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263A -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 Google Patents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263A
KR20150074263A KR1020130161305A KR20130161305A KR20150074263A KR 20150074263 A KR20150074263 A KR 20150074263A KR 1020130161305 A KR1020130161305 A KR 1020130161305A KR 20130161305 A KR20130161305 A KR 20130161305A KR 20150074263 A KR20150074263 A KR 20150074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reinforced thermoplastic
continuous fiber
composite materi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655B1 (ko
Inventor
배일준
이성영
박세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 및 연속섬유 복합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선을 포함하여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 및 상기 강선층의 일 면에 적층되며, 광폭화된 복수 개의 연속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되어 형성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열압착에 의해 접합된 강선 및 연속섬유 복합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테잎 형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초박육(100㎛이하)도 가능하므로 테잎 형태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를 더욱 적층하거나 직조하여 판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재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고강도, 고강성 및 고인성의 경량 복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복합 강화 하이브리드 복합재를 이용하는 경우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EMI 차폐 또는 방탄 성능이 우수한 소재 및 부품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산업뿐만 아니라 군수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METHOD FOR PREPARING STILL WIRE AND CONTINUOUS FIBER REINFORCED COMPOSITE}
본 발명은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선이 보강된 하이브리드 타입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타입의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섬유 강화 플라스틱(Continuous 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은 기계적 강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플라스틱 속에 유리 섬유(Glass Fiber) 또는 탄소 섬유(Carbon Fiber) 등의 보강 섬유를 연속 상으로 내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길이 1 mm 이하의 단섬유 강화 플라스틱(Short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s) 또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s, LFT)이나 GMT(Glass Mat-reinforced Thermoplastics)와 같은 5 내지 50 mm 길이 수준의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 강성 및 충격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연성이 뛰어나 단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직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조된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구조물은 다양한 기계적 성능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통상적으로 펄트루젼(Pultrusion) 방법 또는 혼합방사(Commingle) 내지 핫프레싱(Hot Pressing) 방법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여전히 다양한 요구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고강도 및 고강성을 보유하면서도 경제적인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복합재가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와 같은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를 이용한 복합 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강선을 포함하여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 및 상기 강선층의 일 면에 적층되며, 광폭화된 복수 개의 연속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되어 형성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열압착에 의해 접합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제공된다.
상기 강선층의 다른 면에 추가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연속 섬유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세라믹 섬유 및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층은 강선을 경사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또는 강선을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선층은 강선을 경사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또는 강선을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사는 테잎 형태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일 수도 있다.
상기 위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형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층은 열가소성 수지형 접착제층으로 코팅된 강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폭화된 각 연속 섬유의 직경은 1 내지 3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는 25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층에 포함된 강선의 직경은 50 내지 2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전체 두께는 100 내지 3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테잎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테잎 형상으로 제조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 판재가 제공된다.
상기 2층 이상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또는 이들이 직조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초박육이므로 테잎 형태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를 더욱 적층하거나 직조하여 열압착 및 경화에 의한 성형으로 판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복합재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고강도, 고강성 및 고인성의 경량 복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복합재를 이용하는 경우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EMI 차폐 또는 방탄 성능이 우수한 소재 및 부품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산업뿐만 아니라 군수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단면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강선층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단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 판재의 단면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인 고강도 및 고인성의 강선이 보강된 하이브리드 타입의 복합재 및 복합 판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연속 섬유로 탄소 섬유를 이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먼저 탄소 섬유를 개섬하여 광폭화한 후 열가소성 수지 함침하여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획득한 후,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과 접합하여 본 발명의 강선 복합 하이브리드(Hybrid) 타입의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복합재를 더욱 적층하거나 직조하고, 적정 온도에서 열압착 성형하여 복합 판재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는 이하 본 명세서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폭화'란 섬유를 개섬하여 넓게 펼친 