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566A -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566A
KR20150074566A KR1020130162466A KR20130162466A KR20150074566A KR 20150074566 A KR20150074566 A KR 20150074566A KR 1020130162466 A KR1020130162466 A KR 1020130162466A KR 20130162466 A KR20130162466 A KR 20130162466A KR 20150074566 A KR20150074566 A KR 2015007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perative
patient
type
group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엽
권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6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566A/ko
Publication of KR2015007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이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협진 의뢰 요청 및 환자 기반의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협진 타입 결정시, 협진에 참여할 의료인들에 대한 의료인 정보 및 협진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별 기 설정된 그룹 생성 방식에 따른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환자 선택에 따른 어느 하나의 협진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협진 그룹의 의료진과 환자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with consultation based patient request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협의 진료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이용하려는 진료 요청사항에 따라 적합한 협의 진료 체계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협의 진료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든 사람은 질병의 경중과 무관하게 각종 질병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이유로 의료기관을 방문하게 된다. 일부에서는 모든 진료 과정이 순리대로 진행되고 진료한 의료진 소수의 의견으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절차가 수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여러 의료진이 동일한 환자 케이스에 대하여 협의 진료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협의 진료(이하, '협진'이라 치함)란 한 명 이상의 의료인이 동일 환자의 진료를 위해 의료정보를 공유하고 진료를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T 기술 및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자택과 같이 의료기관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환자에게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원격 진료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의료진과 환자가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 또는 영상으로 원격 진료하는 경우 진단의 오진율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협진 서비스의 이용도 고려되고 있다.
이때, 협진 의료진은 각각의 의료인에게 진료 가능 여부를 문의하여 협진을 수락한 의료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협진 의료진 구성은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의 일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일정이나 요구사항은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각 의료인에 대해 개별 진료 의사를 문의하여 협진 의료진을 구성하므로, 의료인이나 환자 측에서 예정된 진료 일정에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협진 의료진을 재구성해야하거나 진료 서비스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증상이나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진료 타입에 적합한 협진 체계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은, 협진에 참여할 의료인들에 대한 의료인 정보 및 협진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협진 의뢰 요청 및 협진과 관련되어 환자 기반의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 및 협진 타입별 기 설정된 그룹 생성 방식에 따라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환자 선택에 따른 협진 그룹의 의료진과 환자간의 협진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료 요청정보를 토대로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협진 타입 결정부; 협진 타입별 차등화된 그룹 생성 조건의 협진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진료 요청정보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 정보를 도출하고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협진 그룹 생성부; 및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협진 그룹 선택신호에 따라 환자 및 협진 의료진을 매칭시키는 환자-의료인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협진 타입 결정부는, 상기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응급형, 만성형 및 일반형 중 어느 하나로 주 협진 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 협진 타입별로 환자 진료과목에 기초한 부 협진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협진 타입 결정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협진 의뢰가 응급형으로 요청되는 경우, 해당 환자의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타입으로 자동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협진 그룹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협진 타입이 응급형인 경우,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그룹 조건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도출하여 단일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자-의료인 매칭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조합 가능한 전체 협진 그룹의 수와 상기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 협진 그룹의 수로부터 매칭 확률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단말기로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에 관한 정보 제공시, 상기 후보 협진 그룹 리스트, 협진 그룹별 의료진 정보 및 상기 매칭 확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협진 의뢰 요청한 환자에 관한 정보 및 환자별 생성된 협진 그룹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협진 제공 방법은, (a)협진 시스템이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협진 의뢰 요청 및 환자 기반의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상기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c)상기 협진 타입 결정시, 협진에 참여할 의료인들에 대한 의료인 정보 및 