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498A -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 Google Patents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498A
KR20150080498A KR1020157010701A KR20157010701A KR20150080498A KR 20150080498 A KR20150080498 A KR 20150080498A KR 1020157010701 A KR1020157010701 A KR 1020157010701A KR 20157010701 A KR20157010701 A KR 20157010701A KR 20150080498 A KR20150080498 A KR 2015008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ethylphenyl
carbamate
pyrazol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에드먼드 타기
로버트 에프. 디트리히
킴벌리 캐서린 마커스
스티븐 프레데릭 멕케인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8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21,2,3-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 C07D249/06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with ar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화학식 1의 화합물 (모든 입체 이성질체 포함),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78

상기 식에서,
A, Q, R1 및 R2는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SUBSTITUTED TOLYL FUNGICIDES}
본 발명은 특정한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이의 N-옥사이드, 이의 염 및 이의 조성물, 및 살진균제로서의 이들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의 방제는 높은 작물 효율의 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관상용 작물, 야채 작물, 농작물, 곡물, 및 과실 작물에 대한 식물 병해는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므로, 소비자에게 가격 상승을 전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더욱 효과적이고, 보다 저렴하며, 독성이 낮고, 환경적으로 보다 안전하거나 작용 부위가 상이한 신규 화합물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2008/124092호에는 화학식 i의 살진균제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Y는 그 중에서도 특히, 페닐환, 또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 방향족 환 (heteroaromatic ring)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24개의 5원 또는 6원 헤테로 방향족 환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는 이러한 공보에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해결하려는 과제]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모든 입체 이성질체 포함),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염, 이들을 함유하는 농업용 조성물 및 살진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A는
Figure pct00003
(여기서, A기의 좌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화학식 1의 CH3O(C=O)NHCH2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되고, A기의 우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R1 및 R2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된다)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Q는 CH 또는 N이며;
R1은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고;
R2는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며;
각 R3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또는 C1―C3 할로알콕시이고;
n은 0, 1 또는 2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모든 입체 이성질체 포함), 이의 N-옥사이드 또는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본 발명의 화합물 (즉, 살진균적 유효량으로); 및 (b)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및 액체 희석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본 발명의 화합물; 및 (b)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 (예를 들어, 작용 부위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살진균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로서)을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방법은 또한 살진균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또는 이의 염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로서)을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직접 또는 식물 또는 식물 종자의 환경 (예를 들어, 생육 배지)을 통해) 것을 포함하는, 진균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으로부터 식물 또는 식물 종자를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기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구성하다", "구성하는", "포함하다", "포함하는", "가지다", "갖는", "함유하다", "함유하는", "특징으로 하는" 또는 임의의 이들의 기타 변형체는 명시적으로 제한되는 비배타적인 포함 사항을 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조성물, 혼합물, 공정, 방법, 용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그러한 요소만으로 제한되지는 않고,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거나 그러한 조성물, 혼합물, 공정, 방법, 용품, 또는 장치에 내재적인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구 "이루어지는"은 명시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단계, 또는 성분을 배제한다. 특허청구범위 중에서라면, 그러한 것은 통상적으로 관련된 불순물을 제외하고는 열거된 것 이외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허청구범위를 축소시킬 것이다. 어구 "이루어지는"이 전제부 (preamble) 직후보다는 특허청구범위의 본문 절에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절에 나타낸 요소만을 제한하며; 다른 요소들이 청구항 전체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구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문자 그대로 개시된 것 이외에도, 물질, 단계, 특성, 성분, 또는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방법 또는 장치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나, 단, 이들 추가의 물질, 단계, 특성, 성분, 또는 요소는 청구된 발명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용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구성하는"과 "이루어지는" 사이의 중간 입장을 차지한다.
본 발명자가 무제한 용어, 예컨대 "구성하는"으로 발명 또는 이의 부분을 정의하는 경우에는,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또는 "이루어지는"을 사용하여 이러한 발명을 기술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명백히 반대로 기술되지 않는다면, "또는"은 포괄적인 '또는'을 말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하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만족된다: A는 참 (또는 존재함)이고 B는 거짓 (또는 존재하지 않음), A는 거짓 (또는 존재하지 않음)이고 B는 참 (또는 존재함), A 및 B가 모두가 참 (또는 존재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소 또는 성분 앞의 부정 관사 ("a" 및 "an")는 요소 또는 성분의 경우 (즉, 존재)의 수에 관해서는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부정 관사는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하며, 요소 또는 성분의 단수형 단어는 그 수가 단수형을 명백하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형을 또한 포함한다.
"식물"은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지칭될 때 어린 식물 (예를 들어, 모종 (seedling)으로 발달하는 발아 종자) 및 성숙, 생식 단계 (예를 들어, 꽃 및 종자를 생성하는 식물)를 포함하는 모든 생명 단계 (life stage)의 식물계 (Kingdom Plantae), 특히 종자 식물 (종자 식물상문 (Spermatopsida))의 구성원을 포함한다. 식물 부위는 전형적으로 생육 배지 (예를 들어, 토양) 표면 아래에서 성장하는 굴지성 구성원, 예컨대 뿌리, 덩이 줄기, 구근 및 구경을 포함하며, 또한 생육 배지 위에서 성장하는 구성원, 예컨대 경엽 (줄기 및 잎 포함), 꽃, 열매 및 종자도 포함한다.
단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단어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본 명세서에 언급된 용어 "모종"은 종자 배아로부터 발육되는 어린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용어 "진균 병원체" 및 "진균 식물 병원체"는 관상용, 잔디, 야채, 농작물, 곡물, 및 과실 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광범위한 식물병의 병원균 (causal agent)인 담자균강, 자낭균강, 난균강 및 불완전균강의 병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식물병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또는 "식물병의 방제"는 예방적 작용 (진균류의 감염, 콜로니 형성, 증상 발현 및 포자 생성 사이클의 중단) 및/또는 치료적 작용 (식물 숙주 조직의 콜로니 형성의 억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용어 "작용 모드 (MOA)"는 FRAC (Fung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에 의해 폭넓게 정의되며, 식물 병원체의 생합성 경로에서의 이의 생화학적 작용 모드에 따라 살진균제 그룹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FRAC에 의해 정의된 MOA는 (A) 핵산 합성, (B) 유사 분열 및 세포 분열, (C) 호흡, (D) 아미노산 및 단백질 합성, (E) 시그널 전달, (F) 지질 합성 및 막 완전성 (membrane integrity), (G) 막에서의 스테롤 생합성, (H) 막에서의 세포벽 생합성, (I) 세포벽에서의 멜라닌 합성, (P) 숙주 식물 방어 유도, 멀티사이트 접촉 활성 및 미지의 작용 모드이다. 각 MOA 부류는 각각의 유효한 표적 작용 부위를 기초로 하거나, 정확한 표적 부위가 미지인 경우에, 어느 그룹 내 또는 다른 그룹과 관련한 교차 내성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FRAC에 의해 정의된 MOA 내의 이들 각각의 그루핑은 표적 부위가 이미 알려진 것이든 미지의 것이든지 간에, FRAC 코드로 나타내어진다. 표적 부위 및 FRAC 코드에 관한 추가 정보는 하기 FRAC 웹사이트에서 발견될 수 있다: http://www.frac.info/.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용어 "교차 내성"은 병원체가 하나의 살진균제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키고, 게다가 다른 살진균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들 추가의 살진균제는 동일한 화학적 부류에서 전형적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거나, 동일한 표적 작용 부위를 갖거나, 동일한 메카니즘에 의해 독성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단독으로 또는 "알킬티오" 또는 "할로알킬"과 같은 복합어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또는 다른 부틸, 펜틸 또는 헥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알케닐"은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켄, 예컨대 에테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및 다른 부테닐, 펜테닐 및 헥세닐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알케닐"은 또한 폴리엔, 예컨대 1,2-프로파디에닐 및 2,4-헥사디에닐을 포함한다. "알키닐"은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킨, 예컨대 에티닐, 1-프로피닐, 2-프로피닐 및 다른 부티닐, 펜티닐 및 헥시닐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알키닐"은 또한 다수의 삼중 결합으로 구성되는 부분, 예컨대 2,5-헥사디이닐을 포함한다.
"알콕시"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아이소프로필옥시 및 다른 부톡시, 펜톡시 및 헥실옥시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알콕시알킬"은 알킬이 알콕시 치환된 것을 나타낸다. "알콕시알킬"의 예로는 CH3OCH2, CH3OCH2CH2, CH3CH2OCH2, CH3CH2CH2CH2OCH2 및 CH3CH2OCH2CH2를 들 수 있다. "알콕시알콕시"는 알콕시가 알콕시 치환된 것을 나타낸다. "알케닐옥시"는 직쇄상 및 분지상 알케닐옥시 부분을 포함한다. "알케닐옥시"의 예로는 H2C=CHCH2O, (CH3)2C=CHCH2O, (CH3)CH=CHCH2O, (CH3)CH=C(CH3)CH2O 및 CH2=CHCH2CH2O를 들 수 있다. "알키닐옥시"는 직쇄상 및 분지상 알키닐옥시 부분을 포함한다. "알키닐옥시"의 예로는 HC≡CCH2O, CH3C≡CCH2O 및 CH3C≡CCH2CH2O를 들 수 있다. "알킬티오"는 분지상 또는 직쇄상 알킬티오 부분, 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및 다른 프로필티오, 부틸티오, 펜틸티오 및 헥실티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알킬설피닐"은 알킬설피닐기의 두 에난티오머를 포함한다. "알킬설피닐"의 예로는 CH3S(O)-, CH3CH2S(O)-, CH3CH2CH2S(O)-, (CH3)2CHS(O)- 및 다른 부틸설피닐, 펜틸설피닐 및 헥실설피닐 이성질체를 들 수 있다. "알킬설포닐"의 예로는 CH3S(O)2-, CH3CH2S(O)2-, CH3CH2CH2S(O)2-, (CH3)2CHS(O)2-, 및 다른 부틸설포닐, 펜틸설포닐 및 헥실설포닐 이성질체를 들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은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을 포함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알킬"은 알킬 부분이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것을 나타낸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사이클로펜틸에틸, 및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에 결합된 다른 사이클로알킬 부분을 들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결합되는 사이클로알킬, 예컨대 사이클로펜틸옥시 및 사이클로헥실옥시를 나타낸다.
"시아노알킬"은 1개의 시아노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낸다. "시아노알킬"의 예로는 NCCH2, NCCH2CH2 및 CH3CH(CN)CH2를 들 수 있다. "시아노알콕시"는 알콕시가 시아노 치환된 것을 나타낸다. "시아노알콕시"의 예로는 NCCH2O, NCCH2CH2O, 및 CH3CH(CN)CH2O를 들 수 있다.
단독의 또는 "할로알킬"과 같은 복합어에서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과 같은 설명에서 사용될 때의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할로알킬"과 같은 복합어에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과 같은 설명에서 사용될 때, 상기 알킬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할로겐 원자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환될 수 있다.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의 예로는 F3C-, ClCH2-, CF3CH2- 및 CF3CCl2-를 들 수 있다. 용어 "할로사이클로알킬",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할로알케닐", "할로알키닐" 등은 용어 "할로알킬"과 유사하게 정의된다. "할로알콕시"의 예로는 CF3O-, CCl3CH2O-, HCF2CH2CH2O- 및 CF3CH2O-를 들 수 있다. "할로알킬티오"의 예로는 CCl3S-, CF3S-, CCl3CH2S- 및 ClCH2CH2CH2S-를 들 수 있다. "할로알킬설피닐"의 예로는 CF3S(O)-, CCl3S(O)-, CF3CH2S(O)- 및 CF3CF2S(O)-를 들 수 있다. "할로알킬설포닐"의 예로는 CF3S(O)2-, CCl3S(O)2-, CF3CH2S(O)2- 및 CF3CF2S(O)2-를 들 수 있다. "할로알케닐"의 예로는 (Cl)2C=CHCH2- 및 CF3CH2CH=CHCH2-를 들 수 있다. "할로알키닐"의 예로는 HC≡CCHCl-, CF3C≡C-, CCl3C≡C- 및 FCH2C≡CCH2-를 들 수 있다. "할로알콕시알콕시"의 예로는 CF3OCH2O-, ClCH2CH2OCH2CH2O-, Cl3CCH2OCH2O- 및 분지상 알킬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치환기 중 탄소 원자의 총수는 "Ci―Cj" 접두사로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i 및 j는 1 내지 8의 수이다. 예를 들어, C1―C4 알킬설포닐은 메틸설포닐 내지 부틸설포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1―C3 알콕시는 CH3O-, CH3CH2O-, CH3CH2CH2O 및 (CH3)2CHO)-를 나타낸다.
화합물이 상기 치환기의 수가 1을 초과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래 첨자를 갖는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치환기 (1개를 초과하는 경우)는 정의된 치환기, 예를 들어, (R3)n (여기서, n은 0, 1 또는 2이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가변 기 (variable group)가 어느 한 위치, 예를 들어 (R3)n (여기서, n은 0일 수 있다)에 임의로 부착되는 것으로 보여지면, 수소는 가변 기의 정의에서 인용되지 않더라도 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기의 하나 이상의 위치가 "치환되지 않은" 또는 "비치환된"이라고 하면, 수소 원자는 임의의 자유 원자가를 차지하도록 부착된다.
용어 "탄소환", "카르보사이클" 또는 "탄소환계"는 환 골격을 형성하는 원자가 다만 탄소 중에서 선택되는 환 또는 환계를 나타낸다.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탄소환은 포화, 부분적 불포화 또는 완전 불포화 환일 수 있다. 완전 불포화 탄소환이 휘켈 규칙을 만족시키면, 상기 환은 또한 "방향족 환"으로 명명된다. "포화 탄소환"은 단일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탄소 원자로 구성되는 골격을 갖는 환을 말하며,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나머지 탄소 원자가는 수소 원자로 채워진다.
용어 "복소환", "헤테로사이클" 또는 "복소환계"는 환 골격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자가 탄소가 아닌, 예를 들어, 질소, 산소 또는 황인 환 또는 환계를 나타낸다. 전형적으로, 복소환은 4개 이하의 질소, 2개 이하의 산소 및 2개 이하의 황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소환은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완전 불포화 환일 수 있다. 완전 불포화 복소환이 휘켈 규칙을 만족시키면, 상기 환은 또한 "헤테로 방향족 환" 또는 "방향족 복소환"으로 명명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소환 및 복소환계는 탄소 또는 질소 상에서의 수소 치환에 의해 임의의 이용가능한 탄소 또는 질소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방향족"은 각각의 환 원자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고, 환 평면에 수직인 p-오비탈을 가지며, (4n + 2) π 전자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가 휘켈 규칙에 따르도록 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용어 "방향족 환계"는 환계의 적어도 하나의 환이 방향족인 탄소환계 또는 복소환계를 나타낸다. 용어 "방향족 탄소환계"는 환계의 적어도 하나의 환이 방향족인 탄소환계를 나타낸다. 용어 "방향족 복소환계"는 환계의 적어도 하나의 환이 방향족인 복소환계를 나타낸다. 용어 "비방향족 환계"는 완전 포화, 및 부분 또는 완전 불포화일 수 있는 탄소환계 또는 복소환계를 나타내나, 단, 환계의 어느 환도 방향족이 아니다. 용어 "비방향족 탄소환계"는 환계의 어느 환도 방향족이 아닌 탄소환계를 나타낸다. 용어 "비방향족 복소환계"는 환계의 어느 환도 방향족이 아닌 복소환계를 나타낸다.
복소환과 관련하여, 용어 "임의로 치환된"은 비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유사체가 갖는 생물학적 활성을 소멸시키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수소 치환기를 갖는 기를 말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기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용어 "임의로 치환된"은 어구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또는 용어 "(비)치환된"과 교호적으로 사용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치환된 기는 기의 각 치환가능한 위치에서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치환은 다른 것과 관계가 없다.
방향족 및 비방향족 복소환 및 복소환계를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합성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광범위한 검토를 위해서는 문헌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 A. R. Katritzky and C. W. Rees editors-in-chief, Pergamon Press, Oxford, 1984]의 총 8권 및 문헌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 II, A. R. Katritzky, C. W. Rees and E. F. V. Scriven editors-in-chief, Pergamon Press, Oxford, 1996]의 총 12권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입체 이성질체는 에난티오머, 다이어스테레오머, 아트로프 이성질체 (atropisomer) 및 기하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입체 이성질체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공간 중의 이들의 원자 배열이 상이한 이성질체이며, 에난티오머, 다이어스테레오머,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로도 공지됨) 및 아트로프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아트로프 이성질체는 단일 결합을 중심으로 한 제한된 회전으로 인해 생긴 것으로, 회전 장벽이 이성질체 종을 분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다. 당업자는 하나의 입체 이성질체가 다른 이성질체(들)에 비하여 풍부할 때 또는 다른 입체 이성질체(들)로부터 분리될 때 활성이 더 클 수 있고/있거나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당업자는 상기 입체 이성질체를 분리, 농축, 및/또는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입체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개별 입체 이성질체 또는 광학 활성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입체 이성질 형상의 모든 측면에 관한 포괄적인 고찰에 관해서는, 문헌 [Ernest L. Eliel and Samuel H. Wilen,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John Wiley & Sons, 1994]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그려진 분자의 도시는 입체화학을 도시하기 위한 표준 협정을 따른다. 입체 형태 (stereoconfiguration)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면의 평면으로부터 보는 사람을 향하여 상승하는 결합은 진한 쐐기형으로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쐐기형의 넓은 말단부는 도면의 평면으로부터 보는 사람을 향하여 상승하는 원자에 부착된다. 도면의 평면 아래로 그리고 보는 사람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결합은 파선형 (dashed) 쐐기형으로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쐐기형의 좁은 말단부는 보는 사람으로부터 더 먼 원자에 부착된다. 일정한 폭 라인은 진한 쐐기형 또는 파쇄형 쐐기형으로 나타낸 결합에 관하여 반대 또는 중립 방향으로 결합을 나타내며; 일정한 폭 라인은 또한 특정 입체 형태가 지정되지 않은 분자 또는 분자 부분의 결합을 나타낸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 및 R2와 같은 치환기는 그것들 자체가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키랄 중심에서의 라세미 혼합물 및 풍부한 실질적으로 순수한 입체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1의 아미드 결합 (예를 들어, C(W)―N))을 중심으로 한 제한된 회전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형태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태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형태 이성질체에 비해 하나의 입체 이성질체가 풍부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질소가 산화물로의 산화를 위해 이용가능한 고립 전자쌍을 필요로 하므로, 모든 질소 함유 복소환이 N-옥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인지할 것이며; 당업자라면 N-옥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그러한 질소 함유 복소환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삼차 아민이 N-옥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복소환 및 삼차 아민의 N-옥사이드의 제조에 관한 합성 방법은 퍼옥시산, 예컨대 퍼아세트산 및 m-클로로퍼벤조산 (MCPBA), 과산화수소, 알킬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예컨대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붕산나트륨, 및 다이옥시란, 예컨대 다이메틸다이옥시란을 사용한 복소환 및 삼차 아민의 산화를 비롯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N-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은 문헌에 광범위하게 설명 및 검토되었으며, 예를 들어, 문헌 [T. L. Gilchrist in Comprehensive Organic Synthesis, vol. 7, pp 748―750, S. V. Ley, Ed., Pergamon Press]; 문헌 [M. Tisler and B. Stanovnik in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 vol. 3, pp 18―20, A. J. Boulton and A. McKillop, Eds., Pergamon Press]; 문헌 [M. R. Grimmett and B. R. T. Keene in Advances in Heterocyclic Chemistry, vol. 43, pp 149―161, A. R. Katritzky, Ed., Academic Press]; 문헌 [M. Tisler and B. Stanovnik in Advances in Heterocyclic Chemistry, vol. 9, pp 285―291, A. R. Katritzky and A. J. Boulton, Eds., Academic Press]; 및 문헌 [G. W. H. Cheeseman and E. S. G. Werstiuk in Advances in Heterocyclic Chemistry, vol. 22, pp 390―392, A. R. Katritzky and A. J. Boulton, Eds., Academic Press]을 참조한다.
당업자라면, 당해 환경에서 그리고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화합물의 염이 그의 대응하는 비염 형태 (nonsalt form)와 평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염은 비염 형태의 생물학적 유용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인지한다. 따라서, 다양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은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의 방제에 유용하다 (즉, 농업용으로 적합함).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산, 예를 들어 브롬화수소산, 염산, 질산, 인산, 황산, 아세트산, 부티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말레산, 말론산, 옥살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또는 발레르산과의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산 부분, 예컨대 카르복실산 또는 페놀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염은 또한 유기 또는 무기 염기, 예컨대 피리딘,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암모니아와 함께 형성된 염, 또는 나트륨, 칼륨, 리튬, 칼슘, 마그네슘 또는 바륨의 아미드, 수소화물,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농업적으로 적합한 이의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입체 이성질체, 토토머, N-옥사이드 및 염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화학식 1은 화학식 1이 나타내는 화합물의 모든 결정질 형태 및 비결정질 형태를 포함한다. 비결정질 형태는 왁스 및 검과 같은 고체인 실시 형태뿐만 아니라, 용액 및 용융물과 같은 액체인 실시 형태도 포함한다. 결정질 형태는 기본적으로 단결정 타입을 나타내는 실시 형태 및 다형체 (즉, 상이한 결정질 타입)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다형체"는 상이한 결정질 형태 - 결정 격자 내에 분자의 상이한 배열 및/또는 형태를 가짐 - 로 결정화될 수 있는 화합물의 특정 결정질 형태를 말한다. 다형체는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는 또한 격자 내에서 약하게 또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공결정화된 (co-crystallized) 물 또는 기타 분자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하여 조성이 다를 수 있다. 다형체는 결정의 형상, 밀도, 경도, 색상, 화학적 안정성, 융점, 흡습성, 현탁성, 용해 속도 및 생물학적 이용성과 같은 화학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당업자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다형체가 다른 다형체 또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동일한 화합물의 다형체의 혼합물에 비해, 유익한 효과 (예를 들어, 유용한 제형의 제조에 대한 적합성, 생물학적 성능 개선)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특정 다형체의 제조 및 분리는 예를 들어, 선택된 용매 및 온도를 이용한 결정화를 비롯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모든 측면의 입체 이성질 현상에 관한 포괄적인 고찰에 관해서는, 문헌 [Ernest L. Eliel and Samuel H. Wilen,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John Wiley & Sons, 1994]을 참조한다.
