko) 공조기기의의 실외기의 축류팬
KR102584604B1 (ko)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643690B1 (ko) 공기조화기
KR10191195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JP697607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310656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50058136A (ko) 열효율이 개선된 창문형 에어컨
KR20150105105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56408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21622A (ko) 응축기 케이싱을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86559Y1 (ko) 일체형공기조화기
KR100561536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