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191A -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191A
KR20150078191A KR1020130167369A KR20130167369A KR20150078191A KR 20150078191 A KR20150078191 A KR 20150078191A KR 1020130167369 A KR1020130167369 A KR 1020130167369A KR 20130167369 A KR20130167369 A KR 20130167369A KR 20150078191 A KR20150078191 A KR 2015007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patient
telemedicine
doctor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Priority to KR102013016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191A/ko
Publication of KR2015007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진료과별 진료가 가능한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제1단계; 제1단계를 통해 송신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이 답변을 토대로 진료과를 결정하고, 해당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을 결정하는 제2단계;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진료과의 진단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송신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이 답변을 토대로 해당 진료과의 의사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결정된 의사가 가지는 의사용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 계획을 수립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수립된 원격 진료 계획을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을 최종 결정하는 제5단계; 그리고, 상기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이 도래될 경우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가 온라인 접속되도록 하여 임의로 개설된 가상의 대화방에서 상기 각 통신단말기가 서로 통신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remote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진료 서비스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원 진료를 꺼리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원격지에서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진료과별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적 혹은, 정신적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해당 진료과가 있는 병원을 내원하여 담당 진료과의 의사에게 진료 및 처방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병원 내원시에는 해당 병원의 접수처에서 진료 접수를 한 후 접수된 순서에 따른 진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프라인상에서의 진료는 환자가 병원을 내원하였을 경우 담당 진료과의 의사가 부재 중이거나 진료 예약이 많이 있을 경우에는 진료를 받지 못하고 돌아가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대형 병원의 경우는 환자가 의사를 대면하면서 진료받는 시간이 충분치 못함을 고려할 때 환자의 상태를 해당 의사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할 우려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각종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진료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원격 진료 서비스에 관련한 다양한 유형의 방안들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2258호,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879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8104호 등과 같이 다양하게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과 같은 원격 진료 서비스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환자와 의사가 원격지에서 대화하면서 진료하도록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의사가 환자의 진료하는데 있어서 환자의 정보 부족에 의해 정확한 진료를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는 자신의 진료 부위에 대한 진료과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해당 환자에 맞는 진료과의 의사에 의해 진료를 받는 것이 아닌 전혀 관련없는 진료과의 의사에 의해 진료를 받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스트레스나 외상 혹은, 기타의 이유에 의한 다양한 유형의 정신적인 장애를 갖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정신적인 장애를 갖는 환자의 경우는 단순한 화상 통신을 통한 대화만으로는 해당 환자의 상태를 의사가 정확히 진료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원 진료를 꺼리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원격지에서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진료과별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가 보유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과 더불어 화상 통신이 가능하면서 원격 진료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환자용 통신단말기; 각 진료과별 의사가 각각 보유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과 더불어 화상 통신이 가능하면서 원격 진료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의사용 통신단말기; 그리고,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 및 각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이 서로 구분된 상태로 저장되면서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의 작성 요청 및 작성된 답변을 전송하는 사전설문지관리 소프트웨어와,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진료과를 결정하고, 해당 진료과에 등록된 의사의 의사용 통신단말기와 해당 환자의 환자용 통신단말기를 중계하도록 온라인 접속 가능하게 구현된 원격진료 소프트웨어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를 일대일(一對一)이나 일대다(一對多) 혹은, 다대다(多對多)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추가로 구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진료 서비스 방법은 환자용 통신단말기가 온라인 접속되어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송신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이 답변을 토대로 진료과를 결정하고, 해당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을 결정하는 제2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진료과의 진단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송신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이 답변을 토대로 해당 진료과의 의사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결정된 의사가 가지는 의사용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 계획을 수립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수립된 원격 진료 계획을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을 최종 결정하는 제5단계; 그리고, 상기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이 도래될 경우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가 온라인 접속되도록 하여 임의로 개설된 가상의 대화방에서 상기 각 통신단말기가 서로 