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062A -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062A
KR20150079062A KR1020130169036A KR20130169036A KR20150079062A KR 20150079062 A KR20150079062 A KR 20150079062A KR 1020130169036 A KR1020130169036 A KR 1020130169036A KR 20130169036 A KR20130169036 A KR 20130169036A KR 20150079062 A KR20150079062 A KR 20150079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failure
electronic device
power consumption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173B1 (ko
Inventor
서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9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Abstract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건물 내로 인입되는 하나의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각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사용량 측정부; 및 상기 사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전자기기별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서버를 포함한다.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과 냉장고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냉장고 컴프레셔의 고장 여부가 판단된다.

Description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CIDING FAILURE OF ELECTRONIC EQUIPMENT BASE MEASUREMENT OF POWER US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는 물론 전세계가 불황에 시달리면서 소자본으로도 창업이 용이하면서 매출은 물론 수익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프랜차이즈(Franchise)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는 영업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기기가 고장나는 경우 해당 전자기기가 수리 완료될 때까지 매장 영업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전자기기의 고장을 미리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사용하는 냉장고의 경우 온도 유지를 통해 빵이나 아이스크림 등과 같은 제품을 신선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냉장고 고장나는 경우 냉장고 수리전까지 제품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매장 영업에 막대한 지장을 끼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프랜차이즈 매장 뿐만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는 물론 일반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 내로 인입하는 분전반의 전류만을 측정하여 건물 내에 있는 전자기기별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고장 판단 장치는,
건물 내로 인입되는 하나의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각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사용량 측정부; 및 상기 사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전자기기별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량 측정부는 상기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는 CT(Current Transformer)로 구성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량 측정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체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량 측정부는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장 판단 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게이트웨이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 판단 서버는, 상기 사용량 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의 전자기기에 해당되는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는 전력 사용량 수집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의 전자기기에 해당되는 동작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정보 수집부; 상기 전력 사용량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동작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및 상기 고장 판단부에 의해 해당 전자기기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자기기의 고장을 수리하는 서비스 센터로 고장 수리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상기 전력 사용량 수집부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고, 상기 기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와 냉장고의 현재 온도를 수집하며,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냉장고 설정 온도 및 냉장고의 현재 온도를 사용하여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은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 동작이 완료된 시간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동안의 전력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현재 온도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와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고장이라고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1차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1차 고장 판단부;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상기 냉장고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상기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없는 경우에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지부로 알리는 최종 고장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상기 냉장고의 온도 차이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와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고장 판단 방법은,
건물 내에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고장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건물 내로 인입되는 하나의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되는 전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 중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과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대상 전자기기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수리를 위해 서비스 센터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상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상기 전력 사용량은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으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 동작이 완료된 시간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동안의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와 냉장고의 현재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고장이라고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1차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상기 냉장고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상기 냉장고 설정 온도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상기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없는 경우에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로 인입하는 하나의 전력선의 전류를 측정하여 건물 내에 있는 전자기기별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측정에 기반한 전력 사용량 측정으로 전자기기별 고장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전자기기의 고장 여부 판단에 의한 수리가 가능해져 전자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판단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장 판단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장 판단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력 사용량 수집부가 수집하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판단 장치(100)가 사용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랜차이즈 매장 등의 건물(10)은 내부에 복수의 전자기기(30:31, 32, 33)를 포함하고, 이들 전자기기(30)는 분전반(20)을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서 동작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판단 장치(100)는 전류 측정부(110), 전력 사용량 측정부(120), 게이트웨이(130) 및 고장 판단 서버(140)를 포함한다.
