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464A -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464A
KR20150080464A KR1020150085982A KR20150085982A KR20150080464A KR 20150080464 A KR20150080464 A KR 20150080464A KR 1020150085982 A KR1020150085982 A KR 1020150085982A KR 20150085982 A KR20150085982 A KR 20150085982A KR 20150080464 A KR20150080464 A KR 2015008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ference signal
range
sounding refere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469B1 (ko
Inventor
노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5008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2Aspects of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Method, Terminal and Transmission/Reception Point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
본 발명은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과 그 단말 및 송수신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송수신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의존적인 스케줄링을 위해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채널 가역성(channel reciprocity)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빔포밍(Downlink beamforming)을 위해 상/하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신호(SRS) 전송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수신포인트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송수신포인트로부터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오프셋값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송수신포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송수신포인트로부터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오프셋 정보로부터 상기 오프셋값을 사용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단말이 하나의 송수신포인트와 상/하향링크 데이터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SRS 생성을 위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SRS가 전송되는 심볼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주파수 호핑을 하지 않는 SRS와 주파수 호핑하는 SRS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향링크 채널이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일부가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일부가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일부가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수신포인트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으로 사운딩 참조신호가 서빙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포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송수신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송수신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셀(cell),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안테나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송수신포인트 또는 기지국,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포인트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포인트는,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수신포인트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포인트(reception point), 이들의 결합(transmission/reception point)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100)은 둘 이상의 송수신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100)은 적어도 두개의 송수신포인트(110, 112)와 단말들(120,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또는 macro node, 110, 이하 'eNB'라 함)과, eNB(110)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코 셀(pico cell, 112, 이하 'RRH'라 함)일 수도 있다. eNB(110)과 RRH(112)는 동일한 셀 ID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셀 ID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송수신포인트(110, 112)에서 단말(120)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0)에서 송수신포인트(110, 112)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송수신포인트(110, 1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0, 12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송수신포인트(110, 1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단말이 하나의 송수신포인트와 상/하향링크 데이터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 송수신포인트의 셀 아이디가 같거나 서로 다른 상황에서 단말은 상/하향링크 신호 모두를 하나의 송수신포인트와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LTE, LTE-A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PDCCH는 EPDCCH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송수신포인트(110, 112) 중 하나인 eNB(110)은 단말들(120, 122)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eNB(110)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제1단말(120,UE1)은 eNB(110)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단말(122, UE2)은 송수신포인트(110, 112) 중 하나인 RRH(112)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단말(120)은 RRH(112)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제2단말(122)는 eNB(110)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의 개수는 두개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아래 실시예에서 단말들의 개수는 2개이고 하나의 단말은 eNB(110)로, 다른 단말은 RRH(112)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현재의 무선통신 방식 중 하나인 LTE 통신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DM-RS) 및 사운딩 참조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정의되어 있으며, 하향링크에 3가지의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정의되어 있으며, 셀고유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와, MBSFN 참조신호 (Multicast/Broadcast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Reference Signal; MBSFN-RS) 및 단말 고유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가 그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상향링크(uplink) 전송시 데이터채널의 복조를 위한 채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상향링크 복조신호(UL DMRS 또는 UL DM-RS)를 매 슬롯(slot)마다 전송하게 된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연계된 상향링크 DM-RS의 경우 매 슬롯마다 하나의 심볼에 대하여 참조신호를 전송하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과 연계된 상향링크 DM-RS의 경우 PUCCH의 방식에 따라 PUCCH 포맷 1/1a/1b의 경우에는 매 슬롯마다 3개의 심볼 또는 PUCCH 포맷 2/2a/2b/3의 경우에는 매 슬롯마다 2개의 심볼에 대하여 참조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중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SRS)는 상향링크 주파수 의존적인 스케줄링을 위해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TDD 시스템에서 채널가역성(channel reciprocity)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빔포밍(DL beamforming)을 위해 상/하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상향링크 SRS의 경우, 무선통신시스템(100)에서 임의의 송수신포인트 또는 임의의 셀로부터 단말에게 단말이 전송하는 SRS의 생성을 위한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SRS의 셀-특정 SRS 대역(cell specific SRS bandwidth), 전송 comb(transmission comb)(2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간격으로 할당된 주파수 위치지정, 예를 들어 0(even subcarriers) 또는 1(odd subcarriers)), 단말-특정 SRS 대역(UE-specific SRS bandwidth), 호핑 관련 구성 파라미터들, 주파수 도메인 위치(frequency domain position), 주기(periodicity), 서브프레임 구성(어떤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전송해야 할지를 지정), 안테나 구성(SRS를 전송하는 안테나의 수를 지정, 안테나 포트의 수), 베이스 시퀀스 인덱스(해당 SRS 생성을 위한 SRS 시퀀스 인덱스는 PUCCH에서 사용하는 시퀀스 그룹 넘버 u와 시퀀스 호핑 구성에 따라 정해지는 시퀀스 넘버 v에 따라 결정됨), 사이클릭 쉬프트 인덱스(SRS 생성시 사용되는 참조신호로서 사이클릭 쉬프트 인덱스) 등을 해당 송수신포인트가 단말(120)에게 RRC 파라미터로서 전송하고 단말(120)은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SRS를 전송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주기적인 SRS와 함께 비주기적 SRS가 정의되어 있다. 해당 비주기적 SRS도 주기적인 SRS와 유사하게 해당 비주기적 SRS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들은 무선통신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단말이 전송하는 비주기적 SRS의 생성을 위한 파라미터, 예를 들어 비주기적 SRS의 단말-특정 SRS 대역, 전송 comb, 주파수 도메인 위치, 주기, 서브프레임 구성, 안테나 구성, 베이스 시퀀스 인덱스, 사이클릭 쉬프트 인덱스 등을 임의의 송수신포인트가 단말(120)에게 RRC 파라미터로서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비주기적 SRS를 전송하기 위해 임의의 송수신포인트는 단말(120)에게 동적으로 PDCCH를 통하여 비주기적 SRS의 전송을 트리거링하고, 해당 단말(120)은 PDCCH에 의한 트리거링과 RRC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상향링크 비주기적 SRS를 전송하게 된다.아래에서는 SRS의 생성과 전송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RS 시퀀스는 수학식 1 및 2와 같이 Zadoff-Chu 시퀀스를 기반으로 한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
Figure pat00001
)를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CS)하여 SRS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길이(
Figure pat00002
=사용되는 RB 개수 X RB 내의 서브캐리어 수(보통 12)/2)를 가지고 생성된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베이스 시퀀스는 시퀀스 그룹 넘버 u, 그룹 내의 베이스 시퀀스 넘버 v, 그리고 시퀀스의 길이인 n에 의하여 서로 다르게 생성된다.