협진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별 기 설정된 그룹 생성 방식에 따른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환자 선택에 따른 어느 하나의 협진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협진 그룹의 의료진과 환자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b)단계는, 상기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응급형, 만성형 및 일반형 중 어느 하나로 주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주 협진 타입별로 환자 진료과목에 기초한 부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협진 의뢰가 응급형으로 요청되는 경우, 해당 환자의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타입으로 자동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단계는,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그룹 조건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도출하여 단일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단일 협진 그룹의 의료인들의 단말기로 협진 제공을 요청하며 상기 의료인과 상기 환자간의 협진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d)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조합 가능한 전체 협진 그룹의 수와 상기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 협진 그룹의 수로부터 매칭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정보, 협진 그룹별 의료진 정보 및 상기 매칭 확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리스트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협진 그룹 의료인들의 단말기로 협진 제공을 요청하며 상기 의료인과 상기 환자간의 협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에 대하여 환자 또는 협진 제공 의료인의 진료 관련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환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상기 결정된 협진 그룹을 제외한 다른 협진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에 대하여 환자의 진료 관련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 단말기, 상기 의료인 단말기 및 상기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변경된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협진 타입 재결정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결정된 협진 타입에 따른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에 대하여 협진 제공 의료인의 진료 관련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요청사항과 동일한 조건의 다른 의료인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증상이나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진료 타입을 적합한 협진 체계를 구성하여 협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의료인 선택권 또는 진료 선택권의 확장 및 협진에 따른 오진율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그룹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요청사항에 따른 협진 그룹으로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에서 협진 그룹 결정 이후 변동사항에 따라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발명은 협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증상이나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진료 타입에 적합한 협진 체계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협진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진 시스템(100), 협진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환자 단말기(101) 및 협진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의료인 단말기(102)로 구성된다.
환자 단말기(101) 및 의료인 단말기(102)는 개인용 컴퓨터(PC),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인 단말기(102)는 각각의 의료인이 병원 내부 또는 외부에서 협진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각각 병원 서버를 통해 협진 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다.
협진 시스템(100)은 환자 단말기(101), 의료인 단말기(102) 또는 병원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10), 통신부(110)를 통해 수집한 환자의 증상이나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진료 타입에 적합한 협진 체계를 구성하여 환자-의료인 매칭을 수행하는 제어부(120) 및 협진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130)는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정보 DB(131), 협진에 참여 가능한 의료인 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인 정보 DB(132) 및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협진 그룹을 해당 환자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협진 그룹 DB(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협진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10)는 환자 단말기(101), 의료인 단말기(102) 또는 병원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111) 및 의료기관의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집한 환자의 증상이나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진료 타입을 결정하는 협진 타입 결정부(121), 결정된 협진 타입에 따라 의료인 정보 DB(132)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협진 그룹을 생성하는 협진 그룹 생성부(122) 및 협진 그룹 중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의료인을 매칭시키는 환자-의료인 매칭부(123)를 포함한다.
협진 타입 결정부(121)는 환자 단말기(101), 의료인 단말기(102) 및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환자 기반의 진료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협진 타입 테이블에 기초하여 환자의 질환에 적합한 협진 타입을 결정한다.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로는 환자가 기입한 증상, 기존의 건강기록, 진료시각, 의료비, 진료스타일, 응급여부, 선호 의료기관, 선호 의료인, 주치의, 초진/재진 여부 등 환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요청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협진 타입으로 응급형, 만성형 및 일반형으로 주 협진 타입을 분류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협진 타입을 설정하고, 각각의 주 협진 타입은 다수의 부 협진 타입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협진 그룹 생성부(122)는 환자에 대한 협진 타입이 결정되면, 의료인 정보 DB(132)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다수의 의료인에 대하여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그룹핑을 수행한다.
