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805A -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805A
KR20150074805A KR1020130162929A KR20130162929A KR20150074805A KR 20150074805 A KR20150074805 A KR 20150074805A KR 1020130162929 A KR1020130162929 A KR 1020130162929A KR 20130162929 A KR20130162929 A KR 20130162929A KR 20150074805 A KR20150074805 A KR 20150074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floor panel
reinforcing member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805A/ko
Publication of KR2015007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는 차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는 보강부재와,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체결되어 양측이 보강부재에 각각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과 보강부재에 후크 체결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의 후면에 체결되는 시트 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SEAT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과 후방 충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하며, 작업 공수의 축소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한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객의 안락한 탑승을 위한 시트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시트는 통상 차실 내의 전방에 위치하는 1열 시트와 상기 1열 시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2열 시트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1열 시트에는 운전석과 이의 측부에 배치되는 조수석이 해당되고, 이러한 1열 시트는 통상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2열 시트는 2명 내지 3명 정도의 탑승객이 동시에 앉을 수 있도록 차체의 폭방향으로 통합된 형태로 길게 배열된 외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는 차실 내의 하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 상에 시트 프레임을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 쿠션을 설치한 후, 상기 시트 쿠션의 후방에 시트 백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 시, 플로어 패널 상에 형성된 사이드 실이 회전되면서 탑승객이 탑승한 차량의 실내로 침입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탑승객의 상해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로어 패널 상에 시트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볼트와 너트는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 시에 차량의 연료 탱크를 타격하여 연료 탱크를 파손시키며, 제작 원가의 상승 및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부재와 격자 형상의 시트 프레임을 적용하여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차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상기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체결되어 양측이 상기 보강부재에 각각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보강부재에 후크 체결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면에 체결되는 시트 백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선단에 상기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용접 접합되도록 가장자리에 용접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중앙부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프레임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체결되며, 양측이 상기 걸림턱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부재와 격자 형상의 시트 프레임을 적용하여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시트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볼트와 너트를 삭제함으로써, 작업 공수가 축소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하며, 제작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시트 프레임이 보이는 투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시트 프레임과 보강부재의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1)는 차량의 측면과 후방 충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하며, 작업 공수가 축소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시트 프레임이 보이는 투영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시트 프레임과 보강부재의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1)는 플로어 패널(10), 보강부재(20), 시트 프레임(30), 시트 쿠션(40), 및 시트 백(50)을 포함한다.
상기 플로어 패널(10)은 차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10)은 연료 탱크 및 트렁크 룸 등이 형성되는 차체의 후방 측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플로어 패널(10)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20)는 선단에 상기 시트 프레임(30)을 지지하는 걸림턱(21)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플로어 패널(10)에 용접 접합되도록 가장자리에 용접 플랜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0)는 중앙부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중공부(25)가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부(25)는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시트 프레임(30)은 상기 플로어 패널(10)의 상면에 체결되어 양측이 상기 보강부재(20)의 걸림턱(21)에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프레임(30)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10)의 상면에 체결되며, 양측이 상기 보강부재(20)의 걸림턱(21)에 각각 지지된다.
이러한 시트 프레임(30)을 격자 형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 시, 충돌 에너지의 하중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분배시켜 충돌 에너지의 하중을 최대한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시트 쿠션(40)은 상기 시트 프레임(30)과 상기 보강부재(20)에 후크 체결되며, 상기 시트 백(50)은 상기 시트 쿠션(40)의 후면에 체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1)는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 시, 사이드 실(11)이 배리어와의 충돌로 인해 차량의 실내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보강부재(20)는 차량의 실내로 회전하려는 사이드 실(11)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부재(20)의 중공부(25)를 통해 사이드 실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일정 부분 저감시킨다.
그리고 상기 시트 프레임(30)은 보강부재(20)의 걸림턱(21)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부재(2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다시 한번 저감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보강부재(20)와 시트 프레임(30)이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 시, 사이드 실(11)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이드 실(11)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킴에 따라 사이드 실(11)이 파손되어 차량의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차량 실내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1)는 보강부재(20)와 격자 형상의 시트 프레임(30)을 적용하여 차량의 측면 및 후방 충돌에 대한 강건성을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시트 프레임(30)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볼트와 너트를 삭제함으로써, 작업 공수가 축소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하며, 제작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10...플로어 패널
11...사이드 실 20...보강부재
21...걸림턱 23...용접 플랜지
25...중공부 30...시트 프레임
40...시트 쿠션 50...시트 백

Claims (5)

  1. 차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
    상기 플로어 패널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는 보강부재;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체결되어 양측이 상기 보강부재에 각각 지지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보강부재에 후크 체결되는 시트 쿠션; 및
    상기 시트 쿠션의 후면에 체결되는 시트 백;
    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선단에 상기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용접 접합되도록 가장자리에 용접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중앙부에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 체결되며, 양측이 상기 걸림턱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KR1020130162929A 2013-12-24 2013-12-24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KR20150074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29A KR20150074805A (ko) 2013-12-24 2013-12-24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29A KR20150074805A (ko) 2013-12-24 2013-12-24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805A true KR20150074805A (ko) 2015-07-02

Family

ID=5378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929A KR20150074805A (ko) 2013-12-24 2013-12-24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8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38B1 (ko) 2019-10-14 2020-12-29 (주)세종이엠시 차량시트의 외피 고정용 삽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38B1 (ko) 2019-10-14 2020-12-29 (주)세종이엠시 차량시트의 외피 고정용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515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JP4051011B2 (ja) 車体構造
JP6332250B2 (ja) 車両フロア構造
EP1916149B1 (en) Frame structure of seatback for vehicle
JP6499558B2 (ja) 車体後部構造
US10850597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JP4556674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2005067491A (ja) 車体構造
JP5728524B2 (ja) 車体構造
JP2007098976A (ja) シートを備えた車両の車体構造
US9688175B2 (en) Vehicle seat
US11912344B2 (en) Vehicle lower part structure
JP202011703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CN104029620A (zh) 汽车后座椅靠背骨架的分体式结构及装配方法
EP3575143B1 (en) Vehicular seat structure
US20080252131A1 (en) Automotive vehicle seat back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50074805A (ko) 차량용 시트 마운팅 어셈블리
JP5852623B2 (ja) 車体構造
JP5509265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8302911A (ja) 車体構造
JP5780135B2 (ja) 自動車のジャッキ収納部構造
JP557152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6086302B2 (ja) 不等分割式の車両用シート構造
KR101755450B1 (ko) 차량용 후방 프레임 유닛
KR101252206B1 (ko) 도어 임팩트 빔 마운팅용 빔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