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858A -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858A
KR20150075858A KR1020130164231A KR20130164231A KR20150075858A KR 20150075858 A KR20150075858 A KR 20150075858A KR 1020130164231 A KR1020130164231 A KR 1020130164231A KR 20130164231 A KR20130164231 A KR 20130164231A KR 20150075858 A KR20150075858 A KR 2015007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reserv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214B1 (ko
Inventor
하기현
Original Assignee
하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현 filed Critical 하기현
Priority to KR102013016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2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신상 정보가 저장된 NFC 칩이 내장되어 있는 NFC 카드와, 장소별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NFC 카드가 태그되면 신상 정보를 읽어와 장소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NFC 리더기와, 신상 정보를 NFC 카드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NFC 리더기를 통해 전송되는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신상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시간 및 예약 내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추출하며, 예약 정보가 추출되면 신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기와, 관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상 정보에서 환자의 이름을 추출하고,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환자의 이름과 추출된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SYSTEM FOR GUIDING MOVING R0UTE OF PATIENT}
본 발명은 치과 등과 같은 병원에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동 경로를 판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주파수인식(RFID : Radio Frequeny IDentifiation)이란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된 전자태그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추출하거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건, 동물, 사람 등을 인식,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물건, 동물 등에 부착되는 다수의 RFID 태그(전자태그, Transponder)와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RFID 리더(Interrogator)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은 RFID 태그와 RFID 리더 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유도 방식과 전자기파 방식으로 나뉠 수 있고, RFID 태그의 자체 전력 사용 여부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나뉠 수도 있다.
또한, 상호 간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극초단파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규격이 제정되고 있다.
특히, NFC는 무선주파수인식(RFID) 기술 중 하나로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을 의미하는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통신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블루투스와 같은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유사한 것처럼 보이나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에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병원 의료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면, 환자가 처음으로 내원한 경우 병원에서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민번호 등과 같은 신상 정보를 문서를 통해 넘겨받아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 후 환자가 다시 병원에 내원하게 되면 간단한 신상 정보를 통해 환자를 확인하고, 환자의 과거 진료 기록 등을 참조하게 되는데, 각 병원에는 다양한 진료과목(외과, 내과, 치과 등)이 존재하고, 환자별로 여러 진료 과목에서 진료를 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진료 순서를 안내하기 위해 대기실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기자 명단이 디스플레이되며, 이에 따라 환자는 자기의 대기 순서를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내 방식에서는 환자의 이동 경로를 정확히 판별할 수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안내되는 내용도 단순한 대기자 명단 및 순서에 국한되기 때문에 환자가 병원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3619호(2011. 05. 11. 공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준비된 NFC 카드를 각 환자에 대응하여 입력시키고, 병원 내 공간별로 설치된 NFC 리더기에서 NFC 카드를 인식하며, NFC 카드에 대응하는 환자의 이동 경로를 판별한 후 판별된 환자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 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병원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신상 정보가 저장된 NFC 칩이 내장되어 있는 NFC 카드와, 장소별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NFC 카드가 태그되면 상기 신상 정보를 읽어와 장소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NFC 리더기와, 상기 신상 정보를 상기 NFC 카드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NFC 리더기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상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시간 및 예약 내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예약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신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예약 정보가 추출되지 않으면 상기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기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신상 정보에서 환자의 이름을 추출하고, 상기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환자의 이름과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준비된 NFC 카드를 각 환자에 대응하여 입력시키고, 병원 내 공간별로 설치된 NFC 리더기에서 NFC 카드를 인식하며, NFC 카드에 대응하는 환자의 이동 경로를 판별한 후 판별된 환자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 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병원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원한 혼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진료실 가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대기 시간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진료 시간을 적절히 배분하여 환자 당 진료시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혹시라도 발생할 환자의 누락된 진료 내역이 있을 경우 빠르게 판별하여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치과 병원에서 환자 이동 경로에 따라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은 NFC 카드(110), NFC 리더기(120), 관리 단말기(130),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40), 디스플레이 기기(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FC 카드(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환자의 신상 정보(예를 들면,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민번호 등)가 저장된 NFC 칩이 내장되어 있는 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NFC 카드(110)는 병원 내원 시 접수된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민번호 등과 같은 신상 정보에 따라 개인별 카드를 발급해 주거나 혹은 병원 내원 시 접수된 환자별로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순서대로 지급해 줄 수 있다. 물론, NFC 카드(110)는 개인별 카드를 발급하는 대신에 NFC 칩이 내장된 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에 모바일 카드로 발급될 수 있다.