발명의 요약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하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기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화학식 1은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염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 1. A가 A1, A2 및 A3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실시 형태 2. A가 A1인 실시 형태 1의 화합물.
실시 형태 3. A가 A2인 실시 형태 1의 화합물.
실시 형태 4. A가 A3인 실시 형태 1의 화합물.
실시 형태 5. R1이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인 화학식 1 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실시 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실시 형태 5a. R1이 할로겐,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인 실시 형태 5의 화합물.
실시 형태 6. R1이 할로겐,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인 실시 형태 5의 화합물.
실시 형태 6a. R1이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인 실시 형태 5a의 화합물.
실시 형태 7. R1이 플루오로, 클로로,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실시 형태 6의 화합물.
실시 형태 7a. R1이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실시 형태 6a의 화합물.
실시 형태 8. R2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인 화학식 1 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실시 형태 1 내지 7a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실시 형태 8a. R2가 할로겐,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인 실시 형태 8의 화합물.
실시 형태 9. R2가 할로겐,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인 실시 형태 8의 화합물.
실시 형태 9a. R2가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인 실시 형태 8a의 화합물.
실시 형태 10. R2가 플루오로, 클로로,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실시 형태 9의 화합물.
실시 형태 10a. R2가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실시 형태 9a의 화합물.
실시 형태 11. 각 R3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C1―C6 알킬인 화학식 1 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실시 형태 1 내지 10a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실시 형태 12. n이 0 또는 1인 화학식 1 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실시 형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실시 형태 13. n이 0인 실시 형태 12의 화합물.
실시 형태 14. Q가 CH인 화학식 1 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실시 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실시 형태 15. Q가 N인 화학식 1 또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실시 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한 화학식 1P의 화합물에 주목한다:
Figure pct00004
.
실시 형태 AAA.
A가
Figure pct00005
(여기서, A기의 좌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화학식 1의 CH3O(C=O)NHCH2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되고, A기의 우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R1 및 R2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된다)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R1이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며;
R2가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고;
각 R3가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또는 C1―C3 할로알콕시이고;
n이 0, 1 또는 2인 화학식 1P의 화합물.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15 및 AAA,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비롯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떤 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변수에 대한 설명은 화학식 1 및 화학식 1P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화학식 1 및 화학식 1P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출발 화합물 및 중간 화합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15 및 AAA,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비롯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 1 내지 15 및 AAA의 조합들이 하기로 예시된다:
실시 형태 AA.
A가
Figure pct00006
(여기서, A기의 좌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화학식 1의 CH3O(C=O)NHCH2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되고, A기의 우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R1 및 R2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된다)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Q가 CH 또는 N이며;
R1이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고;
R2가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며;
각 R3가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또는 C1―C3 할로알콕시이고;
n이 0, 1 또는 2인 본 발명에 기재된 화학식 1의 화합물.
실시 형태 A1.
A가 A1, A2 및 A3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Q가 CH이며;
R1이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이고;
R2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이며;
R3가 할로겐 또는 C1―C6 알킬이고;
n이 0 또는 1인 실시 형태 AA의 화합물.
실시 형태 A.
A가 A1, A2 및 A3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R1이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이며;
R2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이고;
R3가 할로겐 또는 C1―C6 알킬이며;
n이 0 또는 1인 실시 형태 AA 또는 실시 형태 AAA의 화합물.
실시 형태 B.
R1이 할로겐,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고;
R2가 할로겐, C1―C6 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이며;
n이 0인 실시 형태 A 또는 A1의 화합물.
실시 형태 B1.
R1이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이고;
R2가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이며;
n이 0인 실시 형태 A 또는 A1의 화합물.
실시 형태 C.
R1이 플루오로, 클로로,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이고;
R2가 플루오로, 클로로,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실시 형태 B 또는 B1의 화합물.
실시 형태 C1.
R1이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이고;
R2가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실시 형태 B 또는 B1의 화합물.
실시 형태 D.
A가 A1인 실시 형태 C 또는 C1의 화합물.
실시 형태 E.
A가 A2인 실시 형태 C 또는 C1의 화합물.
실시 형태 F.
A가 A3인 실시 형태 C 또는 C1의 화합물.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하기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메틸 N-[[5-[1-(4-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4-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클로로-4-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4-클로로-2-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2,4-다이메톡시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4-다이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4-클로로-2-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4-메톡시-2-메틸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및
메틸 N-[[5-[3-(2,4-다이클로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추가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하기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메틸 N-[[5-[1-(2,4-다이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4-다이메틸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2,4-다이메틸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4-다이메틸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1-[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3-[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1-[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4-[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및
메틸 N-[[5-[4-[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N-옥사이드 및 염 포함),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실시 형태로서 주목해야 할 것은 상술한 임의의 화합물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N-옥사이드, 및 염 포함) (즉, 살진균적 유효량으로), 및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및 액체 희석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실시 형태로서 주목해야 할 것은 상술한 임의의 화합물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살진균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N-옥사이드 및 염 포함)을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살진균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N-옥사이드 및 염 포함)을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담자균 및 자낭균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살진균적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N-옥사이드 및 염 포함)을 트랜스제닉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트랜스제닉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의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임의의 화합물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살진균적 유효량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주목된다. 상기 화합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적용되는 실시 형태가 특히 주목된다.
반응 도식 1 내지 반응 도식 14에 설명된 하기 방법 및 변형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 내지 24의 화합물에서의 A, Q, R1, R2, R3 및 n의 정의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발명의 요약에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1a 내지 1d의 화합물은 다양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서브세트이고, 화학식 1a 내지 1d에 대한 모든 치환기는 화학식 1에 대하여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반응 도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환된 3-페닐 피라졸 환을 갖는 화학식 1a의 화합물 (즉, A가 A-2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울만 (Ullmann) (Chemical Reviews, 2002, 102, 1359―1470) 또는 부흐발트-하르트비히 (Buchwald-Hartwig (Angew. Chem . Int . Ed. 2008, 47, 6338―6361, Chem . Sci ., 2010, 1, 13-31) 조건 하에, X가 브롬, 요오드 또는 트라이플레이트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구리 또는 팔라듐 촉매 크로스커플링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반응은 통상적으로 주위 온도 내지 용매의 비점의 온도에서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다이옥산 또는 톨루엔 중에서의 염기, 예컨대 탄산칼륨과 같은 금속 탄산염, 적절한 촉매와 리간드의 복합체, 예컨대 요오드화구리(I) 및 리간드, 예컨대 트랜스-1,2-다이아미노-N,N'-다이메틸사이클로헥산, 및 원하는 치환된 복소환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X가 보론산이면, 화학식 3의 복소환은 찬-람 (Chan-Lam) 조건을 이용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에 커플링될 수 있다 (Tetrahedron Lett., 1998, 39, 2933-2936). 이들 조건은 산소 존재 하에서의 주위 온도 내지 용매의 비점의 온도에서 다이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프로톤성 용매 중에서의 적절한 염기, 예컨대 피리딘 또는 트라이에틸 아민, 촉매, 예컨대 아세트산구리(II)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반응 도식 1]
Figure pct00007
반응 도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화학식 4의 화합물로부터, 먼저 0℃ 내지 용매의 비점의 온도에서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다이클로로메탄 또는 다이클로로에탄 중에서 염화티오닐과 같은 시약을 사용하여, 벤질 알코올을 염소 또는 브롬과 같은 적절한 이탈기로 전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 할로겐화벤질을 시안산칼륨 또는 시안산나트륨 및 메탄올로 처리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은 전형적으로 미국 특허 제6,313,071호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약 실온 내지 120℃의 범위의 온도에서 용매, 예컨대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행해진다. X가 Br 또는 I인 화학식 2a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 문헌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X가 보론산 (B(OH)2)인 화학식 2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반응 도식 2]
Figure pct00008
반응 도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가 브롬 또는 요오드인 화학식 4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절차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시판용 화학식 6의 화합물로부터, 카르복실산을 벤질 알코올로 전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주위 온도 내지 용매의 비점의 온도에서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다이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서의 적절한 환원제, 예컨대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복합체에 의해, 화학식 6의 화합물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로 변환된다.
[반응 도식 3]
Figure pct00009
반응 도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이 0인 화학식 3a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특히, EP 53815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화학식 7의 화합물이 화학식 8의 중간체를 거쳐 진행되어,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반응 도식 4]
Figure pct00010
반응 도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b의 화합물 (즉, A가 A-1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9의 피라졸과, X2가 브롬, 요오드,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또는 보론산인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 대한 조건은 반응 도식 1의 것과 유사하며,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2008/124092호에서 찾을 수 있다.
[반응 도식 5]
Figure pct00011
반응 도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이 0인 화학식 9a의 화합물은 먼저, 용매, 예컨대 벤젠 또는 톨루엔 중에서 약 40 내지 약 100℃의 범위의 온도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 아세탈 (DMF-DMA)과 반응시켜, 화학식 12의 중간 화합물을 얻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후속 단계에서, 화학식 12를 저급 알코올 용매, 예컨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하이드라진 또는 하이드라진 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9a의 화합물을 얻는다. 당업자는 이러한 타입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다른 방법, 예를 들어 문헌 [Barrett et al.,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5, 15, 3540-3546]에 기재된 방법이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반응 도식 6]
Figure pct00012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반응 도식 7에 개요된 바와 같이, 시판용 화학식 13의 아민으로부터 간단한 4단계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화학식 13의 아민을 염기, 예컨대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 하에 친핵성 촉매, 예컨대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약 0 내지 약 100℃의 범위의 온도에서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다이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서 무수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얻는다. 그 다음에,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프리델-크라프츠 (Friedel-Crafts) 조건에 따라 반응시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얻은 다음에, 탈보호하여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전형적인 반응 조건에 관해서는, EP 1586552를 참조한다. 그 다음에,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주위 온도 내지 40℃의 온도에서 염기, 예컨대 트라이에틸 아민의 존재 하에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다이클로로메탄 중에서 메틸 카르보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 도식 7]
Figure pct00013
반응 도식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c의 화합물 (즉, A가 A-4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17의 화합물로부터, 주위 온도 내지 40℃의 온도에서 염기, 예컨대 트라이에틸 아민의 존재 하에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다이클로로메탄 중에서 메틸 카르보닐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 도식 8]
Figure pct00014
반응 도식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7의 화합물은 화학식 18의 니트릴로부터, 주위 온도 내지 용매의 비점의 온도에서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서 적절한 환원제, 예컨대 보란 또는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관련 예에 관해서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2011079102호 및 제WO 2011073444호 내에 포함된 절차 및 인용문헌을 참조한다.
화학식 18의 니트릴은 또한 촉매 수소화에 의해 화학식 17의 아민으로 전환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통상적으로 1 내지 75 바의 압력의 수소 가스 분위기 하에 주위 온도 내지 100℃의 온도에서 저급 알코올 용매, 예컨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전이 금속 촉매, 예컨대 탄소 상의 팔라듐 (0), 라니 니켈, 또는 산화백금의 존재 하에 행해진다. 관련 예에 관해서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2009152868호 및 제WO 2010023161호 내에 포함된 절차 및 인용문헌을 참조한다.
[반응 도식 9]
Figure pct00015
반응 도식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8의 화합물은 반응 도식 1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식 19의 화합물로부터 시판용 화학식 10의 중간체 (여기서, X2는 브롬, 요오드, 트라이플레이트 또는 보론산이다)와의 커플링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 도식 10]
Figure pct00016
화학식 19의 화합물은 반응 도식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0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절차에서, 화학식 20의 화합물을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극성 비프로톤성 용매, 예컨대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중에서 적절한 전이 금속 촉매, 예컨대 요오드화구리(I) 또는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 팔라듐 (0)의 존재 하에, 시안화물 염, 예컨대 시안화구리(I) 또는 시안화아연(II)과 접촉시킨다. 관련된 절차에 관해서는,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2012032528호 및 제WO 2011133882호, 및 그 내에 포함된 인용문헌을 참조한다.
[반응 도식 11]
Figure pct00017
반응 도식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0a의 화합물 (여기서, n은 0이다)은 먼저, 약 40 내지 약 100℃의 범위의 온도에서 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벤젠 중에서 시판용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 아세탈 (DMF-DMA)과 반응시켜, 화학식 22의 중간 화합물을 얻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후속 단계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을 저급 알코올 용매, 예컨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하이드라진 또는 하이드라진 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20a의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 도식 12]
Figure pct00018
반응 도식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d의 화합물 (즉, A가 A-3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반응 도식 1의 반응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23의 4-페닐-1,2,3-트라이아졸과 커플링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반응 도식 13]
Figure pct00019
화학식 23a의 4-페닐-1,2,3 트라이아졸 (여기서, n은 0이다)은 반응 도식 14로 예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4의 2-니트로스티렌 화합물을 주위 온도 내지 약 100℃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극성 용매, 예컨대 DMSO, DMF 또는 EtOH 중에서, 아지드 이온, 예컨대 아지드화나트륨 또는 트라이메틸실릴아지드의 공급원과 반응시킨다. 트라이메틸실릴아지드/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복합체의 사용예를 문헌 [J. Med. Chem. 2004, 47, 4645]에서 찾을 수 있다. 벤즈알데히드와 니트로메탄의 헨리 반응에 이어서, 탈수에 의한 화학식 24의 2-니트로스티렌의 제조에 대하여 다수의 예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문헌 [Tetrahedron, 1987, 43, 4803]을 참조한다.
[반응 도식 14]
Figure pct00020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술한 일부의 시약 및 반응 조건이 중간체에 존재하는 특정한 작용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합성 내로 보호/탈보호 순서 또는 작용기 상호전환을 포함시키는 것은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 것을 도울 것이다. 보호기의 사용 및 선택은 화학 합성에서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문헌 [Greene, T. W.; Wuts, P. G. M.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nd ed.; Wiley: New York, 1991]을 참조한다). 당업자는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반응 도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을 완료하기 위해, 소정 시약의 도입 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지 않은 추가의 통상적인 합성 단계를 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제시된 특정 시퀀스로 나타낸 것과는 다른 순서로 상기 반응 도식에 예시된 단계의 조합을 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치환기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치환기를 변경하기 위해,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중간체에 대하여 다양한 친전자성, 친핵성, 라디칼, 유기 금속, 산화, 및 환원 반응을 행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더 이상 상술하지 않고도, 상술한 설명을 이용하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하기 실시예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그리고 어떠한 임의의 방식으로든 본 개시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 실시예에서의 단계들은 전체적인 합성 변환에서 각 단계에 있어서의 절차를 예시하며, 각 단계에 있어서의 출발 물질은 그 절차가 다른 실시예 또는 단계에 설명된 특정한 예비 실행에 의해 반드시 제조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용매 혼합물 또는 달리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크로마토그래피 용매 혼합물에 있어서 부 및 백분율은 달리 나타내지 않으면 체적 기준이다. 1H NMR 스펙트럼은 테트라메틸실란으로부터의 다운필드 (ppm)로 나타내며; "s"는 싱글릿을 의미하고, "d"는 더블릿을 의미하며, "t"는 트리플릿을 의미하고, "q"는 콰르텟을 의미하며, "m"은 멀티플렛을 의미하고, "dd"는 더블릿 오브 더블릿 (doublet of doublets)을 의미하며, "dt"는 더블릿 오브 트리플릿 (doublet of triplets)을 의미하고, "br s"는 브로드 싱글릿을 의미한다. 질량 스펙트럼은 대기압 화학 이온화 (AP+) 또는 전기분무 이온화 (ESI+)를 이용한 질량 분석계에 연결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MS)를 이용하여 관측된, 분자에 대하여 H+ (분자량 1)를 첨가하여 형성된 최대 동위원소 존재비의 어미 이온 (M+1), 또는 분자로부터 H+ (분자량 1)의 감소에 의해 형성된 (M―1)의 분자량으로서 표시되며, 여기서 "amu"는 원자 질량 단위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메틸 N-[[5-[3-(2,4-다이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23)의 제조
단계 A: 5-브로모-2-메틸벤젠메탄올의 제조
0℃에서 32 mL 다이에틸 에테르 중의 5-브로모-2-메틸-벤조산 (6.0 g, 28 mmol)의 혼합물에, 10분간에 걸쳐서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복합체 1M 용액 (34 mL, 3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킨 다음에, 10분간 가열 환류시켰다. 메탄올을 첨가하여, 과잉량의 보란과 반응시킨 다음에,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5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해,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5.6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53 (d, 1H), 7.31 (m, 1H), 7.03 (d, 1H), 4.66 (s, 2H), 2.27 (s, 3H).
단계 B: 메틸 N -[(5-브로모-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60 mL 다이클로로메탄 중의 5-브로모-2-메틸벤젠메탄올 (즉, 단계 A의 생성물) (5.6 g, 28 mmol)의 용액에, 염화티오닐 (3.8 g, 3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에, 감압 하에 농축시켜, 60 mL 다이클로로메탄에 재용해시킨 다음에, 재농축시켜, 4-브로모-2-(클로로메틸)-1-메틸벤젠을 얻고, 이어서 27 mL N,N'-다이메틸 포름아미드 및 6.0 mL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시안산칼륨 (3.2 g, 39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5시간 동안 100℃로 가열한 다음에,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에 현탁시킨 다음에, 중탄산나트륨으로 2회 세정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4.67 g)을 얻어,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CDCl3) δ 7.37 (d, 1H), 7.30 (m, 1H), 7.03 (d, 1H), 4.88 (bs, 1H), 4.33 (d, 2H), 3.71 (s, 3H), 2.27 (s, 3H).
단계 C: 메틸 N -[[5-[3-(2,4- 다이메톡시페닐 )-1 H - 피라졸 -1-일]-2- 메틸페닐 ] 메틸 ] 카르바메이트의 제조
시판용 3-(2,4-다이메톡시페닐)-1H-피라졸 (0.13 g, 0.62 mmol), 메틸 N-[(5-브로모-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B의 생성물) (0.20 g, 0.77 mmol), 요오드화구리(I) (0.03 g, 0.16 mmol) 및 탄산칼륨 (0.21 g, 1.6 mmol)을 톨루엔과 다이옥산의 50/50 혼합물 3 mL에 현탁시켰다. 질소 가스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5분간 버블링한 다음에, N,N '-다이메틸-1,2-사이클로헥산다이아민 (0.04 g, 0.31 mmol)을 첨가하였다. 질소 가스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추가로 10분간 버블링한 다음에, 반응물을 약 16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에, 헥산 중의 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고체 (0.17 g)로서의 표제 화합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99 (d, 1H), 7.88 (d, 1H), 7.66 (d, 1H), 7.53 (m, 1H), 7.22 (d, 1H), 6.91 (d, 1H), 6.59 (m, 1H), 6.55 (d, 1H), 4.97 (bs, 1H), 4.42 (d, 2H), 3.90 (s, 3H), 3.85 (s, 3H), 3.71 (s, 3H), 2.34 (s, 3H).
실시예 2
메틸 N-[[5-[1-(4-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8)의 제조
단계 A: N -[(2-메틸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제조
0℃에서 톨루엔 150 mL 중의 2-메틸 벤질 아민 (25 g, 120 mmol)의 용액에, 톨루엔 70 mL 중의 무수 아세트산 (29 g, 310 mmol)의 용액을 약 15분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100℃로 가열한 다음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1N 염산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1-클로로부탄 150 mL와 헥산 250 mL의 용액으로 세정하여,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26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20 (m, 4H), 5.56 (bs, 1H), 4.43 (d, 2H), 2.33 (s, 3H), 2.01 (s, 3H).
단계 B: N -[(5-아세틸-2-메틸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제조
0℃에서 110 mL 다이클로로메탄 중의 N-[(2-메틸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즉, 단계 A의 생성물) (26 g, 160 mmol)의 용액에, 발열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삼염화알루미늄 (64 g, 480 mmol)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염화아세틸 (25 g, 320 mmol)을 20분간에 걸쳐서 첨가한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에, 빙수에 부었다. 상을 분리하여, 수상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그 다음에, 조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18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81 (d, 1H), 7.76 (m, 1H), 7.27 (m, 1H), 5.84 (bs, 1H), 4.47 (d, 2H), 2.56 (s 3H), 2.38 (s, 3H), 2.04 (s 3H).
단계 C: 메틸 N -[(5-아세틸-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N-[(5-아세틸-2-메틸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즉, 단계 B의 생성물) (10 g, 49 mmol)를 20 mL 물 중의 진한 황산 (17 g, 17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다음에, 아직 따뜻할 동안에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다이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그 다음에 수상을 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 mL로 염기성이 되게 하여, 아세트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아세트산에틸 상을 합해,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1-[3-(아미노메틸)-4-메틸페닐]에탄온 6.3 g을 얻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75 mL에 즉시 용해시켜, 0℃로 냉각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5.5 g, 43 mmol),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중의 클로로포름산메틸 (3.8 g, 39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물,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7.6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84 (d, 1H), 7.77 (m, 1H), 7.26 (m, 1H), 4.97 (bs, 1H), 4.41 (d, 2H), 3.71 (s, 3H), 2.58 (d, 3H), 2.38 (s, 3H).
