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463A -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463A
KR20150075463A KR1020130163452A KR20130163452A KR20150075463A KR 20150075463 A KR20150075463 A KR 20150075463A KR 1020130163452 A KR1020130163452 A KR 1020130163452A KR 20130163452 A KR20130163452 A KR 20130163452A KR 20150075463 A KR20150075463 A KR 2015007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ock
moving block
advancing direction
adva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775B1 (ko
Inventor
곽종원
조창빈
곽임종
최은석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7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잭장치가 신축함에 따라 중량체를 진출방향의 전방으로 이송하되, 잭장치가 신장될 때에는 중량체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가 후퇴할 때에도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중량체의 2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중 이송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를 진출방향 이송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중량체의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Apparatus for Forward Movement of Heavy Body, and Forward Moving Method of Heavy Body}
본 발명은 중량체를 들어 올려서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잭장치가 신축함에 따라 중량체를 진출방향의 전방으로 이송하되, 잭장치가 신장될 때에는 이동블록의 슬라이딩에 의해 중량체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가 후퇴할 때에도 이동블록의 슬라이딩에 의해 중량체의 2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중 이송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체를 진출방향으로 전진시켜 이송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중량체의 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연속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해 교량을 시공할 때에는 교량의 거더를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제작하고, 이러한 무거운 중량의 세그먼트를 교축방향으로 밀어내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와 같이 무거운 중량의 세그먼트를 밀어내어 전방으로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중량체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중량체 이송장치는 "중량체 압출장치"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478호에는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자동압출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에 의해 큰 중량의 세그먼트를 이송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압출장치 즉, 중량체의 이송장치는 그 자체로도 매우 유용하지만,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의 상태에 안주해서는 안 되며 더욱 높은 이송효율을 가지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478호(2010. 10. 08.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중량체 이송장치의 이송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를 이송함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잭장치가 수축될 경우뿐만 아니라 잭장치가 신장될 때에도 중량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잭장치의 1회 신축과정이 진행될 때 두 번의 전진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비하여 더 긴 중량체의 이송거리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여 중량체 이송장치의 이송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극대화된 효율로 중량체를 이송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출방향의 가면서 낮아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를 구비하며 중량체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블록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과 상면이 접하여 전방지지블록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블록에 대해 진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당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높아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를 구비하며 중량체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블록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과 상면이 접하여 후방지지블록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2이동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 및 후퇴방향 단부는 제2이동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의 후방스톱퍼에 연결되어, 후퇴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2이동블록을 후퇴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진출방향으로 당겨주는 잭장치를 포함하며; 제2이동블록이 설치면에 고정되고 제1이동블록은 설치면에서 이동가능하며, 중량체가 전방지지블록과 후방지지블록에 놓인 상태에서, 잭장치가 신장되어 후방지지블록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중량체를 들어 올리면서 중량체를 1차 이송시키며, 제1이동블록은 당김장치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겨져 증량체를 지지하게 되고; 제1이동블록이 설치면에 고정되고 제2이동블록은 설치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 후, 잭장치가 수축하여 제2이동블록이 진출방향으로 당겨지면, 전방지지블록은 중량체를 지지한 채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하강하면서 진출방향으로 중량체를 2차 이송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중량체의 이송장치에 의해 중량체를 이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의 이송장치 및 중량체의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김장치는 감겨지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로 이루어져서 전방지지블록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당김장치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제1이동블록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감기려는 성질로 인하여 제1이동블록에는 진출 방향으로 이동되게 만드는 탄성력이 항시 작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를 신장할 때 중량체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를 수축할 때 추가적인 중량체의 2차 이송이 이루어져서, 잭장치의 1회 신축과정이 진행될 때 두 번의 전진 이송이 진행되므로, 단순히 잭장치를 수축시켰을 때만 중량체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비하여 중량체의 이송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1차 이송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인 제1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가 중량체의 이송을 위해 복수개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구비된 전방위치 진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1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에서 2차 이송이 이루어지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 도 4 내지 도 15의 각 단계를 하나의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각각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478호에 의한 종래의 중량체 이송장치에 의해 중량체를 진출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진출방향"이라는 용어는, 중량체를 이송하려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퇴방향"이라는 용어는 상기 진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진출"이라는 용어는 진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후퇴"라는 것은 "후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는 용어는 진출방향으로의 앞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라는 용어는 이와 반대로 진출방향으로의 뒤쪽을 의미한다.
