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361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361A
KR20150079361A KR1020140032855A KR20140032855A KR20150079361A KR 20150079361 A KR20150079361 A KR 20150079361A KR 1020140032855 A KR1020140032855 A KR 1020140032855A KR 20140032855 A KR20140032855 A KR 20140032855A KR 20150079361 A KR20150079361 A KR 20150079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wire
spr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079B1 (ko
Inventor
채승민
서영수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28,628 priority Critical patent/US9498102B2/en
Priority to EP14191562.9A priority patent/EP2888985B1/en
Publication of KR2015007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에 부착되는 커버의 다양한 재질 및 하중에 따라 소비자나 설치자가 손쉽게 스프링을 조절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도어의 양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도어 힌지들과, 도어 힌지들에 연결되어 도어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하우징의 양측면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스프링들과, 스프링들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일단이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웜이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와, 웜에 맞물려 회전되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시켜 스프링들의 장력을 동시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 펌프가 구동하여 섬프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분사노즐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고압으로 분출되어 식기랙에 수납된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오물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식기세척기의 도어는 세척기 하우징에 힌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재에 도어의 하단이 연결되며, 하우징 내에 고정된 스프링의 일단이 힌지부재에 연결되어 도어를 당기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당기면 이 당기는 힘에 의해 도어가 열리고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도어의 자중을 이기지 못하므로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근래에는 가구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방 공간의 사용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일체감을 가지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빌트인(built-in) 타입 식기세척기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의 식기세척기가 설치될 때, 가구장과 일체감을 주기 위하여 식기세척기의 전면 도어에 가구장과 동일한 무늬와 색을 가지는 커버가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커버가 도어에 결합되면 커버의 재질 및 무게에 따라 도어의 하중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도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에 부착되는 커버의 다양한 재질 및 하중에 따라 소비자나 설치자가 손쉽게 스프링을 조절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스프링의 좌우 밸런스 조절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도어의 좌우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커버의 분리없이 스프링의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가 일정 각도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양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도어 힌지들과, 상기 도어 힌지들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스프링들과, 상기 스프링들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웜이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웜에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스프링들의 장력을 동시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상기 웜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디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바디의 일면에 십자홈 또는 일자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장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홀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장력 조절홀을 관통하는 회전 공구가 결합되도록 그 일단부에 회전 지지홈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프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하우징의 전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양측 하단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들과, 상기 도어 힌지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 일 측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도어 힌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웜이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웜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헬리컬 기어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그 외주면에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디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장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홀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바디는,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복귀될 수 있도록 그 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기세척기 도어에 부착되는 커버 및 장삭물의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하중에 따라 소비자나 설치자가 손쉽게 스프링의 좌우 밸런스 조절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도어의 좌우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분리없이 스프링의 조절이 가능하여 소비자나 설치기사의 설치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일정 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도어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의 변형이나 그 외 주변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힌지 도어와 장력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장력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유닛의 가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도 5 의 A부분 확대도,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동작에 따른 스토퍼 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힌지 도어와 장력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장력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유닛의 가변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주방 공간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가구장(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바닥(10b), 상면(10d), 뒷면(10e) 그리고 양 측면(10c)을 가지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마련되는 도어(11)와, 도어(11)의 전면에 가구장(2)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한다.
커버(12)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큐빅 등의 장식품 또는 손잡이(12a)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어(11)의 전면에 커버(12)가 결합되면 커버(12)의 재질 및 무게에 따라 도어(11)의 하중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도어(1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31)의 하중을 조절해야 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세척조가 구비되고, 세척조 및 하우징(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1)의 하단에는 도어(11)의 회전 중심이 되는 도어 힌지(20)와, 도어 힌지(20)에 연결되어 도어(11)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스프링(31)과, 스프링(3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장력조절유닛(30)이 마련된다.
장력조절유닛(30)은 하우징(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0)의 바닥(10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면(10a)의 일부에는 스프링(31)의 장력 조절을 위한 회전 공구(14)를 삽입할 수 있도록 장력 조절홀(13)이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바닥(10b)은 세척조의 하부에서 섬프(미도시) 등이 마련되기 위한 기계실(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장력조절유닛(30)은 하우징(10)의 바닥(10b)에 마련되며, 스프링(31)은 바닥(10b)의 양 측면에 각각 전후 방향(A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에에서 장력 조절홀(13)은 하우징(10)의 전면(10a)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장력 조절홀은 하우징의 후면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힌지(20)는 도어(11)의 양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며, 도어(11)의 양측 하단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21)과, 힌지 브라켓(2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31)에 연결되는 로프(32)와, 하우징(10)의 측면(10c)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24)과, 지지 브라켓(24)에 설치되어 로프(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34)를 포함한다.