이때,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에 특정 의료기관 정보 또는 특정 의료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인 또는 해당 의료인은 협진 그룹 내 포함되도록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협진 그룹 테이블은 동일한 협진 타입에서도 세부적으로 증상, 응급도, 진료수준, 진료비 등에 따라 생성되는 다수의 협진 그룹 타입을 포함하는 설정 테이블을 의미한다. 즉, 동일한 협진 타입에 속하는 다수의 협진 그룹은 협진 타입에 따라 동일한 레벨의 그룹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협진 그룹간 진료 레벨이 차이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협진 그룹에 포함되는 다수의 의료인은 상담, 진단, 처치, 처방 등 진료상에서 각각 독립된 역할을 수행하며 해당 그룹에서 협진 대상인 환자의 상담부터 처방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료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협진 그룹에서 협진 시스템 및 협진 의료인을 총괄 관리하는 책임자도 자동 지정하거나 의료인 요청에 따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의료인은 해당 그룹의 협진 의료진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협진 그룹 생성시마다 또는 임의적으로 다른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환자-의료인 매칭부(123)는 환자 단말기(101)로 다수의 협진 그룹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다수의 협진 그룹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환자와 협진 의료인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협진 그룹 정보는 각 그룹에 포함된 의료인 명단, 의료인 개별정보(예, 전문분야, 진료경력, 학력, 현재 근무중인 의료기관 등), 예상 진료비, 진료 가능 시간 등의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환자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협진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그 중 하나의 협진 그룹을 선택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환자-의료인 매칭부(123)는 환자의 협진 그룹 선택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매칭 확률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수학식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진 그룹 생성시 환자와 의료인간의 매칭 확률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전체 조합 가능한 협진 그룹의 수(A)는 의료인 정보 DB(132)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별로 조합할 수 있는 협진 그룹의 전체 수를 의미하고, 환자 요청 기반의 협진 그룹의 수(B)는 진료 요청사항에 따라 협진 그룹 생성부(122)에서 생성한 협진 그룹의 수를 의미한다. 전체 협진 그룹의 수(A)는 협진 시스템에서 보유하는 의료인 정보의 등록 상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소정 주기로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 요청 기반의 협진 그룹의 수(B)는 환자의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므로 환자별로 독립적인 데이터이며, 환자는 매칭확률 데이터를 통해 자신의 진료 요청사항을 수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술한 것처럼,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정보 DB(131), 협진에 참여 가능한 의료인 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인 정보 DB(132) 및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협진 그룹 저장하는 협진 그룹 DB(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정보 DB(131)는 협진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에 관한 개인정보(예, 성명, 나이, 체중, 식별정보 등), 증상, 진료기록, 협진 기록 등을 저장 및 관리하며, 제어부(120)는 추후 협진 서비스를 재요청하는 환자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환자 정보 DB(131)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의료인 정보 DB(132)는 협진 시스템에 등록된 의료인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의료인 정보로는 의료인 개별정보(예, 성명, 전문분야, 진료경력, 학력 등), 의료인이 근무하는 의료기관 정보, 진료 가능한 시간 정보, 의료수가, 환자 만족도, 오진률, 진료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협진 그룹 DB(133)는 협진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에 대해 생성된 다수의 협진 그룹에 관한 정보 및 환자가 선택한 협진 그룹 정보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20)는 동일 환자 또는 다른 환자에 대한 협진 그룹 생성시 협진 그룹 DB(133)에 기초하여 이미 형성된 협진 그룹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정보 DB(131), 의료인 정보 DB(132) 또는 협진 그룹 DB(133)는 변동되는 사항에 따라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그룹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그룹 테이블은 환자의 증상 및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협진 타입과 협진 그룹의 종류를 정의하는 테이블로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협진 타입별 협진 그룹 테이블(200)은 응급형, 만성형, 일반형과 같은 주 협진 타입(210), 각각의 주 협진 타입에 대하여 진료분야별로 분류될 수 있는 다수의 부 협진 타입(220) 및 부 협진 타입별로 소정 조건에 따라 분류되는 다수의 협진 