단계 D: 메틸 N -[[2-메틸-5-(1 H -피라졸-3-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 N-[(5-아세틸-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C의 생성물) (23 g, 107 mmol) 및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 아세탈 (38 g, 320 mmol)을 약 16시간 동안 250 mL 톨루엔 중에서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얻어진 고체를 1-클로로부탄 및 아세톤으로 트리튜레이션 (trituration)하여, 고체 중간체 메틸 N-[[5-[3-(다이메틸아미노)-1-옥소-2-프로펜-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6.0 g과, 원하는 중간체도 함유한 여과액을 얻었다. 그 다음에 고체 중간체를 120 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하이드라진 수화물 (1.7 g, 34 mmol)로 처리하여, 약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얻어진 고체를 아세톤으로 트리튜레이션하여,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6.0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65 (s, 1H), 7.61 (d, 1H), 7.55 (d, 1H), 7.21 (d, 1H), 6.58 (d, 1H), 5.05 (bs, 1H), 4.40 (d, 2H), 3.70 (s, 3H), 2.34 (s, 3H).
단계 E: 메틸 N -[[5-[1-(4-메톡시-2-메틸페닐)-1 H -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 N-[[2-메틸-5-(1H-피라졸-3-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D의 생성물) (1.0 g, 4.1 mmol), 1-브로모-4-메톡시-2-메틸-벤젠 (1.0 g, 5.1 mmol), 요오드화구리(I) (0.40 g, 2.0 mmol) 및 탄산칼륨 (0.1.4 g, 10 mmol)을 톨루엔과 다이옥산의 50/50 혼합물 50 mL에 현탁시켰다. 질소 가스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5분간 버블링한 다음에, N,N'-다이메틸-1,2-사이클로헥산다이아민 (0.58 g, 4.1 mmol)을 첨가하였다. 질소 가스를 반응 혼합물을 통해 추가로 10분간 버블링한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약 40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킨 다음에, 헥산 중의 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0.30 g),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76 (s, 1H), 7.69 (d, 1H), 7.54 (d, 1H), 7.30 (d, 1H), 7.22 (d, 1H), 6.82 (m, 2H), 6.69 (m, 1H), 4.83 (bs, 1H), 4.42 (d, 2H), 3.87 (s, 3H), 3.70 (s, 3H), 2.37 (s, 3H), 2.25 (s, 3H).
실시예 3
메틸 N-[[5-[4-(2,4-다이메톡시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7)의 제조
단계 A: 5-요오도-2-메틸벤젠메탄올의 제조
35 내지 45℃에서 보란-메틸설파이드 용액 (THF 중의 2.0 M 용액 50.0 mL, 100 mmol)을 가스 발생을 완화시키는 속도로 5-요오도-2-메틸 벤조산 (13.1 g, 50 mmol)과 무수 THF (100 m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3시간 동안 60℃로 가열한 다음에, 25℃로 냉각시켜, 가스 발생을 완화시키는 그러한 속도로, 온도를 35℃ 미만으로 유지한 메탄올 (50 mL)을 조심스럽게 적가하여 켄칭 (quenching)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과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분배하고, 유기상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11.58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71 (d, 1H), 7.52 (d, 1H), 6.91 (d, 1H), 4.64 (s, 2H), 2.27 (s, 3H), 1.62 (br s, 1H).
단계 B: 2-(브로모메틸)-4-요오도-1-메틸벤젠의 제조
0 내지 5℃에서 삼브롬화인 (2.16 mL, 22.9 mmol)을 5-요오도-2-메틸벤젠메탄올 (즉, 단계 A의 생성물) (11.38 g, 45.9 mmol)과 무수 다이에틸 에테르 (73 m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0 내지 5℃에서 물 (25 mL)을 첨가하여 켄칭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0℃에서 15분간 교반한 다음에, 아세트산에틸과 물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물,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12.1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63 (d, 1H), 7.51 (d, 1H), 6.93 (d, 1H), 4.41 (s, 2H), 2.35 (s, 3H).
단계 C: 메틸 N -[(5-요오도-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35 내지 45℃에서 2-(브로모메틸)-4-요오도-1-메틸벤젠 (즉, 단계 B의 생성물) (8.50 g, 27.3 mmol), 메탄올 (8 mL) 및 DMF (82 mL)의 용액을 15분간에 걸쳐서 4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첨가한 시안산칼륨 (5.54 g, 68.3 mmol)으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55℃로 가열하여, 25℃로 냉각시켜, 에틸 에테르와 물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수세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8.43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7.56 (d, 1H), 7.50 (d, 1H), 6.90 (d, 1H), 4.92 (br s, 1H), 4.31 (br d, 1H), 3.71 (s, 3H), 2.26 (s, 3H).
단계 D: 4-(2,4- 다이메톡시페닐 )-2 H -1,2,3- 트라이아졸의 제조
50℃에서 2,4-다이메톡시-1-(2-니트로에테닐)벤젠 (3.35 g, 16.0 mmol), 아지도트라이메틸실란 (2.76 g, 24.0 mmol) 및 무수 DMF (100 mL)의 용액을 20분간에 걸쳐서 적가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HF 중의 1.0 M 용액 17.6 mL, 17.6 mmol)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추가로 1시간 동안 50℃로 가열하고, 25℃로 냉각시켜, 메탄올 (25 mL)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약 25 mL 체적으로 진공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과 물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수세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베이지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2.28 g)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03 (s, 1H), 7.76 (br s, 1H), 6.63 (d, 1H), 6.58 (s, 1H), 3.98 (s, 3H), 3.87 (s, 3H).
단계 E: 메틸 N -[[5-[4-(2,4- 다이메톡시페닐 )-2 H -1,2,3- 트라이아졸 -2-일]-2- 메틸페닐 ]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 N-[(5-요오도-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C의 생성물) (203 mg, 1.0 mmol) 및 4-(2,4-다이메톡시페닐)-2H-1,2,3-트라이아졸 (즉, 단계 D의 생성물) (204 mg, 1.0 mmol), N,N'-다이메틸에틸렌 다이아민 (0.16 mL, 1.5 mmol), 및 다이옥산 (15 mL)의 용액을 10분간의 질소 버블링으로 탈가스하여, Cs2CO3 (648 mg, 2.0 mmol) 및 CuI (19 mg, 0.1 mmol)로 처리하고, 추가로 10분간 질소로 탈가스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질소 하에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켜, 아세트산에틸 (20 mL)로 희석시켜, 셀라이트® 규조토 여과 조제 (2 g) 상에서 농축시켰다. 헥산 중의 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의 용매 그래디언트로 용리하는 12 g 실리카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를 얻어, 추가로 다이에틸 에테르로 트리튜레이션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75 mg),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8.17 (s, 1H), 8.04 (d, 1H), 8.00 (d, 1H), 7.92 (dd, 1H), 7.25 (d, 1H), 6.61 (dd, 1H), 6.55 (d, 1H), 5.03 (br s, 1H), 4.44 (br d, 2H), 3.93 (s, 3H), 3.86 (s, 3H), 3.72 (br s, 3H), 2.36 (br s, 3H).
실시예 4
메틸 N-[[5-[3-(2,6-다이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30)의 제조
단계 A: 메틸 N -[[5-(3- 브로모 -1 H - 피라졸 -1-일)-2- 메틸페닐 ] 메틸 ] 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 N-[(2-메틸-5-요오도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실시예 3, 단계 C의 생성물) (5.00 g, 16.4 mmol), 3-브로모피라졸 (3.11 g, 21.3 mmol), 탄산칼륨 (5.65 g, 41.0 mmol), 및 요오드화구리(I) (623 mg, 3.28 mmol)를 톨루엔 (16 mL) 및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16 mL)에서 배합하였다. 질소 가스류를 30분간 혼합물에 버블링하고, N,N'-다이메틸-1,2-사이클로헥산다이아민 (1.0 mL, 6.6 mmol)을 첨가하여, 질소 가스류를 추가로 30분간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질소 라인을 반응 혼합물 위로 올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프릿 글래스 깔때기를 통해 여과한 다음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10 내지 50% 아세트산에틸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하여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4.35 g)을 얻었다.
1H NMR (500 ㎒, CDCl3) δ 7.76 (d, J=2.5 ㎐, 1 H), 7.55 (d, J=2.0 ㎐, 1 H), 7.42 (dd, J=8.1, 2.0 ㎐, 1 H), 7.23 (d, J=8.2 ㎐, 1 H), 6.45 (d, J=2.6 ㎐, 1 H), 5.00 (bs, 1 H), 4.40 (d, J=5.7 ㎐, 2 H), 3.71 (s, 3 H), 2.34 (s, 3 H).
단계 B: 메틸 N -[[5-[3-(2,6- 다이메틸 -3- 피리디닐 )-1 H - 피라졸 -1-일]-2- 메틸페닐 ] 메틸 ]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 N-[[5-(3-브로모-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A의 생성물) (150 mg, 0.464 mmol), 2,6-다이메틸피리딘-3-보론산 (250 mg, 1.67 mmol), PdCl2(PPh3)2 (33 mg, 0.046 mmol), 및 탄산칼륨 (320 mg, 2.32 mmol)을 마이크로파 반응기 바이알의 아세토니트릴 (4 mL) 및 물 (1 mL)에 용해시켰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간 12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켐엘루트 (ChemElut) 카트리지 (규조토 흡수제)를 통해 여과하여,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하여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추가로, 다이에틸 에테르로 트리튜레이션하여 정제하여, 백색 고체 (125 mg)로서의 표제 화합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500 ㎒, CDCl3) δ 7.95 (d, J=2.5 ㎐, 1 H), 7.85 (d, J=7.9 ㎐, 1 H), 7.66 (d, J=2.0 ㎐, 1 H), 7.57 - 7.50 (m, 1 H), 7.28 - 7.24 (m, 1 H), 7.10 - 7.04 (m, 1 H), 6.63 (d, J=2.4 ㎐, 1 H), 4.94 (bs, 1 H), 4.44 (d, J=5.8 ㎐, 2 H), 3.72 (s, 3 H), 2.77 (s, 3 H), 2.57 (s, 3 H), 2.37 (s, 3 H).
실시예 5
메틸 N-[[5-[1-(2,6-다이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114)의 제조
단계 A: 5-아세틸-2- 메틸벤조니트릴의 제조
3-브로모-4-메틸아세토페논 (2.45 g, 11.5 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25 mL)에 용해시켜, 시안화구리(I) (2.06 g, 23 mmol)를 첨가하였다. 질소류를 20분간 반응 혼합물에 버블링하였다. 질소 라인을 용액으로부터 제거하여, 반응물을 7시간 동안 환류 하에 양의 질소 압력 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물로 희석하여, 프릿 글래스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3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5x)으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담갈색 고체 (1.30 g)를 얻었는데, 다음 반응에서 직접 사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하였다.
1H NMR (500 ㎒, CDCl3) δ 8.18 (d, J=1.9 ㎐, 1 H), 8.06 (dd, J=8.1, 1.8 ㎐, 1 H), 7.44 (d, J=8.0 ㎐, 1 H), 2.62 (s, 3 H), 2.61 (s, 3 H).
단계 B: 2- 메틸 -5-(1 H - 피라졸 -3-일)벤조니트릴의 제조
5-아세틸-2-메틸벤조니트릴 (즉, 단계 A의 생성물) (3.0 g, 18.8 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 아세탈 (10 mL)에 용해시켜, 16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중간체 5-[(2E)-3-(다이메틸아미노)-1-옥소-2-프로펜-1-일]-2-메틸벤조니트릴을 함유하는 얻어진 잔류물을 에탄올 (40 mL)에 용해시켜, 하이드라진 수화물 (3.4 mL, 5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키고,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4x)으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고체 (3.20 g)를 얻었는데, 다음 반응에서 직접 사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하였다.
1H NMR (500 ㎒, CDCl3) δ 13.01 (bs, 1 H), 8.16 (d, J=1.6 ㎐, 1 H), 8.05 (d, J=7.7 ㎐, 1 H), 7.81 (s, 1 H), 7.49 (d, J=8.0 ㎐, 1 H), 6.83 (d, J=1.9 ㎐, 1 H), 2.50 (s, 3 H).
단계 C: 5-[1-(2,6- 다이메틸 -3- 피리디닐 )-1 H - 피라졸 -3-일]-2- 메틸벤조니트릴의 제조
2-메틸-5-(1H-피라졸-3-일)벤조니트릴 (즉, 단계 B의 생성물) (0.20 g, 1.1 mmol), 요오드화구리(I) (42 mg, 0.22 mmol), 탄산칼륨 (376 mg, 2.72 mmol), 및 3-브로모-2,6-다이메틸피리딘 (0.18 mL, 1.4 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2 mL)에 용해시켰다. 질소 가스류를 10분간 혼합물에 버블링하고, N,N'-다이메틸-1,2-사이클로헥산다이아민 (0.07 mL, 0.4 mmol)을 첨가하여, 질소 가스류를 추가로 10분간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그 다음에 질소 라인을 반응 혼합물 위로 올려,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물 및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프릿 글래스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을 분리하여, 수상을 아세트산에틸 (3x)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하여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백색 고체 (0.25 g)를 얻었다.
1H NMR (500 ㎒, CDCl3) δ 8.10 (d, J=1.9 ㎐, 1 H), 7.98 (dd, J=8.0, 1.9 ㎐, 1 H), 7.65 (d, J=2.4 ㎐, 1 H), 7.61 (d, J=8.0 ㎐, 1 H), 7.37 (d, J=8.0 ㎐, 1 H), 7.13 (d, J=8.0 ㎐, 1 H), 6.76 (d, J=2.4 ㎐, 1 H), 2.61 (s, 3 H), 2.58 (s, 3 H), 2.51 (s, 3 H).
단계 D: 메틸 N -[[5-[1-(2,6-다이메틸-3-피리디닐)-1 H -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5-[1-(2,6-다이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3-일]-2-메틸벤조니트릴 (즉, 단계 C의 생성물) (0.25 g, 0.87 mmol)을 에탄올 (20 mL)에 용해시켜, 60℃로 가온하였다. 염화니켈(II) (110 mg, 0.87 mmol), 이어서 수소화붕소나트륨 (230 mg, 6.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4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여, 셀라이트® 여과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4x)으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 (5 mL) 및 물 (1 mL)에 용해시켜, 탄산칼륨 (168 mg, 1.2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빙수욕 중에서 냉각시켜, 클로로포름산메틸 (0.08 mL, 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에 걸쳐서 실온으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에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및 물로 희석하여, 상을 분리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 (3x)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40 내지 100% 아세트산에틸의 그래디언트를 사용하여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베이지색 고체 (100 mg)로서의 표제 화합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500 ㎒, CDCl3) δ 7.76 (d, J=1.7 ㎐, 1 H), 7.69 (dd, J=7.7, 1.7 ㎐, 1 H), 7.64 - 7.59 (m, 2 H), 7.23 (d, J=7.7 ㎐, 1 H), 7.12 (d, J=7.9 ㎐, 1 H), 6.75 (d, J=2.4 ㎐, 1 H), 4.91 - 4.80 (bs, 1 H), 4.43 (d, J=5.4 ㎐, 2 H), 3.70 (s, 3 H), 2.60 (s, 3 H), 2.51 (s, 3 H), 2.37 (s, 3 H).
실시예 6
메틸 N-[[5-[1-(4-메톡시-2-메틸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화합물 70)의 제조
단계 A: 메틸 N -[(5-시아노-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50 mL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중의 메틸 N-[(2-메틸-5-요오도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실시예 3, 단계 C의 생성물) (5.0 g, 16 mmol)의 용액에, 시안화구리(I) (2.9 g, 3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25℃로 가열한 다음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셀라이트® 여과제를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하고,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여,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2.0 g)을 얻었다.
1H NMR (500 ㎒, DMSO-D6) δ 2.40 (s, 3H), 3.62(s, 3H), 4.20 (d, 2H), 7.38 (dd, 1H), 7.54 (s, 1H), 7.62 (d, 1H), 7.68 (bs,1H).
단계 B: 메틸 N -[[5-(아미노카르보닐)-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0℃에서 40 mL EtOH 중의 메틸 N-[(5-시아노-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A의 생성물) (5.0 g, 25 mmol)의 용액에, 30% 과산화수소수 (0.7 mL)를 적가하였다. 그 다음에, 6N 수산화나트륨 (0.3 mL)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물을 첨가하고, 잔류 고체를 여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4.3 g)을 얻었다.
1H NMR (500 ㎒, DMSO-D6) δ 2.6 (s, 3H), 3.52 (s, 3H), 4.20 (d, 2H), 7.20 (d, 1H), 7.30 bs, 1H), 7.60 (b, 1H), 7.70 (dd, 1H), 7.80 (s, 1H), 7.90 (bs,1H).
단계 C: 메틸 N -[[5-(1 H -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메틸 N-[[5-(아미노카르보닐)-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B의 생성물) (1.2 g, 5.4 mmol),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 아세탈 (1.9 g, 16 mmol) 및 20 mL 톨루엔의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 및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여과하여, 감압 하에 농축시켜, 중간체 (1.0 g, 3.6 mmol)를 얻었다. 중간체를 에탄올 (20 mL)에 용해시켜, 하이드라진 수화물 (0.23 mL, 7.2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에,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조잔류물을 용리제로서 클로로포름 중의 1% 메탄올을 사용하여 중성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0.45 g)을 얻었다.
1H NMR (500 ㎒, DMSO-D6) δ 2.20 (s, 3H), 3.60 (s, 3H), 4.20 (d, 2H), 7.20 (d, 2H), 7.80 (d, 1H), 7.90 (s, 1H), 8.20 (s, 1H), 12.52 (bs, 1H).
단계 D: 메틸 N -[[5-[1-(4-메톡시-2-메틸페닐)-1 H -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의 제조
질소 분위기 하에 다이옥산 (16 mL) 중의 메틸 N-[[5-(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즉, 단계 C의 생성물) (0.20 g, 0.81 mmol)의 용액에, 트랜스-N,N'-다이메틸-1,2-사이클로헥산다이아민 (23 mg, 0.16 mmol), N,N'-다이메틸-1,2-에탄다이아민 (70 mg, 0.81 mmol), 요오드화구리(I) (30 mg, 0.16 mmol) 및 탄산칼륨 (340 mg, 2.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브로모-4-메톡시-2-메틸벤젠 (200 mg, 0.9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한 다음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조잔류물을 용리제로서 클로로포름 중의 1% 메탄올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고체 (110 mg)로서의 표제 화합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500 ㎒, CDCl3) δ 2.20 (s, 3H), 2.40 (s, 3H), 3.70 (s, 3H),3.90 (s, 3H), 4.50 (d, 2H), 4.90 (bs, 1H), 6.84 (dd, 1H), 6.88 (d, 1H), 7.32 (m, 2H), 8.00 (d, 1H), 8.10 (m, 1H), 8.32 (m, 1H).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과 함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표 1 내지 47H의 하기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 하기 약어가 하기 표에 사용된다: n은 노르말을 의미하고, i는 아이소를 의미하며, c는 사이클로를 의미하고, Me는 메틸을 의미하며, Et는 에틸을 의미하고, Pr은 프로필을 의미하며, OMe는 메톡시를 의미하고, OEt는 에톡시를 의미하며, SMe는 메틸티오를 의미하고, SEt는 에틸티오를 의미하며, -CN은 시아노를 의미하고, -NO2는 니트로를 의미한다.
표 1A 내지 47A는 하기에 나타낸 구조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21
[표 1A]
Figure pct00022
본 발명은 또한 표 2A 내지 47A를 포함하며, 각각은 마르쿠쉬 (Markush) 구조 아래의 표 1A의 로 헤딩 (row heading) (즉, "R1은 F이다")이 하기에 나타낸 각각의 로 헤딩으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표 1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표 2A에서 로 헤딩은 "R1은 Cl이다"이고, R2는 상기 표 1A에 정의한 바와 같다. 따라서, 표 2A의 첫 번째 항목은 구체적으로, 메틸 N-[[5-[1-(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를 개시한다.
Figure pct00023
[표 1B]
표 1B는 표 1B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4
.
예를 들어, 표 1B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B 내지 47B]
표 2B 내지 47B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표 1C]
표 1C는 표 1C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5
.
예를 들어, 표 1C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C 내지 47C]
표 2C 내지 47C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표 1D]
표 1D는 표 1D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6
.
예를 들어, 표 1D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D 내지 47D]
표 2D 내지 47D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표 1E]
표 1E는 표 1E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7
.
예를 들어, 표 1E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E 내지 47E]
표 2E 내지 47E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표 1F]
표 1F는 표 1F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8
.
예를 들어, 표 1F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F 내지 47F]
표 2F 내지 47F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표 1G]
표 1G는 표 1G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29
.
예를 들어, 표 1G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G 내지 47G]
표 2G 내지 47G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표 1H]
표 1H는 표 1H 헤딩의 화학 구조가 하기 구조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A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30
.
예를 들어, 표 1H의 첫 번째 화합물은 R1이 F이고, R2가 F인 바로 위에 나타낸 구조이다.
[표 2H 내지 47H]
표 2H 내지 47H는 표 2A 내지 47A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제형/유용성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염 포함)은 일반적으로 담체로서 작용하는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및 액체 희석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과 함께, 조성물, 즉, 제형 중의 살진균제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것이다. 제형 또는 조성물 성분은 활성 성분의 물리적 특성, 적용 방식 및 환경 인자, 예를 들어, 토양형, 수분 및 온도와 상응하도록 선택된다.
유용한 제형은 액체 조성물 및 고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액체 조성물은 용액 (유제 (emulsifiable concentrate) 포함), 현탁제,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수중유형 에멀젼, 유동성 액제 (flowable concentrate) 및/또는 유현탁제 (suspoemulsion) 포함)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임의로 젤로 증점될 수 있다. 수성 액체 조성물의 일반적인 유형은 액제 (soluble concentrate), 액상 수화제 (suspension concentrate), 캡슐 현탁제, 농축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수중유형 에멀젼, 유동성 액제 및 유현탁제이다. 비수성 액체 조성물의 일반적인 유형은 유제, 마이크로유제 (microemulsifiable concentrate), 분산성 액제 (dispersible concentrate) 및 오일 분산액이다.