시퀀스 그룹 호핑(sequence Group hopping)은 단말에게 할당되는 RB의 수와 관계없이 30개의 시퀀스 그룹을 슬롯마다 호핑한다.
구체적으로 슬롯 ns에서 시퀀스 그룹 넘버 u는 그룹 호핑 패턴 fgh(ns)와 시퀀스 쉬프트 패턴 fss에 의해서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at00005
PUCCH와 PUSCH는 동일한 시퀀스 그룹 호핑 패턴
Figure pat00006
을 가지지만 다른 시퀀스 쉬프트 패턴
Figure pat00007
을 가질 수 있다.
그룹 호핑 패턴
Figure pat00008
은 PUSCH와 PUCCH에 대해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는 의사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로 단말들(120)이 eNB(110)로부터 수신한 가상의 셀 아이디(
Figure pat00011
)를 이용하여 각 무선 프레임에서
Figure pat00012
으로 초기화된다.
이 때 가상의 셀 아이디 (
Figure pat00013
또는 VCID(virtual Cell ID), 이하 '
Figure pat00014
'라 함)는 단말에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서빙 송수신포인트의 물리적 셀 아이디 (
Figure pat00015
)와 같을 수도 있고 이와 독립되어 다른 송수신포인트의 셀 물리적 셀 아이디일수도 있다.
시퀀스 쉬프트 패턴
Figure pat00016
의 정의는 PUCCH와 PUSCH 사이에 다를 수 있다. PUCCH에 대한 시퀀스 쉬프트 패턴은
Figure pat00017
으로 주어진다.
시퀀스 호핑은 길이가 6RB들 이상(
Figure pat00018
)인 참조신호들에 대해만 적용한다. 길이가 6RB들 미만(
Figure pat00019
)인 참조신호들에 대해 베이스 시퀀스 그룹 내 베이스 시퀀스 넘버 v=0으로 주어진다.
길이가 6RB들 이상(
Figure pat00020
)인 참조신호들에 대해 슬롯 ns의 베이스 시퀀스 그룹 내 베이스 시퀀스 넘버 v는 아래 수학식 5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은 의사 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이로, 각 무선 프레임에서
Figure pat00023
으로 초기화된다.
사이클릭 쉬프트 값
Figure pat00024
는 수학식 6에 의해 각 단말 및 안테나 포트마다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25
사이클릭 쉬프트 값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Figure pat00026
은 각 단말에 대하여 0 내지 7{0,1,2,3,4,5,6,7}의 총 8가지 값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으로 전송되고, 각 안테나 포트에 대한 사이클릭 쉬프트 값은 수학식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송된
Figure pat00027
값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수학식 6에서
Figure pat00028
는 안테나 포트 번호 인덱스이고,
Figure pat00029
는 SRS 전송 안테나 개수에 해당한다.
도 4는 SRS 생성을 위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수학식 2의 베이스 시퀀스와 수학식 6의
Figure pat00030
(사이클릭 쉬프트 값, CS)에서 수학식 1에 의해 SRS 시퀀스를 생성한다. SRS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도 4의 OFDM 변조기(OFDM modulator, 410)에서 수행된다. 단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SRS를 무선 자원에 할당하여
Figure pat00031
가 지시하는 송수신포인트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Figure pat00032
는 단말에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서빙 송수신포인트의 물리적 셀 아이디(
Figure pat00033
)와 같을 수도 있고 이와 독립되어 다른 송수신포인트의 셀 물리적 셀 아이디일수도 있는 바
Figure pat00034
가 지시하는 송수신포인트는 단말에 서빙하는 송수신포인트 예를 들어 eNB(110) 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송수신포인트인 RRH(112)일 수도 있는바 사운딩 참조신호의 타켓 수신대상의 설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수학식 1에 의해 생성된 SRS 시퀀스는 서브프레임의 해당 심볼에 매핑되며, 도 4의 리소스 요소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 420)를 통해 수행된다.
도 5는 SRS가 전송되는 심볼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주파수 호핑을 하지 않는 SRS와 주파수 호핑하는 SRS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SRS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전송된다. 주파수 영역상에서 SRS 전송은 주파수 영역 스케줄링을 위해 관심있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해야 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SRS 전송으로 관심있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SRS 전송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대역의 SRS를 주파수 영역에서 호핑하면서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SRS 전송들이 합쳐져서 관심있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RS를 자원 요소에 매핑이 완료하면 SC FDMA 생성기(SC FDMA generator, 도 4에 미도시)를 통해 SC-FDMA 심볼을 생성하여 SRS 신호를 송수신포인트에 전송한다.
SRS가 전송되는 특정 서브프레임은 주기적(periodic) 또는 비주기적(aperiod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의 표 1(주파수 분할 방식(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또는 표 2(시분할 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에서와 같이 정의되는 셀-특정된(cell-specific) SRS 전송 가능한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SRS는 각 단말 별로 특정 주기와 오프셋을 가지는 서브프레임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SRS를 주기적 SRS(periodic SRS) 또는 트리거 타입 0 SRS라 부를 수 있다. 또는, SRS는 비주기적으로 설정되는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SRS를 비주기적 SRS(aperiodic SRS) 또는 트리거 타입 1 SRS라 부를 수 있다.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이상 SRS 시퀀스의 생성과 전송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에서 송수신포인트(c)로 서브프레임(i)에서 전송되는 단말의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Figure pat00037
)은 수학식 7에 의해 주어진다. 이때 송수신포인트는 서빙 송수신포인트 또는 서빙 셀일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Figure pat00038
수학식 7에서, PCMAX ,c(i)는 단말(120)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은 PCMAX ,c(i)에 제한된다.
또한 P_SRS_OFFSET,c(m)는 오프셋값으로서, 서빙 셀(c)에서 특정 m에 대해 RRC 시그널링 혹은 상위계층에 의해 설정된다. 이때 오프셋값의 범위나 m값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SRS ,c는 자원 블록의 수로 표현되는 서빙 셀(c)에 대한 서브프레임(i)에서 SRS 전송의 대역폭이다.
P0 _ PUSCH ,c(j)는 준정적 베이스 레벨(semi-static base level)로서, 공통 전력 레벨(
Figure pat00039
)과 단말-특정 전력 레벨(
Figure pat00040
)로 구성된다.