것(spreading)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선을 포함하여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 및 상기 강선층의 일 면에 적층되며, 광폭화된 복수 개의 연속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로 함침되어 형성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열압착에 의해 접합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단면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속 섬유로 직경 15 내지 20㎛의 유리 섬유를 이용하고, 직경 200um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강선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복합재의 단면을 이용하여 확인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강선층의 다른 면에는 추가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강선층은 두 층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에 삽입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에 포함되는 연속 섬유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세라믹 섬유 및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속 섬유가 2종 이상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종의 각 섬유를 함께 사용하거나, 이종의 섬유를 꼬아 혼사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술한 다양한 연속 섬유 다발을 개섬하여 광폭화된 섬유 다발을 제공하고, 필름 용융, 펠렛 용융, 파우더 코팅, 슬러리 코팅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를 균일하게 함침하여 초박육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은 강선을 포함하여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의 일 면에 적층되며,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은 열압착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열압착은 예를 들어 2개의 가열 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과 함께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압착에 의해 접합되는 경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함침되며,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이 접합 및 삽입되어 하이브리드 타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선층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선만을 이용하여 그물상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3(b)와 같이 강선을 경사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강선을 경사로 하여 평행하게 배치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또는 강선 또는 복수의 강선을 위사로 하여 강선을 엮어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을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강선층은 복수의 강선이 꼬인(twist) 형태를 경사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또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강선, 또는 복수이 꼬인 강선을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위사로 하여 직조하는 경우에는 강선층을 견고하게 형성하여 강선에 의한 이점을 부여하면서도 보다 경량의 재료를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위사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잎 형태로 형성된 열가소성 필름일 수 있고, 이 경우 테잎 형태의 위사를 이용함에 따라 그물상의 직조가 더욱 신속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위사로서 테잎 형태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과 같은 연속섬유가 보강된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강선층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사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것이다. 동일한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채용하는 경우 열압착에 의한 접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형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향하는 강선층의 일 면 상에 도포 혹은 코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강선층은 열가소성 수지형 접착제층으로 코팅된 강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성분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보다 용융점이 낮은 폴리아미드계(Co-polyamide) 및 폴리에스테르계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접합성을 가지는 열가소성수지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제층의 성분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에 비하여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약 220 내지 230℃의 용융 온도를 갖는 나일론 계열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약 100 내지 150℃의 용융 온도를 갖는 저융점 폴리아미드(Co-polyamide) 계열의 저점도 슬러리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폭화된 각 연속 섬유의 직경은 1 내지 3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연속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는 25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가 25μm 미만인 경우에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상기 두께가 100μm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복합재의 두께가 두꺼워져 단단해지기(Rigid) 때문에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강선층에 포함된 강선의 직경은 50 내지 5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경이 50μm 미만인 경우에는 강선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직경이 이 보다 작은 강선의 제조가 가능한 경우 이를 특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직경이 500μm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재를 후속적으로 직조하는 등의 경우에 강선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의 직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전체 두께는 100 내지 500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100μm 미만인 경우에는 강선의 선경이 50μm이하를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두께가 500μm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복합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성형성이 떨어지고, 복합재를 후속적으로 직조하는 등의 경우에 원하는 형태로의 직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테잎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잎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이 용이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복합 판재 등과 같은 나아가 제품 형태로 제조에 용이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테잎 형상으로 제조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테잎 형상으로 제조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 판재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복합 판재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를 2층 이상 적층 및 열압착에 의하여 두께를 증가시킨 테잎 형상으로 제공되고, 이를 다시 판재용 금형 내에 원하는 두께로 적층 및 열압착 후 경화하여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 판재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단면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연속 섬유로 직경 15~20㎛ 유리 섬유를 이용하고, 직경 200㎛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강선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복합재 두 층을 적층하여 형성된 복합 판재의 단면(SEM, X60 배율)을 확인한 것이다.