그룹(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 협진 타입(210)은 환자의 증상 및 응급도에 따라 응급형(211), 만성형(212) 및 일반형(213)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협진 타입에 따라 협진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과 환자의 협진 그룹 선택권의 권한을 차등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부 협진 타입(220)은 의료 분야가 다양함을 반영하여 주 협진 타입(210)에 포함되는 의료 타입들을 분야별로 구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응급형 협진 타입(211)에 대하여 골절(정형외과) 응급형(221), 심장질환(순환기내과) 응급형(222),…, 복합 진단 응급형(223) 등으로 협진 타입을 2차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성형 협진 타입(212)에 대하여 창상(성형외과) 만성형(224), 천식(호흡기내과) 만성형(225),…, 당뇨와 같은 일반 만성 질환형(226) 등으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반형 협진 타입(213)에 대해서 감기(가정의학) 일반형(227), 알러지(피부과) 일반형(228),…, 이비인후과 일반형(229) 등으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 협진 타입(220)은 다수의 협진 그룹(230)으로 3차 분류될 수 있다. 협진 그룹은 협진 타입에 따라 차등화된 그룹핑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형 협진 타입의 경우 환자상태 경중에 기초하여 진료 우선순위(예, 진료가능한 시간 등)에 따른 다수의 협진 그룹(231)을 구성할 수 있고, 만성형 협진 타입의 경우 만성 질환은 의료비 등이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등 환자의 경제상황에 따라 협진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의료비 및 진료 레벨에 따른 다수의 협진 그룹(232)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반형 협진 타입의 경우 환자의 진료 요청사항 중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진료 요청사항(예, 진료 가능시간, 의료비, 의료인 정보, 의료기관 위치 등) 중 우선순위에 부합하는 다수의 협진 그룹(233)을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협진 그룹은 상담, 진단, 처치, 처방 등 진료상에서 각각 독립된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의료인들로 구성되며, 해당 협진 그룹에서 협진 시스템 및 협진 의료인을 총괄 관리하는 책임자도 지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요청사항에 따른 협진 그룹으로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협진 시스템은 협진에 참여하고자 하는 다수 의료인에 대하여 협진 참여 요청과 함께 협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S301). 협진 관련 정보로는 의료인 개별정보(예, 성명, 전문분야, 진료경력, 학력 등), 의료인이 근무하는 의료기관 정보, 진료 가능한 시간 정보, 의료수가, 환자 만족도, 오진률, 진료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협진 시스템은 수집된 협진 참여 의료인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인 정보 DB를 구축한다(S302). 의료인 정보 DB는 의료인의 협진 참여 상태에 따라 추가, 변경, 삭제 등 실시간 또는 소정 주기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후, 환자로부터 협진 제공 요청과 함께 진료 요청사항이 전송된다(S303).
이때,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협진 시스템은 환자의 협진 서비스 제공 요청시, 환자 정보 DB에 기초하여 서비스 요청한 환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여 비등록 환자인 경우 진료 요청사항의 제공을 요청하고 등록 환자인 경우 환자 정보 DB에 기초하여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고 선택적으로 추가 진료 요청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협진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입력된 진료 요청정보 및 환자 정보 DB로부터 도출한 진료 요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결정한다(S304). 구체적으로,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것처럼 협진 타입 테이블에 기초하여 주 협진 타입 및 부 협진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협진 타입 결정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의료인 정보 DB로부터 다수의 의료인을 도출하여 협진 타입에 따른 다수의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한다(S305). 이때, 진료 요청사항에 환자가 특정하는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의료인을 별도로 도출하여 협진 그룹에 포함되도록 협진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은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것처럼 환자 응급도, 진료수준, 환자의 선호도 등에 기초하여 동일 레벨의 그룹 또는 순차적 레벨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협진 시스템은 환자 단말기로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정보와 환자의 진료 요청사항에 따른 협진 매칭 확률 정보를 전송한다(S306). 이때, 협진 그룹 정보는 각 그룹에 포함된 의료인 명단, 의료인 개별정보(예, 전문분야, 진료경력, 학력, 현재 근무중인 의료기관 등), 예상 진료비, 진료 가능 시간 등의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는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및 매칭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협진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S307).