단말-특정 전력 레벨(
Figure pat00041
)은 수학식 8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at00042
다르게 말하자면, P0 _ PUSCH ,c(j)는 PUSCH를 전송함에 있어 보장되어야 하는 수신 전력에 대한 인자이다. P0 _ PUSCH는 기지국에서 요구되는 수신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얻기 위해 필요한 수신 전력을 의미한다. P0 _ PUSCH는 기지국에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이고, 간섭은 시스템 구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망 내의 부하가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시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준-지속적(semi-persistent) 승인(grant)에 대한 PUSCH (재)전송에 대해 j=0이고,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dynamic scheduled) 승인에 대한 PUSCH (재)전송에 대해 j=1이며,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승인에 대한 PUSCH (재)전송에 대해 j=2이다. 이 경우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이고 파라미터 preamble Initial Received Target Power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만약 SRS 심볼에 대한 단말의 총 전송전력이
Figure pat00047
를 초과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i)에서 서빙셀(C)에 대한
Figure pat00048
를 스케일링하여
Figure pat00049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때 서브프레임(i)에서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의 선형값들이고
Figure pat00053
는 서빙셀(C)에 대해
Figure pat00054
의 스케일링 요소(scaling factor)이고
Figure pat00055
이다.
αc(j)는 경로 손실을 보상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αc(j)가 1이면 경로 손실이 완전히 보상되는 것을 의미하고, αc(j)가 1보다 작으면 경로 손실이 완전히 보상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j=0 또는 1일 때, αc(j)
Figure pat00056
{0, 0.4, 0.5, 0.6, 0.7, 0.8, 0.9, 1}이고, j=2일 때 αc(j)=1이다.
PLc는 서빙 셀(c)에 대해 단말(10)에서 계산된 하향링크 경로-손실(path loss) 추정값으로서, PLc = (기준 신호 전송 전력 -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fc(i)는 명시적인 전력 제어 명령을 통해 직접적으로 PUSCH 전송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값이다. f(i)는 누적값으로서, 특정 양 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f(i)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L grant)에 들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Figure pat00057
의 식으로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58
는 서브프레임
Figure pat00059
에서 DCI 포맷 0 또는 3/3A로 PDCCH로 신호될 수 있다. 누적이 가능하지 않을 때
Figure pat00060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7의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변수들 중 P_SRS_OFFSET,c(m)가 종래와 다르게 확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오프셋값에 의한 SRS 전송전력 지정이 종래보다 넓은 범위에서 지정되면서 종래 단말들과의 호환성을 위해 P_SRS_OFFSET,c(m)은 종래 오프셋값에 의해 지정가능 하였던 전력범위인 제 1 범위와 이러한 제 1 범위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전력값이 지정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전력값을 지정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7의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변수들 중 경로손실에 대한 변수 PLc가 종래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학식 7에서 경로손실 추정값인 PLc 은 CSI-RS를 이용하여 추정된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에서 사용하는 CRS(cell specific RS)와 CSI-RS를 모두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은 사운딩 참조신호가 단말(120)에 하향링크 전송하는 서빙 송수신 포인트(110)로 전송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사운딩 참조신호가 서빙 송수신 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 포인트 예를 들어 RRH(112)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하여 특정 경우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우선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이 서빙 송수신 포인트(110)와 달라질 수 있는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종래의 송수신포인트는 크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처리부를 포함하는 송수신포인트를 셀에 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셀 설계의 최적화에 한계점이 있었다.
위에 언급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100)에서는, 송수신포인트가 새롭게 제안된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에 따라 그 기능이 분리되어 집중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포인트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DU, Digital Unit)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신호 처리부(RU, Radio Unit)를 분리해 DU는 전화국, 예를 들어 eNB에 집중 배치하고, RU는 서비스 지역, 예를 들어 RRH에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환경에서 단말은 여러 개의 RU들의 커버리지 내에서 위치하거나 여러 개의 RU들의 커버리지를 이동하기도 하고 또한 여러 RU들의 셀 경계(cell edge)에서 RU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즉, 단말이 위치하거나 이동하는 중에 RU가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신호의 커버리지와 단말이 RU에게 전송해야 해야 하는 상향링크의 커버리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단말의 하향링크에 대한 지오메트리(geometry)와 상향링크의 지오메트리(geometry)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RU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로 데이터 채널 및 컨트롤 채널을 수신하는 RU와는 다른 RU로의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 구현(macro cell deployment)와 다양한 스몰 셀 구현(small cell deployment)를 고려하는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 상황에서도 해당 경우는 유사할 수 있다. 즉 매크로 셀(macro cell)의 커버리지와 스몰 셀의 커버리지가 다르고 매크로 셀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의 데이터 및 컨트롤 채널을 수신한 단말이 상향링크에 대해 지오메트리가 더 좋은 스몰 셀 커버리지로의 상향링크 데이터 및 컨트롤 전송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해당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컨트롤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임으로서 하향링크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게 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컨트롤 정보에 대한 신뢰성 및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도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상향링크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이 서빙 송수신 포인트(110) 뿐만 아니라 채널 상태에 따라서 다른 송수신 포인트 예컨데 RRH(112)로 지정될 수 있도록 사운딩 참조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가상 셀 아이디
Figure pat00061
는 단말에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서빙 송수신포인트의 물리적 셀 아이디(
Figure pat00062
)와 같을 수도 있고 이와 독립되어 다른 송수신포인트, 예를 들어 RRH(112)의 물리적 셀 아이디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가 전송되는 여러가지 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이 모두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각 송수신포인트의 셀 아이디가 같거나 서로 다른 상황에서 상향링크 컨트롤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해당 단말이 속한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하고, 상향링크 관련 채널은 모두 해당 단말(120)에게 지오메트리 및 채널 품질이 더 나은 송수신포인트(112)로 전송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일부가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각 송수신포인트의 셀 아이디가 같거나 서로 다른 상황에서 하향링크 컨트롤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해당 단말(120)이 속한 송수신포인트로(110)부터 수신하고,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A/N을 전송하는 PUCCH 채널과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는 해당 송수신포인트(110) 또는 다른 송수신포인트(112)로 전송하고, 사운딩 참조신호는 단말이 속한 서빙 송수신포인트(110) 또는 단말(120)이 속하지 않은 다른 송수신포인트(112)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일부가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컨트롤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해당 단말이 속한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하고,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A/N을 전송하는 PUCCH 채널과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는 해당 송수신포인트(110) 또는 다른 송수신포인트(112)로 전송하고 사운딩 참조신호는 주기적 참조신호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모두 각각 독립적으로 단말이 속한 송수신포인트와 단말이 속하지 않은 다른 송수신포인트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일부가 서빙 송수신포인트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에 전송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컨트롤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해당 단말(120)이 속한 송수신포인트로(110)부터 수신하고, 상향링크 관련 채널 중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A/N을 전송하는 PUCCH 채널과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는 해당 단말(120)이 속한 송수신포인트(110) 또는 다른 송수신포인트(112)로 전송하고 사운딩 