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710A - 렌즈구동모터 - Google Patents
렌즈구동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0710A KR20150080710A KR1020140000122A KR20140000122A KR20150080710A KR 20150080710 A KR20150080710 A KR 20150080710A KR 1020140000122 A KR1020140000122 A KR 1020140000122A KR 20140000122 A KR20140000122 A KR 20140000122A KR 20150080710 A KR20150080710 A KR 201500807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elastic
- stator
- spring
- m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는 고정자와,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일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렌즈구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이동자에 마그넷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마그넷부와 대응되도록 고정자에 홀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이동자가 이동될 때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피드백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홀센서를 배치하기 위한 제약이 있으며, 이동되는 이동자에 무거운 마그넷부가 장착되어 이동자의 구동을 위하여 비교적 많은 힘(전원)을 요하고, 홀센서의 단자를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FPCB 또는 복잡한 배선구조가 요구되었다.
실시예는 렌즈 구동을 위한 전력 절감, 소형화 및 신뢰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지지하는 고정자와,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일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보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보빈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보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보빈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는 각각 상기 이동자에 체결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에 체결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기 기판에 솔더링되는 터미널이 각각의 외측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호 대칭되는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는 상기 홀센서에 구비된 단자의 갯수와 매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자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된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코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이동자와 하우징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는 고정자와,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일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이동자와 고정자를 수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홀센서에 구비된 단자의 갯수와 매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두 개의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센서를 이동자에 직접 배치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 이동자에 마그넷을 배치하는 것보다 경령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유닛을 홀센서 단자의 전기적 연결부재로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신뢰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렌즈구동모터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탄성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100)는 크게 이동자(110), 고정자(120), 홀센서(130) 및 탄성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커버캔(150)과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캔(150)은 후술할 이동자(110), 고정자(120), 홀센서(130) 및 탄성유닛(140)을 수용하여 베이스(123)에 장착됨으로써 렌즈구동모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150)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123)의 측면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123)에 장착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150)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150)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캔(150)은 후술할 하우징(122) 자체로 구현되거나, 하우징(122)을 내측에 몰딩 처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캔(150)의 상측면은 렌즈부(미도시)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자(110)는 렌즈부(미도시)와 보빈(111)을 포함하며, 코일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미도시)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렌즈부는 후술할 베이스(123)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미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보빈(111)은 렌즈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며, 이러한 렌즈부와 보빈(111)의 결합 방식은 나사산을 보빈(111)의 내주면과 렌즈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1)의 외주면은 후술할 코일부(112)가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1a)는 상기 보빈(111)의 외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111)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1)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는 후술할 베이스(123)의 상측에서 상기 보빈(111)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 탄성부(142) 및/또는 제1 탄성부(141)가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112)는 상기 가이드부(111a)에 가이드되어 상기 보빈(111)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미리 권선된 코일부가 상기 가이드부(111a)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는, 4 개의 개별적인 코일이 상기 보빈(111)의 외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부(112)는 후술할 기판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1 탄성부(141)로부터 전달받아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120)는 상기 이동자(110)를 지지하며, 크게 마그넷부(121), 하우징(122) 및 베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부(121)는 상기 코일부(112)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22)에 접착제 등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2) 내부에서 4 개의 모서리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에서 4 개의 측면에 상기 코일부(112)와 대향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넷의 형상은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 각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각기둥 형상에 일부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마그넷 가공시 마그넷 모서리에 일부 곡면으로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2)은 렌즈구동모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15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별도 없이 상기 커버캔과 일체로 형성되어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22) 또는 커버캔(150)은 상, 하측이 개방되어 탄성유닛(140)과 일단이 결합하여 상기 이동자(1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2)은 측면 또는 모서리에 상기 마그넷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넷부 체결홀 또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2)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2)의 상측면에는 소정 간격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커버캔(150)의 상측면에 접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12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22a)는 상기 하우징(12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빈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23)는 상기 이동자(110) 및/또는 하우징(122)을 지지하며, 상기 보빈(111)이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형 형상으로써 하측으로 요입된 리세스부(12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부(123a)의 중앙에는 상기 보빈(111)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12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23)는 후술할 이미지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 측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IR 필터(미도시)를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R 필터는 상기 베이스(12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또는 블루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23) 외에 추가로 상기 베이스(123) 하부에 별도의 센서홀더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23)는 상측 모서리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150)의 내측면과 면접하거나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는 상기 커버캔(150)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
즉,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120)는 상기 이동자(11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렌즈부를 이동시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한다.