고체 조성물의 일반적인 유형은 분제 (dust), 분말, 과립, 펠릿, 프릴 (prill), 향정 (pastille), 정제, 충전 필름 (종자 코팅 포함) 등이 있으며, 이들은 수분산성 ("습윤성") 또는 수용성일 수 있다. 필름 형성 용액 또는 유동성 현탁제로 형성되는 필름 및 코팅이 종자 처리에 특히 유용하다. 활성 성분은 (마이크로)캡슐화될 수 있으며, 추가로 현탁 제형 또는 고체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활성 성분의 전체 제형은 캡슐화 (또는 "오버코팅")될 수 있다. 캡슐화는 활성 성분의 방출을 제어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유화성 (emulsifiable) 과립은 유제 제형과 건조 과립 제형의 이점을 모두 갖추고 있다. 고강도 조성물은 주로 추가 제형을 위한 중간체로서 사용된다.
분무형 제형은 전형적으로 분무 전에 적절한 매질에서 증량된다. 그러한 액체 및 고체 제형은 보통 물인 분무 매질이지만, 때때로 방향족 또는 파라핀계 탄화수소 또는 식물유와 같은 다른 적절한 매질에서 용이하게 희석되도록 제형화된다. 분무량 (sray volume)은 헥타르 당 약 1 내지 수천 리터 범위일 수 있으나, 보다 전형적으로는 헥타르 당 약 10 내지 수백 리터 범위이다. 분무형 제형은 공중 또는 지상 적용에 의한 경엽 처리를 위해, 또는 식물의 생육 배지에로의 적용을 위해 물 또는 다른 적절한 매질과 탱크 혼합될 수 있다. 액체 및 건조 제형은 점적 관개 시스템 내로 직접 계량되거나 식재 동안 고랑 내로 계량될 수 있다. 액체 및 고체 제형은 전신 흡수 (systemic uptake)를 통해 발육 중인 뿌리 및 다른 지하 식물 부분 및/또는 경엽을 보호하기 위해 식재 이전에 종자 처리로서 작물 종자 및 다른 원하는 초목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제형은 전형적으로 총 100 중량%가 되는 하기의 근사적인 범위 내에서 유효량의 활성 성분, 희석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것이다.
Figure pct00031
고체 희석제는 예를 들어, 클레이, 예컨대 벤토나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애터펄자이트 및 카올린, 석고, 셀룰로오스,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전분, 덱스트린, 당 (예를 들어, 락토스, 수크로스), 실리카, 탤크, 운모, 규조토, 우레아,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고체 희석제는 문헌 [참조: Watkins et al., Handbook of Insecticide Dust Diluents and Carriers, 2nd Ed., Dorland Books, Caldwell, New Jersey]에 기재되어 있다.
액체 희석제는 예를 들어, 물, N,N-다이메틸알칸아미드 (예를 들어,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리모넨,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N-알킬피롤리돈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디논), 알킬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트라이에틸 포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파라핀 (예를 들어, 백색 광유, 노르말 파라핀, 아이소파라핀),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글리세린, 글리세롤 트라이아세테이트, 소르비톨, 방향족 탄화수소, 탈방향족 (dearomatized) 지방족 화합물,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케톤, 예컨대 사이클로헥사논, 2-헵타논, 아이소포론 및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타논, 아세테이트, 예컨대 아이소아밀 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테이트, 헵틸 아세테이트, 옥틸 아세테이트, 노닐 아세테이트, 트라이데실 아세테이트 및 아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기타 에스테르, 예컨대 알킬화 락테이트 에스테르, 이염기성 에스테르, 알킬 및 아릴 벤조에이트 및 γ-부티로락톤, 및 직쇄상, 분지상,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는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아이소부틸 알코올, n-헥산올, 2-에틸헥산올, n-옥탄올, 데칸올, 아이소데실 알코올, 아이소옥타데칸올, 세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트라이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사이클로헥산올,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코올, 다이아세톤 알코올 및 벤질 알코올을 포함한다. 액체 희석제는 또한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전형적으로 C6―C22)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예컨대 식물 종자 및 과실유 (예를 들어,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참기름, 콘유 (옥수수 기름), 낙화생유, 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홍화유, 면실유, 대두유, 평지씨유, 코코넛유 및 팜핵유), 동물성 지방 (예를 들어, 우지, 돈지, 라드, 간유, 어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액체 희석제는 또한 알킬화 지방산 (예를 들어, 메틸화, 에틸화, 부틸화)을 포함하며, 여기서 지방산은 식물원 및 동물원으로부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증류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전형적인 액체 희석제는 문헌 [참조: Marsden, Solvents Guide, 2nd Ed., Interscience, New York, 1950]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체 및 액체 조성물은 흔히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액체에 첨가될 때, 계면활성제 ("표면활성제"로도 공지됨)는 일반적으로 액체의 표면 장력을 변경시키며, 가장 흔히는 감소시킨다. 계면활성제 분자 중 친수성 및 친유성 기의 성질에 따라, 계면활성제는 습윤제, 분산제, 유화제 또는 소포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코올 알콕실레이트, 예컨대 천연 및 합성 알코올 (분지상 또는 직쇄상일 수 있음) 계이며, 알코올과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알코올 알콕실레이트; 아민 에톡실레이트, 알칸올아미드 및 에톡실화 알칸올아미드; 알콕실화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예를 들어 에톡실화 대두유, 피마자유 및 평지씨유; 알킬페놀 알콕실레이트, 예를 들어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다이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및 도데실 페놀 에톡실레이트 (페놀과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됨);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제조된 블록 중합체 및 역 블록 중합체 (말단 블록이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제조됨); 에톡실화 지방산; 에톡실화 지방 에스테르 및 오일; 에톡실화 메틸 에스테르; 에톡실화 트라이스티릴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들을 포함);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라놀린계 유도체, 폴리에톡실레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톡실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톡실화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기타 소르비탄 유도체, 예컨대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머 계면활성제, 예컨대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알키드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지, 그라프트 또는 콤 (comb) 중합체 및 스타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당 유도체, 예컨대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및 알킬 폴리사카라이드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릴 설폰산 및 이의 염; 카르복실화 알코올 또는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다이페닐 설포네이트 유도체; 리그닌 및 리그닌 유도체, 예를 들어 리그노설포네이트; 말레산 또는 석신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 올레핀 설포네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알코올 알콕실레이트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페놀 알콕실레이트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단백질계 계면활성제; 사르코신 유도체; 스티릴 페놀 에테르 설페이트; 오일 및 지방산의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 에톡실화 알킬페놀의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 알코올의 설페이트; 에톡실화 알코올의 설페이트; 아민 및 아미드의 설포네이트, 예컨대 N,N-알킬타우레이트; 벤젠, 쿠멘, 톨루엔, 자일렌, 및 도데실벤젠 및 트라이데실벤젠의 설포네이트; 축합된 나프탈렌의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및 알킬 나프탈렌의 설포네이트; 분별 증류된 (fractionated) 석유의 설포네이트; 설포석시나메이트; 및 설포석시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염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아미드 및 에톡실화 아미드; 아민, 예컨대 N-알킬 프로판다이아민, 트라이프로필렌트라이아민 및 다이프로필렌테트라민, 및 에톡실화 아민, 에톡실화 다이아민 및 프로폭실화 아민 (아민과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됨); 아민 염, 예컨대 아민 아세테이트 및 다이아민 염; 사차 암모늄 염, 예컨대 사차 염, 에톡실화 사차 염 및 이중사차 (diquaternary) 염; 및 아민 옥사이드, 예컨대 알킬다이메틸아민 옥사이드 및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알킬아민 옥사이드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하다.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추천 용도는 문헌 [참조: McCutcheon's Emulsifiers and Detergents, annual American and International Editions published by McCutcheon's Division, The Manufacturing Confectioner Publishing Co.]; 문헌 [참조: Sisely and Wood, Encyclopedia of Surface Active Agents, Chemical Publ. Co., Inc., New York, 1964]; 및 문헌 [참조: A. S. Davidson and B. Milwidsky, Synthetic Detergents, Seventh Edition,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987]을 비롯한 다양한 간행된 참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제형 조제로 공지된 제형 보조제 및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중 몇몇은 고체 희석제, 액체 희석제 또는 계면활성제로도 기능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 그러한 제형 보조제 및 첨가제는 pH (완충제), 가공 중의 발포 (소포제, 예를 들어,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활성 성분의 침강 (현탁화제), 점도 (요변성 증점제), 용기내 (in-container) 미생물 생장 (항균제), 제품 동결 (부동제), 색상 (염료/안료 분산액), 워시-오프 (필름 형성제 또는 스티커), 증발 (증발 지연제), 및 다른 제형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필름 형성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및 왁스를 포함한다. 제형 보조제 및 첨가제의 예로는 문헌 [참조: McCutcheon's Volume 2: Functional Materials, annual International and North American editions published by McCutcheon's Division, The Manufacturing Confectioner Publishing Co.]; 및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03/024222호에 열거된 것들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임의의 다른 활성 성분은 전형적으로 활성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액체 또는 건조 희석제에서 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 내로 혼입된다. 유제를 비롯한 용액은 성분들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유제로서 사용하려는 액체 조성물의 용매가 수불혼화성인 경우에는, 물로 희석시에 활성제 함유 용매를 유화시키기 위하여 유화제가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입자 직경이 2,000 μm 이하인 활성 성분 슬러리는 매체 밀을 이용하여 습식 밀링하여, 평균 직경이 3 μm 미만인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수성 슬러리는 완성된 액상 수화제로 제조되거나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060,084호 참조), 분무 건조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어 수분산성 과립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제형은 대개 건식 밀링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것에 의해 2 내지 10 μm의 범위의 평균 입자 직경이 형성된다. 분제 및 분말은 블렌딩 및 통상 분쇄 (예를 들어, 해머 밀 또는 유체 에너지 밀을 이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과립 및 펠릿은 활성 물질을 미리 형성된 과립 담체 상에 분무함으로써 또는 응집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문헌 [Browning, "Agglomeration", Chemical Engineering, December 4, 1967, pp 147―48,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4th Ed., McGraw-Hill, New York, 1963, pages 8―57 및 그 이하] 및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1/13546호를 참조한다. 펠릿은 미국 특허 제4,172,71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수분산성 및 수용성 과립은 미국 특허 제4,144,050호, 제3,920,442호 및 독일 특허 제3,246,493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미국 특허 제5,180,587호, 제5,232,701호 및 제5,208,030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필름은 영국 특허 제2,095,558호 및 미국 특허 제3,299,566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제형 분야에 관한 추가의 정보에 대해서는, 문헌 [T. S. Woods, "The Formulator's Toolbox ― Product Forms for Modern Agriculture" in Pesticide Chemistry and Bioscience, The Food―Environment Challenge, T. Brooks and T. R. Roberts, Eds.,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Pesticide Chemistry,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1999, pp. 120―133]을 참조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3,235,361호, 컬럼 6, 16행 내지 컬럼 7, 19행 및 실시예 10 내지 41; 미국 특허 제3,309,192호, 컬럼 5, 43행 내지 컬럼 7, 62행 및 실시예 8, 12, 15, 39, 41, 52, 53, 58, 132, 138 내지 140, 162 내지 164, 166, 167 및 169 내지 182; 미국 특허 제2,891,855호, 컬럼 3, 66행 내지 컬럼 5, 17행 및 실시예 1 내지 4; 문헌 [Klingman, Weed Control as a Science,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61, pp 81―96]; 문헌 [Hance et al., Weed Control Handbook, 8th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89]; 및 문헌 [Developments in formulation technology, PJB Publications, Richmond, UK, 2000]을 참조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며, 모든 제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화합물 번호는 인덱스 표 A 내지 G의 화합물을 말한다. 더 이상 상술하지 않고도, 상술한 설명을 이용하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하기 실시예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그리고 어떠한 임의의 방식으로든 본 개시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달리 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A
Figure pct00032
실시예 B
Figure pct00033
실시예 C
Figure pct00034
실시예 D
Figure pct00035
실시예 E
Figure pct00036
실시예 F
Figure pct00037
실시예 G
Figure pct00038
실시예 H
Figure pct00039
수용성 및 수분산성 제형은 전형적으로 적용 전에 물로 희석되어, 수성 조성물이 형성된다. 식물 또는 이의 부분에 직접 적용하기 위한 수성 조성물 (예를 들어, 스프레이 탱크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1 ppm 이상 (예를 들어, 1 ppm 내지 100 ppm)의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살진균제 조성물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및 액체 희석제와 제형화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의 제형화된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는 단계, 및 임의로 보조제를 첨가하여 희석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진균 병원체 또는 이의 환경을 상기 희석된 조성물의 유효량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균 병원체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분한 농도의 본 발명의 살진균제 조성물을 물과 희석하여 형성된 스프레이 조성물이 진균 병원체를 방제하는데 충분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별도로 제형화된 보조제 제품도 스프레이 탱크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보조제는 "스프레이 보조제" 또는 "탱크 혼합 보조제"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농약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스프레이 혼합물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는데 스프레이 탱크에 혼합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보조제는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유화제, 석유계 작물 오일, 작물 유래 종자유, 산성화제, 완충제, 증점제 또는 소포제일 수 있다. 보조제는 효능 (예를 들어, 생물학적 이용성, 점착력, 침투성, 커버리지 균일성 및 보호 지속성)을 향상시키거나, 부적합성, 발포, 드리프트, 증발, 휘발 및 열화와 관련된 스프레이 적용 문제를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최적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보조제는 활성 성분의 특성, 제형 및 대상 (예를 들어, 작물, 진균 병원체)과 관련하여 선택된다.
스프레이 혼합물에 첨가되는 보조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2.5 체적% 내지 0.1 체적%의 범위이다. 스프레이 혼합물에 첨가되는 보조제의 적용량 (application rate)은 전형적으로 헥타르당 약 1 내지 5 L이다. 스프레이 보조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아디고 (Adigor)® (Syngenta) 액체 탄화수소 중의 47% 메틸화 평지씨유, 실웨트 (Silwet)® (Helena Chemical Company)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헵타메틸트라이실록산 및 아시스트 (Assist)® (BASF) 83% 파리핀계 광유 중의 17% 계면활성제 블렌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물병 방제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진균제 조성물을 보호할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보호할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은 담자균강, 자낭균강, 난균강 및 불완전균강의 광범위한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병해 방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혼합물 및 조성물은 하기를 비롯한 작물 및 다른 원하는 초목에 피해를 입히는 진균 병원체에 의한 광범위한 경엽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다: 밀, 보리, 귀리, 호밀, 라이밀, 벼, 옥수수, 수수 및 조와 같은 곡물 작물; 식용 포도 및 포도주 포도와 같은 포도나무 작물; 평지씨 (캐놀라), 해바라기와 같은 농작물; 사탕무, 사탕수수, 대두, 땅콩 (그라운드넛 (groundnut)) 및 담배; 자주개자리, 클로버, 싸리, 개자리 및 살갈퀴와 같은 콩과 사료 작물; 사과, 배, 야생능금, 비파나무, 산사나무 및 마르멜로와 같은 이과 과실; 복숭아, 체리, 자두, 살구, 승도복숭아 및 아몬드와 같은 핵과류; 레몬, 라임, 오렌지, 자몽, 귤 (탄저린) 및 금귤과 같은 감귤류 과실; 아티초크, 레트 비트 및 사탕무, 당근, 카사바, 생강, 인삼, 양고추냉이, 서양방풀나무, 감자, 무, 루타바가, 고구마, 순무 및 참마와 같은 뿌리 및 괴경 채소류 및 농작물 (및 이들의 경엽); 마늘, 부추, 양파 및 샬롯과 같은 인경채류; 아루굴라 (로켓트 (roquette)), 셀러리, 셀러리, 큰 다닥냉이, 꽃상추 (에스카롤 (escarole)), 회향, 양상치, 파슬리, 라디치오 (적색 치커리), 대황, 시금치 및 근대와 같은 잎채소; 브로콜리, 브로콜리 라브 (broccoli raab) (라피니 (rapini)), 방울다다기 양배추, 양배추, 청경채, 컬리플라워, 콜라드, 케일, 콜라비, 겨자 및 푸른색 채소와 같은 배추속 식물 (서양평지) 잎채소; 루핀, 콩 (파세오루스 종 (Phaseolus spp.)) (필드빈, 강낭콩, 리마콩, 흰 강낭콩, 껍질 색깔이 얼룩덜룩한 강낭콩, 깍지콩, 꼬투리째 먹는 콩, 테파리콩 및 까치콩 포함), 콩 (비그나 종 (Vigna spp.)) (팥, 아스파라거스빈, 광저기, 까만 콩, 챠이니즈 롱빈 (Chinese longbean), 동부콩 (cowpea), 크로더 완두콩 (crowder pea), 나방콩, 녹두, 예팥 (rice bean), 서던 피 (southern pea), 털덩굴팥 (urd bean) 및 갓끈동부 (yardlong bean) 포함), 누에콩 (fava), 병아리콩 (garbanzo), 구아, 잭 콩, 제비콩, 렌즈콩 및 완두 (피숨 종 (Pisum spp.)) (난장이 콩 (dwarf pea), 식용 꼬투리 완두 (edible-podded pea), 잉글리시 완두콩 (English pea), 필드 피 (field pea), 가든 피 (garden pea), 푸른 완두콩 (green pea), 스노피 (snowpea), 슈거 스냅 피 (sugar snap pea), 나무콩 (pigeon pea) 및 대두 포함)와 같은 두과 채소류 (다즙질 또는 건조형); 가지, 꽈리 (피살리스 (Physalis) 종), 페피노 및 후추 (피망, 고추, 쿠킹 페퍼 (cooking pepper), 피멘토, 및 파프리카); 토마틸로 (tomatillo) 및 토마토 포함)와 같은 열매 채소; 차요테 (열매), 동아 (Chinese preserving melon), 시트론 멜론, 오이, 게르킨, 식용 박 (호로박 (hyotan), 쿠쿠자 (cucuzza), 수세미 (hechima), 및 챠이니즈 오크라 (Chinese okra) 포함), 여주 종 (Momordica spp.) (발삼 애플 (balsam apple), 발삼 페어 (balsam pear), 비터멜론 및 챠이니즈 큐컴버 (Chinese cucumber) 포함), 머스크멜론 (칸탈루프 및 펌킨 포함), 여름 호박 (summer squash) 및 겨울 호박 (winter squash) (버터호두 호박 (butternut squash), 호리병박 열매 (calabaza), 허버드 호박 (hubbard squash), 도토리 모양의 호박 (acorn squash), 스파게티 스쿼시 (spaghetti squash) 및 펌킨 포함) 및 수박과 같은 호로과 채소류; 블랙베리 (빈글베리 (bingleberry), 보이젠베리, 듀베리 (dewberry), 로우베리 (lowberry), 메리언베리 (marionberry), 오라리베리 (olallieberry) 및 영베리 (youngberry) 포함), 블루베리, 크랜베리, 건포도, 딱총나무열매, 구스베리, 월귤나무 열매, 로건베리, 라즈베리 및 딸기와 같은 산딸기류 열매; 아몬드, 비치 너트 (beech nut), 브라질 너트 (Brazil nut), 버터너트 (butternut), 캐슈, 밤 (chestnut), 칭커핀 (chinquapin), 개암 (filbert) (헤이즐넛 (hazelnut)), 히코리 너트 (hickory nut), 마카다미아 너트 (macadamia nut), 피칸 (pecan) 및 호두와 같은 나무 견과류 (tree nuts); 바나나, 요리용 바나나 (plantains), 망고, 코코넛, 파파야, 구아바, 아보카도, 리치 (lichee), 아가베, 커피, 카카오, 사탕수수, 기름 야자, 참깨, 고무 및 스파이스 (spices)와 같은 열대 과일 및 기타 작물; 목화, 아마 및 대마와 같은 섬유 작물; 벤트그래스 (bentgrass), 켄터키 블루그래스 (Kentucky bluegrass), 세인트 오거스틴 (St. Augustine) 잔디, 톨 페스큐 (tall fescue) 및 버뮤다 (Bermuda) 잔디와 같은 잔디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를 포함함).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든 식물, 식물 부분 및 종자를 처리하는데 유용하다. 식물 및 종자 품종, 및 재배 품종은 통상적인 번식 및 육종 방법, 또는 유전자 공학적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유전자 변형된 식물 또는 종자 (트랜스제닉 식물 또는 종자)는 이종 유전자 (도입 유전자 (transgene))가 식물 또는 종자의 게놈에 안정하게 통합된 것이다. 식물 게놈에서 이의 특정 부위로 정의되는 도입 유전자는 형질전환 또는 트랜스제닉 이벤트로 불리운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유전자 변형된 식물 및 종자 재배 품종은 하나 이상의 생물적 스트레스 (선충, 곤충, 진드기, 진균류 등과 같은 해충)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가뭄, 찬 기온, 토양 염도 등)에 대하여 내성을 지니거나, 다른 바람직한 특성을 지니는 것들을 포함한다. 식물 및 종자는 예를 들어, 제초제 내성, 충해 저항성, 변성유 프로파일 또는 가뭄 내성의 형질 (trait)을 나타내도록 유전자 변형될 수 있다. 단일 유전자 형질전환 이벤트 또는 형질전환 이벤트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용한 유전자 변형된 식물 및 종자는 표 I에 기재되어 있다. 표 I 에 기재된 유전자 변형에 관한 추가 정보는 하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http://www2.oecd.org/biotech/byidentifier.aspx, http://www.aphis.usda.gov, 및 http://gmoinfo.jrc.ec.europa.eu.
하기 약어가 하기 표 I에 사용된다: tol.는 내성이고, res.는 저항성이며, SU는 설포닐우레아이고, ALS는 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이며, HPPD는 4-하이드록시페닐피루베이트 다이옥시제나제이고, NA는 "해당없음"이다.