신호 중 주기적 참조신호는 PUCCH 및 PUSCH와 동일한 대상으로 전송하고 비주기적 참조신호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말이 속한 송수신포인트 또는 단말이 속하지 않은 다른 송수신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하나의 송수신포인트와의 상/하향링크 데이터 및 컨트롤 채널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와 종래의 시스템과는 달리 단말의 입장에서 송/수신 타겟이 다른 경우, 즉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데이터 및 컨트롤 채널에 대한 타겟이 다를 경우의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의 입장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수신 타겟이 동일한 경우와 즉, 종래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단말이 하나의 동일한 기지국 및 RU와의 상/하향링크 데이터 및 컨트롤 채널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와 종래의 시스템과는 달리 단말의 입장에서 송/수신 타겟이 다른 경우 각각에 대하여 상향링크 신호, 그 중에서도 특히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신호가 손상없이 원할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에서는 기존 단말들과의 호환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전력 지정을 위한 오프셋값의 설정시 기존의 전력제어 범위를 포함하면서 확장된 전력제어 범위에서 전력값이 지정되도록 오프셋값을 결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수신포인트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포인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은, 송수신포인트(110)가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에 대한 가능한 범위를 늘리도록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단계(S1510) 및 송수신포인트가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120)에 전송하는 단계(S1520)를 포함한다. S1520단계에서 단말(120)은 이 오프셋 정보를 수신한다.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중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에 대한 가능한 범위를 늘리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오프셋값(P_SRS_OFFSET,c(m), (m= {0, 1}))의 가능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S1510단계에서 송수신포인트(110)는, 제1범위 및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step size)으로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한다. 이때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은 수학식 7에서 P_SRS_OFFSET,c(m)(m= {0, 1})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m= 0과 1에 대해서 둘 다 모두 PUSCH 전력제어와 연계(coupling)된 전력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되, 해당 P_SRS_OFFSET,c(m)의 오프셋값에 대한 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송수신포인트는 각각의 의도된 단말의 동작에 맞게 증가시킨 범위 내에서 전송전력이 특정되도록 P_SRS_OFFSET,c(m)의 오프셋값을 지시할 수 있다.
오프셋값의 범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기존 단말과 기존 네트워크와의 백워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새로운 단말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지 않는 기존의 단말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는 범위, 즉 P_SRS_OFFSET,c(m), (m= {0, 1})의 가능한 범위를 제1범위로 포함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새롭게 증가된 범위를 제2범위로 포함하고 이들을 포함하는 P_SRS_OFFSET,c(m), (m= {0, 1})의 전체 범위 내에 설정되는 간격(step size)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지는 변수 Ks에 대해, Ks=1.25일 때 P_SRS_OFFSET,c(m), (m= {0, 1})이 지정하는 전송전력범위의 전체 범위는 [-3, 28]dB 범위로 제1범위는 [-3,12]dB이고 제2범위는 (12,28]dB이고 일정한 간격은 1dB 간격일 수 있다. 제2범위의 경우 12dB에 해당하는 오프셋값은 포함하지 않는바 제2범위에서의 오프셋값은 13, 14, 15..dB일 수 있다. 한편 Ks=0일 때 전체 범위는 [-10.5, 28.5]dB로 제1범위는 [-10.5,12]dB이고, 제2범위는 (12,28.5]dB이고 일정한 간격은 1.5 dB 간격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범위는 12dB의 경계값을 포함하지 않는바 제2범위에서 오프셋값은 13.5, 15, 16.5 … dB 등에 해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s=1.25일 때는 1dB 간격(step size)을 가지고 [-3, 12]dB 범위를 포함시키도록 새로운 단말에 대한 P_SRS_OFFSET,c(m), (m= {0, 1})을 지시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하고, Ks=0일 때는 1.5 dB 간격을 가지고 [-10.5, 12]dB 범위를 포함시키도록 새로운 단말에 대한 P_SRS_OFFSET,c(m), (m= {0, 1})을 지시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한다.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새로운 단말이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새로운 네트워크에서의 동작 뿐만 아니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존 네크워크에 속하여 동작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지 않는 기존 단말의 설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기존 단말이 새로운 네트워크에 속하여 동작할 경우 기존 네트워크에서 지시되는 해당 오프셋값의 설정과 동일한 값을 지시해줄 수 있도록 만들어 줌으로서 백워드 호환성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새로운 단말이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경우 송수신포인트는 제1범위와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전송전력을 특정하는 오프셋값을 각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새로운 단말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존 네크워크에 속하여 동작할 경우 송수신포인트는 제1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전송전력을 지정하는 오프셋값을 각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지 않는 기존 단말이 새로운 네크워크에서 동작할 경우 기존 네트워크에서 지시되는 해당 오프셋값의 설정과 동일한 값, 다시 말해 제1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의 특정 오프셋값을 각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딩 참조신호는 주기적 및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포인트(110)는 필요에 따라 오프셋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1510)에서 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해 독립적으로 오프셋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P_SRS_OFFSET,c(m)의 m값 (m=0,1)에 따라 별도의 오프셋값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중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에 대한 가능한 범위를 늘리기 위한 방법들 중 다른 하나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오프셋값(P_SRS_OFFSET,c(m))의 m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P_SRS_OFFSET,c(m)의 m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S1510단계에서, 송수신포인트는 P_SRS_OFFSET,c(m)에서 m=0 및 m=1 뿐만 아니라 m≥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수신포인트는 기존과 동일하게 m=0에 대해서 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전력제어의 전력 오프셋 파라미터(P_SRS_OFFSET,c(0))로 사용하고 m=1에 대해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전력제어의 전력 오프셋 파라미터(P_SRS_OFFSET, c(1))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며, 추가적인 m≥2 (예를 들어 m=2, 3 또는 4)값에 대해서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전력 제어의 설정 시에 PUSCH 전력 제어와 해제(decoupling)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해당 m값에 따른 P_SRS_OFFSET,c(m)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특정 단말에 특정 전력 오프셋 파라미터(P_SRS_OFFSET,c(m), m≥2)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중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에 대한 가능한 범위를 늘리기 위한 방법들 중 또 다른 하나로 송수신포인트는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오프셋값(P_SRS_OFFSET,c(m))의 m의 개수도 늘리고 그 오프셋값이 특정할 수 있는 전송전력의 범위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m= 0과 1에 대해서는 둘 다 모두 PUSCH 전력제어와 연계된 전력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되 해당 P_SRS_OFFSET,c(m)에 대한 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송수신포인트가 각각의 의도된 단말의 동작에 맞게 지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포인트는 기존과 동일하게 m=0에 대해서 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전력제어의 전력 오프셋 파라미터(P_SRS_OFFSET,c(0))로 사용하고 m=1에 대해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전력제어의 전력 오프셋 파라미터(P_SRS_OFFSET,c(1))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며, 추가적인 m≥2 (예를 들어 m=2, 3 또는 4)값에 대해서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전력 제어의 설정 시에 PUSCH 전력 제어와 해제(decoupling)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해당 m값에 따른 P_SRS_OFFSET,c(m)의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특정 단말에 특정 전력 오프셋 파라미터(P_SRS_OFFSET,c(m), m≥2)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m≥2를 적용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해서는 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는 고려하지 않고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 설정에 사용하거나, 비주기적 참조신호는 고려하지 않고 주기적 참조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S1520단계에서, 송수신포인트는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단말에 전송한다.