상기 2층 이상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또는 이들이 직조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복합재를 직조하는 경우 직조 타입의 복합 판재가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2층 이상의 복합재를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일 방향 타입 복합 판재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2층 이상의 복합재를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다방향 타입 복합 판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다방향이란, 평행이 아닌 다양한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직각,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제한 없이 배치하여 적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1. 강선을 포함하여 그물상(mesh type)으로 형성된 강선층, 및
    상기 강선층의 일 면에 적층되며, 광폭화된 복수 개의 연속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로 함침되어 형성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열압착에 의해 접합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층의 다른 면에 추가의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이 적층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섬유는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세라믹 섬유 및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연속섬유 및 강선 복합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층은 강선을 경사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또는 강선을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층은 강선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꼬인(twist) 혼합 섬유를 경사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위사로 하여 직조된 그물상으로 형성되는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테잎 형태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인 강선 및 연속섬유 복합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층과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형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0. 제1항에 있어서, 강선층은 열가소성 수지형 접착제층으로 코팅된 강선으로 형성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화 된 각 연속 섬유의 직경은 1 내지 30 μm인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는 25 내지 100 μm인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층에 포함된 강선의 직경은 50 내지 500 μm인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전체 두께는 100 내지 500 μm인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테잎 형태로 제조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16.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테잎 형상으로 제조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 판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층 이상의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또는 이들이 직조된 형태로 적층된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 판재.
KR1020130161305A 2013-12-23 2013-12-23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KR10159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05A KR101594655B1 (ko) 2013-12-23 2013-12-23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05A KR101594655B1 (ko) 2013-12-23 2013-12-23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263A true KR20150074263A (ko) 2015-07-02
KR101594655B1 KR101594655B1 (ko) 2016-02-17

Family

ID=537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05A KR101594655B1 (ko) 2013-12-23 2013-12-23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58B1 (ko) * 2020-03-26 2021-08-18 김태헌 인장강도와 투광율이 보강된 투명 필름편사, 이를 보강재로 내재한 비닐하우스용 필름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523A (ja) * 1997-03-06 1998-11-17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金属・繊維強化樹脂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強化積層体
JP2003152386A (ja) * 2001-11-15 2003-05-23 Toyo Kohan Co Ltd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ター
KR20100044391A (ko) * 2008-10-22 2010-04-30 (주)엘지하우시스 열가소성 플라스틱-연속섬유 혼성복합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523A (ja) * 1997-03-06 1998-11-17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金属・繊維強化樹脂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強化積層体
JP2003152386A (ja) * 2001-11-15 2003-05-23 Toyo Kohan Co Ltd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ター
KR20100044391A (ko) * 2008-10-22 2010-04-30 (주)엘지하우시스 열가소성 플라스틱-연속섬유 혼성복합체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58B1 (ko) * 2020-03-26 2021-08-18 김태헌 인장강도와 투광율이 보강된 투명 필름편사, 이를 보강재로 내재한 비닐하우스용 필름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655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826A (en) Fabric-faced thermoplastic composite panel
CN100556673C (zh) 用于构建复合材料叠铺的预浸渍体及其制造方法和用途
JP6446047B2 (ja) 連続繊維補強樹脂複合材およびその成形品
US8840988B2 (en) Fiber preform made from reinforcing fiber bundles and comprising unidirectional fiber tapes, and composite component
CN105102212A (zh) 柔性复合材料体系和方法
KR101659591B1 (ko) 하이브리드 세라믹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세라믹 섬유강화 복합재료
CN106795665A (zh) 用于复合增强物的混合的织造纺织品
JP7043290B2 (ja) Cfrpシート、frp-金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3190307B1 (en) Energy-absorbing member
WO2021033484A1 (ja) 繊維構造体及び繊維強化複合材
US10947647B2 (en) Fabric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KR101594655B1 (ko) 강선 및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판재
CN105934316B (zh) 纤维复合材料及其生产方法
CN112399917A (zh) Cfrp片材、使用cfrp片材的层叠体及cfrp片材的制造方法
US20170137982A1 (en) Nonwoven
WO2020246440A1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
Elseify et al. Natural fiber reinforcement preparation
KR101194978B1 (ko) 일방향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혼성 복합재료
JP6762503B2 (ja) 一方向性強化繊維シート
JP7455689B2 (ja) Cfrpシート、frp-金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22499A (ko) 복합재료 성형용 적층재
KR101771286B1 (ko) 연속섬유 보강 수지 복합재
JP2012251043A (ja) 糸条、シート状の強化繊維基材、プリフォーム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102401275B1 (ko) 중공 단면을 가진 섬유강화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Umair et al. 3D Natural Fiber Reinforced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