한편, 지지 브라켓(24)의 하단 전방측에는 돌출되는 힌지 돌기(24a)가 형성되며, 힌지 브라켓(21)에는 지지 브라켓(24)의 힌지 돌기(24a)에 대응되는 힌지 홀(21a)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도어(11)가 하단의 힌지 돌기(24a)와 힌지 홀(21a)을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힌지 브라켓(21)의 하단에는 로프(32)와의 연결을 위한 고리 형상의 힌지 연결부(22)가 형성된다. 로프(32)의 양 단부에는 힌지 연결부(22)와 연결을 위한 제1 연결부(32a)와, 스프링(31)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부(32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31)은 도어(11)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20)와 연결되는 제1 스프링(31a)과, 도어(11)의 타측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20)와 연결되는 제2 스프링(3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스프링(31a)과 제2 스프링(31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이하, 와이어(33))와, 와이어(33)의 길이를 가변하게 하여 좌우 양측 스프링(31)의 장력을 동시 조절 가능하게 하는 가변유닛(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31a)과 제2 스프링(31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와이어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는 로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유닛(40)은 샤프트(41)와, 샤프트(41)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회전부재(44)와, 제1 회전부재(44)에 맞물려 회전하며 와이어(33)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 회전부재(45)를 포함한다.
샤프트(41)는 일단에 회전 지지홈(42a)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42)가 마련되고 타단은 제1 회전부재(44)에 연결된다.
회전 지지홈(42a)은 십자 또는 일자 또는 육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 공구(14)는 회전 지지홈(42a)의 형상에 대응되는 십자 또는 일자 또는 육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 형성되는 돌기(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41)은 회전 지지부(42)가 하우징(10)의 장력 조절홀(13)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게 하고, 그 타단이 제1 회전부재(44)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41)의 길이는 하우징(1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1 회전부재(44)는 샤프트(41)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그 외주면에는 웜(44a)이 형성된다.
제2 회전부재(45)는 원통 형상의 바디(45a)와, 바디(45a)의 일단부에 제1 회전부재(44)의 웜(4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어부(45b)와, 바디(45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부(46)를 포함한다.
이때, 기어부(45b)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46)는 와이어(33)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홈(46a)을 포함한다.
와이어 삽입홈(46a)은 바디(45a)의 타단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삽입홈(46a)은 십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 삽입홈(46a)은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회전부재(45)의 와이어 삽입홈(46a)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와이어(33)는 샤프트(41)와 제1 회전부재(44)의 회전에 의해 제2 회전부재(45)의 바디(45a)의 외주면에 감기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33) 길이가 가변되면서 와이어(33)의 양단에 연결된 제1 스프링(31a)과 제2 스프링(31b)의 장력이 동시에 조절되며, 그에 따라 좌우 밸런스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바닥(10b) 내면에는 와이어(3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 롤러(35)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가이드 롤러(35)는 하우징(10)의 바닥(10b) 후방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 가이드 롤러는 하우징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기세척기(1)의 장력조절유닛(30)의 동작을 설명하면, 하우징(10)의 전면(10a) 하부에 형성된 장력 조절홀(13)에 대응되는 회전 공구(14)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샤프트(41) 및 제1 회전부재(44)가 회전하고, 제1 회전부재(44)의 웜(44a)에 대응되는 헬리컬 기어를 갖는 기어부(45b)에 의해 제2 회전부재(45)가 회전하면서, 와이어(33)의 길이를 가변시키고 와이어(33)에 연결된 제1 스프링(31a)과 제2 스프링(31b)의 장력이 동시에 조절되면서 좌우 밸런서를 맞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설치 기사가 변화하는 도어(11)의 하중에 따라 제품을 분리하지 않고 하우징(10)의 장력 조절홀(13)을 통해 회전 공구(14)를 삽입하고, 샤프트(41)를 회전시킴으로써 양측 스프링(31)의 장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도어(11)의 좌우 밸런서 조절을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도 5 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11)는 일정한 열림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 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유닛(50)은 하우징(10)의 측면에 도어 힌지(20)의 가이드 롤러(34)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24)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 유닛(50)은 도어 힌지(20)의 힌지 브라켓(21)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바디(52)와, 스토퍼 바디(52)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56)를 포함한다.
스토퍼 바디(52)는 회전축(51)으로 구성되는 회전부(55)와, 힌지 브라켓(21)과 접촉하여 도어 힌지(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42)를 포함한다.
회전 지지부(42)는 스토퍼 바디(52)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고 힌지 브라켓(21)의 힌지 연결부(22)와 접촉하면서 힌지 브라켓(21) 및 도어(11)의 회전을 제한한다.
회전 지지부(42)의 전면은 전방으로 라운드(53)지게 형성되어 도어(11)의 개폐 시 탄성에 의해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동작에 따른 스토퍼 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의 도어(11)는 닫힘 상태에서는 도어 힌지(20)와 스토퍼 유닛(50)은 접촉되지 않는다.