도 1, 도 4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도 1은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의 이송 싸이클(cycle)에서의 제1단계(1차 이송이 이루어지기 전(前)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상태에 후속한 제2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후속하는 제3단계와 제4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가 중량체의 이송을 위해 복수개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에 구비된 전방위치 진출장치(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 도 4 내지 도 1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바로 직전의 단계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면부호 R은 중량체(200)가 진출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기준점(R)이다. 도 1에서 화살표 F는 진출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는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체(200)의 진출방향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진출방향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위치 진출장치(2)로 구성되는데, 진출방향으로의 일직선 상에서 전방위치 진출장치(1)는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위치 진출장치(2)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다.
중량체를 이송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는 하나의 중량체(200)에 대해 복수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이송동작을 복수개의 중량체 이송장치(100)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중량체의 이송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전방위치 진출장치(1)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는, 중량체(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경사가 낮아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하면으로 가지고 있는 전방지지블록(10)과, 상기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그 상면이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1이동블록(12)과, 상기 제1이동블록(12)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44는 당김장치(4)와 제1이동블록(12)을 연결하는 인출선(44)이다.
상기 전방지지블록(10)의 전방에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지면에 닿아 있는 전방지지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장치(4)는 감겨지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되어 전방지지부(13)의 진행방향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인출선(44)은 전방지지부(13)를 지나 제1이동블록(1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당김장치(4)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우, 코일스프링의 감겨지려는 특성 때문에 제1이동블록(12)에는 진출방향으로 당기려는 탄성력이 항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당김장치(4)는 코일스프링의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전방지지블록(10)에서 후방에는 제1이동블록(12)의 후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톱퍼(14)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방스톱퍼(14)는 지면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전방지지블록(10)의 하면은 후방단부에서부터 진출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는 하강 경사를 가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항상 밀착하게 되므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 역시 진출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밀착한 상태로 제1이동블록(12)이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지지블록(10)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 사이에는 마찰력의 작용이 거의 없거나 매우 작은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소위 "테플론"이라는 저마찰 소재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의 모두를 또는 그 중 하나를 코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마찰 소재의 코팅 방법 이외에 제1이동블록(12)의 상면 또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바퀴와 같은 구름부재(rolling member)를 설치하여 구름운동에 의해 서로 간에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이동블록(12)은,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가 놓이게 되는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이동블록(12)에 결합플랜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결합플랜지가 설치면(300)에 밀착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플랜지를 설치면(3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필요할 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이동블록(12)을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자력(전자석)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방위치 진출장치(2)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 역시 중량체(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인데,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지는 후방지지블록(20)과, 상면이 상기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제2이동블록(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방지지블록(20)에서 후방에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지면에 닿아 있는 후방지지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지지블록(20)에서 전방에는 제2이동블록(22)의 진출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톱퍼(24)가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방스톱퍼(24)는 지면까지 연장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후방지지블록(20)의 하면은 후방단부에서부터 진출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높이가 점차로 높아지는 상승 경사를 가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로 구성되어 있다. 제2이동블록(22)의 상면은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과 밀착하게 되므로, 제2이동블록(22)의 상면 역시 진출방향으로 갈수록상향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이동블록(22)의 상면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에 밀착한 상태로 제2이동블록(22)이 이동하거나 또는 후방지지블록(20)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이동블록(22)의 상면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 사이에는 마찰력의 작용이 거의 없거나 매우 작은 상태가 된다. 앞서 설명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 사이의 저마찰 슬라이딩 구조(저마찰 소재 코팅, 구름부재 설치 등)는 제2이동블록(22)의 상면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블록(22) 역시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2이동블록(22)을 설치면(300)에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구성은 제1이동블록(12)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에는, 후퇴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2이동블록(22)을 후퇴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진출방향으로 당겨주는 잭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잭장치(3)의 후퇴방향 단부는 제2이동블록(22)에 연결되어 있고, 잭장치(3)의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스톱퍼(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후방스톱퍼(14)는 잭장치(3)의 신축을 위한 반력대로서의 기능도 가지게 된다.