상기 홀센서(130)는 상기 이동자(11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마그넷부(121)의 자계 변화를 센싱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홀센서(130)는 상기 보빈(1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22)에 배치된 마그넷부(121)의 자계 변화를 센싱하며, 홀센서(130)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마그넷부(121)를 고정자(120)에 배치하여 이동자(110)의 경량화와 이에 따른 렌즈 구동의 전원의 감소를 꾀할 수 있으며, 렌즈구동모터(10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홀센서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의 일부에 형성된 홈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 외측면에는 코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홀센서는 상기 코일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는 상기 코일부에 가려져서 외측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는 상기 코일부 외측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홀센서(130)는 4 개(+전극, -전극, 그라운드, 출력)의 단자로써 구현되고 있으나, 이러한 홀센서(130)의 단자는 홀센서(130)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2 탄성부(142)는 상기 홀센서(130)의 단자의 갯수와 매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130)는 상기 마그넷부(121) 보다 코일부(112)에 인접하게 구비되나, 마그넷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이동자(110)의 이동 감지에 있어 코일부(112)의 영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상기 탄성유닛(140)은 제1 탄성부(141) 및 제2 탄성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1)는 상기 보빈(111)과 고정자(120)의 일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120)의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142)는 상기 보빈(111)과 고정자(120)의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141) 및 제2 탄성부(142)는 하우징(122)의 각각의 변 부위에 배치된 별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생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판재가 절곡 및 절단된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은 상기 보빈(111)과 고정자(120)의 상측이 될 수도 있고 하측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타측은 상기 보빈(111)과 고정자(120)의 하측이 될 수도 있고, 상측이 될 수도 있다. 요컨대, 상기 제1 탄성부(141)는 보빈(11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142)는 보빈(111)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탄성부(141)는 보빈(1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142)는 보빈(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탄성부(141)가 보빈(11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142)가 보빈(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탄성부(141) 및 제2 탄성부(142)는 각각 대략 링 형상을 이루게 되며, 내주는 상기 이동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외주는 상기 하우징(122) 또는 베이스(123)의 형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부(141)와 제2 탄성부(142)는 각각 상기 이동자(110)에 체결되는 외측부(141a, 142a)와, 상기 보빈(111)에 체결되도록 보빈(111)의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내측부(141b, 142b)와, 상기 외측부(141a, 142a)와 내측부(141b, 142b)을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1c, 142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141c, 142c)는 상기 내측부(141b)는 내측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한 개 이상의 벤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41)의 외측부(141a)는 상기 하우징(122)의 하단부와 베이스(123) 사이 또는 베이스(123) 상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부(141b)는 상기 보빈(111)의 하면에 체결되어 보빈(111)을 지지하며, 상기 보빈(111)에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14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스프링(141aa)와 제2 스프링(141bb)로서 형성되어, 후술할 기판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유입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141aa)와 제2 스프링(141bb)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판스프링 형상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원의 입출력을 위해 별도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141aa)와 제2 스프링(141bb)는 상기 기판에 솔더링되는 터미널(141d)이 각각의 외측부(141a, 142a)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보빈(111)에 권선된 코일부(112)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제1 스프링(141aa)와 제2 스프링(141bb)의 내측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프링(141aa)와 제2 스프링(141bb)에 각각 형성되는 터미널(141d)은 상기 베이스(123)의 측면에 고정되어 후술할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탄성부(142)는 후술할 홀센서(130)에 구비된 단자의 갯수와 매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홀센서(130)의 단자가 4 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탄성부(142)는 4 분할되어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할된 제2 탄성부(142)의 개별적인 판스프링(142aa, 142bb, 142cc, 142dd)은, 각각의 내측부(142b)가 홀센서(130)와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외측부(142a)는 하우징(122)의 외측으로 구비된 전선(미도시) 또는 금속성 부재(미도시) 또는 하우징에 형성된 표면금속층 등에 의해 후술할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솔더링 방식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100)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핸드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요컨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100)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인쇄회로기판 및 이미지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되어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1 탄성부(141)의 터미널(141c, 141d)를 통해 상기 코일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렌즈구동모터 110: 이동자