협진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특정 협진 그룹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협진 그룹 의료진의 의료인 단말기로 협진 제공 신호를 전송하여 협진이 이루어지도록 중계할 수 있다(S308, S309).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응급환자에게 제공되는 협진 서비스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서비스는 환자 또는 의료인으로부터 협진 제공이 응급형으로 요청될 수 있다(S401).
협진 시스템은 응급환자에 대하여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타입으로 자동 결정할 수 있다(S402). 즉,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가 수집되지 않아도 환자가 응급상태인 점을 고려하여 협진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응급형 협진 타입 결정시,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 및 의료인 정보 DB에 기초하여 협진 그룹을 생성하되, 응급형인 경우에 대응될 수 있는 의료인 선정 기준을 추가하여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S403).
예를 들어, 응급환자의 상태에 고려하여 신속한 진료 및 처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료인의 진료 가능 시간을 최우선순위로 두어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전문적인 진료 및 처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료인의 진료 수준(경력, 진료횟수 등)을 소정 기준치 이상으로 제한하여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만성형 협진 타입이나 일반형 협진 타입의 경우, 환자의 협진 그룹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응급형의 경우 응급 조건에 부합되는 단일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응급형 협진 그룹이 생성되면 환자-의료인 매칭과정을 수행하고(S404), 협진 참여 의료진의 의료인 단말로 협진 제공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협진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S40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진 타입별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만성질환자에게 제공되는 협진 서비스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만성질환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환자로부터 협진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하고(S501), 소정의 과정을 통해 환자의 증상, 진료 요청사항 등의 진료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02).
협진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수집한 진료 요청사항을 분석하여 해당 환자가 만성질환형 환자임을 파악하여 만성형의 협진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S503).
만성형 협진 타입이 결정되면, 환자의 증상에 부합되는 부 협진 타입에 따라 의료인 정보 DB 및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다수의 협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S504).
이때, 협진 시스템은 생성된 다수의 협진 그룹 각각에 대해 환자와의 매칭 확률을 산출하여(S505), 매칭 확률과 함께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정보, 각 협진 그룹의 의료진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한다(S506).
이에 따라, 환자는 상기 단계 S502에서 입력한 진료 요청사항에 부합되는 협진 그룹의 매칭 확률이나 협진 의료진의 의료인 정보를 제공받아 협진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07).
환자가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협진 시스템은 선택된 협진 그룹의 의료진에게 협진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협진 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한다(S508).
반면, 환자가 어느 협진 그룹도 선택하지 않을 경우, 협진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수정된 진료 요청사항을 수신하여 협진 타입 결정 및 협진 그룹 생성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S509).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은 환자 또는 협진 참여 의료인의 협진 결정 후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다른 협진 그룹을 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에서 협진 그룹 결정 이후 변동사항에 따라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진 시스템은 상술한 방식에 따라 환자의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다수의 협진 그룹을 생성하고, 환자의 선택권 또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그 중 어느 하나의 협진 그룹(G0)으로 협진을 결정할 수 있다(S601).
이때, 환자 또는 협진 그룹(G0)의 한명 이상의 의료인에게 변동사항이 발생하여 예정된 스케줄에 따라 협진 제공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6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별로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이 생성되므로 환자 선택에 따라 환자가 선호하는 진료 요청사항에 부합되는 다른 후보 협진 그룹(G1)으로 결정될 수 있다(S603, S604).
다른 후보 협진 그룹(G1)으로 재결정되는 경우, 환자는 초기 자신이 요청한 진료 요청사항에 부합되는 다른 협진 그룹(G1)으로부터 협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605). 즉,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 대체함에 따라 환자의 변동사항에도 즉각적으로 다른 협진 그룹으로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단계 S603에서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에서 협진 그룹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초기 협진 그룹(G0)으로 협진받지 못하는 변동사항이 환자 또는 의료인에게 발생하였는지에 따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환자가 입력한 진료 요청사항에 변동이 생긴 경우(S611), 환자의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진료 요청사항을 수정할 수 있다(S612).