전류 측정부(110)는 분전반(20)에서 전자기기(30)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21)에 연결되어 해당 전력선(21)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이러한 전류 측정부(110)의 예로는 고압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CT(Current Transformer)를 들 수 있다. 이러한 CT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전력량 측정부(120)는 전류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건물(10)의 전체 사용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전력의 특징을 분석하여 건물(10) 내 전자기기(30)의 개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력량 측정부(120)는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기술을 사용하여 개별 전자기기(3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NILM 기술은 건물(10)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인 전력 분해(Power Disaggregation) 방식 중에서 최근에 제안된 기술로써, 하나의 전력선 포인트, 예를 들어 분전반(20)에서 CT를 통해 전류를 측정하고, 미리 저장해둔 전자기기의 프로파일, 예를 들어, 소비전력 패턴, 역률, 전류/전압 램프 기울기 등을 사용하여, 입력 전류의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시변화 특성, 유효 전력(Active Power)과 무효 전력(Reactive Power) 등의 정보를 통해 개별 전자기기(30)를 식별하고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전력량 측정부(120)는 상기한 NILM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프렌차이즈 매장 건물(10)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의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NILM 기술에 대해서도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게이트웨이(Gateway)(130)는 전력 사용량 측정부(120)에서 측정되는 전자기기(30)별 전력 사용량과 각 전자기기(30)로부터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통해 각 전자기기(30)의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서 유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고장 판단 서버(140)로 전달한다.
고장 판단 서버(140)는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전달되는 전자기기(30)별 전력 사용량과 또한 전자기기(30)별 동작 정보를 통해 각 전자기기(3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고장 판단 서버(140)는 전자기기(30)의 고장 판단시 고장 수리를 위해 서비스 센터와 건물(10)의 주인 또는 전자기기(30)의 주인에게 문자 및/또는 전화로 통보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30)가 냉장고이고, 전력 사용량 측정부(120)가 냉장고의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경우, 고장 판단 서버(140)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각종 정보와 냉장고의 동작 온도 정보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 컴프레셔의 고장, 즉 냉장고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 수리가 신속하게 초리되도록 서비스 센터와 냉장고의 주인에게 연락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에서, 고장 판단 서버(140)가 하나의 건물(10)에 대한 전자기기(30)의 고장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130) 없이 바로 전력 사용량 측정부(120)가 고장 판단 서버(140)에 유무선으로 접속되어 전자기기(30)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장 판단 서버(140)가 복수개의 건물(10)들의 전자기기(30)에 대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가정하므로, 각 건물(10) 내에 게이트웨이(130)를 두고,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각 건물(10)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력 사용량 측정부(120)로부터 전달받아서 유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고장 판단 서버(140)로 전달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장 판단 서버(1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판단 서버(140)는 전력 사용량 수집부(141), 기기 정보 수집부(143), 고장 판단부(145) 및 통지부(147)를 포함한다.
전력 사용량 수집부(141)는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기(30)별 전력 사용량 정보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30)에 해당되는 전력 사용량을 수집한다.
기기 정보 수집부(143)는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기(30)별 동작 정보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30)에 해당되는 전자기기(30)의 기기 정보와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고장 판단부(143)는 전력 사용량 수집부(141)에 의해 수집된 전력 사용량과 기기 정보 수집부(143)에 의해 수집된 전자기기(30)의 기기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전자기기(30)에 대한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부(147)는 고장 판단부(143)에 의해 전자기기(3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자기기(30)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센터와 해당 전자기기(30)의 주인에게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통지하여 해당 전자기기(30)의 고장 사실을 통지하여 해당 전자기기(30)의 고장이 신속하게 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통지부(147)는 전자기기(30)별 고장 수리가 가능한 서비스 센터의 전화번호와 전자기기(30)별 주인 또는 건물(10)의 주인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물(10) 내에 위치하는 전자기기(30)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전자기기(30)별 동작 정보를 사용하여 전자기기(30)별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이 판단되는 전자기기(30)에 대한 수리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렌차이즈 매장 등의 영업에 손실이 적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상기한 전자기기(30)가 냉장고인 경우의 고장 판단부(14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장 판단부(145)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전에, 전자기기(30)가 냉장고인 경우, 전력 사용량 수집부(1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며, 이 때 수집되는 정보로는 컴프레셔의 동작 시간(t1, t2) 및 각 동작 시간(t1, t2) 동안의 전력량(w)이 있고, 기기 정보 수집부(143)는 냉장고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컴프레셔의 고장이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냉장고 설정 온도, 냉장고의 현재 온도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판단부(145)는 1차 고장 판단부(1451) 및 최종 고장 판단부(1453)를 포함한다.