[표 I]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유전자 변형된 식물 및 종자를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N 옥사이드 및 이의 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하면, 탁월한 상가 효과 또는 상승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량 감소, 활성 스펙트럼 확대, 생물적/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상승 또는 저장안정성 증강은 유전자 변형된 식물 및 종자에로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와의 이의 조성물의 적용에 있어서 예기되는 단지 단순한 상가 작용 이상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에 의해 방제되는 병원체는 파이토프토라 (Phytophthora) 병, 예컨대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파이토프토라 메가스페르마 (Phytophthora megasperma), 파이토프토라 파라시티카 (Phytophthora parasitica), 파이토프토라 신나모미 (Phytophthora cinnamomi) 및 파이토프토라 캡사이시 (Phytophthora capsici), 피티움 (Pythium) 병, 예컨대 피티움 아파니데르마툼 (Pythium aphanidermatum), 및 페로노스포라세아에 패밀리 (Peronosporaceae family)의 병, 예컨대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Plasmopara viticola), 페로노스포라 스피시즈 (Peronospora spp.) (페로노스포라 타바시나 (Peronospora tabacina) 및 페로노스포라 파라시티카 (Peronospora parasitica) 포함), 슈도페로노스포라 스피시즈 (Pseudoperonospora spp.)(슈도페로노스포라 쿠벤시스 (Pseudoperonospora cubensis) 포함) 및 브레미아 락투카에 (Bremia lactucae)를 포함하는 난균류; 알테르나리아 (Alternaria) 병, 예컨대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Alternaria solani) 및 알테르나리아 브라시카에 (Alternaria brassicae), 귀그나르디아 (Guignardia) 병, 예컨대 귀그나르디아 비드웰 (Guignardia bidwell), 벤투리아 (Venturia) 병, 예컨대 벤투리아 이나에퀄리스 (Venturia inaequalis), 셉토리아 (Septoria) 병, 예컨대 셉토리아 노도룸 (Septoria nodorum) 및 셉토리아 트리티시 (Septoria tritici), 흰가루병, 예컨대 에리시페 스피시즈 (Erysiphe spp.)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Erysiphe graminis) 및 에리시페 폴리고니 (Erysiphe polygoni) 포함), 운시눌라 네카투르 (Uncinula necatur), 스파에로테카 풀리게나 (Sphaerotheca fuliginea), 포도스파에라 류코트리카 (Podosphaera leucotricha) 및 슈도세르코스포렐라 헤르포트리코이데스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보트리티스 (Botrytis) 병, 예컨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모닐리니아 프룩티콜라 (Monilinia fructicola), 스클레로티니아 (Sclerotinia) 병, 예컨대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 (Sclerotinia sclerotiorum), 스클레로티니아 미노르 (Sclerotinia minor),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Magnaporthe grisea), 및 포몹시스 비티콜라 (Phomopsis viticola), 헬민토스포리움 (Helminthosporium) 병, 예컨대 헬민토스포리움 트리티시 레펜티스 (Helminthosporium tritici repentis) 및 피레노포라 테레스 (Pyrenophora teres), 안트라크노세 (anthracnose) 병, 예컨대 글로메렐라 (Glomerella) 또는 콜레토트리쿰 스피시즈 (Colletotrichum spp.) (예컨대, 콜레토트리쿰 그라미니콜라 (Colletotrichum graminicola) 및 콜레토트리쿰 오르비쿨라레 (Colletotrichum orbiculare)), 및 가에우만노마이세스 그라미니스 (Gaeumannomyces graminis)를 포함하는 자낭균류; 푸시니아 스피시즈 (Puccinia spp.) (예컨대, 푸시니아 레콘디타 (Puccinia recondita), 푸시니아 스트리이포르미스 (Puccinia striiformis), 푸시니아 호르데이 (Puccinia hordei), 푸시니아 그라미니스 (Puccinia graminis) 및 푸시니아 아라키디스 (Puccinia arachidis)를 일으킴), 헤밀레이아 바스타트릭스 (Hemileia vastatrix) 및 파콥소라 파키리지 (Phakopsora pachyrhizi)를 포함하는 담자균류; 루트스트로에미아 플록코숨 (Rutstroemia floccosum; 스클레로티니아 호모에오카르파 (Sclerontina homoeocarpa)로도 공지됨)을 비롯한 다른 병원체; 리조크토니아 스피시즈 (Rhizoctonia spp.) (예컨대, 리조크토니아 솔라니 (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Fusarium) 병, 예컨대 푸사리움 로세움 (Fusarium roseum),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 (Fusarium graminearum) 및 푸사리움 옥시스포룸 (Fusarium oxysporum), 베르티실리움 달리아에 (Verticillium dahliae); 스클레로티움 롤프시이 (Sclerotium rolfsii); 린코스포리움 세칼리스 (Rynchosporium secalis); 세르코스포리디움 페르소나툼 (Cercosporidium personatum), 세르코스포라 아라키디콜라 (Cercospora arachidicola) 및 세르코스포라 베티콜라 (Cercospora beticola); 리조푸스 스피시즈 (Rhizopus spp.) (예컨대, 리조푸스 스톨로니페르 (Rhizopus stolonifer)); 아스페르길루스 스피시즈 (Aspergillus spp.) (예컨대,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 (Aspergillus flavus) 및 아스페르길루스 파라시티쿠스 (Aspergillus parasiticus)); 및 이들 병원체와 근연 관계에 있는 기타 속 (genus) 및 종을 포함한다. 조성물 또는 배합물은 이들의 항진균 활성 이외에도, 박테리아, 예컨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Erwinia amylovora),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Xanthomonas campestris), 슈도모나스 시린가에 (Pseudomonas syringae), 및 다른 근연 종에 대한 활성도 갖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진균 및 세균으로 인한 과일 채소류의 수확 후 병해를 처리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감염은 수확 전, 수확 시 및 수확 후에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염은 수확 전에 일어난 다음에, 성숙 시의 어느 시점까지 잠복 상태로 존재하며 (예를 들어, 숙주는 감염이 진행될 수 있도록 조직 변화가 시작됨); 또한 감염은 기계적 손상 또는 충해로 인해 발생된 외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확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어느 때라도 일어날 수 있는 수확 후 병해로 인한 손실 (즉, 양 및 질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수확 후 병해를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함으로써, 잘 썩는 식용 식물 부위 (예를 들어, 열매, 종자, 경엽, 줄기, 구근, 덩이 줄기)가 수확 후에 냉동 또는 미냉동 보관될 수 있는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계속 식용 상태로 있을 수 있으며, 진균 또는 다른 미생물에 의한 현저하거나 유해한 열화 또는 오염에서 벗어날 수 있다. 수확 전후의 식용 식물 부위를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함으로써, 진균 또는 다른 미생물의 독성 대사 산물, 예를 들어 아플라톡신과 같은 마이코톡신의 생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식물병 방제는 통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감염 전이나 감염 후에 보호할 식물의 부분, 예컨대 뿌리, 줄기, 경엽, 열매, 종자, 덩이 줄기 또는 구근, 또는 보호할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배지 (토양 또는 샌드)에 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화합물은 또한 종자 및 종자에서 발생되는 모종을 보호하도록 종자에 적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식물을 처리하도록 관개 용수를 통해 적용될 수 있다. 수확 전에 농작물을 감염시키는 수확 후 병원체의 방제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필드 적용에 의해 달성되며, 수확 후에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에, 화합물은 딥, 스프레이, 훈증제, 처리 랩 (treated wrap) 및 박스 라이너로서 수확된 작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식물병으로부터 종자를 보호하기 위한 종자 처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종자 처리는 종자를, 전형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형화된 생물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자 처리에 의해 식물병으로부터 종자가 보호되며, 일반적으로 발아한 종자로부터 발육된 모종의 토양과 접촉하고 있는 뿌리 및 다른 식물 부분이 또한 보호될 수 있다. 종자 처리는 또한 발육하고 있는 식물 내로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제2 활성 성분의 전위에 의해 경엽을 보호할 수 있다. 종자 처리는 특수 형질을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형질전환된 식물이 발아될 종자를 비롯한 모든 유형의 종자에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에는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독소와 같은 무척추 해충에 유독한 단백질을 발현하는 것, 또는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는 글리포세이트 아세틸트랜스퍼라아제와 같은 제초제 내성을 발현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한 종자 처리는 또한 종자로부터 성장하는 식물의 성장력 (vigor)을 증가시킬 수 있다.
종자 처리의 한 방법은 파종 전에 본 발명의 화합물 (즉, 제형화된 조성물로서)을 종자에 분무하거나 살포함에 의한 것이다. 종자 처리용으로 제형화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성제 또는 고착제 (adhesive agent)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종자 코팅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량 및 필름 형성제 또는 고착제를 포함한다. 종자는 유동성 액상 수화제를 직접적으로 종자의 텀블링층 (tumbling bed) 내로 분무한 다음 종자를 건조시킴으로써 코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중의 습윤 분말, 용액, 유현탁제, 유제 및 에멀젼과 같은 다른 제형 유형이 종자 상에 분무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종자 상에 필름 코팅을 적용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다양한 코팅기 및 코팅 방법을 당업자가 이용가능하다. 적절한 공정에는 문헌 [P. Kosters et al., Seed Treatment: Progress and Prospects, 1994 BCPC Mongraph No. 57] 및 상기 문헌에 기재된 참고문헌에 열거된 것들이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조성물은 단독으로나 다른 살진균제, 살선충제 및 살충제와 병용하여, 옥수수 또는 콘, 대두, 목화, 곡류 (예를 들어, 밀, 귀리, 보리, 호밀 및 벼), 감자, 채소류 및 평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작물의 종자 처리에 특히 유용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제형화되어, 종자 처리에 유용한 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살충제 또는 살선충제로는 아바멕틴, 아세페이트, 아세타미프리드, 아세토프롤, 아크리나트린, 아피도피로펜, 알디카브, 아미도플루메트, 아미트라즈, 아버멕틴, 아자디라크틴, 아진포스-메틸, 벤설탑, 비펜트린, 비페나제이트, 비스트리플루론, 부프로페진, 카두사포스, 카르보푸란, 카르바릴, 카르보푸란, 칼탑, 키노메티오나트,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클로르페나피르, 클로르플루아주론,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클로로벤질레이트, 크로마페노자이드, 클로티아니딘, 시안트라닐리프롤, 사이클라닐리프롤, 사이플루메토펜, 사이플루트린, 베타-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감마-사이할로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사이헥사틴,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로마진, 델타메트린, 디아펜티우론, 디아지논, 디코폴, 디엘드린, 디에노클로르, 디플루벤주론, 디메플루트린, 디메토에이트, 디노테푸란, 디오페놀란, 에마멕틴, 엔도설판,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티프롤, 에토펜프록스, 에톡사졸, 페나미포스, 페나자퀸, 펜부타틴 옥사이드, 페노티오카브, 페녹시카브, 펜프로파트린, 펜피록시메이트, 펜발레레이트, 피프로닐, 플로니카미드, 플루벤디아미드, 플루사이트리네이트, 플루페네림, 플루페녹수론, 플루피프롤, 플루피라디퓨론,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포노포스, 포르메타네이트, 할로페노자이드, 헵타플루트린, 헥사플루무론, 헥시티아족스, 하이드라메틸논, 이미시아포스, 이미다클로프리드, 인독사카브, 아이소펜포스, 루페누론, 말라티온, 메퍼플루트린, 메타플루미존, 메트알데히드,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토프렌, 메톡시클로르, 메톡시페노자이드, 메토플루트린, 밀베마이신 옥심, 맘플루오로트린, 모노크로토포스, 니코틴, 니텐피람, 니티아진,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옥사밀,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퍼메트린,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피리미카브, 프로페노포스, 프로플루트린, 프로파자이트, 프로티오카브, 프로트리펜부트, 피메트로진, 피라플루프롤, 피레트린, 피리다벤,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피리프롤, 피리프록시펜, 로테논, 리아노딘,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마트, 설폭사플로르, 설프로포스, 테부페노자이드, 테부펜피라드, 테플루벤주론, 테플루트린,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테트라메트린, 테트라메틸플루트린,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티오디카브, 티오설탑-소듐, 톨펜피라드, 트랄로메트린, 트라이아자메이트, 트라이클로르폰 및 트라이플루무론; 살선충제, 예컨대 알디카브, 페나미포스, 플루엔설폰, 포스티아제이트, 이미시아포스 및 옥사밀; 살세균제 (bactericide), 예켄대 스트렙토마이신; 진드기 구충제, 예컨대 아미트라즈, 키노메티오나트, 클로로벤질레이트, 사이에노피라펜, 사이헥사틴, 디코폴, 디에노클로르, 에톡사졸, 페나자퀸, 펜부타틴 옥사이드, 펜프로파트린, 펜피록시메이트, 플루페녹시스트로빈, 헥시티아족스, 프로파자이트, 피플루부마이드, 피리다벤, 피리미노스트로빈 및 테부펜피라드; 및 곤충병원성 세균, 예컨대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서브서피시즈 아이자와이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서브서피시즈 쿠르스타키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및 캡슐화된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델타-내독소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예를 들어, 셀캡 (Cellcap), MPV, MPVII); 곤충병원성 진균, 예컨대 녹강균 (green muscardine fungus); 및 바큘로바이러스,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NPV), 예를 들어 HzNPV, AfNPV를 비롯한 곤충병원성 바이러스; 및 과립병 바이러스 (granulosis virus, GV), 예를 들어 CpGV를 비롯한 생물 작용제 (biological agent)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제형화되어, 종자 처리에 유용한 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살진균제로는 아미설브롬, 아족시스트로빈, 보스칼리드, 카르벤다짐, 카르복신, 사이목사닐, 사이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메토모르프, 플루아지남, 플루디옥소닐, 플루퀸코나졸, 플루오피콜라이드, 플루옥사스트로빈, 플루트리아폴, 플룩사피록사드, 이프코나졸, 이프로디온, 메탈락실, 메페녹삼, 메트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파클로부트라졸, 펜플루펜, 피콕시스트로빈, 프로티오코나졸, 피라클로스트로빈, 세닥산, 실티오팜, 테부코나졸,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람, 트라이플록시스트로빈 및 트라이티코나졸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자 처리에 유용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물 병원성 진균 또는 세균 및/또는 토양 개재성 동물, 예컨대 선충의 유해성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을 갖는 세균 및 진균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살선충성을 나타내는 세균으로는 바실러스 퍼뮤스 (Bacillus firmus),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ius subtilis) 및 파스테우리아 페네트란스 (Pasteuria penetrans)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절한 바실러스 퍼뮤스 균주는 바이오넴 (BioNem)™으로서 시판 중인 균주 CNCM I-1582 (GB-126)이다. 적절한 바실러스 세레우스 균주는 균주 NCMM I-1592이다. 두 가지의 바실러스 균주가 미국 특허 제6,406,6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다른 적절한 세균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B. amyloliquefaciens) IN937a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GB03이다. 살진균성을 나타내는 세균으로는 바실러스 푸밀러스 (B. pumilus) 균주 GB34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살선충성을 나타내는 진균종으로는 미로테시움 베르루카리아 (Myrothecium verrucaria), 패실로마이세스 릴라시누스 (Paecilomyces lilacinus) 및 푸르푸레오실리움 릴라시눔 (Purpureocillium lilacinum)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자 처리는 또한 하나 이상의 천연 유래의 살선충제, 예를 들어 특정 세균 식물 병원체, 예컨대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 (Erwinia amylovora)로부터 단리된 하핀 (harpin)으로 불리우는 엘리시터 (elicitor)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는 N-Hibit™ Gold CST로서 이용가능한 하핀-N-Tek 종자 처리 기술이 있다.
종차 처리는 또한 콩과 식물 뿌리혹 세균, 예컨대 미생물 공생 (microsymbiotic) 질소 고정 세균, 브라디리조비움 자포니쿰 (Bradyrhizobium japonicum)의 하나 이상의 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종원 (inoculant)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리포 키토올리고사카라이드 (LCO)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콩과 식물의 뿌리혹 형성 개시 시에 뿌리혹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뿌리혹 형성 인자 (nodulation (Nod) factor)이다. 예를 들어, 옵티마이즈 (Optimize)® 브랜드 종자 처리 기술은 접종원과 병용되는 LCO 프로모터 테크놀러지 (Promoter Technology)™를 포함한다.
종자 처리는 또한 균근균에 의해 뿌리 정착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이소플라본을 포함할 수 있다. 균근균은 영양소, 예컨대 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및 금속의 뿌리 흡수를 증진시켜 식물 성장을 향상시킨다. 아이소플라본의 예로는 제니스테인, 바이오카닌 A, 포르모노네틴,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헤스페레틴, 나린제닌 및 프라텐세인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르모노네틴은 균근 접종원 제품, 예컨대 피에이치씨 콜로나이즈 (PHC Colonize)® 아게 (AG)의 활성 성분으로서 이용가능하다.
종자 처리는 또한 병원체에 의한 접촉 후에 식물에 전신 획득 저항성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식물 활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어 기작 (protective mechanism)을 유도하는 식물 활성화제의 일례로는 아시벤졸라-S-메틸이 있다.
이들 화합물의 적용량 (즉, 살진균적 유효량)은 방제할 식물병, 보호할 식물종, 주위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실제 사용 조건하에 결정되어야한다. 당업자는 원하는 레벨의 식물병 방제에 필요한 살진균적 유효량을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경엽은 통상 활성 성분 약 1 g/ha 미만 내지 약 5,000 g/ha의 비율로 처리되는 경우에 보호될 수 있다. 종자 및 모종은 통상 종자가 종자 1 킬로그램 당 약 0.1 내지 약 10 g의 비율로 처리되는 경우에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살진균제, 살충제, 살선충제, 살세균제, 진드기 구충제, 제초제, 제초제 완화제, 생장 조절제, 예컨대 곤충 탈피 억제제 (insect molting inhibitor) 및 발근 촉진제 (rooting stimulant), 불임화제, 신호 화학물질 (semiochemical), 방충제, 유인 물질, 페로몬, 섭식 촉진 물질, 식물 영양소,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곤충병원성 세균, 곤충병원성 바이러스 또는 곤충병원성 진균을 비롯한 하나 이상의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와 혼합되어, 훨씬 더 광범위한 농업 보호를 부여하는 다성분 농약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살진균적 유효량으로)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 (생물학적 유효량으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추가로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또는 액체 희석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는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또는 액체 희석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에 관해서는, 하나 이상의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는 프리믹스 (premix)를 형성하도록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는 화학식 1의 화합물과는 별도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제형은 적용 전에 함께 배합되거나 (예를 들어, 스프레이 탱크 중에서), 연속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또는 이의 염 (즉, 성분 a),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 (즉, 성분 b)를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 (즉, 이들의 혼합물 또는 배합물)이다. 다른 살진균제 활성 성분이 화화식 1의 화합물과 작용 부위가 상이한 그러한 배합물에 주목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사한 방제 범위를 갖지만, 작용 부위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 활성 성분과의 배합물이 저항성 관리에 특히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유사한 방제 범위를 갖지만, 작용 부위가 상이한 살진균적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살진균제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도, 부류 (1) 메틸 벤즈이미다졸 카르바메이트 (MBC) 살진균제; (2) 다이카르복스이미드 살진균제; (3) 탈메틸화 저해제 (DMI) 살진균제; (4) 페닐아미드 살진균제; (5) 아민/모르폴린 살진균제; (6) 인지질 생합성 저해제 살진균제; (7) 카르복스아미드 살진균제; (8) 하이드록시(2-아미노-)피리미딘 살진균제; (9) 아닐리노피리미딘 살진균제; (10) N-페닐 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11) 퀴논 아웃사이드 (outside) 저해제 (QoI) 살진균제; (12) 페닐피롤 살진균제; (13) 퀴놀린 살진균제; (14) 지질 과산화 저해제 살진균제; (15)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환원 효소 (MBI-R) 살진균제; (16)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탈수 효소 (MBI-D) 살진균제; (17) 하이드록시아닐리드 살진균제; (18) 스쿠알렌-에폭시다아제 저해제 살진균제; (19) 폴리옥신 살진균제; (20) 페닐우레아 살진균제; (21) 퀴논 인사이드 (inside) 저해제 (QiI) 살진균제; (22) 벤즈아미드 살진균제; (23) 에노피라누론산 (enopyranuronic acid) 항생제 살진균제; (24) 헥소피라노실 항생제 살진균제; (25) 글루코피라노실 항생제: 단백질 합성 살진균제; (26) 글루코피라노실 항생제: 트레할라아제 및 이노시톨 생합성 살진균제; (27) 시아노아세트아미드옥심 살진균제; (28) 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29) 산화적 인산화 언커플링 (uncoupling) 살진균제; (30) 유기 주석 살진균제; (31) 카르복실산 살진균제; (32) 헤테로 방향족 살진균제; (33) 포스포네이트 살진균제; (34) 프탈람산 (phthalamic acid) 살진균제; (35) 벤조트라이아진 살진균제; (36) 벤젠-설폰아미드 살진균제; (37) 피리다지논 살진균제; (38) 티오펜-카르복스아미드 살진균제; (39) 피리미딘아미드 살진균제; (40) 카르복실산 아미드 (CAA) 살진균제; (41)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 살진균제; (42) 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43) 벤즈아미드 살진균제; (44) 숙주 식물 방어 유도 살진균제; (45) 멀티사이트 접촉 활성 살진균제; (46) 부류 (1) 내지 (45) 이외의 살진균제; 및 부류 (1) 내지 (46)의 화합물의 염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진균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주목해야 한다.
이들 살진균제 화합물 부류에 대한 추가의 설명이 하기에 주어진다.
(1) "메틸 벤즈이미다졸 카르바메이트 (MBC) 살진균제" (Fung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 (FRAC) 코드 1)는 미소관 중합 (microtubule assembly) 시에 β-튜뷸린에 결합함으로써, 유사 분열을 저해한다. 미소관 중합 저해는 세포 분열, 세포 내의 수송 및 세포 구조를 방해할 수 있다. 메틸 벤즈이미다졸 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로는 벤즈이미다졸 및 티오파네이트를 들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로는 베노밀, 카르벤다짐, 푸베리다졸 및 티아벤다졸을 들 수 있다. 티오파네이트로는 티오파네이트 및 티오파네이트-메틸을 들 수 있다.
