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760A -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760A
KR20150072760A KR1020130160272A KR20130160272A KR20150072760A KR 20150072760 A KR20150072760 A KR 20150072760A KR 1020130160272 A KR1020130160272 A KR 1020130160272A KR 20130160272 A KR20130160272 A KR 20130160272A KR 20150072760 A KR20150072760 A KR 20150072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key
driving conditions
driving
driving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란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2760A/ko
Publication of KR2015007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은 차량의 운행 조건을 스마트 키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차량과 무선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조건을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운행 조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DRIVING CONDITION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차량의 운행 조건들을 차량에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인류가 개발한 기계 중 가장 획기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보다 편리한 이동 수단으로써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운송 수단 중 하나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이동의 편의성 이면에는 사람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운행 중 안전을 위하여 자동차의 운행 조건을 제한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때 가속할 수 있는 최대 속도와 운행이 가능한 지역 또는 운행 거리 등을 제한하여 운행하는 방안이 일부 시행되고 있다. 이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의 최대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과속에 따른 치명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운행이 가능한 지역을 제한함으로써 위험한 지역에서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운행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과도한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행 조건을 제한하는 방법은 차량 관리자 또는 소유주가 차량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의 운행 조건을 제한하여야 하고, 또한 운행 조건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야 할 뿐 아니라, 한 차량에 한 운행 조건 제한 항목에 대하여 한 가지 제한 설정만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운전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해 운행 조건을 제한하지 않을 경우,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조건 제한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은 차량의 운행 조건을 스마트 키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차량과 무선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조건을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운행 조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운행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운행 조건을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운행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운행 조건을 상기 차량을 관리하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운행 조건은 최대 속도, 운행 가능 지역 또는 운행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에 따르면, 차량을 구동할 때 사용되는 스마트 키를 통해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배경기술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손쉽게 상기 차량의 운행 조건을 제한하면서 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운행하는 도중 발생될 수 있는 과속에 따른 사고, 위험 지역 운행에 따른 사고 또는 피로한 운전으로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0)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우선 상기 차량(200)의 운행 조건을 스마트 키(100)에 입력한다(S100).
상기 스마트 키(100)는 이전의 키홀에 끼운 다음 돌려서 시동을 걸던 열쇠 형태의 키와 달리, 상기 차량(200)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상기 차량(200)에 인식되어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차량(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상기 차량(200)에 인식되어 운전자가 스타트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시동을 걸 수 있다.
이에, 상기 스마트 키(100)에는 상기 차량(200)에서 키로써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전자 부품(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전자 부품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200)의 운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키(100)에는 상기 운행 조건으로써, 상기 차량(200)의 최대 속도, 운행 가능 지역 또는 운행 거리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운행 조건들은 상기 차량(200)을 운행할 때 안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써, 상기 최대 속도는 과속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운행 가능 지역은 위험한 지역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운행 거리는 장시간, 장거리 운전에 따른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운전자의 피로에 인한 사고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운행 시간도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행 조건은 대부분의 성인 남녀가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 설치가 용이한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키(100)에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폰(300)과 상기 스마트 키(100)를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운행 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는 앱(App)을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한 다음, 이를 통하여 손쉽게 상기 운행 조건들을 상기 스마트 키(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앱을 언제 어디서든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마트 키(100)에 입력되는 운행 조건들도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변경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마트 키(100)를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안테나를 통해서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음, 상기 운행 조건들이 설정되어 있는 인터넷 서버(400)로부터 상기 운행 조건들이 상기 스마트 키(1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마트 키(100)를 상기 차량(200)과 무선 연결한다(S200). 이러한 무선 연결은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100)의 기능 상 기본적으로 상기 차량(200)에서 무선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구성이 없어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마트 키(100)로부터 상기 입력된 운행 조건들을 상기 차량(200)에 전송하여 상기 차량(200)을 상기 운행 조건들로 설정한다(S300). 이러한 설정은 상기 차량(200)에 상기 운행 조건들을 상기 접근하는 스마트 키(100)로부터 별도의 조작 없이 바로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키(100)를 가지고 상기 차량(200)을 운행하기 위하여 상기 스타트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도 바로 상기 운행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키(100)를 가지고 상기 차량(200)으로 접근하면 상기 수신기가 상기 운행 조건들을 수신하면, 이 수신한 운행 조건들은 상기 차량(200)에 설치된 데이터 관리 서버(GDC, 210)에 저장되고, 이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운행 조건들은 상기 차량(200) 내부 및 외부 통신을 제어 및 관리하는 통신 제어 유닛(TCU, 220)를 통해 상기 차량(200)의 전기적인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230)에 전송하여 상기 차량(200)을 운행하는 도중에 상기 운행 조건들이 적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운행 조건들은 상기 차량(200)에 설치되어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미도시), 상기 차량(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미도시) 또는 상기 GPS와 연결된 네비게이션(미도시)을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200)을 구동할 때 사용되는 스마트 키(100)를 통해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200)의 운행 조건들을 설정함으로써, 배경기술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손쉽게 상기 차량(200)의 운행 조건들을 제한하면서 운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200)을 운행하는 도중 발생될 수 있는 과속에 따른 사고, 위험 지역 운행에 따른 사고 또는 피로한 운전으로 인한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마트 키 200 : 차량
210 : 데이터 관리 서버 220 : 통신 제어 유닛
230 : 전자 제어 유닛 300 : 스마트폰
400 : 인터넷 서버

Claims (4)

  1. 차량의 운행 조건을 스마트 키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차량과 무선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조건을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여 상기 운행 조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운행 조건을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운행 조건을 상기 차량을 관리하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조건은 최대 속도, 운행 가능 지역 또는 운행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KR1020130160272A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KR20150072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272A KR20150072760A (ko)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272A KR20150072760A (ko)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760A true KR20150072760A (ko) 2015-06-30

Family

ID=5351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272A KR20150072760A (ko)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27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5903C (en) Passive entry cell phone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2422330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04590208B (zh) 用于提供车辆已被接近的通知的方法、系统和设备
US9501875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ny vehicle events specified in notification preferences have occurred
US95215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left-behind phone
US9767655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s been left inside a vehicle
RU2573775C2 (ru) Установоч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функциям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9302695B (zh) 用于无线车辆通信的nfc启用系统、方法和设备
CN108141710B (zh) 在车辆ecu与附近外部装置之间的通信
US20150287257A1 (en) Electronic key fob with bluetooth and radio frequency transceivers
WO2011111306A1 (ja) 携帯機器と連携して動作可能な車載機器
JP6184119B2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
JP4499127B2 (ja) 携帯端末
US9172784B2 (en) Vehicle system for managing external communication
CN205344821U (zh) 一种汽车无钥匙进入、启动系统
WO2014080570A1 (ja) 携帯端末の制御装置
US9134727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from an ID transmitter
JP2014152458A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
CN104533129A (zh) 车位锁控制方法及系统
US9522651B2 (en) Operational omission notification method and operational omission notification system
US7446648B2 (en) Passive activation vehicle system alert
US11513509B2 (en) Remote automobile telematics control and security
CN202686286U (zh) 汽车防盗系统
KR20150080191A (ko) 차량단말기와 휴대용단말기의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2760A (ko) 차량의 운행 조건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