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803A -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803A
KR20150076803A KR1020130165405A KR20130165405A KR20150076803A KR 20150076803 A KR20150076803 A KR 20150076803A KR 1020130165405 A KR1020130165405 A KR 1020130165405A KR 20130165405 A KR20130165405 A KR 20130165405A KR 20150076803 A KR20150076803 A KR 2015007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cps
construction drawing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숙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803A/ko
Publication of KR2015007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관리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업체 기간계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시공도면의 접수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재의 입고상태가 반영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기 생성/저장되어 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상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분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CPS 분석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지시 팀 측에서,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The system which supports a managing process about a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본 발명은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플랜트공사의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를 좀 더 효율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지시 팀 측에서,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CPS 관리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공업 관련기술이 진일보를 이루면서, 국내외의 대형 플랜트공사를 수주/시공하는 기업의 숫자 또한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트공사의 시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각종 백업 기술들의 중요성 또한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랜트 공사 관련 백업기술들로써,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4-41054호(명칭: 플랜트시스템, 플랜트 감시장치 및 플랜트데이터 선택방법)(2004.5.13.자 공개)에는 <외부로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 중, 읽히고 싶지 않은 데이터를 데이터마다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에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 중, 플랜트를 운전/감시/보수하고 있는 측에서 읽히고 싶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데이터만 마스크 함으로써, 외부로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05-96157호(명칭: 풍력발전 플랜트 건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한 풍력발전 플랜트)(2005.10.5.자 공개)에는 <풍력발전 설비의 시공이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고, 나아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11-104098호(명칭: 플랜트 운전 방법 및 플랜트 운전 시스템)(2011.9.21.자 공개)에는 <플랜트 구조재를 구성하는 원소의 용출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플랜트 구조재의 부식을 억제시키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플랜트 공사기술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트 공사현장(H)에는 배관을 위시한 다양한 유형의 자재가 제공/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현장(H)에 접수된 시공도면과 입고된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게 된다. 이는 시공도면과,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가 플랜트 공사현장(H)에 모두 접수/입고 완료된 경우에만, 정상적인 플랜트 공사가 원활하게 개시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어떻게 하면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의 시공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만약, 업체 측에서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하게 될 경우,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여러 플랜트 공사 관련 백업기술 측에서는 업체가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수 있는 아무런 수단도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의 예측/시행 불능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4-41054호(명칭: 플랜트시스템, 플랜트 감시장치 및 플랜트데이터 선택방법)(2004.5.13.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5-96157호(명칭: 풍력발전 플랜트 건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한 풍력발전 플랜트)(2005.10.5.자 공개) 제10-2011-104098호(명칭: 플랜트 운전 방법 및 플랜트 운전 시스템)(2011.9.21.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업체 기간계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시공도면의 접수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재의 입고상태가 반영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기 생성/저장되어 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상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분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CPS 분석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지시 팀 측에서,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시공도면의 접수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자재의 입고상태가 반영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CPS 분석정보 중에서 상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분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CPS 분석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S 관리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업체 기간계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시공도면의 접수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재의 입고상태가 반영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기 생성/저장되어 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상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분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CPS 분석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작업지시 팀 측에서는,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공도면 및 자재의 공급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PS 관리 지원시스템의 통신환경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CPS 관리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PS 관리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PS 관리 지원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플랜트 공사기술 체제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H)에는 배관을 위시한 다양한 유형의 자재가 제공/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현장(H)에 접수된 시공도면과 입고된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게 된다. 이는 시공도면과,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가 플랜트 공사현장(H)에 모두 접수/입고 완료된 경우에만, 정상적인 플랜트 공사가 원활하게 개시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어떻게 하면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의 시공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만약, 업체 측에서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하게 될 경우,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업체 기간계 서버(2)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분석하여, 탄력적으로 유통시켜줄 수 있는 본 발명 고유의 CPS 관리 지원시스템(100)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PS 관리 지원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하여,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업체 기간계 서버(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의 취득절차, 자재 입고상태정보의 취득절차,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의 생성절차, CPS 분석정보의 생성/제공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CPS 지원 제어모듈(101)과, 이 CPS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4),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105),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106),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107),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108),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109),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11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는 작업지시 팀(예컨대, 플랜트 공사현장 내 각 공사섹터의 작업을 담당하는 각 하청업체에게 작업을 지시하는 팀)에 소속된 각 담당자에 의해 관리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테스크탑 PC, 노트북, PDA 등의 정보처리기기를 의미하며, 상기 업체 기간계 서버(2)는 플랜트 공사와 관련된 각종 정보(예컨대, 시설정보, 도면정보, 근무자 정보, 자재정보, 물량정보, 작업일정정보, 작업내역정보, 인사정보, 경영정보, 영업정보, 물류정보 등)를 전체적으로 총괄 관리하는 서버 급 컴퓨터를 의미한다.