통신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의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은 해당 환자가 위치된 지역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된 병의원에 소속된 의사가 우선하여 결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6단계의 진행시 해당 환자의 보호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보호자가 가지는 통신단말기도 함께 통신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중 취득된 정보는 해당 환자에 관련한 정보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원격 진료 서비스에 의해 정신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환자와 같이 내원을 꺼리는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환자의 병세에 대한 초기 치료가 가능함과 더불어 병세의 악화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원격 진료 서비스는 사전 설문을 통해 환자가 진료받을 진료과에 대한 정확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의사는 해당 환자에 관련한 기초 정보를 정확히 인지한 상태에서 진료가 수행될 수 있게 됨에 따른 정확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원격 진료 서비스는 해당 환자의 거주지에 인근한 병의원에 소속된 의사에 의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해당 환자가 필요에 따라 내원하기 편리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해당 환자의 응급 사항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의 구축 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와, 의사용 통신단말기(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사전 설문을 통해 환자가 진료받을 진료과의 판단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진료과에 관련된 설문을 추가로 수행하여 담당 의사에 의한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는 환자가 소유하거나 혹은, 환자가 접하기 쉬운 위치나 장소에 구비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는 모바일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혹은, 인터넷 통신 가능한 컴퓨터 중 어느 한 단말기로 구성되며, 이와 함께 화상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에는 원격 진료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러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원격 진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는 각 진료과별 의사가 소유하거나 혹은, 해당 의사가 소속된 병의원에 구비된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는 모바일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혹은, 인터넷 통신 가능한 컴퓨터 중 어느 한 단말기로 구성되고, 화상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되는 등 전술된 환자용 통신단말기와 같다.
물론, 상기한 의사용 통신단말기(200)에도 원격 진료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러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원격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상에 구축되는 서버 컴퓨터로써, 각종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원격진료 소프트웨어(310)와, 사전설문지관리 소프트웨어(320)와, 환자관리 소프트웨어(330) 및 접수관리 소프트웨어(34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한 각 소프트웨어(310,320,330,340)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311,321,331,341)와 연동되면서 각종 정보의 저장 및 취득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여기서, 상기 원격진료 소프트웨어(310)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 및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를 일대일(一對一)이나 일대다(一對多) 혹은, 다대다(多對多)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이다.
즉, 상기한 원격진료 소프트웨어(310)에 의해 온라인상에 원격 진료를 위해 구현한 웹페이지 혹은, 왑페이지로 각 환자용 통신단말기(100) 및 각 의사용 통신단말기(200)가 온라인 접속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렇게 접속된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와 의사용 통신단말기(200) 간이 서로 일대일이나 일대다 혹은, 다대다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전설문지관리 소프트웨어(320)는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 및 각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이 서로 구분된 상태로 저장되면서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의 작성 요청 및 작성된 답변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진다.
즉, 온라인 접속된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로 상기 각 설문을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환자가 진료받을 진료과의 결정 및 해당 진료과에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토대로 의사의 결정과 이렇게 결정된 의사의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로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환자가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진료과를 결정하는 것이 아닌 환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서버(300)에서 해당 환자가 진료받을 진료과 및 의사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객관적인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각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은 해당 진료과의 담당 의사가 지정하여 등록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진료과의 의사에 의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설문에 대하여 수집된 답변 정보는 상기 의사에게로 곧장 전달되어 해당 의사가 상기 답변을 토대로 상담 및 진료 계획의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물론,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 역시 각 진료과별 의사의 의견을 참조하여 결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자관리 소프트웨어(330) 및 접수관리 소프트웨어(340)는 온라인 상에서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원격 진료에 대한 서비스를 접수받도록 프로그래밍됨과 더불어 이렇게 접수된 내용 및 해당 환자가 제공받은 서비스에 관련된 각종 정보가 해당 환자별로 수집 보관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서비스 서버(300)는 온라인상에 구축한 웹페이지 혹은, 왑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을 지속적으로 접수(S100)받는다.
이의 과정에서, 어느 한 환자용 통신단말기(100)가 온라인 접속되어 온라인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환자관리 소프트웨어(340) 및 접수관리 소프트웨어(340)를 구동시켜 해당 환자에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예컨대, 인적사항 등)를 제공받아 온라인 서비스를 접수받음(S200)과 더불어 이렇게 접수받은 정보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331,341)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서비스 접수가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사전설문지관리 소프트웨어(320)를 구동하여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로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S300)한다.