(2) "다이카르복스이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2)는 삼투압 시그널 전달과 관련된 MAP/히스티딘 키나아제를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클로졸리네이트, 이프로디온, 프로사이미돈 및 빈클로졸린을 들 수 있다.
(3) "탈메틸화 저해제 (DMI) 살진균제" (FRAC 코드 3)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SBI): 부류 I)는 스테롤 생성에 관여하는 C14-탈메틸화 효소를 저해한다. 스테롤, 예컨대 에르고스테롤은 기능 세포벽의 발육에 필수적인 막 구조 및 막 기능에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살진균제에 노출되면, 감수성 진균류의 비정상 성장을 초래하여, 결국은 감수성 진균류의 사멸을 가져온다. 탈메틸화 살진균제는 몇 가지의 화학적 부류로 나뉘어진다: 아졸 (트라이아졸 및 이미다졸 포함), 피페라진, 피리딘, 피리미딘 및 트라이아졸린티온. 피페라진으로는 트리포린을 들 수 있다. 피리딘으로는 부티오베이트, 피리페녹스, 피리속사졸 (3-[(3R)-5-(4-클로로페닐)-2,3-다이메틸-3-아이속사졸리디닐]피리딘, 3R,5R-와 3R,5S-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αS)-[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을 들 수 있다. 트라이아졸린티온으로는 프로티오코나졸 및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4-(2,2-다이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2-하이드록시부틸]-1,2-다이하이드로-3H-1,2,4-트라이아졸-3-티온을 들 수 있다. 피리미딘으로는 페나리몰, 누아리몰 및 트라이아리몰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로는 클로트리마졸, 이마잘릴, 옥스포코나졸, 프로클로라즈, 페푸라조에이트 및 트라이플루미졸을 들 수 있다. 트라이아졸로는 아자코나졸, 비터타놀, 브로무코나졸, 사이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포함), 에폭시코나졸, 펜부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펜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퀸코나졸,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아디메놀, 트라이티코나졸 및 유니코나졸 및 α-(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α-[2-(2,2-다이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에틸]-1H-1,2,4-트라이아졸-1-에탄올을 들 수 있다. 생화학적 연구에 의하면, 상기에 언급된 살진균제 전부가 문헌 [참조: K. H. Kuck et al. in Modern Selective Fungicides - Properties, Applications and Mechanisms of Action, H. Lyr (Ed.), Gustav Fischer Verlag: New York, 1995, 205―258]에 기재된 DMI 살진균제임을 알 수 있다.
(4) "페닐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4)는 난균류에 있어서의 RNA 폴리메라아제의 특이적 저해제이다. 이들 살진균제에 노출된 감수성 진균류는 우리딘을 rRNA에 혼입하는 능력이 감소된다. 감수성 진균류의 성장 및 발육은 이러한 부류의 살진균제에 노출시킴으로써 저지된다. 페닐아미드 살진균제로는 아실알라닌, 옥사졸리디논 및 부티로락톤을 들 수 있다. 아실알라닌으로는 베날락실, 베날락실-M (키랄락실로도 공지됨), 푸랄락실, 메탈락실 및 메탈락실-M/메페녹삼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리디논으로는 옥사딕실을 들 수 있다. 부티로락톤으로는 오푸레이스를 들 수 있다.
(5) "아민/모르폴린 살진균제" (FRAC 코드 5) (SBI: 부류 II)는 스테롤 생합성 경로 내의 2개의 표적 부위, Δ8 → Δ7 아이소메라아제 및 Δ14 환원 효소를 저해한다. 스테롤, 예컨대 에르고스테롤은 기능 세포벽의 발육에 필수적인 막 구조 및 막 기능에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살진균제에 노출되면, 감수성 진균류의 비정상 성장을 초래하여, 결국은 감수성 진균류의 사멸을 가져온다. 아민/모르폴린 살진균제 (비 DMI (non-DMI)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도 공지됨)로는 모르폴린, 피페리딘 및 스피로케탈-아민을 들 수 있다. 모르폴린으로는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펜프로피모르프, 트라이데모르프 및 트라이모르파미드를 들 수 있다. 피페리딘으로는 펜프로피딘 및 피페랄린을 들 수 있다. 스피로케탈-아민으로는 스피록사민을 들 수 있다.
(6) "인지질 생합성 저해제 살진균제" (FRAC 코드 6)는 인지질 생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인지질 생합성 살진균제로는 포스포로티올레이트 및 다이티올란을 들 수 있다. 포스포로티올레이트로는 에디펜포스, 이프로벤포스 및 피라조포스를 들 수 있다. 다이티올란으로는 아이소프로티올란을 들 수 있다.
(7) "석신산 탈수소효소 저해제 (SDH) 살진균제"로도 공지된 "카르복스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7)는 석신산 탈수소효소로 명명되는 크레브스 회로 (TCA 회로)의 중요한 효소를 방해함으로써 복합체 II 진균류 호흡을 저해한다. 호흡 저해에 의해, 진균류가 ATP 생성하는 것을 저지하므로, 진균류의 성장 및 번식을 저해한다. 카르복스아미드 살진균제로는 페닐벤즈아미드, 피리디닐 에틸 벤즈아미드, 푸란 카르복스아미드, 옥사티인 (oxathiin) 카르복스아미드, 티아졸 카르복스아미드, 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피리딘 카르복스아미드, 페닐 옥소에틸 티오펜 아미드 및 피리디닐에틸 벤즈아미드를 들 수 있다. 페닐벤즈아미드로는 베노다닐, 플루톨라닐 및 메프로닐을 들 수 있다. 피리디닐 에틸 벤즈아미드로는 플루오피람을 들 수 있다. 푸란 카르복스아미드로는 펜푸람을 들 수 있다. 옥사티인 카르복스아미드로는 카르복신 및 옥시카르복신을 들 수 있다. 티아졸 카르복스아미드로는 티플루자미드를 들 수 있다. 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로는 벤조빈다이플루피르 (N-[9-(다이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푸라메트피르, 아이소피라잠 (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N-[1,2,3,4-테트라하이드로-9-(1-메틸에틸)-1,4-메타노나프탈렌-5-일]-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플룩사피록사드 (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N-(3′,4′,5′-트라이플루오로[1,1'-바이페닐]-2-일)-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N-[2-[1,1′-바이사이클로프로필]-2-일페닐]-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2-(1S,2R)-[1,1'-바이사이클로프로필]-2-일페닐]-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3-(다이플루오로메틸)-N-(2,3-다이하이드로-1,1,3-트라이메틸-1H-인덴-4-일)-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2-(2,4-다이클로로페닐)-2-메톡시-1-메틸에틸]-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사이클로프로필-3-(다이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N-[[2-(1-메틸에틸)페닐]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및 펜플루펜 (N-[2-(1,3-다이메틸부틸)페닐]-5-플루오로-1,3-다이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2003/010149호)을 들 수 있다. 피리딘 카르복스아미드로는 보스칼리드를 들 수 있다. 페닐 옥소에틸 티오펜 아미드로는 아이소페타미드, (N-[1,1-다이메틸-2-[2-메틸-4-(1-메틸에톡시)페닐]-2-옥소에틸]-3-메틸-2-티오펜카르복스아미드)를 들 수 있다. 피리디닐에틸 벤즈아미드로는 플루오피람을 들 수 있다.
(8) "하이드록시(2-아미노-)피리미딘 살진균제" (FRAC 코드 8)는 아데노신 데아미나아제 저해에 의해 핵산 합성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부피리메이트, 디메티리몰 및 에티리몰을 들 수 있다.
(9) "아닐리노피리미딘 살진균제" (FRAC 코드 9)는 아미노산 메티오닌의 생합성을 저해하고, 감염 중에 식물 세포를 용해시키는 가수분해 효소의 분비를 방해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의 예로는 사이프로디닐, 메파니피림 및 피리메타닐을 들 수 있다.
(10) "N-페닐 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FRAC 코드 10)는 β-튜뷸린에 결합하여, 미소관 중합을 방해함으로써, 유사 분열을 저해한다. 미소관 중합 저해는 세포 분열, 세포 내의 수송 및 세포 구조를 방해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디에토펜카브를 들 수 있다.
(11) "퀴논 아웃사이드 저해제 (QoI) 살진균제" (FRAC 코드 11)는 유비퀴놀 산화 효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의 복합체 III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저해한다. 유비퀴놀 산화는 진균류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위치하는 사이토크롬 bc 1 복합체의 " 퀴논 아웃사이드" (Qo) 부위에서 저지된다. 미토콘드리아 호흡 저해는 정상적인 진균류 성장 및 발육을 저지시킨다. 퀴논 아웃사이드 저해제 살진균제 (스트로빌루린 살진균제로도 공지됨)로는 메톡시아크릴레이트, 메톡시카르바메이트, 옥시미노아세테이트, 옥시미노아세트아미드, 옥사졸리딘디온, 다이하이드로다이옥사진, 이미다졸리논 및 벤질카르바메이트를 들 수 있다. 메톡시아크릴레이트로는 아족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메틸 (αE)-2-[[(3-부틸-4-메틸-2-옥소-2H-1-벤조피란-7-일)옥시]메틸]-α-(메톡시메틸렌)벤젠아세테이트), 에녹사스트로빈 (메틸 (αE)-2-[[[(E)-[(2E)-3-(4-클로로페닐)-1-메틸-2-프로펜-1-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α-(메톡시메틸렌)-벤젠아세테이트) (에네스트로부린으로도 공지됨), 플루페녹시스트로빈 (메틸 (αE)-2-[[2-클로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메틸]-α-(메톡시메틸렌)벤젠아세테이트), 피콕시스트로빈 및 피라옥시스트로빈 (메틸 (αE)-2-[[[3-(4-클로로페닐)-1-메틸-1H-피라졸-5-일]옥시]-메틸]-α-(메톡시메틸렌)벤젠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메톡시카르바메이트로는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메틸 N-[2-[[(1,4-다이메틸-3-페닐-1H-피라졸-5-일)옥시]메틸]페닐]-N-메톡시카르바메이트) 및 트라이클로피리카브 (메틸 N-메톡시-N-[2-[[(3,5,6-트라이클로로-2-피리디닐)옥시]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를 들 수 있다. 옥시미노아세테이트로는 크레속심-메틸 및 트라이플록시스트로빈을 들 수 있다. 옥시미노아세트아미드로는 디목시스트로빈, 페나민스트로빈 ((αE)-2-[[[(E)-[(2E)-3-(2,6-다이클로로페닐)-1-메틸-2-프로펜-1-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α-(메톡시이미노)-N-메틸벤젠아세트아미드, 2-[[[(3-(2,6-다이클로로페닐)-1-메틸-2-프로펜-1-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α-(메톡시이미노)-N-메틸벤젠아세트아미드로도 공지됨),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및 α-(메톡시이미노)-N-메틸-2-[[[1-[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벤젠아세트아미드를 들 수 있다. 다이하이드로다이옥사진으로는 플루옥사스트로빈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리딘디온으로는 파목사돈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리논으로는 페나미돈을 들 수 있다. 벤질카르바메이트로는 피리벤카브를 들 수 있다. 부류 (c11)에는 또한 만데스트로빈 (2-[(2,5-다이메틸페녹시)메틸]-α-메톡시-N-벤젠아세트아미드)가 포함된다.
(12) "페닐피롤 살진균제" (FRAC 코드 12)는 진균류의 삼투압 시그널 전달과 관련된 MAP 히스티딘 키나아제를 저해한다. 펜피클로닐 및 플루디옥소닐은 이러한 살진균제 부류의 예이다.
(13) "아자나프탈렌 살진균제"로도 공지된 "아자나프탈렌 살진균제" (FRAC 코드 13)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메카니즘에 의해 시그널 전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들은 흰가루병을 일으키는 진균류의 발아 및/또는 부착기 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퀴놀린 살진균제로는 아릴옥시퀴놀린 및 퀴나졸리논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퀴놀린으로는 퀴녹시펜 및 테부플로퀸을 들 수 있다. 퀴나졸리논으로는 프로퀴나지드를 들 수 있다.
(14) "지질 과산화 저해제 살진균제" (FRAC 코드 14)는 진균류의 막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 과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부류의 구성원, 예컨대 에트리다이아졸은 또한 기타 생물학적 과정, 예컨대 호흡 및 멜라닌 생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질 과산화 살진균제로는 방향족 탄화수소 및 1,2,4-티아다이아졸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살진균제로는 바이페닐, 클로로넵, 디클로란, 퀸토젠, 텍나젠 및 톨클로포스-메틸을 들 수 있다. 1,2,4-티아다이아졸 살균제로는 에트리다이아졸을 들 수 있다.
(15)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환원 효소 (MBI-R) 살진균제" (FRAC 코드 16.1)는 멜라닌 생합성에서의 나프탈 환원 (naphthal reduction) 단계를 저해한다. 멜라닌은 일부의 진균류에 의한 숙주 식물 감염에 필요하다.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환원 효소 살진균제로는 아이소벤조푸라논, 피롤로퀴놀리논 및 트라이아졸로벤조티아졸을 들 수 있다. 아이소벤조푸라논으로는 프탈라이드 (또는 "fthalide"로 표기됨)를 들 수 있다. 피롤로퀴놀리논으로는 피로퀼론을 들 수 있다. 트라이아졸로벤조티아졸로는 트라이사이클라졸을 들 수 있다.
(16)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탈수 효소 (MBI-D) 살진균제" (FRAC 코드 16.2)는 멜라닌 생합성에서의 시탈론 탈수 효소를 저해한다. 멜라닌은 일부의 진균류에 의한 숙주 식물 감염에 필요하다.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탈수 효소 살진균제로는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스아미드, 카르복스아미드 및 프로피온아미드를 들 수 있다.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스아미드로는 카르프로파미드를 들 수 있다. 카르복스아미드로는 디클로사이메트를 들 수 있다. 프로피온아미드로는 페녹사닐을 들 수 있다.
(17) "하이드록시아닐리드 살진균제 (FRAC 코드 17)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SBI): 부류 III 살진균제는 스테롤 생성에 있어서의 C4-탈메틸화 동안에 3-케토 환원 효소를 저해한다. SBI: 부류 III 저해제로는 하이드록시아닐리드 살진균제 및 아미노피라졸리논 살진균제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아닐리드로는 펜헥사미드를 들 수 있다. 아미노피라졸리논으로는 펜피라자민 (S-2-프로펜-1-일 5-아미노-2,3-다이하이드로-2-(1-메틸에틸)-4-(2-메틸페닐)-3-옥소-1H-피라졸-1-카르보티오에이트, 1-[(2-프로페닐티오)카르보닐]-2-(1-메틸에틸)-4-(2-메틸페닐)-5-아미노-1H-피라졸-3-온으로도 공지됨)을 들 수 있다.
(18) "스쿠알렌-에폭시다아제 저해제 살진균제" (FRAC 코드 18)는 스테롤 생합성 경로에서의 스쿠알렌-에폭시다아제를 저해한다. 스테롤, 예컨대 에르고스테롤은 기능 세포벽의 발육에 필수적인 막 구조 및 막 기능에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 살진균제에 노출되면, 감수성 진균류의 비정상 성장을 초래하여, 결국은 감수성 진균류의 사멸을 가져온다. 스쿠알렌-에폭시다아제 저해제 살진균제로는 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알릴아민을 들 수 있다. 티오카르바메이트로는 피리부티카브를 들 수 있다. 알릴아민으로는 나프티핀 및 테르비나핀을 들 수 있다.
(19) "폴리옥신 살진균제" (FRAC 코드 19)는 키틴 신타아제를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폴리옥신을 들 수 있다.
(20) "페닐우레아 살진균제" (FRAC 코드 20)는 세포 분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의 예로는 펜사이쿠론을 들 수 있다.
(21) "퀴논 인사이드 저해제 (QiI) 살진균제" (FRAC 코드 21)는 유비퀴놀 환원 효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의 복합체 III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저해한다. 유비퀴놀 환원은 진균류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위치하는 사이토크롬 bc 1 복합체의 "퀴논 인사이드" (Qi) 부위에서 저지된다. 미토콘드리아 호흡 저해는 정상적인 진균류 성장 및 발육을 저지시킨다. 퀴논 인사이드 저해제 살진균제로는 시아노이미다졸 및 설파모일트라이아졸을 들 수 있다. 시아노이미다졸로는 시아조파미드를 들 수 있다. 설파모일트라이아졸로는 아미설브롬을 들 수 있다.
(22) "벤즈아미드 및 티아졸카르복스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22) (간단히 "벤즈아미드 살진균제"로도 공지됨)는 β-튜뷸린에 결합하여, 미소관 중합을 방해함으로써, 유사 분열을 저해한다. 미소관 중합 저해는 세포 분열, 세포 내의 수송 및 세포 구조를 방해할 수 있다. 벤즈아미드로는 족사미드를 들 수 있다. 티아졸카르복스아미드로는 에타복삼을 들 수 있다.
(23) "에노피라누론산 항생제 살진균제" (FRAC 코드 23)는 단백질 생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블라스티시딘-S를 들 수 있다.
(24) "헥소피라노실 항생제 살진균제" (FRAC 코드 24)는 단백질 생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카수가마이신을 들 수 있다.
(25) "글루코피라노실 항생제: 단백질 합성 살진균제" (FRAC 코드 25)는 단백질 생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스트렙토마이신을 들 수 있다.
(26) "글루코피라노실 항생제: 트레할라아제 및 이노시톨 생합성 살진균제" (FRAC 코드 26)는 트레할라아제 및 이노시톨 생합성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발리다마이신을 들 수 있다.
(27) "시아노아세트아미드옥심 살진균제" (FRAC 코드 27)로는 사이목사닐을 들 수 있다.
(28) "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FRAC 코드 28)는 진균류 성장의 멀티사이트 저해제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들은 세포막의 지방산 합성을 저해한 다음에, 세포막 투과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프로파마카브, 프로파마카브-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요오도카브, 및 프로티오카브는 이러한 살진균제 부류의 예이다.
(29) "산화적 인산화 언커플링 살진균제" (FRAC 코드 29)는 언커플링 산화적 인산화에 의해 진균류 호흡을 저해한다. 호흡 저해는 정상적인 진균류 성장 및 발육을 저지시킨다. 이러한 부류로는 2,6-다이니트로아닐린, 예컨대 플루아지남, 및 다이니트로페닐 크로토네이트, 예컨대 디노캡, 멥틸디노캡 및 비나파크릴을 들 수 있다.
(30) "유기 주석 살진균제" (FRAC 코드 30)는 산화적 인산화 경로에서의 아데노신 트라이포스페이트 (ATP) 신타아제를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펜틴 아세테이트, 펜틴 클로라이드 및 펜틴 하이드록사이드를 들 수 있다.
(31) "카르복실산 살진균제" (FRAC 코드 31)는 데옥시리보핵산 (DNA) 토포아이소메라아제형 II (자이라아제)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옥솔린산을 들 수 있다.
(32) "헤테로 방향족 살진균제" (FRAC 코드 32)는 DNA/리보핵산 (RNA)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헤테로 방향족 살진균제로는 아이속사졸 및 아이소티아졸론을 들 수 있다. 아이속사졸로는 하이멕사졸을 들 수 있으며, 아이소티아졸론으로는 옥틸리논을 들 수 있다.
(33) "포스포네이트 살진균제" (FRAC 코드 33)로는 아인산 및 포세틸-알루미늄을 비롯한 이의 각종 염을 들 수 있다.
(34) "프탈람산 살진균제" (FRAC 코드 34)로는 테클로프탈람을 들 수 있다.
(35) "벤조트라이아진 살진균제" (FRAC 코드 35)로는 트라이아족사이드를 들 수 있다.
(36) "벤젠-설폰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36)로는 플루설파미드를 들 수 있다.
(37) "피리다지논 살진균제" (FRAC 코드 37)로는 디클로메진을 들 수 있다.
(38) "티오펜-카르복스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38)는 ATP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의 예로는 실티오팜을 들 수 있다.
(39) 복합체 I NADH 산화 환원 효소 저해제 살진균제로도 공지된 "피리미딘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39)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을 저해하며, 피리미딘아민, 예컨대 디플루메토림, 및 피라졸-5-카르복스아미드, 예컨대 톨펜피라드를 들 수 있다.
(40) "카르복실산 아미드 (CAA) 살진균제" (FRAC 코드 40)는 셀룰로오스 합성 효소를 저해하며, 표적 진균류의 성장을 저지하여, 표적 진균류의 사멸을 가져온다. 카르복실산 아미드 살진균제로는 신남산 아미드, 발린아미드 카르바메이트, 카르바메이트 및 만델산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신남산 아미드로는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및 피리모르프 (3-(2-클로로-4-피리디닐)-3-[4-(1,1-다이메틸에틸)페닐]-1-(4-모르폴리닐)-2-프로펜-1-온)를 들 수 있다. 발린아미드 카르바메이트로는 벤티아발리카브, 벤티아발리카브-아이소프로필, 이프로발리카브, 톨프로카브 (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 N-[(1S)-2-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및 발리페날레이트 (메틸 N-[(1-메틸에톡시)카르보닐]-L-발릴-3-(4-클로로페닐)-β-알라니네이트) (발리페날로도 공지됨)를 들 수 있다. 만델산 아미드로는 만디프로파미드, N-[2-[4-[[3-(4-클로로페닐)-2-프로핀-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메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 및 N-[2-[4-[[3-(4-클로로페닐)-2-프로핀-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에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를 들 수 있다.
(41)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 살진균제" (FRAC 코드 41)는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들 수 있다.
(42) "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FRAC 코드 42)로는 메타설포카브를 들 수 있다.
(43) "벤즈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43)는 스펙트린양 단백질의 비편재화에 의해 진균류 성장을 저해한다. 이의 예로는 피리디닐메틸 벤즈아미드 살진균제, 예컨대 플루오피콜라이드를 들 수 있다.