1차 고장 판단부(1451)는 전력 사용량 수집부(141)에 의해 수집된 컴프레셔의 동작 시간, 즉 tΔ=t2-t1과 컴프레셔의 고장이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tx)을 비교하여 컴프레셔의 1차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컴프레셔의 고장이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tx)은 컴프레셔가 동작 기준 시간(tx) 이상 동작되는 경우에 1차 고장이라고 판단한다. 즉, 1차 고장 판단부(1451)는 tΔ≥tx인 경우 냉장고의 컴프레셔의 고장을 예측하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한다.
최종 고장 판단부(1453)는 기기 정보 수집부(143)에 의해 수집되는 냉장고 설정 온도(온도설정)와 냉장고의 현재 온도, 즉 컴프레셔가 동작을 시작한 시간 t1때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온도t1)과 컴프레셔가 동작을 완료한 시간 t2때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온도t2)를 사용하여 냉장고 컴프레셔의 최종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즉, 최종 고장 판단부(1453)는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도 불구하고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 이하가 되지 않거나 또는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 냉장고 컴프레셔의 최종 고장으로 판단한다. 즉, 최종 고장 판단부(1453)는 온도설정≤온도t2이거나 온도t2≒온도t1인 경우에 냉장고 컴프레셔의 최종 고장으로 판단한다. 이 때, 온도t2≒온도t1 경우 그 차이값을 임계값으로 정하여 온도t1와 온도t2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온도t2≒온도t1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온도t2-온도t1|≤온도임계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판단 장치(100)는 건물(10)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가 컴프레셔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설정 온도이하로 떨어지지 않거나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온도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 컴프레셔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통지부(147)로 통지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전자기기(30)가 냉장고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냉장고 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과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통해 고장을 판단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대해서는 모두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장 판단 장치(100)는 분전반(20)을 통해 건물(10) 내의 전자기기(30)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고(S100), NILM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전류를 통해 전자기기(30)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다(S110). 특히, 여기에서는 전자기기(30)가 냉장고인 경우에 해당되므로 냉장고의 전력 사용량, 즉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사용량에는 컴프레셔가 동작되는 시간 정보(tΔ)와 함께 해당 시간에서의 전력량이 포함된다.
그 후, 고장 판단 장치(100)는 각 전자기기(30), 즉 냉장고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전달받는다(S120). 이 때, 냉장고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로는 컴프레셔의 고장이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tx), 냉장고의 설정 온도(온도설정), 냉장고의 현재 온도(온도t1, 온도t2) 등이 포함된다.
계속해서, 고장 판단 장치(100)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시간(tΔ)과 동작 기준 시간(tx)을 비교하여(S130), 만약 컴프레셔의 동작 시간(tΔ)이 컴프레셔의 동작 기준 시간(tx) 이상인 경우(S140) 컴프레셔의 1차 고장으로 판단하지만(S15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컴프레셔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컴프레셔가 1차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면, 고장 판단 장치(100)는 냉장고의 현재 온도(온도t2)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온도설정)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60).
만약 냉장고의 현재 온도(온도t2)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온도설정) 이상인 이라면 냉장고의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지만(S170), 그렇지 않으면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냉장고의 온도의 변화가 없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180). 즉,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임계값(온도임계) 이하로써 거의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80).