111: 보빈 112: 코일부
120: 고정자 121: 마그넷부
122: 하우징 123: 베이스
130: 홀센서 140: 탄성유닛
141: 제1 탄성부 141aa: 제1 스프링
141bb: 제2 스프링 141d: 터미널
142: 제2 탄성부 141a, 142a: 외측부
141b, 142b: 내측부 141c, 142c: 연결부
111: 보빈 112: 코일부
120: 고정자 121: 마그넷부
122: 하우징 123: 베이스
130: 홀센서 140: 탄성유닛
141: 제1 탄성부 141aa: 제1 스프링
141bb: 제2 스프링 141d: 터미널
142: 제2 탄성부 141a, 142a: 외측부
141b, 142b: 내측부 141c, 142c: 연결부
Claims (15)
-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이동자;
상기 이동자를 지지하는 고정자;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일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보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보빈의 하측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보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보빈의 상측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는 각각
상기 이동자에 체결되는 외측부;
상기 보빈에 체결되는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기 기판에 솔더링되는 터미널이 각각의 외측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호 대칭되는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홀센서에 구비된 단자의 갯수와 매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된 코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코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이동자와 하우징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된 코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코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이동자와 하우징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 각각의 내측부는 상기 코일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 각각의 터미널은 상기 기판과 전선 또는 금속성 부재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구동모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의 내측부 각각은 상기 홀센서에 구비된 단자와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탄성부의 외측부 각각은 상기 기판과 전선 또는 금속성 부재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구동모터.
-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이동자;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는 고정자;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빈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센서;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일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와, 상기 보빈과 고정자의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동자와 고정자를 수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캔;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홀센서에 구비된 단자의 갯수와 매칭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두 개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0122A KR102160773B1 (ko) | 2014-01-02 | 2014-01-02 | 렌즈구동모터 및 카메라 모듈 |
JP2016544383A JP6441368B2 (ja) | 2014-01-02 | 2014-12-30 |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
CN201480072254.2A CN105899990B (zh) | 2014-01-02 | 2014-12-30 |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
US15/109,590 US10114229B2 (en) | 2014-01-02 | 2014-12-30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EP23154894.2A EP4194917A1 (en) | 2014-01-02 | 2014-12-30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CN201910661948.4A CN110488449B (zh) | 2014-01-02 | 2014-12-30 |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
CN201910661290.7A CN110412713B (zh) | 2014-01-02 | 2014-12-30 |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
PCT/KR2014/013066 WO2015102382A1 (ko) | 2014-01-02 | 2014-12-30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EP14877324.5A EP3091384B1 (en) | 2014-01-02 | 2014-12-30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US16/142,467 US11204510B2 (en) | 2014-01-02 | 2018-09-26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JP2018218579A JP6879989B6 (ja) | 2014-01-02 | 2018-11-21 |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
KR1020200121929A KR102306000B1 (ko) | 2014-01-02 | 2020-09-22 | 카메라 모듈 |
JP2021077569A JP7258076B2 (ja) | 2014-01-02 | 2021-04-30 |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
US17/523,564 US20220066233A1 (en) | 2014-01-02 | 2021-11-10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KR1020230005964A KR102692023B1 (ko) | 2014-01-02 | 2023-01-16 | 렌즈구동모터 |