협진 시스템은 수정된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재결정하고(S613),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방식에 따라 협진 타입에 부합되는 다수의 협진 그룹을 재생성한다(S614).
환자가 다수의 협진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G2)을 선택하는 경우(S615), 선택된 협진 그룹(G2)으로부터 환자를 협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S616).
마찬가지로, 환자는 재생성된 다수의 협진 그룹에서도 특정 그룹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다시 진료 요청사항을 수정하여 협진 그룹의 재생성을 요청하며 단계 S612 내지 단계 S615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계 S601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G0)에 속한 의료인(A)에게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S621), 협진 시스템은 의료인 정보 DB에 기초하여 환자가 초기 입력한 진료 요청사항과 동일한 조건의 다른 의료인(B)으로 대체하여 수정된 협진 그룹(G0')을 재구성할 수 있다(S622).
이후, 환자가 재구성된 협진 그룹(G0')으로부터 협진을 결정하는 경우, 협진 시스템은 선택된 협진 그룹(G0')으로부터 환자를 협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S623, S624).
이 경우에도, 환자는 재구성된 협진 그룹(G0')에 대한 협진 거부 의사를 표시할 수 있고, 협진 시스템은 환자의 협진 그룹(G0')에 대한 거절시 환자로부터 진료 요청사항을 재수집하여 협진 타입 및 협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S612 내지 단계 S615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상술하는 협진 그룹 재구성 과정은 신속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도록 다른 협진 그룹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환자의 요청사항이 변경되는 경우를 반영하여 환자의 선호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다른 협진 그룹으로 대체하는 방법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단계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협의 진료(이하, '협진'이라 칭함)에 참여할 의료인들에 대한 의료인 정보 및 협진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협진 의뢰 요청 및 협진과 관련되어 환자 기반의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 및 협진 타입별 기 설정된 그룹 생성 방식에 따라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환자 선택에 따른 협진 그룹의 의료진과 환자간의 협진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료 요청정보를 토대로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협진 타입 결정부;
    협진 타입별 차등화된 그룹 생성 조건의 협진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진료 요청정보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 정보를 도출하고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협진 그룹 생성부; 및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협진 그룹 선택신호에 따라 환자 및 협진 의료진을 매칭시키는 환자-의료인 매칭부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진 타입 결정부는,
    상기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응급형, 만성형 및 일반형 중 어느 하나로 주 협진 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 협진 타입별로 환자 진료과목에 기초한 부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진 타입 결정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협진 의뢰가 응급형으로 요청되는 경우, 해당 환자의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타입으로 자동 결정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진 그룹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협진 타입이 응급형인 경우,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그룹 조건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도출하여 단일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료인 매칭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조합 가능한 전체 협진 그룹의 수와 상기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 협진 그룹의 수로부터 매칭 확률을 산출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단말기로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에 관한 정보 제공시, 상기 후보 협진 그룹 리스트, 협진 그룹별 의료진 정보 및 상기 매칭 확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협진 의뢰 요청한 환자에 관한 정보 및 환자별 생성된 협진 그룹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시스템.