이 상황에서,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CPS 관리 지원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의 등록정보, 업체 기간계 서버(2)의 등록정보, 작업지시 팀 각 담당자의 등록정보, CPS 관련 세부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 통신세션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자원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프로그램 자원정보, 가이드 프레임(200: 도 5에 도시됨)의 생성을 위한 문자/이미지/영상/프로그램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4) 측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측으로부터 가이드 프레임(200)의 생성을 위한 가이드 프레임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3)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문자/이미지/영상/프로그램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문자/이미지/영상/프로그램 정보 등을 토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00)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0)을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00)의 전송/게시 상황 하에서, 작업지시 팀에 속한 각 담당자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200)에 표시된 각 메뉴를 선택/클릭하는 지극히 간단한 전산절차 만으로도, 자신에게 필요한 여러 절차(예컨대,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분석/확인하는 절차 등)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2)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업체 기간계 서버(2) 측으로부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일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등)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업체 기간계 서버(2) 측으로부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일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등)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이를 수신/접수/취득한 후, 취득 완료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CPS 관리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105)과 연계 동작하는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106)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2)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업체 기간계 서버(2) 측으로부터 자재 입고상태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일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업체 기간계 서버(2) 측으로부터 자재 입고상태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일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106) 측에서는 이를 수신/접수/취득한 후, 취득 완료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CPS 관리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각 시공도면의 접수상태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일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등), 각 자재의 입고상태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일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 등이 저장 완료되면,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107) 측에서는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105),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106)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각기 취득/저장되어 있던 각 도면의 접수상태정보, 각 자재의 입고상태정보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105),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106) 등에 의해 각기 취득/저장되어 있던 각 도면의 접수상태정보, 각 자재의 입고상태정보 등이 판독 완료되면,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107)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 루틴을 진행시켜,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예컨대,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AA 시공도면은 B년 C월 D일에 접수 완료되었고, 이 AA 시공도면에 상응하는 KK 자재는 B년 C월 E일에 접수 완료되었다고 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전체 접수 시공도면 중, 72%에 해당하는 접수 시공도면에 그에 상응하는 자재가 입고 완료되었다고 하는 매칭정보 등)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예컨대,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AA 시공도면은 B년 C월 D일에 접수 완료되었고, 이 AA 시공도면에 상응하는 KK 자재는 B년 C월 E일에 접수 완료되었다고 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전체 접수 시공도면 중, 72%에 해당하는 접수 시공도면에 그에 상응하는 자재가 입고 완료되었다고 하는 매칭정보 등)가 생성 완료되면,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판독 완료되면,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 루틴을 진행시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예컨대,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AA 시공도면은 B년 C월 D일에 접수 완료되었고, 이 AA 시공도면에 상응하는 KK 자재는 B년 C월 E일에 접수 완료되었다고 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전체 접수 시공도면 중, 72%에 해당하는 접수 시공도면에 그에 상응하는 자재가 입고 완료되었다고 하는 매칭정보 등)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CPS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예컨대,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AA 시공도면은 B년 C월 D일에 접수 완료되었고, 이 AA 시공도면에 상응하는 KK 자재는 B년 C월 E일에 접수 완료되었다고 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전체 접수 시공도면 중, 72%에 해당하는 접수 시공도면에 그에 상응하는 자재가 입고 완료되었다고 하는 매칭정보 등)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CPS 분석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저장 루틴을 진행시켜, 생성 완료된 CPS 분석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CPS 관리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CPS 분석정보가 생성/저장 관리되는 상황 하에서,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정보제공대상 공사섹터, 정보제공대상 담당자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이미 생성/저장되어 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분석정보가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이미 생성/저장되어 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분석정보가 어떠한 것인지가 확인 완료되면,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108)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생성/저장되어 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분석정보(즉, 정보제공대상 공사섹터, 정보제공대상 담당자 등이 반영된 CPS 분석정보)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분석정보(즉, 정보제공대상 공사섹터, 정보제공대상 담당자 등이 반영된 CPS 분석정보)가 추출 완료되면,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109)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CPS 분석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작업지시 팀에 소속된 각 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를 주시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예컨대,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AA 시공도면은 B년 C월 D일에 접수 완료되었고, 이 AA 시공도면에 상응하는 KK 자재는 B년 C월 E일에 접수 완료되었다고 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XX 공사섹터에 상응하는 전체 접수 시공도면 중, 72%에 해당하는 접수 시공도면에 그에 상응하는 자재가 입고 완료되었다고 하는 매칭정보 등)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3)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업체 기간계 서버(2)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시공도면의 접수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재의 입고상태가 반영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기 생성/저장되어 었던 CPS 분석정보 