JP2023060650A JP2023085432A (ja) | 2014-01-02 | 2023-04-04 |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0122A KR102160773B1 (ko) | 2014-01-02 | 2014-01-02 | 렌즈구동모터 및 카메라 모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1929A Division KR102306000B1 (ko) | 2014-01-02 | 2020-09-22 |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0710A true KR20150080710A (ko) | 2015-07-10 |
KR102160773B1 KR102160773B1 (ko) | 2020-09-29 |
Family
ID=5379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0122A KR102160773B1 (ko) | 2014-01-02 | 2014-01-02 | 렌즈구동모터 및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077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96023A1 (en) * | 2016-05-10 | 2017-11-16 | Lg Electronics Inc. |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
US9883098B2 (en) | 2016-03-09 | 2018-01-30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
US9983380B2 (en) | 2014-01-22 | 2018-05-29 | Lg Electronics Inc. |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
CN110967800A (zh) * | 2018-09-29 | 2020-04-07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透镜驱动装置、照相装置与电子设备 |
CN111095063A (zh) * | 2017-08-04 | 2020-05-01 | Lg伊诺特有限公司 | 透镜驱动装置及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88477A (ja) * | 2010-10-19 | 2012-05-10 | Shicoh Engineering Co Ltd |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
US20120229901A1 (en) * | 2009-08-21 | 2012-09-13 | Akihiro Moriya | Lens holder drive apparatus, and camera equipped therewith |
KR101343197B1 (ko) * | 2012-09-07 | 2013-12-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
2014
- 2014-01-02 KR KR1020140000122A patent/KR1021607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29901A1 (en) * | 2009-08-21 | 2012-09-13 | Akihiro Moriya | Lens holder drive apparatus, and camera equipped therewith |
JP2012088477A (ja) * | 2010-10-19 | 2012-05-10 | Shicoh Engineering Co Ltd |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
KR101343197B1 (ko) * | 2012-09-07 | 2013-12-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83380B2 (en) | 2014-01-22 | 2018-05-29 | Lg Electronics Inc. |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reof |
US9883098B2 (en) | 2016-03-09 | 2018-01-30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
US9930223B2 (en) | 2016-03-09 | 2018-03-27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
US9942462B2 (en) | 2016-03-09 | 2018-04-10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of camera module |
WO2017196023A1 (en) * | 2016-05-10 | 2017-11-16 | Lg Electronics Inc. |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
US9900495B2 (en) | 2016-05-10 | 2018-02-20 | Lg Electronics Inc. | Camera module and auto focusing method thereof |
CN111095063A (zh) * | 2017-08-04 | 2020-05-01 | Lg伊诺特有限公司 | 透镜驱动装置及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
US11493726B2 (en) | 2017-08-04 | 2022-11-08 | Lg Innotek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CN110967800A (zh) * | 2018-09-29 | 2020-04-07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透镜驱动装置、照相装置与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0773B1 (ko) | 202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50170A1 (en) | Camera module | |
KR102673837B1 (ko) |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
EP4006636A1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20150080710A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163005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116861B1 (ko) |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 |
KR102220729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150064997A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51246B1 (ko) |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 |
KR102692023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349229B1 (ko) | 렌즈 구동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핸드폰 | |
KR102105697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150085305A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490563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146875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541015B1 (ko) | 렌즈구동장치 및 카메라장치 | |
KR102224476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20220137576A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274636B1 (ko) | 카메라 모듈용 어셈블리 | |
KR102179126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256722B1 (ko) |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 |
KR102262584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521614B1 (ko) | 렌즈 구동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핸드폰 | |
KR102301739B1 (ko) | 렌즈구동모터 | |
KR102329330B1 (ko) | 렌즈구동모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