다음에서는 도 1,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이송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앞서 살펴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를 진출방향 일직선 상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전방위치 진출장치(1)에서 전방지지부(13)의 하단과 제1이동블록(12)의 하면은 지면에 닿아 있고, 후방위치 진출장치(2)에서 후방지지부(23)의 하단과 제2이동블록(22)의 하면 역시 지면에 닿아 있으며, 전방지지블록(10)의 상면과 후방지지블록(20)의 상면에 걸쳐서 중량체(200)가 놓이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블록(12)은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이동블록(22)은 후방지지블록(2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 있다. 잭장치(3)는 수축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2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이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중량체(200)는 전방지지블록(10) 및 후방지지블록(20)과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 있다. 즉, 중량체(200), 전방지지블록(10) 그리고 후방지지블록(20)은 함께 움직이도록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단계의 상태에서는, 중량체(200)가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위치 진출장치(2)의 모두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상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위치 진출장치(2) 중 어느 하나만으로도 중량체(200)가 지지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제1단계에 후속하여, 제2단계에서는 잭장치(3)의 신장에 의해 제2이동블록(22)이 후퇴하면서 후방지지블록(20)이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진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1차 이송시키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단계에서는 잭장치(3)가 신장하게 되는데,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잭장치(3)가 신장하게 되면,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후방지지블록(20)은 진출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잭장치(3)가 신장하게 되면, 제2이동블록(22)의 상면과 후방지지블록(20)의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방지지블록(20)이 진출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향경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후방지지블록(20)은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점차 상승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중량체(200)는 들어 올려지면서 진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준점(R)은 A0로 표시되었던 위치에서 A1로 표시된 전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중량체(200)와 전방지지블록(10)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중량체(200)가 들어 올려지면 전방지지블록(10)도 들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전방지지블록(10)의 하면과 제1이동블록(11)의 상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게 된다.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제1단계에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기려는 탄성력을 항상 받고 있으므로, 위와 같이 중량체(200)와 전방지지블록(10)이 들어 올려져서 전방지지블록(10)과 제1이동블록(11)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되면,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겨져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잭장치(3)가 계속 신장하게 되면, 제2이동블록(22)의 후퇴, 후방지지블록(20)과 중량체(200)의 진출방향 이동과 상승, 전방지지블록(10)과 제1이동블록(11) 사이의 간극 발생 및 제1이동블록(12)의 진출방향 이동이 계속되어, 중량체(200)의 진출방향 이송이 진행된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잭장치(3)가 더 신장하고 그에 따라 후방지지블록(20)과 중량체(200)의 진출방향 이동과 상승이 이루어지고, 전방지지블록(10)과 제1이동블록(11)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잭장치(3)가 신장함으로써 기준점(R)은 A1로 표시되었던 위치에서 A2로 표시된 전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1이동블록(12)이 당김장치(4)에 의해 당겨져서 다시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에 밀착한 상태로 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잭장치(3)의 신장 과정 즉, 도 1,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중량체(200)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1차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중량체(200)가 제1이동블록(12)과 제2이동블록(22)에 의해 지지되고 있지만 제1이동블록(12)과 제2이동블록(22)중 어느 하나만으로도 중량체(200)의 지지가 가능한 상태에 있다.
후속하여 2차 이송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1차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격적인 2차 이송이 진행되기에 앞서 제2이동블록(22)을 설치면(300)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반면에 제1이동블록(12)을 설치면(30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2이동블록(22)은 자유로운 이동상태에 있고 제1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잭장치(3)를 수축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이동블록(12)만으로도 중량체(200)의 지지가 가능하므로, 잭장치(3)의 수축 직후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블록(22)에 의해서만 중량체(22)가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데 제1이동블록(12)의 상면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저마찰력 상태로 접하고 있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량체(200)의 무게와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의 경사에 의해 제1이동블록(12)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 사이의 슬라이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방지지블록(10)이 진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중량체(200) 및 후방지지블록(20)도 진출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기준점(R)이 A2로 표시되었던 위치에서 A3로 표시된 전방위치로 이동하면서 중량체(200)의 2차 이송이 시작되는 것이다.
