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393A -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393A
KR20150048393A KR1020130128387A KR20130128387A KR20150048393A KR 20150048393 A KR20150048393 A KR 20150048393A KR 1020130128387 A KR1020130128387 A KR 1020130128387A KR 20130128387 A KR20130128387 A KR 20130128387A KR 20150048393 A KR20150048393 A KR 20150048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information
area
status
goods recei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8393A/ko
Publication of KR2015004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업체 기간계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의 자재입고 현황 및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의 자재입고 현황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지시 팀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플랜트 공사현장이 고립지에 위치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도, 자재 입고현황의 비합리적 관리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The system which supports a managing process about a stock condition of a resources}
본 발명은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자재(예컨대, 배관)에 대한 입고현황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지시 팀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플랜트 공사현장이 고립지에 위치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도, 자재 입고현황의 비합리적 관리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공업 관련기술이 진일보를 이루면서, 국내외의 대형 플랜트공사를 수주/시공하는 기업의 숫자 또한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랜트공사의 시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각종 백업 기술들의 중요성 또한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랜트 공사 관련 백업기술들로써,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4-41054호(명칭: 플랜트시스템, 플랜트 감시장치 및 플랜트데이터 선택방법)(2004.5.13.자 공개)에는 <외부로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 중, 읽히고 싶지 않은 데이터를 데이터마다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에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 중, 플랜트를 운전/감시/보수하고 있는 측에서 읽히고 싶지 않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데이터만 마스크 함으로써, 외부로 송신하고 있는 플랜트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05-96157호(명칭: 풍력발전 플랜트 건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한 풍력발전 플랜트)(2005.10.5.자 공개)에는 <풍력발전 설비의 시공이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고, 나아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11-104098호(명칭: 플랜트 운전 방법 및 플랜트 운전 시스템)(2011.9.21.자 공개)에는 <플랜트 구조재를 구성하는 원소의 용출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플랜트 구조재의 부식을 억제시키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플랜트 공사기술 체제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에는 배관을 위시한 다양한 유형의 자재가 투입/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이 자재의 입고현황을 효율적으로 점검/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의 시공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업체 측에서는 예컨대, 플랜트 공사현장이 섬 등과 같은 고립지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자재의 입고현황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만약, 플랜트 공사현장이 고립지(예컨대, 섬 등)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업체 측에서는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여러 플랜트 공사 관련 백업기술 측에서는 자재의 입고현황을 사이트-오프 지역, 사이트-온 지역 등으로 나누어 엄격하게 구분/관리해줄 수 있는 아무런 수단도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자재 입고현황의 비합리적 관리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4-41054호(명칭: 플랜트시스템, 플랜트 감시장치 및 플랜트데이터 선택방법)(2004.5.13.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5-96157호(명칭: 풍력발전 플랜트 건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한 풍력발전 플랜트)(2005.10.5.자 공개) 제10-2011-104098호(명칭: 플랜트 운전 방법 및 플랜트 운전 시스템)(2011.9.21.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업체 기간계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의 자재입고 현황 및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의 자재입고 현황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지시 팀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 플랜트 공사현장이 고립지에 위치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도, 자재 입고현황의 비합리적 관리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의 자재입고 현황 및 상기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의 자재입고 현황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취득하는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업체 기간계 서버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의 자재입고 현황 및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의 자재입고 현황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작업지시 팀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현장이 고립지에 위치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도, 자재 입고현황의 비합리적 관리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자재의 입고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플랜트 공사기술 체제 하에서, 플랜트 공사현장(H)에는 배관을 위시한 다양한 유형의 자재가 투입/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이 자재의 입고현황을 효율적으로 점검/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전체적인 플랜트 공사의 시공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상황에서, 업체 측에서는 예컨대, 플랜트 공사현장(H)이 섬 등과 같은 고립지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자재의 입고현황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만약, 플랜트 공사현장(H)이 고립지(예컨대, 섬 등)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업체 측에서는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B)(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A)(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4) 등을 매개로 하여,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업체 기간계 서버(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프로세스 소스정보의 취득/저장절차, 사이트-온 지역 측 자재입고 현황정보의 생성/저장/제공절차, 사이트-오프지역 측 자재입고 현황정보의 생성/저장/제공절차, 사이트-온 지역 측 자재소모 현황정보의 생성/저장/제공절차, 사이트-오프 지역 측 자재 소모현황정보의 생성/저장/제공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자재 입고현황 지원 제어모듈(101)과, 이 자재 입고현황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4),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6),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7),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108),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09),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10),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111)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는 작업지시 팀(예컨대, 플랜트 공사현장 각 섹터의 작업을 담당하는 각 작업그룹에게 작업을 지시하는 팀)에 소속된 각 담당자에 의해 관리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테스크탑 PC, 노트북, PDA 등의 정보처리기기를 의미하며, 상기 업체 기간계 서버(2)는 플랜트 공사와 관련된 각종 정보(예컨대, 시설정보, 도면정보, 근무자 정보, 자재정보, 물량정보, 작업일정정보, 작업내역정보, 인사정보, 경영정보, 영업정보, 물류정보 등)를 전체적으로 총괄 관리하는 서버 급 컴퓨터를 의미한다.