송수신포인트는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오프셋 정보는 제1범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1파라미터와 제2범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2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라미터는 Ks=1.25일 때 [-3,12]dB의 제1범위를 1dB 간격으로 표현하고 Ks=0일 때 [-10.5,12]dB의 제1범위를 1.5dB 간격으로 표현하므로 총 4비트(0000 내지 1111)일 수 있다. 제2파라미터는 Ks=1.25일 때 (12,28]dB의 제2범위를 1dB 간격으로 표현하고 Ks=0일 때 (12,28.5]dB의 제2범위를 1.5dB 간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제2파라미터는 제1범위 및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범위를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총 5비트(00000 내지 11111)크기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제2범위를 표현하기 위해 5비트의 값들 중 제2범위에 대응되는 10000내지 11111의 값들만 사용할 수 있다.
송수신포인트는 기존의 단말 또는 기존의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제1파라미터만을 포함하는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고 새로운 단말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제1파라미터 혹은 제 2 파라미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포인트(110)는 제1파라미터와 제2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오프셋 정보를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S1510단계에서, 송수신포인트는 P_SRS_OFFSET,c(m)에서 m=0 및 m=1 뿐만 아니라 m≥2으로 설정한 경우 오프셋 정보는 m의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0, 1, 2, 3, 4, 5인 경우 오프셋 정보는 m의 값을 지시하는 특정 비트, 예를 들어 3비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은, 단말(120)이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에 대한 가능한 범위를 늘리도록 송수신포인트(110)에 의해 설정된 단말(120)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술한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610) 및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특정 오프셋값을 사용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620)를 포함한다.
S1610단계에서 단말은 송수신포인트에 의해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은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의 S1620 단계에서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빙 송수신포인트(110)가 아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딩 참조신호의 시퀀스 생성을 위한 참조신호 아이디에 따라 다른 송수신포인트(112)가 될 수도 있지만 서빙 송수신 포인트(110)가 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으로 사운딩 참조신호가 서빙 송수신 포인트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은, 단말(120)이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제어에 대한 가능한 범위를 늘리도록 송수신포인트(110)에 의해 설정된 단말(120)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술한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710) 및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특정 오프셋값을 사용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720) 그리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은 RRH(112)로 전송하는 단계(S1730)를 포함한다.
S1710단계에서 단말은 송수신포인트에 의해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은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정보는 제1범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1파라미터와 제2범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2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라미터는 Ks=1.25일 때 [-3,12]dB의 제1범위를 1dB 간격으로 표현하고 Ks=0일 때 [-10.5,12]dB의 제1범위를 1.5dB 간격으로 표현하므로 총 4비트(0000 내지 1111)일 수 있다. 제2파라미터는 Ks=1.25일 때 (12,28]dB의 제2범위를 1dB 간격으로 표현하고 Ks=0일 때 (12,28.5]dB의 제2범위를 1.5dB 간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제2파라미터는 제1범위 및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범위를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총 5비트(00000 내지 11111)크기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제2범위를 표현하기 위해 5비트의 값들 중 제2범위에 대응되는 10000내지 11111의 값들만 사용할 수 있다.
송수신포인트가 P_SRS_OFFSET,c(m)에서 m=0 및 m=1 뿐만 아니라 m≥2으로 설정한 경우, 오프셋 정보는 m의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0, 1, 2, 3, 4, 5인 경우 오프셋 정보는 m의 값을 지시하는 3비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1620단계에서, 단말은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특정 오프셋값에 사용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한다.
단말은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특정 오프셋값을 사용하여 수학식 7에 의해 주어지는 서브프레임(i)에서 전송되는 단말의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Figure pat00063
)으로 송수신포인트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한다.
Ks=1.25일 때 수학식 7에서 오프셋값 P_SRS_OFFSET,c(m)은 제1파라미터에 의해 지시하는 [-3,12]dB의 제1범위와 제2파라미터에 의해 지시하는 (12,28]dB의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1dB 간격으로 표현한 값일 수 있다. 또한 Ks=0일 때 수학식 7에서 오프셋값 P_SRS_OFFSET,c(m)은 제1파라미터에 의해 지시하는 [-10.5,12]dB의 제1범위와, 제2파라미터에 의해 지시하는 (12,28.5]dB의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1.5dB 간격으로 표현한 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방법에서는 오프셋값이 지정할 수 있는 전송전력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수학식 7에서 경로손실 추정값인 PLc 를 CSI-RS를 이용하여 추정된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에서 사용하는 CRS(cell specific RS)와 CSI-RS를 모두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도 있다.