  9. (a)협진 시스템이 환자 단말기, 의료인 단말기 및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협진 의뢰 요청 및 환자 기반의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상기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c)상기 협진 타입 결정시, 협진에 참여할 의료인들에 대한 의료인 정보 및 협진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별 기 설정된 그룹 생성 방식에 따른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d)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환자 선택에 따른 어느 하나의 협진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협진 그룹의 의료진과 환자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환자의 진료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응급형, 만성형 및 일반형 중 어느 하나로 주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주 협진 타입별로 환자 진료과목에 기초한 부 협진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협진 의뢰가 응급형으로 요청되는 경우, 해당 환자의 증상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타입으로 자동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기 설정된 협진 그룹 테이블에 기초하여 응급형 협진 그룹 조건에 부합되는 다수의 의료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도출하여 단일 협진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단일 협진 그룹의 의료인들의 단말기로 협진 제공을 요청하며 상기 의료인과 상기 환자간의 협진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조합 가능한 전체 협진 그룹의 수와 상기 진료 요청사항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보 협진 그룹의 수로부터 매칭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정보, 협진 그룹별 의료진 정보 및 상기 매칭 확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리스트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그룹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협진 그룹 의료인들의 단말기로 협진 제공을 요청하며 상기 의료인과 상기 환자간의 협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에 대하여 환자 또는 협진 제공 의료인의 진료 관련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환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 중 상기 결정된 협진 그룹을 제외한 다른 협진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에 대하여 환자의 진료 관련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 단말기, 상기 의료인 단말기 및 상기 병원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변경된 진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진료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협진 타입을 재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협진 타입 재결정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상기 재결정된 협진 타입에 따른 다수의 후보 협진 그룹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에 대하여 협진 제공 의료인의 진료 관련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초하여 상기 진료 요청사항과 동일한 조건의 다른 의료인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c)단계에서 결정된 협진 그룹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진 제공 방법.
KR1020130162466A 2013-12-24 2013-12-24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4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66A KR20150074566A (ko) 2013-12-24 2013-12-24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66A KR20150074566A (ko) 2013-12-24 2013-12-24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66A true KR20150074566A (ko) 2015-07-02

Family

ID=5378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466A KR20150074566A (ko) 2013-12-24 2013-12-24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5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84B1 (ko) * 2018-03-22 2019-09-11 주식회사 송아리아이티 건강관리 데이터 제공 서버,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20738A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국가간 의료협업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284B1 (ko) * 2018-03-22 2019-09-11 주식회사 송아리아이티 건강관리 데이터 제공 서버,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9182368A1 (ko) * 2018-03-22 2019-09-26 주식회사 송아리아이티 건강관리 데이터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30120738A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국가간 의료협업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001B1 (ko)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24457A1 (en) Integrated health care predicting system
US20170323074A1 (en) On-Demand All-Points Telemedicine Consultation System and Method
KR20150078191A (ko)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11133102B2 (en) Service architecture support method and system for medical/nursing support system
US20220020487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US20180277252A1 (en) Person Engagement Index for Providing Automated Personalized Healthcare Functions
Shaw et al. A novel large scale integrated telemonitoring program for COVID-19
JP200732348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案内提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locke et al. Designing for sustainability: an approach to integrating staff role changes and electronic health record functionality within safety-net clinics to address provision of tobacco cessation care
JP5889472B1 (ja) 治療方針決定支援システム
Levy et al. Cost-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cancer
JP2013137645A (ja) 医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マッチング装置、および医師の派遣方法
EP2704043A1 (en) Medical support device and system for cooperation with medical specialists
Årestedt et al. Context factors facilitating and hindering patient participation in dialysis care: a focus group study with patients and staff
JP2018517214A (ja) 作業量管理のために介護要求を負荷分散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074566A (ko) 환자 진료 요청사항 기반의 협의 진료 시스템 및 방법
EP270404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upport
Grimley et al. Nurse sensitive indicators and how COVID-19 influenced practice change
US20210375411A1 (en) Digital advance healthcare directive management
JP6819979B1 (ja) 医療看護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129771B2 (ja) チーム医療支援装置、チーム医療支援装置の制御方法、チーム医療支援プログラム、及びチーム医療支援システム
Mason Lessons from COVID-19 about rationing care
JP6231516B2 (ja) チーム医療支援装置、チーム医療支援装置の制御方法、チーム医療支援プログラム、及びチーム医療支援システム
JP7429351B2 (ja) 医師間の相談のための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