NFC 리더기(120)는 장소별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NFC 카드(110)가 태그되면 해당 NFC 카드(120)의 신상 정보를 읽어와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치과 병원의 경우 대기실, 상담실, 촬영일, 복수의 진료실 체어(체어1-체어n) 등과 같은 장소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 장소별로 NFC 카드(120)가 태그된 시간과 장소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관리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단말기(130)는 병원의 전체 관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접수된 환자의 신상 정보를 NFC 카드(110)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NFC 리더기(130)를 통해 전송되는 환자의 신상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관리 단말기(130)는 환자의 신상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예약 정보(예를 들면, 예약 시간, 예약 내역 등)를 검색하고, 예약 정보가 검색되면 예약 정보를 추출한 후, 신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150)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예약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신상 정보와 위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기기(150)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관리 단말기(130)에서는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진료 기록을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하고, 진료 기록이 검색되면 이전 진료 내역 중 최후 진료 내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최후 진료 내역에서 대기 시간을 추출하여 최후 대기 시간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50)에 전달한다.
또한,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는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전달되는 접수 환자의 신상 정보, 진료 기록, 예약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관리 단말기(130)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150)는 LCD, LE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신상 정보에서 환자의 이름을 추출하고,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환자의 이름과 이에 대응하여 추출된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150)는 일반적으로 대기실에 설치되는데, 필요할 경우 환자들이 대기할 수 있는 휴게실 등에도 장소별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150)는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최후 대기 시간이 제공되면 안내 화면에 최후 대기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50)를 통해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기기(150)에서는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신상 정보에서 환자의 이름을 추출하고,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에서 추출된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장소, 시간, 예약 시간 및 예약 내역을 추출하며, 추출된 장소, 시간, 예약 시간 및 예약 내역을 안내 화면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안내 화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료대기, 진료중, 수납대기, 수납완료 등과 같은 안내 항목으로 구분되고, 안내 항목별로 순번, 아이콘(ico), 환자의 이름(성명), 접수 시간, 대기 경과 시간, 예약 시간, 예약 내역(R/C : ReCall 등) 등의 상태 항목으로 분류되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항목 중 아이콘의 경우 진료중인 환자별로 현재 진료중인 장소에 대한 식별번호(예를 들면, 1-김선희, 3-황유정, 2-윤서현 등)를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접수 시간의 경우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최후 대기 시간이 제공되면 최후 대기 시간에 따라 해당 항목의 셀 색깔을 달리하여(예를 들면, 진하게, 연하게 등)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항목 중 대기 경과 시간의 경우에도 접수 시간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따라 해당 항목의 셀 색깔을 달리하여(예를 들면, 진하게, 연하게 등)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안내 항목 및 상태 항목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안내 항목 및 상태 항목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 등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준비된 NFC 카드를 각 환자에 대응하여 입력시키고, 병원 내 공간별로 설치된 NFC 리더기에서 NFC 카드를 인식하며, NFC 카드에 대응하는 환자의 이동 경로를 판별한 후 판별된 환자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 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병원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에서 접수한 환자별로 발급 또는 지급된 NFC 카드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동 경로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단말기(130)에서는 접수된 환자의 신상 정보를 NFC 카드(110)에 입력시켜 발급한다(단계202).
그리고, NFC 리더기(120)에서는 NFC 카드(110)가 태그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204).
상기 단계(204)에서의 체크 결과 NFC 카드(110)가 태그되지 않을 경우 NFC 카드(110)가 태그될 때가지 대기하고, NFC 카드(110)가 태그될 경우 NFC 리더기(120)에서는 해당 NFC 카드(120)의 신상 정보를 읽어와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 단말기(130)로 전송한다(단계206). 예를 들면, 치과 병원의 경우 대기실, 상담실, 촬영일, 복수의 진료실 체어(체어1-체어n) 등과 같은 장소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 장소별로 NFC 카드(120)가 태그된 시간과 장소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관리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단말기(130)에서는 NFC 리더기(130)를 통해 전송되는 환자의 신상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환자의 신상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예약 정보(예를 들면, 예약 시간, 예약 내역 등)를 검색하고, 예약 정보가 검색되면 예약 정보를 추출한다(단계208).
또한, 관리 단말기(130)에서는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와 추출된 예약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150)로 제공한다(단계210). 여기에서, 예약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신상 정보와 위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기기(150)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기기(150)에서는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신상 정보에서 환자의 이름을 추출하고,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환자의 이름과 이에 대응하여 추출된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안내 항목 및 선택 항목으로 분류하여 안내 화면으로 생성한다(단계212).
여기에서, 안내 화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료대기, 진료중, 수납대기, 수납완료 등과 같은 안내 항목으로 구분되고, 안내 항목별로 순번, 아이콘(ico), 환자의 이름(성명), 접수 시간, 대기 경과 시간, 예약 시간, 예약 내역 등의 상태 항목으로 분류되어 생성될 수 있는데, 상태 항목 중 아이콘의 경우 진료중인 환자별로 현재 진료중인 장소에 대한 식별번호(예를 들면, 1-김선희, 3-황유정, 2-윤서현 등)를 부여하여 표시할 수 있고, 접수 시간의 경우 관리 단말기(130)로부터 최후 대기 시간이 제공되면 최후 대기 시간에 따라 해당 항목의 셀 색깔을 달리하여(예를 들면, 진하게, 연하게 등) 표시할 수 있으며, 상태 항목 중 대기 경과 시간의 경우에도 접수 시간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따라 해당 항목의 셀 색깔을 달리하여(예를 들면, 진하게, 연하게 등)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기기(150)에서는 생성된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214).