중에서 상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분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CPS 분석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 전송/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작업지시 팀 측에서는, 플랜트공사의 CPS(즉, 접수/입고된 시공도면과 자재의 상호 매칭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관리(예컨대, 플랜트 공사 인력관리, 플랜트 공사 일정관리, 플랜트 공사 비용관리 등)를 적절히 예측/시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S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는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110)이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11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110) 측에서는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세부정보 제공대상 CPS 분석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운영정보 저장모듈(103)에 기 저장되어 있던 CPS 관련 세부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관련 세부정보가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기 저장되어 있던 CPS 관련 세부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관련 세부정보가 어떠한 것인지가 확인 완료되면,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110)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3)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저장되어 있던 CPS 관련 세부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CPS 관련 세부정보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CPS 관련 세부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가 추출 완료되면,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11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CPS 관련 세부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도 4 참조), 결국, 작업지시 팀에 소속된 각 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를 주시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CPS 관련 세부정보(예컨대,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접수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시공도면의 설계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아이디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입고담당자 정보, 각 공사섹터별 자재의 송출담당자 정보 등)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재/도면의 매칭 시공/관리가 필요한 여러 유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2: 업체 기간계 서버 3: 유/무선 온라인망
100: CPS 관리 지원시스템 101: CPS 지원 제어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 105: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
106: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
107: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
108: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 109: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
110: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 200: 가이드 프레임

Claims (2)

  1.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시공도면의 접수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자재의 입고상태가 반영된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취득모듈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시공도면 접수상태정보 및 자재 입고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접수 완료된 시공도면 및 해당 시공도면에 매칭되는 자재의 입고 완료상태가 반영된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 생성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시공도면/자재입고 매칭정보가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시공준비상태(CPS: Construction Preparation Status)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CPS 분석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CPS 분석정보 중에서 상기 CPS 분석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분석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CPS 분석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CPS 분석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S 관리 지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측으로부터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기 저장되어 있던 CPS 관련 세부정보 중에서, 상기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CPS 관련 세부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CPS 관련 세부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CPS 관련 세부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S 관리 지원시스템.
KR1020130165405A 2013-12-27 2013-12-27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76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05A KR20150076803A (ko) 2013-12-27 2013-12-27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05A KR20150076803A (ko) 2013-12-27 2013-12-27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03A true KR20150076803A (ko) 2015-07-07

Family

ID=5378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405A KR20150076803A (ko) 2013-12-27 2013-12-27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68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8093A (zh) * 2018-01-29 2018-06-22 墨点狗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基于cps的智慧建造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8093A (zh) * 2018-01-29 2018-06-22 墨点狗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基于cps的智慧建造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20069A (zh) 一种生产制造执行系统
CN104871182A (zh) 检查和维护工厂或其他设施的系统
CN104484761B (zh) 设备生命周期处理系统
CN103177327A (zh) 一种基于b/s与c/s架构的低压电力作业综合管理系统
KR20210150107A (ko)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haccp 플랫폼 시스템
KR101952539B1 (ko) 종합 군수 지원 방법
CN108319638A (zh) 一种应用手持巡检设备的危险品生产制造执行系统
US201101789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grated And Automated Generation Of Work Packages
KR20150076803A (ko)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KR20160108883A (ko)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KR20060010284A (ko) 발전소 운전정보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150049840A (ko) 자재 제공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84369A (ko) 자재 운송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48393A (ko)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76729A (ko) 자재 시공완료기한 관리 지원시스템
JP4592673B2 (ja) 工事計画システム
KR20140122416A (ko) 플랜트 공사현장 품질검사시트 관리장치
KR20150076709A (ko) 자재 추가공급내역 관리 지원시스템
KR20130082842A (ko)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품질검사업무 지원장치
Borek et al. Managing information risks in asset management—Experiences from an in-depth case study in the utility industry
KR20150077517A (ko) 자재공급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76739A (ko) 자재 시공완료시점 관리 지원시스템
CN103560589B (zh) 一种联调处理系统和方法
JP2019067253A (ja) 電力輸送部門業務支援システム
Kim Smart chemical plant architecture development based on a systems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