여기서, 상기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이라 함은 각 진료과별 특징을 갖는 설문으로써, 예컨대, 불편함을 느끼는 신체 부위나, 정신적 질환에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특징의 설문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통해 상기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설문의 답변이 수신될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수신받은 답변을 토대로 진료과 및 담당 의사를 결정하고, 해당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을 추가로 결정(S400)한다.
여기서, 상기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설문이라 함은 불편함을 느끼는 부위에 관련한 각 질환의 기본적인 특징 설문과, 해당 질환의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는 특징적인 설문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은 해당 진료과의 담당 의사가 직접 선정하여 등록됨과 더불어 해당 진료과의 의사에 의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해당 의사가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의사의 결정시에는 해당 진료과에 관련하여 등록된 의사들 중 해당 환자가 위치된 지역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된 병의원에 소속된 의사가 우선하여 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해당 환자가 필요에 따라 내원하기 편리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환자의 응급 사항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설문의 결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결정된 설문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S500)한다.
계속해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결정된 의사가 등록한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로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받은 각종 설문의 답변 내용을 전송하며, 이를 토대로 해당 의사에게 원격 진료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청(S600)한다.
이후, 상기 의사에 의한 상기 각종 설문의 답변 내용과 환자의 현재 상태 등이 고려된 원격 진료 계획의 수립이 완료되어 그에 관련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하게 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수립된 원격 진료 계획을 환자용 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여 해당 환자의 일정과 조율함으로써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을 최종 결정(S700)하고, 이렇게 결정된 일정을 해당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와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하여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결정된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이 도래될 경우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와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200)가 온라인 접속되도록 알림을 통지하며, 이러한 알림에 의해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와 의사용 통신단말기(200)의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면 원격진료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상기 두 통신단말기(100,200)의 온라인 통신을 위한 가상의 대화방을 개설한 후 해당 대화방에 상기 두 통신단말기(100,200)의 접속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S800)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가상의 대화방은 환자용 통신단말기(100)와 의사용 통신단말기(200)가 서로 화상 및 음성 통신 가능하게 구현되어 제공되며, 이를 통해 해당 대화방에서는 환자에 대한 원격지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상의 대화방에서 온라인 통신이 진행되는 도중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대화방에 접속된 의사용 통신단말기(200)에 별도의 창(window)으로 해당 환자의 설문 답변 내용과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해당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위한 영역이 추가로 제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의사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한 각 과정의 진행시 해당 환자의 보호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보호자가 가지는 통신단말기도 해당 대화방에 함께 접속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함으로써 의사가 해당 환자 자신이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 대하여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된 각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서비스 서버(300)가 취득한 정보(환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 및 의사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해당 환자에 관련한 정보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후, 전술된 원격 진료가 종료되면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의사용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처방전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환자용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원격 진료 서비스를 종료한다.