따라서, 준비된 NFC 카드를 각 환자에 대응하여 입력시키고, 병원 내 공간별로 설치된 NFC 리더기에서 NFC 카드를 인식하며, NFC 카드에 대응하는 환자의 이동 경로를 판별한 후 판별된 환자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 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병원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원한 혼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진료실 가동율을 최적화할 수 있고, 대기 시간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진료 시간을 적절히 배분하여 환자 당 진료시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혹시라도 발생할 환자의 누락된 진료 내역이 있을 경우 빠르게 판별하여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NFC 카드 120 : NFC 리더기
130 : 관리 단말기 140 :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150 : 디스플레이 기기

Claims (6)

  1. 환자의 신상 정보가 저장된 NFC 칩이 내장되어 있는 NFC 카드와,
    장소별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NFC 카드가 태그되면 상기 신상 정보를 읽어와 장소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NFC 리더기와,
    상기 신상 정보를 상기 NFC 카드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NFC 리더기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상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시간 및 예약 내역을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예약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신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단말기와,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신상 정보에서 환자의 이름을 추출하고, 상기 환자의 이름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환자의 이름과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안내 화면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를 포함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은,
    상기 신상 정보, 진료 기록 및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환자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은, 진료대기, 진료중, 수납대기 및 수납완료를 포함하는 안내 항목으로 구분되고, 상기 안내 항목에 대하여 순번, 아이콘, 환자의 이름, 접수 시간, 대기 경과 시간, 예약 시간 및 예약 내역을 포함하는 상태 항목으로 분류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아이콘의 경우 현재 진료중인 장소에 대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접수 시간의 경우 상기 관리 단말기로부터 최후 대기 시간이 제공되면 상기 최후 대기 시간에 따라 상기 접수 시간의 셀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화면은, 상기 대기 경과 시간의 경우 상기 접수 시간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따라 상기 대기 경과 시간의 셀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0130164231A 2013-12-26 2013-12-26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70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31A KR101701214B1 (ko) 2013-12-26 2013-12-26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31A KR101701214B1 (ko) 2013-12-26 2013-12-26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58A true KR20150075858A (ko) 2015-07-06
KR101701214B1 KR101701214B1 (ko) 2017-02-01

Family

ID=5378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231A KR101701214B1 (ko) 2013-12-26 2013-12-26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9177A (zh) * 2017-12-19 2018-04-13 解君 一种医疗信息系统及其动态管理方法
KR20200045142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의료기관내 환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19B1 (ko) 2010-08-23 2011-05-1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0864A (ko) * 2010-07-27 2012-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0864A (ko) * 2010-07-27 2012-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병원안내시스템 및 병원안내서비스 제공방법
KR101033619B1 (ko) 2010-08-23 2011-05-1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9177A (zh) * 2017-12-19 2018-04-13 解君 一种医疗信息系统及其动态管理方法
CN107909177B (zh) * 2017-12-19 2022-04-29 河南方和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信息系统及其动态管理方法
KR20200045142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의료기관내 환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214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807B2 (en)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US8284024B2 (en) System and method of issuing patient identification devices
CN103186712A (zh) 一种自动识别病人的病人监护系统及方法
US20130317848A1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Process
JP2009238225A (ja) オン・デマンド携帯型医療記録を具現化するためにnfc技術を利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050539A (zh) 基于无线射频识别技术的医疗管理系统
US201201018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cation management
Mey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patient appointment
US20070136103A1 (en)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in hospital based on RFID
JP2012014654A (ja) 患者誘導システム、患者誘導方法、及び患者誘導プログラム
JP7034449B1 (ja) 退勤時刻決定システム、退勤時刻決定装置および退勤時刻決定プログラム
CN103729820A (zh) 基于rfid的医院病人管理信息系统
KR101701214B1 (ko)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CN104537596A (zh) 一种医疗引导系统
EP3326394B1 (en) Wireless bridge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Puma et al. Mobile identification: Nfc in the healthcare sector
JP2005142855A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受信装置並びに方法
CN105488549A (zh) 一种基于rfid的医用定位系统
Tsay et al. Framework to build an intelligent RFID system for use in the healthcare industry
JP2016123571A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91128B1 (ko)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8965A (ko) 룸 레벨형 환자 위치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Huang et al. Study on the feasibility of NFC P2P communication for nursing care daily work
CN210666945U (zh) 立式多媒体交互终端
WO2014037038A1 (en) Instant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