만약 온도t2≒온도t1로써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최종 고장으로 판단한 후(S170), 고장 수리를 위해 서비스 센터와 냉장고 주인에게 AS(After Service)를 통지한다(S190). 그러나,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컴프레셔가 고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건물 내로 인입되는 하나의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각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사용량 측정부; 및
    상기 사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전자기기별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서버
    를 포함하는 고장 판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측정부는 상기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는 CT(Current Transformer)로 구성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량 측정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전체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측정부는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에 위치하며, 상기 사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아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고장 판단 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 서버는,
    상기 사용량 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량 정보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의 전자기기에 해당되는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는 전력 사용량 수집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로부터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의 전자기기에 해당되는 동작 정보를 수집하는 기기 정보 수집부;
    상기 전력 사용량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동작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및
    상기 고장 판단부에 의해 해당 전자기기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자기기의 고장을 수리하는 서비스 센터로 고장 수리를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는 고장 판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상기 전력 사용량 수집부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고,
    상기 기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와 냉장고의 현재 온도를 수집하며,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과 상기 기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냉장고 설정 온도 및 냉장고의 현재 온도를 사용하여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은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 동작이 완료된 시간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동안의 전력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현재 온도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와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부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고장이라고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1차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1차 고장 판단부;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상기 냉장고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상기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없는 경우에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지부로 알리는 최종 고장 판단부
    를 포함하는 고장 판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상기 냉장고의 온도 차이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와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장치.
  12. 건물 내에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고장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로 인입되는 하나의 전력선 포인트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되는 전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고장을 판단하기 위한 대상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정보 중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과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장 판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대상 전자기기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수리를 위해 서비스 센터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장 판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전자기기가 냉장고인 경우,
    상기 전력 사용량은 냉장고 컴프레셔의 전력 사용량으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 동작이 완료된 시간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동안의 전력량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동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냉장고 설정 온도와 냉장고의 현재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고장이라고 예상되는 동작 기준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1차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상기 냉장고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장 판단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이 완료된 시간에서의 냉장고의 현재 온도가 상기 냉장고 설정 온도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의 동작 전후의 상기 냉장고의 온도 차이가 없는 경우에 상기 냉장고 컴프레셔가 최종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판단 방법.
KR1020130169036A 2013-12-31 2013-12-31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57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36A KR101572173B1 (ko) 2013-12-31 2013-12-31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36A KR101572173B1 (ko) 2013-12-31 2013-12-31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062A true KR20150079062A (ko) 2015-07-08
KR101572173B1 KR101572173B1 (ko) 2015-11-26

Family

ID=5379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36A KR101572173B1 (ko) 2013-12-31 2013-12-31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665A (ko) * 2019-10-17 2021-04-27 김현수 전력선 통신 및 IoT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화재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665A (ko) * 2019-10-17 2021-04-27 김현수 전력선 통신 및 IoT를 이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화재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173B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614B2 (en) Monitoring system for proactive service of devices
US9971388B2 (en) Energy management unit with diagnostic capabilities
US8949052B2 (en) Method to determine utility consumption of individual appliances in a household from periodic measurements of aggregate utility consumption
US10372088B2 (en)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device,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method, and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program
TW201333484A (zh) 設備異常的偵測裝置與方法
CN103592919A (zh) 一种家电设备故障风险预估系统及方法
JP2015534060A (ja) 電気メータの故障を予防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7144085B (zh) 一种确定冰箱故障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8516523A (ja) 電力供給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10215367A1 (en) Method of Auto Association of HVAC Energy with Control Signal for Self Diagnostics of the HVAC System
JP5892033B2 (ja) 電気機器の管理装置、電気機器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JP6495494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上位管理装置及び機器管理方法
KR101572173B1 (ko) 전력 사용량 측정 기반 전자기기의 고장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JP6263818B2 (ja) 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状態判定システム
CN110440393A (zh) 空调温度传感器故障的检测方法、检测装置及空调
JP2015076648A (ja) 電力値収集システム
JP633107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101735B1 (ko)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7017776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70699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KR102125767B1 (ko)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20087344A (ko) 체인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KR102125765B1 (ko)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장치
JP2015114079A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JP2016195483A (ja) 配電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