잭장치(3)의 수축이 진행되면 제2이동블록(22)은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겨지고(도 10),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11) 사이의 슬라이딩이 계속되면서 전방지지블록(10) 및 그 위에 놓여 있는 중량체(200)는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면서 2차 이송이 계속 진행된다(도 11). 2차 이송이 이루어지면 기준점(R)은 A3의 위치에서 전방에 있는 A4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후속하여 잭장치(3)의 수축이 진행되면서 제2이동블록(22)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 후속하여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11) 사이의 슬라이딩 진행 및 그에 따른 중량체(200)의 전방을 향한 2차 이송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후속하여 잭장치(3)의 수축이 진행되면서 제2이동블록(22)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 후속하여 제1이동블록(12)의 상면과 하향경사 슬라이딩(11) 사이의 슬라이딩 진행 및 그에 따른 중량체(200)의 전방을 향한 2차 이송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2차 이송의 진행이 완료되면 다시 도 1의 상태가 되면서 중량체(200)를 진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1회의 이송 싸이클(cycle)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량체(200)의 이송 싸이클을 필요한 회수로 반복함으로써 중량체(200)를 필요한 거리만큼 진출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16은 도 1, 도 4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을 함께 모아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중량체 이송장치(100)에 의해 중량체(200)의 1회 이송 싸이클이 진행되는 것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즉, 본 발명의 1회 이송 싸이클이 진행되면 기준점(R)은 처음 A0 위치에서 A6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3)를 신장할 때 중량체(200)의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3)를 수축할 때 추가적인 중량체(200)의 2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앞서 살펴본 종래의 중량체 이송장치에서는, 연직잭장치를 수축하였을 때만 하향이동블록의 하향 슬라이딩에 의한 중량체의 이송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3)를 신장시킬 때 1차 이송이 이루어지고 잭장치(3)를 수축시킬 때 2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잭장치(3)를 수축시킬 때뿐만 아니라 잭장치(3)를 신장시킬 때에도 중량체(200)의 이송이 이루어지므로 잭장치(3)의 신장과 수축이라는 한 번의 순환동작에 의해서 두 번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에 따라 더 긴 거리를 더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 이송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중량체(200)의 이송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전방위치 진출장치
2: 후방위치 진출장치
10: 전방지지블록
11: 하향경사 슬라이딩면
12: 제1이동블록
20: 후방지지블록
21: 상향경사 슬라이딩면
22: 제2이동블록

Claims (3)

  1. 진출방향의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200)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13)를 구비하며 중량체(200)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블록(10)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상면이 접하여 전방지지블록(10)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1이동블록(12)과, 상기 제1이동블록(12)에 대해 진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당김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
    진출방향의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200)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3)를 구비하며 중량체(200)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블록(20)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과 상면이 접하여 후방지지블록(20)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2이동블록(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2); 및
    후퇴방향 단부는 제2이동블록(22)에 연결되어 있고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스톱퍼(14)에 연결되어 신축하는 잭장치(3)를 포함하며;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에서 이동가능하며, 중량체(200)가 전방지지블록(10)과 후방지지블록(20)에 놓인 상태에서, 잭장치(3)가 신장되어 후방지지블록(20)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을 따라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중량체(200)를 들어 올리면서 중량체(200)를 1차 이송시키며,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당겨져 증량체(200)를 지지하게 되고;
    제1이동블록(1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고 제2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 후, 잭장치(3)가 수축하여 제2이동블록(22)이 당겨지면, 전방지지블록(10)은 중량체(200)를 지지한 채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하강하면서 진출방향으로 중량체(200)를 2차 이송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장치(4)는 감겨지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로 이루어져서 전방지지블록(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당김장치(4)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전방지지블록(10)의 전방지지부(13)를 지나가서 제1이동블록(1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감겨지려는 성질로 인하여 제1이동블록(12)에는 진출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이 항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