(44) "숙주 식물 방어 유도 살진균제" (FRAC 코드 P)는 숙주 식물 방어 메카니즘을 유도한다. 숙주 식물 방어 유도 살진균제로는 벤조티아다이아졸, 벤즈아이소티아졸 및 티아다이아졸카르복스아미드를 들 수 있다. 벤조티아다이아졸로는 아시벤졸라-S-메틸을 들 수 있다. 벤즈아이소티아졸로는 프로베나졸을 들 수 있다. 티아다이아졸카르복스아미드로는 티아디닐 및 아이소티아닐을 들 수 있다.
(45) "멀티사이트 접촉 살진균제"는 다수의 작용 부위를 통해 진균류 성장을 저해하며, 접촉/예방 활성을 갖는다. 이러한 부류의 살진균제로는 (45.1) "구리 살진균제" (FRAC 코드 M1)", (45.2) "황 살진균제" (FRAC 코드 M2), (45.3) "다이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 (FRAC 코드 M3), (45.4) "프탈이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M4), (45.5) "클로로니트릴 살진균제" (FRAC 코드 M5), (45.6) "설파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M6), (45.7) "멀티사이트 접촉 구아니딘 살진균제" (FRAC 코드 M7), (45.8) "트라이아진 살진균제" (FRAC 코드 M8), (45.9) "퀴논 살진균제" (FRAC 코드 M9), 퀴녹살린 살진균제" (FRAC 코드 M10) 및 "말레이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M11)를 들 수 있다. "구리 살진균제"는 전형적으로 구리(II) 산화 상태의 구리를 함유하는 무기 화합물이며; 이의 예로는 조성물, 예컨대 보르도액 (Bordeaux mixture; 삼염기성 황산구리)을 비롯한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및 수산화구리를 들 수 있다. "황 살진균제"는 황 원자 환 또는 쇄를 포함하는 무기 화학물질이며; 이의 예로는 황 원소를 들 수 있다. "다이티오카르바메이트 살진균제"는 다이티오카르바메이트 분자 부분을 포함하며; 이의 예로는 만코젭, 메티람, 프로피넵, 퍼밤, 마넵, 티람, 지넵 및 지람을 들 수 있다. "프탈이미드 살진균제"는 프탈이미드 분자 부분을 포함하며; 이의 예로는 폴페트, 캡탄 및 캡타폴을 들 수 있다. "클로로니트릴 살진균제"는 클로로 및 시아노로 치환된 방향족 환을 포함하며; 이의 예로는 클로로탈로닐을 들 수 있다. "설파미드 살진균제"로는 디클로플루아니드 및 톨리플루아니드를 들 수 있다. "멀티사이트 접촉 구아니딘 살진균제"로는 구아자틴, 이미녹타딘 알베실레이트 및 이미녹타딘 트라이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트라이아진 살진균제"로는 아닐라진을 들 수 있다. "퀴논 살진균제"로는 디티아논을 들 수 있다. "퀴녹살린 살진균제"로는 퀴노메티오네이트 (키노메티오네이트로도 공지됨)를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 살진균제"로는 플루오로이미드를 들 수 있다.
(46) "부류 (1) 내지 (45)의 살진균제 이외의 살진균제"로는 작용 모드가 미지일 수 있는 특정 살진균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46.1) "페닐아세트아미드 살진균제" (FRAC 코드 U6), (46.2) "벤조페논 살진균제"로도 공지된 "아릴페닐케톤 살진균제" (FRAC 코드 U8), (46.3) "구아니딘 살진균제" (FRAC 코드 U12), (46.4) "티아졸리딘 살진균제" (FRAC 코드 U13), (46.5) "피리미디논-하이드라존 살진균제" (FRAC 코드 U14) 및 (46.6) "QxI 살진균제" ("트라이아졸로피리미딜아민 살진균제"로도 공지됨) (FRAC 코드 45)를 포함한다. 페닐아세트아미드로는 사이플루페나미드 및 N-[[(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아미노][6-(다이플루오로메톡시)-2,3-다이플루오로페닐]-메틸렌]벤젠아세트아미드를 들 수 있다. 아릴페닐케톤으로는 벤조-페논, 예컨대 메트라페논 및 벤조일피리딘, 예컨대 피리오페논 (5-클로로-2-메톡시-4-메틸-3-피리디닐)(2,3,4-트라이메톡시-6-메틸페닐)메탄온)을 들 수 있다. 구아니딘으로는 도딘을 들 수 있다. 티아졸리딘으로는 플루티아닐 ((2Z)-2-[[2-플루오로-5-(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2-[3-(2-메톡시페닐)-2-티아졸리디닐리덴]아세토니트릴)을 들 수 있다. 피리미디논-하이드라존으로는 페림존을 들 수 있다.
QxI 살진균제는 이제,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의 미지 (Qx)의 부위에서 유비퀴논 환원 효소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진균류의 복합체 III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저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미토콘드리아 호흡 저해는 정상적인 진균류 성장 및 발육을 저지시킨다. QxI 살진균제로는 트라이아졸로피리미디닐아민, 예컨대 아메톡트라딘 (5-에틸-6-옥틸[1,2,4]트라이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을 들 수 있다.
살진균제로는 (46.7) N'-[4-[[3-[(4-클로로페닐)메틸]-1,2,4-티아다이아졸-5-일]옥시]-2,5-다이메틸페닐]-N-에틸-N-메틸메탄이미드아미드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스테롤 생합성에 관여하는 C24-메틸 트랜스페라아제를 저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6) 부류로는 또한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2013/009971호에 기재된 옥시스테롤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는 (46.8) 화합물, 예컨대 옥사티아피프롤린 (1-[4-[4-[5-(2,6-다이플루오로페닐)-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 및 이의 R-에난티오머를 들 수 있다. (46) 부류로는 추가로 상술한 특정 부류 (예를 들어, 1, 10 및 22)의 것들 이외에도, 유사 분열- 및 세포 분열 저해 살진균제를 들 수 있다.
부류 (46) (즉, "부류 (1) 내지 (45) 이외의 살진균제")로는 또한 베톡사진, 플루메토버, 네오-아소진 (메탄아르손산제이철 (ferric methanearsonate)), 피롤니트린, 퀴노메티오네이트, 테부플로퀸, 톨니파니드, (6-(1,1-다이메틸에틸)-8-플루오로-2,3-다이메틸-4-퀴놀리닐 아세테이트), 2-[[2-플루오로-5-(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2-[3-(2-메톡시페닐)-2-티아졸리디닐리덴]아세토니트릴, 4-플루오로페닐 N-[1-[[[1-(4-시아노페닐)에틸]설포닐]-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N-(4-클로로-2-니트로페닐)-N-에틸-4-메틸벤젠설폰아미드, N-[[(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아미노][6-(다이플루오로메톡시)-2,3-다이플루오로페닐]메틸렌]-벤젠아세트아미드, N'-[4-[4-클로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다이메틸페닐]-N-에틸-N-메틸-메탄이미드아미드, 1,1-다이메틸에틸 N-[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디닐]카르바메이트, 3-부틴-1-일 N-[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디닐]카르바메이트, 2,6-다이메틸-1H,5H-[1,4]다이티이노[2,3-c:5,6-c']다이피롤-1,3,5,7(2H,6H)-테트론, 5-플루오로-2-[(4-메틸페닐)메톡시]-4-피리미딘아민 및 5-플루오로-2-[(4-플루오로페닐)메톡시]-4-피리미딘아민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열거된 살진균제 이외의 추가의 살진균제로는 또한 2-[(3-브로모-6-퀴놀리닐)옥시]-N-(1,1-다이메틸-2-부틴-1-일)-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 2-[(3-에티닐-6-퀴놀리닐)옥시]-N-[1-(하이드록시메틸)-1-메틸-2-프로핀-1-일]-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 N-(1,1-다이메틸-2-부틴-1-일)-2-[(3-에티닐-6-퀴놀리닐)옥시]-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 2-[(3-브로모-8-메틸-6-퀴놀리닐)옥시]-N-(1,1-다이메틸-2-프로핀-1-일)-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 2-[(3-브로모-6-퀴놀리닐)옥시]-N-(1,1-다이메틸에틸)부탄아미드, (2-클로로-6-플루오로페닐)메틸 2-[1-[2-[3,5-비스(다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4-피페리디닐]-4-티아졸카르복실레이트, (1R)-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 2-[1-[2-[3,5-비스(다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4-피페리디닐]-4-티아졸카르복실레이트, 1-[4-[4-[5-[(2,6-다이플루오로페녹시)메틸]-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 [[4-메톡시-2-[[[(3S,7R,8R,9S)-9-메틸-8-(2-메틸-1-옥소프로폭시)-2,6-다이옥소-7-(페닐메틸)-1,5-다이옥소난-3-일]아미노]카르보닐]-3-피리디닐]옥시]메틸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3S,6S,7R,8R)-3-[[[3-(아세틸옥시)-4-메톡시-2-피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6-메틸-4,9-다이옥소-8-(페닐메틸)-1,5-다이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3S,6S,7R,8R)-3-[[[3-[(아세틸옥시)메톡시]-4-메톡시-2-피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6-메틸-4,9-다이옥소-8-(페닐메틸)-1,5-다이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3S,6S,7R,8R)-3-[[[4-메톡시-3-[[(2-메틸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2-피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6-메틸-4,9-다이옥소-8-(페닐메틸)-1,5-다이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N-[[3-(1,3-벤조다이옥솔-5-일메톡시)-4-메톡시-2-피리디닐]-카르보닐]-O-[2,5-다이데옥시-3-O-(2-메틸-1-옥소프로필)-2-(페닐메틸)-L-아라비노노일]-L-세린, (1→4')-락톤, 3-(다이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rel-1-[[(2R,3S)-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1H-1,2,4-트라이아졸, rel-2-[[(2R,3S)-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1,2-다이하이드로-3H-1,2,4-트라이아졸-3-티온, rel-1-[[(2R,3S)-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5-(2-프로펜-1-일티오)-1H-1,2,4-트라이아졸, rel-1-[[(2R,3S)-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1H-1,2,4-트라이아졸-5-일 티오시아네이트, α-[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 (αS)-[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 (αR)-[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 3-[2-[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2-옥시라닐]피리딘 및 2-에틸-3,7-다이메틸-6-[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4-퀴놀리닐 메틸 카르보네이트 (플로메토퀸)를 들 수 있다.
성분 (1) 내지 (46)으로서 개시된 살진균제 화합물 이외에도 또는 이의 대체품으로서, 성분 (b)은 하나 이상의 "미생물 살진균제" (FRAC 코드 44)를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살진균제"는 전형적으로 진균 병원체 세포막을 방해한다. 미생물 살진균제로는 바실러스 종, 예를 들어 바실러스 (Bacillus) 종, 예컨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 QST 713, FZB24, MB1600, D747, 및 이들이 생산하는 살진균성 리포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상술한 부류 (1) 내지 (46)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진균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즉, 조성물)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 (살진균적 유효량으로)과, 추가로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및 액체 희석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주목해야 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살진균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성분들의 상승적 기여에 의해 식물병 방제 향상 (즉, 예방 및/또는 치료)을 제공할 수 있다. 식물병 방제 향상은 훨씬 더 광범위하고 장기간의 식물병 방제 또는 내성 발현 지연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성분들의 기여는 상호 보완적으로 상가적일 수 있거나, 심지어는 상승적 상호작용을 통한 상가 작용 이상일 수 있다.
성분 (b)의 살진균제의 예로는 아시벤졸라-S-메틸, 알디모르프, 아메톡트라딘, 아미설브롬, 아닐라진, 아자코나졸, 아족시스트로빈, 베날락실 (베날락실-M 포함), 베노다닐, 베노밀, 벤티아발리카브 (벤티아발리카브-아이소프로필 포함), 벤조빈다이플루피르, 베톡사진, 비나파크릴, 바이페닐, 비터타놀, 빅사펜, 블라스티시딘-S, 보스칼리드, 브로무코나졸, 부피리메이트, 부티오베이트, 캡타폴, 캡탄, 카벤다짐, 카르복신, 카르프로파미드, 클로로넵, 클로로탈로닐, 클로졸리네이트, 클로트리마졸, 수산화구리,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시아조파미드, 사이플루페나미드, 사이목사닐, 사이프로코나졸, 사이프로디닐,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로사이메트,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에토펜카브, 디페노코나졸, 디플루메토림, 디메티리몰, 디메토모르프, 디목시스트로빈,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포함), 디노캡, 디티아논, 다이티올란, 도데모르프, 도딘, 에코나졸, 에디펜포스, 에녹사스트로빈,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에타복삼, 에티리몰, 에트리다이아졸, 파목사돈, 페나리몰, 페나미돈, 펜부코나졸, 펜푸람, 펜헥사미드, 페녹사닐, 펜피클로닐,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펜피라자민, 펜틴 아세테이트, 펜틴 클로라이드, 펜틴 하이드록사이드, 퍼밤, 페림존, 플루아지남, 플루디옥소닐, 플루메토버, 플루모르프, 플루오피콜라이드, 플루오피람, 플루오로미드, 플루옥사스트로빈,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설파미드, 플루티아닐, 플루톨라닐, 플루트리아폴, 플룩사피록사드, 폴페트, 포세틸-알루미늄, 푸베리다졸, 푸랄락실, 푸라메트피르, 구아자틴, 헥사코나졸, 하이멕사졸,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이미녹타딘 알베실레이트, 이미녹타딘 트라이아세테이트, 요오도카브, 이프코나졸, 이프로벤포스, 이프로디온, 이프로발리카브, 아이소코나졸, 아이소페타미드, 아이소프로티올란, 아이소피라잠, 아이소티아닐, 카수가마이신, 크레속심-메틸, 만코젭, 만디프로파미드, 마넵, 메페녹삼, 메파니피림, 메프로닐, 멥틸디노캡, 메탈락실 (메탈락실-M/메페녹삼 포함), 메트코나졸, 메타설포카브, 메티람, 메토미노스트로빈, 메트라페논, 미코나졸, 마이클로부타닐, 나프티핀, 네오-아소진, 누아리몰, 옥틸리논, 오푸레이스, 오리사스트로빈, 옥사딕실, 옥솔린산, 옥스포코나졸, 옥시카르복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펜사이쿠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아인산 (이의 염 포함), 프탈라이드, 피코벤자미드, 피콕시스트로빈, 피페랄린, 폴리옥신, 프로베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사이미돈, 프로파모카브, 프로피코나졸, 프로피넵, 프로퀴나지드, 프로티오카브, 프로티오코나졸,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라조포스, 피리벤카브, 피리부티카브, 피리페녹스, 피리메타닐, 피리오페논, 피로퀼론, 피롤니트린, 퀸코나졸, 퀴노메티오네이트, 퀴녹시펜, 퀸토젠, 세닥산, 실티오팜, 시메코나졸, 스피록사민, 스트렙토마이신, 황, 테부코나졸, 테부플로퀸,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텍나젠, 테르비나핀, 테트라코나졸, 티아벤다졸, 티플루자미드,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람, 티아디닐, 톨클로포스-메틸, 톨프로카브, 톨릴플루아니드,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아디메놀, 트라이아리몰, 트라이티코나졸, 트라이아족사이드, 삼염기성 황산구리, 트라이사이클라졸, 트라이데모르프, 트라이플록시스트로빈, 트라이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라이모르파미드, 유니코나졸, 발리다마이신, 발리페날레이트, 발리페날, 빈클로졸린, 지넵, 지람, 족사미드, 3-[5-(4-클로로페닐)-2,3-다이메틸-3-아이속사졸리디닐]피리딘, 4-플루오로페닐 N-[1-[[[1-(4-시아노페닐)에틸]설포닐]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5-클로로-6-(2,4,6-트라이플루오로페닐)-7-(4-메틸피페리딘-1-일)[1,2,4]-트라이아졸로[1,5-a]피리미딘, N-(4-클로로-2-니트로페닐)-N-에틸-4-메틸벤젠설폰아미드, N-[[(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아미노][6-(다이플루오로메톡시)-2,3-다이플루오로페닐]메틸렌]-벤젠아세트아미드, N-[2-(1S,2R)-[1,1'-바이사이클로프로필]-2-일페닐]-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N-[2-[4-[[3-(4-클로로페닐)-2-프로핀-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메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 N-[2-[4-[[3-(4-클로로페닐)-2-프로핀-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에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 N-[2-[4-[[3-(4-클로로페닐)-2-프로핀-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메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 N-[2-[4-[[3-(4-클로로페닐)-2-프로핀-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3-메틸-2-[(에틸설포닐)아미노]부탄아미드, N'-[4-[[3-[(4-클로로페닐)메틸]-1,2,4-티아다이아졸-5-일]옥시]-2,5-다이메틸페닐]-N-에틸-N-메틸-메탄이미드아미드, N'-[4-[4-클로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다이메틸-페닐]-N-에틸-N-메틸메탄이미드아미드, α-[메톡시이미노]-N-메틸-2-[[[1-[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벤젠아세트아미드, 2-부톡시-6-요오도-3-프로필-4H-1-벤조피란-4-온, 2-[[[3-(2,6-다이클로로페닐)-1-메틸-2-프로펜-1-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α-(메톡시이미노)-N-메틸벤젠아세트아미드 (페나민스트로빈), 펜틸 N-[4-[[[[(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티아졸릴]카르바메이트, 2-[(3-브로모-6-퀴놀리닐)옥시]-N-(1,1-다이메틸-2-부틴-1-일)-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 2-[(3-에티닐-6-퀴놀리닐)옥시]-N-[1-(하이드록시메틸)-1-메틸-2-프로핀-1-일]-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 및 N-(1,1-다이메틸-2-부틴-1-일)-2-[(3-에티닐-6-퀴놀리닐)옥시]-2-(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를 들 수 있다.