이 상황에서,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의 등록정보, 업체 기간계 서버(2)의 등록정보, 작업지시 팀 각 담당자의 등록정보, 통신세션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자원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프로그램 자원정보, 가이드 프레임(200: 도 2에 도시됨)의 생성을 위한 문자/이미지/영상/프로그램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4)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3)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측으로부터 가이드 프레임(200)의 생성을 위한 가이드 프레임 전송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3)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에 기 저장되어 있던 문자/이미지/영상/프로그램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문자/이미지/영상/프로그램 정보 등을 토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00)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0)을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00)의 전송/게시 상황 하에서, 작업지시 팀에 속한 각 담당자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200)에 표시된 각 메뉴를 선택/클릭하는 지극히 간단한 전산절차 만으로도, 자신에게 필요한 여러 절차(예컨대,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파악하는 절차,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파악하는 절차,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소모 현황을 파악하는 절차,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소모 현황을 파악하는 절차 등)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4) 등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2)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로부터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H)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H)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 등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가 전송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업체 기간계 서버(2)로부터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 등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이를 수신/접수/취득한 후, 취득 완료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 등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가 판독 완료되면,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해당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한 후, 일련의 데이터 저장루틴을 진행시켜, 생성 완료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상술한 절차를 통해,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 등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7) 측에서는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가 판독 완료되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7)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해당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한 후, 일련의 데이터 저장루틴을 진행시켜, 생성 완료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등이 생성/저장되는 상황에서,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4)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해당 메시지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자재입고 현황정보가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기 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자재입고 현황정보가 어떠한 것인지가 확인 완료되면,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6),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107)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각기 생성/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등을 추출한 다음, 일련의 데이터 결합루틴을 진행시켜, 상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등이 결합된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렇게 하여,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등이 결합된 자재입고 현황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108)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4)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도 4 참조), 결국, 작업지시 팀에 소속된 각 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를 주시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입고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입고수량, 자재의 입고일, 기존 자재수량, 자재 입고업체 내역, 자재 입고담당자 내역 등)>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온라인망(3)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업체 기간계 서버(2) 등의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의 자재입고 현황 및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의 자재입고 현황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작업지시 팀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재가 사이트-오프 지역(B)(예컨대,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과 원 거리 떨어진 육지)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또는, 사이트-온 지역(A)(예컨대, 실제 플랜트 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섬)에 얼마만큼 입고되어 있는지 등을 매우 엄격하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업체(예컨대, 플랜트공사 수주/시공업체) 측에서는 플랜트 공사현장이 고립지에 위치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도, 자재 입고현황의 비합리적 관리에 따른 크고 작은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 입고현황 지원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는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09),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10),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111) 등이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09) 측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이 판독 완료되면,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09)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해당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생성한 후, 일련의 데이터 저장루틴을 진행시켜, 생성 완료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상기 각 전산모듈들과 연계 동작하는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10) 측에서는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105)에 의해 취득/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이 판독 완료되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10)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해당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생성한 후, 일련의 데이터 저장루틴을 진행시켜, 생성 완료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등이 생성/저장되는 