  3. 진출방향의 가면서 낮아지는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200)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13)를 구비하며 중량체(200)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블록(10)과,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과 상면이 접하여 전방지지블록(10)이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1이동블록(12)과, 상기 제1이동블록(12)에 대해 진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당김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위치 진출장치(1); 진출방향으로 가면서 높아지는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으로 이루어진 상면, 및 중량체(200)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3)를 구비하며 중량체(200)에 결합되는 후방지지블록(20)과,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과 상면이 접하여 후방지지블록(20)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만드는 제2이동블록(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위치 진출장치(2); 및 후퇴방향 단부는 제2이동블록(22)에 연결되어 있고 진출방향 단부는 전방지지블록(10)의 후방스톱퍼(14)에 연결되어, 후퇴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제2이동블록(22)을 후퇴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진출방향으로 당겨주는 잭장치(3)를 포함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100)를 이용하여 중량체(200)를 이송하되;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는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는 중량체(200)의 하부에서 진출방향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방위치 진출장치(1)와 상기 후방위치 진출장치(2)를 진출방향 일직선 상에 각각 위치시키고, 중량체(200)가 전방지지부(13)와 후방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있게 하는 단계;
    제2이동블록(2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고 제1이동블록(12)은 설치면(300)에서 이동가능하며, 중량체(200)가 전방지지블록(10)과 후방지지블록(20)에 놓인 상태에서, 잭장치(3)가 신장되어 후방지지블록(20)이 상향경사 슬라이딩면(21)을 따라 진출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중량체(200)를 들어 올리면서 중량체(200)를 1차 이송시키며, 제1이동블록(12)은 당김장치(4)에 의해 진출방향으로 당겨져 증량체(200)를 지지하게 만드는 단계; 및
    제1이동블록(12)이 설치면(300)에 고정되고 제2이동블록(22)은 설치면(300)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 후, 잭장치(3)가 수축하여 제2이동블록(22)이 진출방향으로 당겨지면, 전방지지블록(10)은 중량체(200)를 지지한 채로 하향경사 슬라이딩면(1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하강하면서 진출방향으로 중량체(200)를 2차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의 이송방법.
KR1020130163452A 2013-12-26 2013-12-26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KR10161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52A KR101619775B1 (ko) 2013-12-26 2013-12-26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52A KR101619775B1 (ko) 2013-12-26 2013-12-26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63A true KR20150075463A (ko) 2015-07-06
KR101619775B1 KR101619775B1 (ko) 2016-05-11

Family

ID=5378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52A KR101619775B1 (ko) 2013-12-26 2013-12-26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209A (zh) * 2018-12-22 2019-04-05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大吨位组合设备垂直同步接力顶升施工方法
CN110485272A (zh) * 2019-09-16 2019-11-22 莆田学院 一种滚动抬高式桥梁抗震挡块装置
KR102437062B1 (ko) * 2021-04-01 2022-08-26 강대흥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기계식 인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209A (zh) * 2018-12-22 2019-04-05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大吨位组合设备垂直同步接力顶升施工方法
CN110485272A (zh) * 2019-09-16 2019-11-22 莆田学院 一种滚动抬高式桥梁抗震挡块装置
CN110485272B (zh) * 2019-09-16 2024-04-02 莆田学院 一种滚动抬高式桥梁抗震挡块装置
KR102437062B1 (ko) * 2021-04-01 2022-08-26 강대흥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기계식 인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775B1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775B1 (ko) 이동블록 상면의 경사 슬라이딩면과 잭장치의 신축에 의한 2중 전진이 가능한 중량체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KR100986478B1 (ko)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자동압출장치
EP2858814B1 (fr) Dispositif de support d'un bandage de gomme crue pour la fabrication d'un pneumatique
CA267687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ubulars
CN105083972A (zh) 一种扁管自动上料装置
CN201447237U (zh) 收卷机
CN103708218B (zh) 一种单驱动移料到位机构
CN201458331U (zh) 用于钢卷链式运输系统的卸卷翻卷装置
KR101487298B1 (ko) 멀티 라이저 크레인
KR101619774B1 (ko) 잭장치의 신축 작동에 의한 2중 이송이 진행되는 중량체의 이송장치를 이용한 중량체의 이송방법
CN204780607U (zh) 步履顶推装置
JP6024893B2 (ja) 移載装置
JP6499108B2 (ja) 移載装置
CN204777689U (zh) 一种抽缩式的码垛装置
KR101358757B1 (ko) 이동형 케이슨 이송장치
CN209834769U (zh) 一种折向巷道皮带转载装置
CN111646211A (zh) 一种污泥制砖生产用砖料中间料转运装置
JP2007051467A (ja) 形状保持装置のセンタリング装置
CN103964182B (zh) 一种用于轮胎自动化生产线的轮胎顶升移载机构
CN104538280A (zh) 一种灯泡引脚理顺装置
CN102989850A (zh) 用于弯管机的模具升降装置
JP6290470B1 (ja) 搬送物の位置決め装置
JP7125837B2 (ja) 重量物の移送装置
JP6812842B2 (ja) 搬送装置
JP6426230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