우선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CSI-RS를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특정하게 정해지는 논-제로 파워 CSI-RS 자원(non-zero power CSI-RS resource)과 제로 파워 CSI-RS 자원(zero-power CSI-RS resource)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 전송을 위한 전력제어 파라미터로서 해당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논-제로 파워 CSI-RS 자원에 대해서는 해당 단말의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을 위해 사용하고, 제로 파워 CSI-RS 자원에 대해서는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경로 손실(path-loss) 추정을 위함이 아닌 어떤 특정 CoMP 측정 셋(CoMP measurement set) 내에서의 경로손실 추정으로 고려하여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물리적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시 타켓 수신 송수신포인트에 맞게 해당 경로손실 추정값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향링크에서 단말-특정하게 전송되는 CSI-RS 자원들 중 간섭 신호측정 자원들(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s(IMRs))을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경로손실 추정을 위함이 아닌 어떤 특정 CoMP 측정 셋 내에서의 경로손실 추정을 고려하여 단말(120)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물리적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시 타켓 수신 송수신포인트에 맞게 해당 경로손실 추정값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에서 사용하는 CRS(cell specific RS)와 CSI-RS를 모두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셀-특정하게 정해지는 셀-특정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단말(120)은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을 수행하고, 단말-특정하게 정해지는 제로 파워 CSI-RS 자원 또는 논-제로 파워 CSI-RS 자원에 대해서는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이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경로손실 추정값으로 고려하여 단말(120)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물리적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시 타켓 수신 송수신포인트에 맞게 해당 값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경로손실 추정값으로 사용되는 CSI-RS 자원은 제로 파워 CSI-RS 자원이거나 논-제로 파워 CSI-RS 자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셀-특정하게 정해지는 셀-특정 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단말(120)은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을 수행하고, 논-제로 파워 CSI-RS 자원에 대해서는 CRS를 통한 경로손실 추정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하고, 제로 파워 CSI-RS 자원에 대해서는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경로손실 추정을 위함이 아닌 어떤 특정 CoMP 측정 셋 내에서의 경로손실 추정을 고려하여 단말(120)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시 타켓 수신 송수신포인트에 맞게 해당 경로손실 추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셀-특정하게 정해지는 셀-특정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단말(120)은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을 수행하고, 논-제로 파워 CSI-RS 자원에 대해서는 CRS를 통한 경로손실 추정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며, 단말-특정하게 전송되는 CSI-RS 자원 중 간섭신호 측정 자원(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IMR))을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하는 하향링크의 경로손실 추정을 위함이 아닌 어떤 특정 CoMP 측정 셋 내에서의 경로손실 추정을 고려하여 단말(120)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채널 및 신호의 전송전력 제어시 타켓 수신대상 송수신포인트에 맞게 해당 경로손실 추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에서 사용하는 CRS(cell specific RS)와 CSI-RS를 모두 이용하여 경로손실을 추정하는 방법은 상/하향링크를 동일한 송수신포인트로 전송을 수행하고 있는 기존 단말의 전송전력 제어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정하고, 기존 단말이 아닌 새로운 설정을 수용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만 추가적인 CSI-RS 자원을 통한 경로손실 추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기존 단말 및 기존 네트워크의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범위를 효율적으로 확장하고 경로손실에 대한 추정값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은 단말에 하향링크 전송하는 서빙 송수신포인트(110)가 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다른 송수신포인트(112)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이 변경됨에 따라 전술한 확장된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운딩 참조신호의 타겟 수신대상이 서빙 송수신 포인트(110)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이 제어될 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120)에 하향링크를 전송하는 서빙 송수신포인트(110)으로 사운딩 참조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와,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운딩 참조신호의 타겟 수신대상이 다른 송수신포인트(112)로 설정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전력을 설정할 때, 사운딩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타겟 수신 송수신포인트가 PUSCH를 전송하는 송수신포인트와 동일한 송수신포인트인지 PUSCH를 전송하는 송수신포인트와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전송인지를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우선 단말(120)에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 시, 송수신포인트(110)가 단말(120)에게 단말(120)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을 향한 사운딩 전송전력을 준정적(semi-static)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명시적인 시그널링으로서 RRC 파라미터에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이 서빙 송수신포인트(110)인지 여부에 관한 특정 비트정보, 예를 들어 1 비트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포인트(110)가 단말(120)에게 단말(120)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동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PDCCH에 추가적인 시그널링으로 사운딩 참조신호의 타켓 수신대상이 서빙 송수신포인트(110)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단말(120)은 이러한 명시적인 시그널링으로부터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설정할 때, PUSCH의 전송전력 제어정보와 연계된 파라미터와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의 경로손실(Path-loss) 추정값에 의해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설정할 것인지,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의 전송이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전송임을 단말(120)이 인지하고 해당 다른 송수신포인트로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도록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전력을 PUSCH 전송전력 제어정보와 연계하지 않고 PUSCH와 해제(decoupling)되도록 설정하고, PUSCH 전송전력 제어정보와 연계된 파라미터들 또는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의 경로손실 추정값에 대해서는 해당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에 대한 설정 시 사용하지 않고 추가적인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따르도록 설정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자의 경우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전력을 PUSCH 전송전력 제어정보와 연계하지 않고 별도로 설정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된 범위, 즉 P_SRS_OFFSET,c(m) 결정시 주어진 m값에 대하여 제1범위와 확장된 제 2 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되거나 m=0,1이 아닌 추가적인 m값(예를 들어 m=2,3,4…)에 대한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범위에서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이 설정되도록 오프셋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특정의 CSI-RS 및 셀-특정 RS인 CRS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정된 경로손실 추정값을 반영하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대한 지시정보가 추가적으로 없을 경우에는 단말(120)은 PDCCH를 수신한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의 전송임을 인지하고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SRS 전송전력 제어에 대한 설정은 PUSCH의 전송전력 제어와 연계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기존의 제 1 범위 안에서의 오프셋값 지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로손실에 대한 추정값도 서빙 송수신포인트(110)에 대한 경로손실 추정값을 그대로 따를 수 있다. 이는 사운딩 참조신호와 다른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PUSCH)와 상향링크 컨트롤 채널(PUCCH, PRACH)과의 동시전송의 경우에 대해서 기존의 방식대로 동작하는 단말들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딩 참조신호의 수신대상이 서빙 송수신포인트(110)인지 여부에 관하여 명시적으로 시그널링 하지 않고 묵시적(implicit)으로 지시(indication)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명시적인 시그널링에서 RRC 파라미터에 단말(120)에서의 전력제어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RRC 파라미터의 오버헤드(overhead) 또는 해당 동작의 구분을 위한 PDCCH에서의 시그널링을 위한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 없이 RRC 파라미터에 사운딩 참조신호의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 생성을 위한 독립적인