결국,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원격 진료 서비스에 의해 정신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환자와 같이 내원을 꺼리는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환자의 병세에 대한 초기 치료가 가능함과 더불어 병세의 악화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원격 진료 서비스는 사전 설문을 통해 환자가 진료받을 진료과에 대한 정확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의사는 해당 환자에 관련한 기초 정보를 정확히 인지한 상태에서 진료가 수행될 수 있게 됨에 따른 정확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원격 진료 서비스는 해당 환자의 거주지에 인근한 병의원에 소속된 의사에 의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해당 환자가 필요에 따라 내원하기 편리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해당 환자의 응급 사항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0. 환자용 통신단말기 200. 의사용 통신단말기
300. 서비스 서버 310. 원격진료 소프트웨어
320. 사전설문지관리 소프트웨어 330. 환자관리 소프트웨어
340. 접수관리 소프트웨어 311,321,331,341.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환자가 보유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과 더불어 화상 통신이 가능하면서 원격 진료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환자용 통신단말기;
    각 진료과별 의사가 각각 보유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과 더불어 화상 통신이 가능하면서 원격 진료를 위한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의사용 통신단말기; 그리고,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 및 각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이 서로 구분된 상태로 저장되면서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의 작성 요청 및 작성된 답변을 전송하는 사전설문지관리 소프트웨어와,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토대로 진료과를 결정하고, 해당 진료과에 등록된 의사의 의사용 통신단말기와 해당 환자의 환자용 통신단말기를 중계하도록 온라인 접속 가능하게 구현된 원격진료 소프트웨어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를 일대일(一對一)이나 일대다(一對多) 혹은, 다대다(多對多)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추가로 구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3. 환자용 통신단말기가 온라인 접속되어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진료과의 구분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송신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이 답변을 토대로 진료과를 결정하고, 해당 진료과에 관련한 병명의 진단에 참조하기 위한 복수의 설문을 결정하는 제2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진료과의 진단을 위한 복수의 설문을 송신하여 해당 설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제3단계;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송신된 각 설문에 대한 답변이 수신될 경우 이 답변을 토대로 해당 진료과의 의사를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결정된 의사가 가지는 의사용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 계획을 수립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수립된 원격 진료 계획을 환자용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을 최종 결정하는 제5단계; 그리고,
    상기 원격 진료 계획 일정이 도래될 경우 상기 환자용 통신단말기와 상기 의사용 통신단말기가 온라인 접속되도록 하여 임의로 개설된 가상의 대화방에서 상기 각 통신단말기가 서로 통신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은 해당 환자가 위치된 지역에 가장 인접되게 위치된 병의원에 소속된 의사가 우선하여 결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의 진행시 해당 환자의 보호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보호자가 가지는 통신단말기도 함께 통신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중 취득된 정보는 해당 환자에 관련한 정보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0130167369A 2013-12-30 2013-12-30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50078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69A KR20150078191A (ko) 2013-12-30 2013-12-30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69A KR20150078191A (ko) 2013-12-30 2013-12-30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191A true KR20150078191A (ko) 2015-07-08

Family

ID=5379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369A KR20150078191A (ko) 2013-12-30 2013-12-30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191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01A (ko) * 2017-09-05 2019-03-13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61826A (ko) 2017-11-28 2019-06-05 (주)블라우비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11752391B2 (en) 2019-03-11 2023-09-12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pedal crank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01A (ko) * 2017-09-05 2019-03-13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61826A (ko) 2017-11-28 2019-06-05 (주)블라우비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11752391B2 (en) 2019-03-11 2023-09-12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pedal crank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8191A (ko)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68508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physician-patient consultation
CN1541612B (zh) 用于从远程站点提供医生援助的电子医院系统
Hofstetter et al. The impact of telehealth on wait time for ENT specialty care
US8799010B2 (en) Telehealth scheduling and communications network
WO2020021973A1 (ja) 病院予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04502995A (ja) 遠隔患者管理
CN104603829A (zh) 用于使用移动终端的个人医疗治疗的方法和装置
WO2013155002A1 (en) Wireless telemedicine system
KR101800846B1 (ko) 병원 간 진료의뢰시스템 및 방법
US200701800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physician-patient consultation
JP2022149025A (ja) オンライン受診判定装置及びオンライン受診支援システム
WO2018084166A1 (en) Method, computing system and medium for optimizing of healthcare institution resource utilisation
JP2020016995A (ja) 医療評価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102111063B1 (ko)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방법 및 온라인 구강건강상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KR102133141B1 (ko) 종합병원 원내동행 서비스 제공방법
CN113744897A (zh) 网络问诊方法、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KR20200144678A (ko) 의료인 왕진예약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50074566A (ko)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CN112132726A (zh) 基于物联网的移动房屋旅居养老系统及方法
Sanjaya et al. Using hospital claim data to develop referral decision support systems: Improving patient flow from the primary care
JP2021117792A (ja) 医療看護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60807A (ko) 환자관리 시스템, 환자관리 서버, 환자단말기 및 그 환자관리 방법
Winata et al. The Use of Telemedicine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Area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Indonesia
KR101247393B1 (ko) 환자예약 관리 시스템, 환자예약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