스토퍼 유닛(50)의 스토퍼 바디(52)는 탄성부(56)에 의해 도어(11)의 닫힘 상태에서는 수평 상태로부터 소정 각도(θ) 전방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어(11)의 개방 동작 시, 도어(11)의 힌지 브라켓(21)이 이동하게 되고 힌지 브라켓(21)의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 연결부(22)는 스토퍼 유닛(50) 스토퍼 바디(52) 하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54)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힌지 연결부(22)와 스토퍼 바디(52) 지지부(54)의 접촉에 의해 도어(11)의 개방 동작을 1차 적으로 멈추게 되어, 도어(11)가 일정 각도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도어(11)의 개방이 지속되면, 힌지 브라켓(21)은 스토퍼 유닛(50)으로부터 접촉이 분리되어 완전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유닛(50)은 탄성부(56)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도어(11)는 힌지 브라켓(21)에 연결된 로프(32)와 스프링(31)의 장력에 의해 원활한 개방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11)의 닫힘 동작 시에는, 힌지 브라켓(21)의 힌지 연결부(22)는 스토퍼 유닛(50)의 스토퍼 바디(52) 전방에 형성된 라운드(53)에 의해 가이드 되어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라운드(53)는 스토퍼 바디(52)의 전방으로 그 중심이 돌출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도어(11)가 닫히면서 회전이동하는 힌지 연결부(22)의 하단이 라운드(53)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마찰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식기세척기 10 : 하우징
11 : 도어 12 : 커버
13 : 장력 조절홀 14 : 회전 공구
20 : 도어 힌지 21 : 힌지 브라켓
31 : 스프링 32 : 로프
33 : 와이어 34 : 가이드 롤러
35 : 와이어 가이드 롤러 41 : 샤프트
42: 회전지지부 44 : 제1 회전부재
45 : 제2 회전부재 50 : 스토퍼 유닛
51 : 회전축 52 : 스토퍼 바디
53 : 라운드 56 : 탄성부

Claims (2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양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도어 힌지들과,
    상기 도어 힌지들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스프링들과,
    상기 스프링들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웜이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웜에 맞물려 회전되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스프링들의 장력을 동시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상기 웜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디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바디의 일면에 십자홈 또는 일자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장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홀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장력 조절홀을 관통하는 회전 공구가 결합되도록 그 일단부에 회전 지지홈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프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하우징의 전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양측 하단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들과,
    상기 도어 힌지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 일 측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도어 힌지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웜이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웜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헬리컬 기어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그 외주면에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디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장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홀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바디는,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해 복귀될 수 있도록 그 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40032855A 2013-12-31 2014-03-20 식기세척기 KR10211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8,628 US9498102B2 (en) 2013-12-31 2014-10-30 Dishwasher with tension adjustment system
EP14191562.9A EP2888985B1 (en) 2013-12-31 2014-11-03 Dishwasher with tension adjus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944 2013-12-31
KR20130168944 2013-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361A true KR20150079361A (ko) 2015-07-08
KR102114079B1 KR102114079B1 (ko) 2020-05-25

Family

ID=5379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855A KR102114079B1 (ko) 2013-12-31 2014-03-2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0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1451A (zh) * 2017-11-15 2018-04-24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洗碗机的移动铰接结构
KR102065741B1 (ko) 2019-02-25 2020-01-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2050471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298A (ko) * 2005-12-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US20110215691A1 (en) * 2005-06-24 2011-09-08 Arcelik A.S. Household appliance with adjustment mechanism for the door weight compensation device
US20120176014A1 (en) * 2011-01-07 2012-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Consumer appliance such as dishwasher with soft open door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5691A1 (en) * 2005-06-24 2011-09-08 Arcelik A.S. Household appliance with adjustment mechanism for the door weight compensation device
KR20070062298A (ko) * 2005-12-12 200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US20120176014A1 (en) * 2011-01-07 2012-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Consumer appliance such as dishwasher with soft open door mechanis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1451A (zh) * 2017-11-15 2018-04-24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洗碗机的移动铰接结构
CN107951451B (zh) * 2017-11-15 2024-04-0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洗碗机的移动铰接结构
KR102065741B1 (ko) 2019-02-25 2020-01-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2050471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079B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102B2 (en) Dishwasher with tension adjustment system
US9155444B2 (en) Dishwasher
EP267846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641432B1 (ko) 전기 오븐의 도어 개폐 구조
EP319022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KR101691837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KR20150079361A (ko) 식기세척기
EP3309284B1 (en)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KR101276852B1 (ko) 2축힌지
CA3048983A1 (en) Door unit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706895B2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balancing system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5123203A (ja) 扉構造および食器洗浄機
KR101238079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JP5881673B2 (ja) 扉構造および食器洗浄機
JP6069255B2 (ja) 扉構造および食器洗浄機
JP5979435B2 (ja) ウォールキャビネット
KR101821209B1 (ko) 세탁장치
KR20120107227A (ko) 세탁장치
CN112813651A (zh) 一种门铰链连接装置及滚筒洗衣机
KR200470641Y1 (ko) 다방향 개폐 서랍장
KR101875612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693437A (zh) 容纳柜及洗碗机
ITVR20110117A1 (it) Struttura di anta dotata di maniglia scorrevole
KR20130123542A (ko) 드럼세탁기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