Figure pat00064
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말(120)은 해당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구성 정보가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된 PDCCH, DCI 포맷 0 상의 비주기적 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트리거링 비트정보(triggering bit)로서의 1 비트 지시정보를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의 전송이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전송임을 단말(120)은 인지할 수 있다. 이렇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전송임을 단말(120)이 인지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제1범위와 확장된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오프셋값을 설정하거나 단말-특정의 CSI-RS 및 셀-특정 참조신호인 CRS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정된 경로손실 추정값을 반영하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CI 포맷 0를 통한 비주기적 참조신호 전송의 트리거링과 유사하게 DCI 포맷 1a/2b/2c를 통한 비주기적 참조신호 전송의 트리거링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해당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전력제어 수행 시 독립적인
Figure pat00065
가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120)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 전력을 설정함에 있어서 해당 사운딩 참조신호에 전송전력에 대한 설정 및 전력 제어방법을 PUSCH에 대한 전력제어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결정시 PUSCH와 연계된 파라미터들을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에 대한 설정 시 사용하지 않고 추가적인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따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의 추가적인 사운딩 참조신호 전력제어방법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제1범위와 확장된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제 범위에서 오프셋 정보를 결정하거나 단말-특정의 CSI-RS 및 셀-특정 참조신호인 CRS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정된 경로손실 추정값을 반영하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CI 포맷 4를 통한 비주기적 참조신호 전송의 트리거링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전력 제어 수행 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PDCCH의 2비트 지시정보를 통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의 RRC 파라미터 설정 내에 사운딩 참조신호의 베이스 시퀀스 생성을 위한 독립적인
Figure pat00066
가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120)은 해당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위한 구성 정보가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된 PDCCH, DCI 포맷 4상의 비주기적 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트리거링 비트정보서의 2 비트 지시정보를, 서빙 송수신포인트(110)가 아닌 다른 송수신포인트로의 전송임을 인지하고 해당 다른 송수신포인트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당 사운딩 참조신호에 전송전력에 대한 설정 및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PUSCH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PUSCH와 연계된 파라미터들을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제어에 대한 설정 시 사용하지 않고 추가적인 사운딩 참조신호에 대한 전송전력 제어 방법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추가적인 사운딩 참조신호 전력제어방법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된 범위에서 오프셋 정보를 설정하거나 단말-특정의 CSI-RS 및 셀-특정 참조신호인 CRS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정된 경로손실 추정값을 반영하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독립적인
Figure pat00067
의 설정에 대해서는
Figure pat00068
를 직접적으로 RRC 파라미터에 포함시키는 방법일 수 있으며, 해당
Figure pat00069
의 범위는 {0~509} 또는 {0~503} 일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70
를 직접적으로 RRC 파라미터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아닌 사운딩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 그룹 인덱스(sequence group index) 및 시퀀스 인덱스(sequence index)를 지정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는 해당 시퀀스 그룹 인덱스와 시퀀스 인덱스를 기반으로 시퀀스 그룹 호핑(sequence group hopping) 및 시퀀스 호핑(sequence hopping)에서 정의된 수학식 1내지 6에 의해 유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사운딩 참조신호의 베이스 시퀀스 생성을 위한 독립적인
Figure pat00071
가 설정되지 않거나
Figure pat00072
가 설정되더라도 서빙 송수신포인트(110)의 물리적 셀 아이디
Figure pat00073
와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부터 수신된 PDCCH, DCI 포맷 0, DCI 포맷 1a/2b/2c, 또는 DCI 포맷 4상의 비주기적 참조신호 전송을 위한 트리거링 비트정보(triggering bit)로서의 1 비트 (DCI 포맷 0, DCI 포맷 1a/2b/2c에 해당함) 또는 2비트(DCI 포맷 4에 해당함) 지시정보로부터 단말(120)은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의 전송임을 인지하고 해당 서빙 송수신포인트(110)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할 때 PUSCH와 연계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와 다른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PUSCH)와 상향링크 컨트롤 채널(PUCCH, PRACH)과의 동시전송의 경우에 대해서 기존 단말의 동작방식을 유지하도록 하여 종래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포인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포인트는 제어부(1820)와 송신부(1830), 수신부(1810)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8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CoMP 동작 및 상향링크 참조신호의 전송에 따른 전반적인 송수신포인트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기존의 제1범위 및 이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한다.
송신부(1830)와 수신부(18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송신부(1830)는 제어부에서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단말에 전송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수신부(1910), 제어부(1920) 및 송신부(1930)를 포함한다.
수신부(1910)는 송수신포인트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이러한 수신부(1910)가 수신하는 제어정보는 기존의 제1범위 및 이 제1범위보다 더 큰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을 특정하는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920)는 수신부(1910)에서 수신한 오프셋 정보로부터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오프셋값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부(1930)는 제어부(1920)에서 설정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규격과 관련된 내용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규격과 관련된 내용 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첨부한 아래 문서들은 이미 공개된 문서들의 일부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셋 정보는,
    상기 제1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1파라미터 및 상기 제2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2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지는 변수 Ks가 0일 때, 상기 전체 범위는 [-10.5, 28.5]dB, 상기 제1범위는 [-10.5,12]dB 및 상기 제2범위는 (12,28.5]dB이고 상기 일정한 간격은 1.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포인트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는 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및 비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포인트의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3.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오프셋값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셋 정보는,
    상기 제1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1파라미터 및 상기 제2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2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지는 변수 Ks가 0일 때, 상기 전체 범위는 [-10.5, 28.5]dB, 상기 제1범위는 [-10.5,12]dB 및 상기 제2범위는 (12,28.5]dB이고 상기 일정한 간격은 1.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는 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및 비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5.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셋 정보는,
    상기 제1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1파라미터 및 상기 제2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2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지는 변수 Ks가 0일 때, 상기 전체 범위는 [-10.5, 28.5]dB, 상기 제1범위는 [-10.5,12]dB 및 상기 제2범위는 (12,28.5]dB이고 상기 일정한 간격은 1.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포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는 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및 비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포인트.