상황에서,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111)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4)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때,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로부터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111) 측에서는 해당 메시지를 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를 판독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자재소모 현황정보가 어떠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기 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자재소모 현황정보가 어떠한 것인지가 확인 완료되면,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111) 측에서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09),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110)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각기 생성/저장되어 있던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중에서, 작업지시 팀 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등을 추출한 다음, 일련의 데이터 결합루틴을 진행시켜, 상기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등이 결합된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등이 결합된 자재소모 현황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111)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 유/무선 온라인망(4) 등을 매개로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와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도 5 참조), 결국, 작업지시 팀에 소속된 각 담당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1)를 주시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사이트-온 지역(A)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 <사이트-오프 지역(B)의 자재소모 현황(예컨대, 자재의 종류, 자재의 잔여수량, 자재의 소모수량, 자재의 소모기간 내역, 자재 시공업체 내역 등)>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재의 관리가 필요한 여러 유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 2: 업체 기간계 서버 3: 유/무선 온라인망
100: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101: 자재 입고현황 지원 제어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 105: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
106: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
107: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
108: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
109: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
110: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
111: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
200: 가이드 프레임

Claims (2)

  1.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업체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실제 플랜트 공사현장이 위치하고 있는 사이트-온 지역(Site-on area)의 자재입고 현황 및 상기 사이트-온 지역과 원 거리 떨어진 사이트-오프 지역(Site-off area)의 자재입고 현황이 포함된 프로세스 소스정보를 취득하는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입고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입고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입고 현황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자재입고 현황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온 지역의 자재소모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소모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 취득모듈과 통신하여, 상기 프로세스 소스정보에 포함된 사이트-오프 지역의 자재소모 현황을 판독한 후, 해당 자재소모 현황이 표/문자/이미지/숫자/그래프로 표현된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이트-오프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부터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중에서 상기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이트-온 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 및 사이트-오프지역 자재소모 현황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팀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자재소모 현황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KR1020130128387A 2013-10-28 2013-10-28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48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387A KR20150048393A (ko) 2013-10-28 2013-10-28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387A KR20150048393A (ko) 2013-10-28 2013-10-28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93A true KR20150048393A (ko) 2015-05-07

Family

ID=5338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387A KR20150048393A (ko) 2013-10-28 2013-10-28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83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Data-driven decision-making for equipment maintenance
US9659268B2 (en) Ticket approval system for and method of performing quality control in field service applications
KR101695522B1 (ko)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EP3336639B1 (en) Asset management of field devices
Kumar et al. A review of IoT applications in supply chain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KR20210150107A (ko)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haccp 플랫폼 시스템
CN114298343A (zh) 设备巡检过程的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Ocheoha et al. Impac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n just-in-time material delivery
Falah et al. Implementation of an IoT-Based Smart Water System as a Means in Monitoring the Use of Consumer Water Debit Using Photovoltaic in Seboro Village Probolinggo
KR20150138958A (ko) Nfc 기반 플랜트 관리 시스템
KR102146545B1 (ko)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100584903B1 (ko) 발전소 운전정보 실시간 관리 시스템
Wan et al. Knowledge management for maintenance, repair and service of manufacturing system
KR20150048393A (ko) 자재 입고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KR20160108883A (ko)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86500B1 (ko) 플랜트 배관 관리 시스템
TWI665560B (zh) 行動製造管理和優化平台
JP2016038852A (ja) 健全性診断支援サーバシステム
Kenge et al. A case study of industry 4.0 implement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KR20150049840A (ko) 자재 제공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Coletta An industrial experience in assessing the capability of non‐software processes using ISO/IEC 15504
KR20150076803A (ko) 시공준비상태 관리 지원시스템
KR20150084369A (ko) 자재 운송현황 관리 지원시스템
JP4592673B2 (ja) 工事計画システム
KR20130082842A (ko)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품질검사업무 지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