성분 (b)의 살진균제의 추가 예로는 1-[4-[4-[5-(2,6-다이플루오로페닐)-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 (옥사티아피프롤린), 1-[4-[4-[5R-(2,6-다이플루오로페닐)-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 1-[4-[4-[5-[(2,6-다이플루오로페녹시)메틸]-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 (2-클로로-6-플루오로페닐)메틸 2-[1-[2-[3,5-비스(다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4-피페리디닐]-4-티아졸카르복실레이트, (1R)-1,2,3,4-테트라하이드로-1-나프탈레닐 2-[1-[2-[3,5-비스(다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4-피페리디닐]-4-티아졸카르복실레이트, [[4-메톡시-2-[[[(3S,7R,8R,9S)-9-메틸-8-(2-메틸-1-옥소프로폭시)-2,6-다이옥소-7-(페닐메틸)-1,5-다이옥소난-3-일]아미노]카르보닐]-3-피리디닐]옥시]메틸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3S,6S,7R,8R)-3-[[[3-(아세틸옥시)-4-메톡시-2-피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6-메틸-4,9-다이옥소-8-(페닐메틸)-1,5-다이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3S,6S,7R,8R)-3-[[[3-[(아세틸옥시)메톡시]-4-메톡시-2-피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6-메틸-4,9-다이옥소-8-(페닐메틸)-1,5-다이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3S,6S,7R,8R)-3-[[[4-메톡시-3-[[(2-메틸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2-피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6-메틸-4,9-다이옥소-8-(페닐메틸)-1,5-다이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N-[[3-(1,3-벤조다이옥솔-5-일메톡시)-4-메톡시-2-피리디닐]카르보닐]-O-[2,5-다이데옥시-3-O-(2-메틸-1-옥소프로필)-2-(페닐메틸)-L-아라비노노일]-L-세린, (1→4')-락톤, 5-플루오로-2-[(4-메틸페닐)메톡시]-4-피리미딘아민, 5-플루오로-2-[(4-플루오로페닐)메톡시]-4-피리미딘아민, 5,8-다이플루오로-N-[2-[3-메톡시-4-[[4-(트라이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옥시]페닐]에틸]-4-퀴나졸린아민, 펜틸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디닐]카르바메이트, 1,1-다이메틸에틸 N-[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디닐]카르바메이트, 3-부틴-1-일 N-[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디닐]카르바메이트, N-(3',4'-다이플루오로[1,1'-바이페닐]-2-일)-3-(트라이플루오로메틸)-2-피라진카르복스아미드, N-[2-(2,4-다이클로로페닐)-2-메톡시-1-메틸에틸]-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3-(다이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3-(다이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αR)-2-[(2,5-다이메틸페녹시)메틸]-α-메톡시-N-메틸벤젠아세트아미드, 2,6-다이메틸-1H,5H-[1,4]다이티이노[2,3-c:5,6-c']다이피롤-1,3,5,7(2H,6H)-테트론, 아이소페타미드, 톨프로카브, 1-[[(2S,3R)-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1H-1,2,4-트라이아졸, 2-[[(2S,3R)-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1,2-다이하이드로-3H-1,2,4-트라이아졸-3-티온, 1-[[(2S,3R)-3-(2-클로로페닐)-2-(2,4-다이플루오로페닐)-2-옥시라닐]메틸]-5-(2-프로펜-1-일티오)-1H-1,2,4-트라이아졸, α-[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 (αS)-[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 (αR)-[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3-피리딘메탄올, 3-[2-[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다이플루오로페닐)-4-아이속사졸릴]-2-옥시라닐]피리딘 및 2-에틸-3,7-다이메틸-6-[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4-퀴놀리닐 메틸 카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는 다른 생물 활성 화합물 또는 생물 활성제의 예로는 살충제, 예컨대 아바멕틴, 아세페이트, 아세타미프리드, 아크리나트린, 아미도플루메트 (S-1955), 아버멕틴, 아자디라크틴, 아진포스-메틸, 비펜트린, 비페나제이트, 부프로페진, 카르보푸란, 칼탑, 클로란트라닐리프롤, 클로르페나피르, 클로르플루아주론,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크로마페노자이드, 클로티아니딘, 시안트라닐리프롤 (3-브로모-1-(3-클로로-2-피리디닐)-N-[4-시아노-2-메틸-6-[(메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1H-피라졸-5-카르복스아미드), 사이플루메토펜, 사이플루트린, 베타-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사이로마진, 델타메트린, 디아펜티우론, 디아지논, 디엘드린, 디플루벤주론, 디메플루트린, 디메토에이트, 디노테푸란, 디오페놀란, 에마멕틴, 엔도설판,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티프롤, 페노티오카브, 페녹시카브,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피프로닐, 플로니카미드, 플루벤디아미드, 플루사이트리네이트,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플루페네림 (UR-50701), 플루페녹수론, 포노포스, 할로페노자이드, 헥사플루무론, 하이드라메틸논, 이미다클로프리드, 인독사카브, 아이소펜포스, 루페누론, 말라티온, 메퍼플루트린, 메타플루미존, 메트알데히드,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토밀, 메토프렌, 메톡시클로르, 메톡시페노자이드, 메토플루트린, 밀베마이신 옥심, 모노크로토포스, 니코틴, 니텐피람, 니티아진,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XDE-007), 옥사밀,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퍼메트린,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피리미카브, 프로페노포스, 프로플루트린, 피메트로진, 피라플루프롤, 피레트린,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피리프롤, 피리프록시펜, 로테논, 리아노딘, 스피네토람, 스피노사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BSN 2060), 스피로테트라마트, 설폭사플로르, 설프로포스, 테부페노자이드, 테플루벤주론, 테플루트린,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테트라메틸플루트린,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티오디카브, 티오설탑-소듐, 톨펜피라드, 트랄로메트린, 트라이아자메이트, 트라이클로르폰 및 트라이플루무론; 및 곤충병원성 세균, 예컨대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서브서피시즈 아이자와이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서브서피시즈 쿠르스타키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및 캡슐화된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델타-내독소 (예를 들어, 셀캡, MPV, MPVII); 곤충병원성 진균, 예컨대 녹강균; 및 바큘로바이러스,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NPV), 예를 들어 HzNPV, AfNPV를 비롯한 곤충병원성 바이러스; 및 과립병 바이러스 (GV), 예를 들어 CpGV를 비롯한 생물 작용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조성물은 무척추 해충에 유독한 단백질 (예를 들어,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델타-내독소)을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형질전환된 식물에 적용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적용된 본 발명의 살진균제 화합물의 효과는 발현된 독소 단백질로 상승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농업용 보호제 (즉, 살충제, 살진균제, 살선충제, 진드기 구충제, 제초제 및 생물 작용제)에 관한 일반적인 참고문헌으로는 문헌 [참조: The Pesticide Manual, 13th Edition, C. D. S. Tomlin, Ed.,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Surrey, U.K., 2003] 및 문헌 [참조: The BioPesticide Manual, 2nd Edition, L. G. Copping, Ed.,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Surrey, U.K., 2001]을 들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성분 (a)의 살진균제 화합물과 성분 (b)의 살진균제 화합물의 혼합물과 무척추 해충 방제 화합물 또는 방제제 (즉, 성분 (c)으로서의 생물 활성 성분)의 배합물은 상가 작용 이상 (즉, 상승)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효과적인 해충 방제를 보장하면서 환경에 방출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항상 바람직하다. 무척추 해충 방제 활성 성분의 상승 작용이 농경학적으로 만족스러운 레벨의 무척추 해충 방제를 부여하는 적용량으로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러한 배합물은 작물 생산비를 감소시키고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승 작용은 또한 식물병 방제 또는 보호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진균제 조성물에서, 성분 (a) (즉,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및 성분 (b)은 살진균적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성분 (b) (즉, 하나 이상의 추가의 살진균제 화합물)에 대한 성분 (a)의 중량비는 통상적으로 약 1:3000 내지 약 3000:1,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1:500 내지 약 500:1이다.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중량비가 약 125:1 내지 약 1:125인 조성물에 주목된다. 다수의 성분 (b)의 살진균제 화합물을 사용하는 이들 조성물은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의 방제에 특히 효과적이다.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중량비가 약 25:1 내지 약 1:25, 또는 약 5:1 내지 약 1:5인 조성물에 특히 주목된다. 당업자는 원하는 살진균적 보호 및 방제 범위에 필요한 살진균제 화합물의 중량비 및 적용량을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표 A1은 본 발명의 혼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하는 성분 (a)로서의 화합물 18과의 성분 (b)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배합물을 열거한다. (화합물 번호는 인덱스 표 A 내지 G의 화합물을 말한다). 표 A1의 두 번째 컬럼은 구체적인 성분 (b)의 화합물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의 "1-[4-[4-[5-(2,6-다이플루오로페닐)-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을 열거한다. 표 A1의 세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컬럼은 성분 (a)의 화합물이 성분 (b)에 대하여 노지 작물 (field-grown crop)에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비율에 있어서의 중량비 범위를 열거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 A1의 첫 번째 행은 구체적으로, 화합물 1과 성분 (b)의 배합물이 전형적으로 400:1 내지 1:1의 성분 (b)에 대한 화합물 1의 중량비로 적용됨을 개시한다. 표 A1의 나머지 행들은 유사하게 해석될 것이다.
[표 A1]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표 A2 내지 A29는 각각, "성분 (a)" 컬럼 헤딩 아래의 항목이 아래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 (a) 컬럼 항목으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표 A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 A2에서 "성분 (a)" 컬럼 헤딩 아래의 항목이 모두 "화합물 10"을 열거하며, 표 A2의 컬럼 헤딩 아래의 첫 번째 행은 구체적으로, 화합물 10과 1-[4-[4-[5-(2,6-다이플루오로페닐)-4,5-다이하이드로-3-아이속사졸릴]-2-티아졸릴]-1-피페리디닐]-2-[5-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탄온의 배합물을 개시한다. 표 A3 내지 A29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Figure pct00051
표 B1은 또한 본 발명의 혼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하는 성분 (a)로서의 화합물 18과의 성분 (b)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배합물을 열거한다. (화합물 번호는 인덱스 표 A 내지 G의 화합물을 말한다). 표 B1의 두 번째 컬럼은 구체적인 성분 (b)의 화합물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의 "아시벤졸라-S-메틸")을 열거한다. 표 B1의 세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컬럼은 성분 (a)의 화합물이 성분 (b)에 대하여 노지 작물에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비율에 있어서의 중량비 범위를 열거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 B1의 첫 번째 행은 구체적으로, 화합물 18과 아시벤졸라-S-메틸의 배합물이 전형적으로 2:1 내지 1:180의 중량비로 적용됨을 개시한다. 표 B1의 나머지 행들은 유사하게 해석될 것이다.
[표 B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표 B2 내지 B29는 각각, "성분 (a)" 컬럼 헤딩 아래의 항목이 아래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 (a) 컬럼 항목으로 교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표 B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 B2에서 "성분 (a)" 컬럼 헤딩 아래의 항목이 모두 "화합물 10"을 열거하며, 표 B2의 컬럼 헤딩 아래의 첫번째 행은 구체적으로 화합물 10과 아시벤졸라-S-메틸의 배합물을 개시한다. 표 B3 내지 B29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Figure pct00060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일한 화학적 부분 구조 (chemical sub-structure)로 된 유사 화합물과 비교하여, 특히 광분해 안정성을 나타낸다. 광안정성 증가로, 태양광의 자외선 조사가 감수성 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는 필드 조건 하에서 반감기가 길어진다. 필드 반감기가 길어지면, 장기간의 식물 병원체의 방제를 가져온다. 광안정성 실시예의 데이터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범위 밖의 비교 화합물에 대하여 주어진다. 광안정성 실시예의 데이터로부터, 카르바메이트 작용기와 A기 사이의 환에 메틸 치환기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 (톨릴 치환기 또는 RP는 메틸임)이 대응하는 할로겐 치환된 화합물 (RP는 할로겐임)보다 모의 (simulated) 태양에 대하여 더욱 안정한 것으로 입증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인덱스 표 A 내지 G에 나타낸다. 1H NMR 데이터에 관해서는 인덱스 표 H를 참조한다.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 (AP+ (M+1))에 관해서 기록된 수치는 대기압 화학 이온화 (AP+)를 이용하여 질량 분석에 의해 관찰된 M+1 피크를 제공하는, 분자에 대하여 H+ (분자량 1)를 첨가하여 형성된 어미 분자 이온 (M)의 분자량이다. 다수의 할로겐을 포함하는 화합물에 의해 발생하는 교대 (alternate) 분자 이온 피크 (예를 들어, M+2 또는 M+4)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기록된 M+1 피크를 대기압 화학 이온화 (AP+) 또는 전기 분무 이온화 (ESI)를 이용하여 질량 분석에 의해 관찰하였다.
하기 약어는 후술하는 인덱스 표에 사용된다: n은 노르말이고, i는 아이소이며, c는 사이클로이고, Me는 메틸이며, Et는 에틸이고, Pr은 프로필이며, OMe는 메톡시이고, OEt는 에톡시이며, SMe는 메틸티오이고, SEt는 에틸티오이며, -CN은 시아노이고, -NO2는 니트로이다.
[인덱스 표 A]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인덱스 표 B]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인덱스 표 C]
Figure pct00065
[인덱스 표 D]
Figure pct00066
[인덱스 표 E]
Figure pct00067
[표 F]
Figure pct00068
[인덱스 표 G]
Figure pct00069
[인덱스 표 H]
Figure pct00070
수성 광분해 데이터는 필드 조건 하에서의 광안정성의 간단한 대용물이다. 하기 수성 광분해 데이터는 본 발명의 톨릴 살진균제의 광안정성 증가를 뒷받침한다.
광안정성 실시예
80/20 10 mM pH 7 포스페이트 완충액/아세토니트릴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 (0.670 ㎍/mL)을 2-mL 보로실리게이트 글래스 HPLC 바이알에 첨가한다. 20% 아세토니트릴 첨가는 수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의 용해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자연광을 시뮬레이션한 크세논 아크 램프 (6500 W)가 장착된 아틀라스 (Atlas) Ci65 부르너 (Burner) 광분해 챔버의 광에 샘플을 24시간 노출시켜, 동일한 조건 하에서의 광으로부터 이를 보호하기 위해 알루미늄박으로 포장한 샘플과 비교한다. 24시간의 조사는 평균 델라웨어 (Delaware) 여름 일광 노출 약 2.6일간에 상당한다. 샘플을 HPLC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암흑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크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잔존하는 비율로서 나타낸다.
[표 P]
Figure pct00071
하기 시험은 특정 병원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방제 효과를 예증한다. 그러나, 화합물에 의해 주어진 병해 방제 보호는 이들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합물 설명에 관해서는 인덱스 표 A 내지 G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생물학적 실시예
시험 A 내지 시험 E에 관한 시험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프로토콜: 시험 화합물을 먼저 최종 체적의 11%에 상당하는 양으로 아세톤에 용해시킨 다음에, 계면활성제 트렘 (Trem)® 014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 250 ppm을 함유하는 아세톤 및 정제수 (50/50 체적의 믹스)에 원하는 농도 (ppm)로 현탁시켰다. 그 다음에, 얻어진 시험 현탁액을 시험 A 내지 시험 E에 사용하였다. 시험 식물에 유출할 수 있을 정도의 200 ppm 시험 현탁액을 분무하는 것은 800 g/ha의 비율에 상당하였다.
시험 A
시험 현탁액을 밀 모종에 유출할 수 있을 정도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날에, 모종에 에리시페 그라미니스 폼 스피시즈 트리티시 (Erysiphe graminis f. sp.tritici) (밀 흰가루병의 병원균)의 포자 분진 (spore dust)을 접종시켜, 20℃에서 8일간 생장상에서 인큐베이션한 후에, 발병 등급 (disease rating)을 시각적으로 작성하였다.
시험 B
시험 현탁액을 밀 모종에 유출할 수 있을 정도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날에, 모종에 푸시니아 레콘디타 폼 스피시즈 트리티시 (Puccinia recondita f. sp. tritici) (밀 붉은 녹병의 병원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시켜, 20℃에서 24시간 동안 포화 분위기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에, 20℃에서 7일간 생장상에 옮겨 둔 후에, 발병 등급을 시각적으로 작성하였다.
시험 C
시험 현탁액을 밀 모종에 유출할 수 있을 정도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날에, 모종에 셉토리아 트리티시 (Septoria tritici) (밀 잎마름병의 병원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시켜, 24℃에서 48시간 동안 포화 분위기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에, 20℃에서 19일간 생장상에 옮겨 둔 후에, 발병 등급을 시각적으로 작성하였다.
시험 D
시험 현탁액을 밀 모종에 유출할 수 있을 정도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날에, 모종에 셉토리아 노도룸 (Septoria nodorum) (밀 껍질마름병의 병원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시켜, 20℃에서 48시간 동안 포화 분위기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에, 20℃에서 7일간 생장상에 옮겨 둔 후에, 발병 등급을 시각적으로 작성하였다.
시험 E
시험 현탁액을 토마토 모종에 유출할 수 있을 정도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날에, 모종에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토마토 보트리티스병의 병원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시켜, 20℃에서 48시간 동안 포화 분위기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에, 27℃에서 추가로 3일간 생장상에 옮겨 둔 후에, 발병 등급을 시각적으로 작성하였다.
시험 A 내지 시험 E에 대한 결과는 표 A에 나타낸다. 표에서, 100의 등급은 100% 병해 방제를 나타내고, 0의 등급은 병해 방제를 전혀 나타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대조군과 비교). 대시 (―)는 시험 결과가 없음을 나타낸다. 뒤에 "*"가 붙는 것이 40 ppm을 나타내거나, 뒤에 "**"가 붙는 것이 50 ppm을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결과가 200 ppm에 대한 것이다.
[표 A]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Claims (8)

  1. 화학식1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염:
    Figure pct00076

    상기 식에서,
    A는
    Figure pct00077

    (여기서, A기의 좌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화학식 1의 CH3O(C=O)NHCH2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되고, A기의 우측으로 뻗어있는 결합은 R1 및 R2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에 부착된다)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Q는 CH 또는 N이며;
    R1은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고;
    R2는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시, 니트로, 아미노,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10 사이클로알킬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3―C6 할로사이클로알콕시, C4―C7 사이클로알킬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C2―C6 할로알케닐옥시, C2―C6 알키닐옥시, C3―C6 할로알키닐옥시, C2―C8 알콕시알콕시, C2―C8 알콕시알킬, C1―C6 시아노알킬, C1―C6 시아노알콕시, C1―C6 알킬티오, C1―C6 할로알킬티오, C1―C6 알킬설피닐, C1―C6 할로알킬설피닐, C1―C6 알킬설포닐 또는 C1―C6 할로알킬설포닐이며;
    각 R3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또는 C1―C3 할로알콕시이고;
    n은 0, 1 또는 2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는 A1, A2 및 A3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Q는 CH이며;
    R1은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이고;
    R2는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할로알킬, C1―C6 알콕시, C1―C6 할로알콕시, C3―C6 사이클로알콕시, C2―C6 알케닐옥시 또는 C2―C6 알키닐옥시이며;
    R3는 할로겐 또는 C1―C6 알킬이고;
    n은 0 또는 1인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R1은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이고;
    R2는 C1―C6 알킬, C1―C6 알콕시 또는 C1―C6 할로알콕시이며;
    n은 0인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R1은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이고;
    R2는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메틸 N-[[5-[1-(4-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4-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클로로-4-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4-클로로-2-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2,4-다이메톡시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4-다이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4-클로로-2-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4-메톡시-2-메틸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4-다이클로로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4-다이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4-다이메틸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2,4-다이메틸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4-(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4-다이메틸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6-메톡시-2-메틸-3-피리디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2,6-다이메톡시-3-피리디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1-[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3-[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라졸-1-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3-[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1H-피라졸-1-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1-[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5-[1-[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메틸 N-[[2-메틸-5-[4-[2-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 및
    메틸 N-[[5-[4-[4-(다이플루오로메톡시)-2-메틸페닐]-2H-1,2,3-트라이아졸-2-일]-2-메틸페닐]메틸]카르바메이트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6. (a) 제 1 항의 화합물; 및 (b)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
  7. (a) 제 1 항의 화합물; 및 (b) 계면활성제, 고체 희석제 및 액체 희석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살진균제 조성물.
  8. 살진균적 유효량의 제 1 항의 화합물을 식물 또는 이의 부분, 또는 식물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균 식물 병원체에 의한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KR1020157010701A 2012-10-25 2013-10-17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KR20150080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8221P 2012-10-25 2012-10-25
US61/718,221 2012-10-25
PCT/US2013/065336 WO2014066120A1 (en) 2012-10-25 2013-10-17 Substituted tolyl fungic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498A true KR20150080498A (ko) 2015-07-09

Family

ID=4951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701A KR20150080498A (ko) 2012-10-25 2013-10-17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50266850A1 (ko)
EP (1) EP2912020B1 (ko)
JP (1) JP2016505511A (ko)
KR (1) KR20150080498A (ko)
CN (1) CN104884437A (ko)
AR (1) AR093113A1 (ko)
AU (1) AU2013335051A1 (ko)
BR (1) BR112015009328B1 (ko)
CA (1) CA2888499A1 (ko)
CL (1) CL2015001065A1 (ko)
MX (1) MX2015005179A (ko)
PE (1) PE20150999A1 (ko)
PH (1) PH12015500901A1 (ko)
PL (1) PL2912020T3 (ko)
RU (1) RU2015119467A (ko)
TW (1) TW201418223A (ko)
UY (1) UY35097A (ko)
WO (1) WO2014066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7005A1 (en) * 2014-04-10 2015-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bstituted tolyl fungicide mixtures
JP2018123056A (ja) * 2015-04-27 2018-08-09 日本農薬株式会社 殺菌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CN108137509B (zh) * 2015-08-13 2021-03-19 拜耳作物科学股份公司 适用于防治节肢动物的吡咯、二唑、三唑或四唑衍生物
EP3353160B1 (en) * 2015-09-25 2020-03-04 Syngenta Participations AG Pesticidally active heterocyclic derivatives with sulphur containing substituents
CN105859645B (zh) * 2016-05-06 2018-03-30 怀化学院 一类含苯环及卤取代的三唑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AR108659A1 (es) * 2016-06-03 2018-09-12 Valent Biosciences Llc Composiciones no acuosas, no oleosas con bacillus amyloliquefaciens
CN108191709B (zh) * 2016-12-08 2020-03-24 沈阳中化农药化工研发有限公司 一种制备不饱和肟醚类化合物的方法
WO2018159609A1 (ja) * 2017-02-28 2018-09-07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植物病害防除組成物およびそれを施用す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
TWI832917B (zh) * 2018-11-06 2024-02-21 美商富曼西公司 經取代之甲苯基殺真菌劑
US20230130546A1 (en) * 2020-01-31 2023-04-2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 and plant disease control method
TW202200012A (zh) 2020-03-11 2022-01-01 美商富曼西公司 殺真菌劑混合物
TW202200013A (zh) * 2020-03-11 2022-01-01 美商富曼西公司 殺真菌劑鹵甲基酮及水合物及其混合物
UY39189A (es) 2020-05-06 2021-12-31 Fmc Corp Fungicidas de tolilo sustituido y sus mezclas
TW202304303A (zh) 2021-04-13 2023-02-01 美商富曼西公司 殺真菌之吡啶酮
TW202321229A (zh) 2021-08-18 2023-06-01 美商富曼西公司 殺真菌的取代的雜環化合物
CN114137119B (zh) * 2021-11-29 2023-06-16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丙硫菌唑、肟菌酯和氟吡菌酰胺的检测方法
TW202342431A (zh) 2022-02-15 2023-11-01 美商富曼西公司 殺真菌的鹵代甲基酮、水合物和烯醇醚
WO2024107910A1 (en) 2022-11-18 2024-05-23 Fmc Corporation Mixtures of succinate dehydrogenase inhibitors and picolinamid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2239A3 (en) * 2007-04-03 2013-03-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bstituted benzene fungic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93113A1 (es) 2015-05-20
PE20150999A1 (es) 2015-07-15
UY35097A (es) 2015-07-31
PL2912020T3 (pl) 2020-05-18
JP2016505511A (ja) 2016-02-25
EP2912020B1 (en) 2019-12-04
RU2015119467A (ru) 2016-12-20
CA2888499A1 (en) 2014-05-01
US20150266850A1 (en) 2015-09-24
TW201418223A (zh) 2014-05-16
WO2014066120A1 (en) 2014-05-01
AU2013335051A1 (en) 2015-04-30
CL2015001065A1 (es) 2015-10-02
MX2015005179A (es) 2015-09-04
PH12015500901A1 (en) 2015-07-13
EP2912020A1 (en) 2015-09-02
BR112015009328B1 (pt) 2020-03-03
CN104884437A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719B1 (ko) 살진균제 옥사다이아졸
EP3558984B1 (en) Fungicidal oxadiazoles
KR20150080498A (ko) 치환된 톨릴 살진균제
EP2867228B1 (en) Fungicidal heterocyclic carboxamides
KR102051364B1 (ko) 살진균제 피라졸 혼합물
KR20150143650A (ko) 살진균성 카르복스아미드
KR102227271B1 (ko) 살진균성 아미드
KR20150027107A (ko) 살진균제 4-메틸아닐리노 피라졸
IL297524A (en) Turmeric tolyl fungicides and their interventions
EP4361150A2 (en) Fungicidal oxadiazoles and their mixtures
CA3174932A1 (en) Fungicidal halomethyl ketones and hydrates and their mixtures
CA3170324A1 (en) Substituted 5,6-diphenyl-3(2h)-pyridazinones for use as fungicides
JP2023517942A (ja) ピラゾ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殺菌性混合物
JP2023510551A (ja) 殺真菌性アミド
KR20130099268A (ko) 살진균제 이미다졸
KR20120112423A (ko) 복소환식 이환 치환된 아졸릴 벤젠 살진균제
WO2015171392A1 (en) Fungicidal pyrazoles
WO2015191382A1 (en) Fungicidal tetrazolin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