  7. 기존의 제1범위 및 상기 제1범위보다 더 큰 값들을 포함하는 제2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의 특정 오프셋값을 지시하는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오프셋 정보가 지시하는 오프셋값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전력으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프셋 정보는,
    상기 제1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1파라미터 및 상기 제2범위를 상기 일정한 간격으로 표현한 제2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포인트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지는 변수 Ks가 0일 때, 상기 전체 범위는 [-10.5, 28.5]dB, 상기 제1범위는 [-10.5,12]dB 및 상기 제2범위는 (12,28.5]dB이고 상기 일정한 간격은 1.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는 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및 비주기적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0085982A 2012-07-12 2015-06-17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KR101828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6264 2012-07-12
KR1020120076264 2012-07-12
KR20120093331 2012-08-24
KR1020120093331 2012-08-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90A Division KR20140009902A (ko) 2012-07-12 2012-12-12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06A Division KR101938346B1 (ko) 2012-07-12 2018-02-05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464A true KR20150080464A (ko) 2015-07-09
KR101828469B1 KR101828469B1 (ko) 2018-02-13

Family

ID=501428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90A KR20140009902A (ko) 2012-07-12 2012-12-12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KR1020150085982A KR101828469B1 (ko) 2012-07-12 2015-06-17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KR1020180014106A KR101938346B1 (ko) 2012-07-12 2018-02-05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490A KR20140009902A (ko) 2012-07-12 2012-12-12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06A KR101938346B1 (ko) 2012-07-12 2018-02-05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94924B2 (ko)
EP (1) EP2873279B1 (ko)
JP (1) JP2015529037A (ko)
KR (3) KR20140009902A (ko)
CN (2) CN108848555A (ko)
WO (1) WO20140108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002A (ko) * 2016-05-13 2019-01-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902A (ko) * 2012-07-12 2014-01-23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US9699802B2 (en) * 2014-01-30 2017-07-04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uplink toggling for dual connectivity networks
JP6393764B2 (ja) * 2014-02-13 2018-09-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機械タイプ通信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送信方法及び装置
PT3462798T (pt) 2014-03-25 2021-11-25 Ericsson Telefon Ab L M Sistema e método para acesso aleatório físico baseado em feixe
US9420584B2 (en) 2014-09-17 2016-08-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user equipment (UE)
JP6323283B2 (ja) * 2014-09-29 2018-05-16 富士通株式会社 パラメータの決定方法、パラメータの決定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EP3284291B1 (en) * 2015-04-13 2018-09-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10652769B2 (en) * 2015-07-25 2020-05-12 Mariana Goldhamer Coupling loss in wireless networks
CN106912094A (zh) * 2015-12-22 2017-06-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的方法和基站
US10367616B2 (en) * 2016-04-04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ounding reference signal scheduling
KR20180018421A (ko) 2016-08-10 2018-02-21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동작에 대한 경로 손실 도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545232B2 (ja) * 2016-10-07 2019-07-17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上り(ul)参照信号(rs)の送信電力を導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530622B2 (en) * 2016-11-03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reference signals using non-orthogonal sequences
CN110313199B (zh) * 2017-01-04 2023-03-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无线系统的探测参考信号功率控制
US10560851B2 (en) * 2017-01-13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beam management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10764871B2 (en) 2017-01-16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Extension of data transmission from ULRB to ULCB
CN108366418B (zh) * 2017-01-26 2023-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点和功率控制方法
RU2762242C2 (ru) * 2017-05-04 2021-12-16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18230901A1 (ko) 2017-06-15 2018-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79822B1 (ko) * 2017-06-15 2022-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462755B2 (en) * 2017-06-16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in new radio
BR112019026688A2 (pt) * 2017-08-04 2020-06-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e dispositivo terminal
WO2019047660A1 (zh) * 2017-09-11 2019-03-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上行信号序列生成方法、终端、基站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95228A (zh) 2017-09-11 2019-03-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信号序列生成方法、终端、基站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63074A (zh) * 2017-09-12 2019-07-26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中用于相对相位不连续校准的探测参考信号使用
US10602453B2 (en) * 2017-10-20 2020-03-24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systems
US11165545B2 (en) * 2017-10-27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concurrent transmissions
US20220216968A1 (en) * 2018-08-17 2022-07-07 Lenovo (Beijing) Limited Srs configurations and srs transmission
CN113785629A (zh) * 2019-02-11 2021-12-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非陆地网络中的ue小区选择控制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GB2581772B (en) * 2019-02-15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GB2595978B (en) * 2019-02-15 2022-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N111669205B (zh) * 2019-03-07 2021-08-1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方法及设备
FR3096546A1 (fr) * 2019-05-24 2020-11-27 Orange Procédé de détermination d’une pluralité de valeurs possibles de puissance d’émission, procédé de sélection parmi cette pluralité de valeurs possibles de puissance d’émission pour un accès non coordonné au médium de communication
CN114287148B (zh) * 2019-06-21 2024-04-23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系统
CN111835488B (zh) * 2019-08-15 2022-1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天线端口映射方法和终端
CN110650001A (zh) * 2019-10-15 2020-0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方法、装置、第一通信节点、第二通信节点及介质
EP4117349A4 (en) * 2020-03-06 2023-11-22 Ntt Docomo, Inc.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WO2022131683A1 (en) * 2020-12-16 2022-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US11737099B2 (en) * 2021-01-29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PUCCH and PCI configuration for small cell base station
WO2022197600A1 (en) * 2021-03-16 2022-09-22 Intel Corporation Enhanced uplink pow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8942B2 (ja) * 2007-01-19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350063B1 (ko) * 2008-10-31 2014-01-16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의 간섭 최소화를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srs 수신기
WO2011001004A1 (en) * 2009-06-30 2011-01-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for 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of
KR101603584B1 (ko) * 2009-08-18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초기 전송전력 설정 방법 및 장치
JP5866124B2 (ja) 2010-06-04 2016-02-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端末の非周期的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トリガリングベースのsrs伝送方法及び非周期的srsを伝送するためのアップリンク伝送電力制御方法
KR101868621B1 (ko) * 2010-06-04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 트리거링 기반 srs 전송 방법 및 비주기적 srs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 방법
KR101719002B1 (ko) * 2010-06-07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40009902A (ko) * 2012-07-12 2014-01-23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002A (ko) * 2016-05-13 2019-01-1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37025A (ko) * 2016-05-13 2021-04-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26179B2 (en) 2016-05-13 2021-06-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1419057B2 (en) 2016-05-13 2022-08-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070A (ko) 2018-02-20
JP2015529037A (ja) 2015-10-01
KR101938346B1 (ko) 2019-01-14
CN108848555A (zh) 2018-11-20
US20140016576A1 (en) 2014-01-16
EP2873279A4 (en) 2016-02-24
US9094924B2 (en) 2015-07-28
WO2014010841A1 (en) 2014-01-16
CN104471994B (zh) 2018-09-18
US20150223180A1 (en) 2015-08-06
KR101828469B1 (ko) 2018-02-13
EP2873279A1 (en) 2015-05-20
US9392552B2 (en) 2016-07-12
CN104471994A (zh) 2015-03-25
KR20140009902A (ko) 2014-01-23
EP2873279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346B1 (ko)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JP6899446B2 (ja) 干渉測定方法及び関連するデバイス
JP7116274B2 (ja) 協調多地点通信のためのアップリンクシグナリング
KR101647868B1 (ko) 상향링크 채널과, 상향링크 채널에 연계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방법 및 그 단말
KR101525048B1 (ko) 단말의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방법 및 그 단말
KR101619400B1 (ko)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113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595596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送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899149B2 (ja) 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04247525A (zh) 无线通信方法、局域基站装置、移动终端装置以及无线通信系统
WO201313359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보고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30036134A (ko) 송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의 기준 신호 설정 방법, 단말, 및 단말의 기준 신호 전송 방법
KR20140035784A (ko) 상향링크 제어채널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그 단말, 그 송수신포인트
KR20130018073A (ko) 전송단의 srs 전송 제어 방법, 그 전송단, 단말의 srs 전송 방법, 및 그 단말
US10609652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297341B1 (en) Wireless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40023855A (ko)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04564A (ko)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과 그 장치
KR102281357B1 (ko)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그 단말, 그 기지국
KR20130127036A (ko)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신호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87747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UE triggered DMRS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