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760A -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760A
KR20150071760A KR1020130158059A KR20130158059A KR20150071760A KR 20150071760 A KR20150071760 A KR 20150071760A KR 1020130158059 A KR1020130158059 A KR 1020130158059A KR 20130158059 A KR20130158059 A KR 20130158059A KR 20150071760 A KR20150071760 A KR 20150071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pplication
engine
terminal
affili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 조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조인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 조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3015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760A/ko
Priority to PCT/KR2014/011158 priority patent/WO2015093737A1/ko
Publication of KR2015007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을 제공하고, 단말 엔진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컨텐츠를 배포하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 엔진/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 엔진을 제공받고, 단말 엔진이 포함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로부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등록받아 배포하는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은,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고, 컨텐츠를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에 의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고,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컨텐츠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링크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판단 결과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설치 링크가 터치되면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로부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사용자에 의해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APPLICATION DISTRIBUTION/EXECU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XPOSING CONTENTS}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그 수가 워낙 많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들도 수없이 많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이 널리 배포되어 설치되기를 원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무료 제공되는 경우가 많고, 그 수익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스폰서에 의해 지원되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얻고 있다. 이에,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배포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홍보나 광고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광고 컨텐츠는 스마트 폰의 작은 화면 상에 주로 배너(banner)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배너는 주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세하게 실행되며 개발자의 수익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배너의 터치율(click through ratio, CTR)은 노출수에 비하여 매우 적기 때문에 노출수 대비 광고 수익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실적 상황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위한 별도의 홍보나 광고를 하는 것이란 매우 어려운게 현실이다.
이에, 별도의 홍보나 광고없이도 어플리케이션이 자연스럽게 널리 배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은,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단말 엔진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컨텐츠를 배포하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 상기 엔진/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 엔진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단말 엔진이 포함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로부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등록받아 배포하는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에 의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고,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링크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 또는 모바일 웹의 접속 버튼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설치 링크가 터치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접속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모바일 웹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 엔진은,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엔진/컨텐츠 제공 서버를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컨텐츠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경로를 제공받고,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마다 설정한 노출 시점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출 시점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각, 다운로드 시점,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켜지는 시점, 소정의 발신 번호 또는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한 시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엔진은, 상기 컨텐츠를 소정 시각마다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즉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켜지는 시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발신 번호 또는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한 시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엔진은,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판단된 노출 시점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직접 호출되고, 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방법은,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 상기 단말 엔진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가 상기 수신된 단말 엔진이 임베드(embed)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하는 단계; 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이 상기 컨텐츠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경로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이 상기 컨텐츠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 또는 모바일 웹의 접속 경로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다운로드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로부터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실행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행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접속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접속 경로를 이용하여 소정의 모바일 웹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엔진만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거나 모든 단말 엔진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상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기마다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배포/설치하도록 유도하고 기 설치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별도의 홍보나 광고없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횟수와 어플리케이션 설치 횟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광고에 따른 수익 증가가 동반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컨텐츠를 통해 더 많이 설치되고 실행됨에 따라 소정 규모 이상의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스플레이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설치 화면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연결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를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노출 방식의 개념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단말 엔진을 호출하여 컨텐츠를 노출하는 방식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이하,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이라 함)(100)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100)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단말 엔진을 임베드(embed)시켜 배포하고,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컨텐츠를 배포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30)은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여 컨텐츠를 소정 시기 또는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노출된 컨텐츠를 실행하게 되면 이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별도의 홍보나 광고없이도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설치는 물론 그 실행이 촉진되며,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실행이 촉진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스폰서 광고의 수입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는 기본적으로 단말 엔진을 제공하는 기능과 컨텐츠를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의 단말 엔진은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개발자의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로 제공한다. 단말 엔진은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embed)되어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에 의해 제휴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될 수 있다.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는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하는데, 이때 컨텐츠와 함께 미리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컨텐츠는 이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는 물론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경로가 포함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컨텐츠와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가 날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에 포함된 다운로드 경로를 통해 링크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날씨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하는 날씨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다이어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의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다이어트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와 그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연관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나 실행을 유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컨텐츠는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자가 생성하여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를 통해 배포하도록 구성되거나 직접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 엔진은 사용자 단말(140)에서 백그라운드 모드로 상시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서 배포되는 컨텐츠는 단말 엔진에 의해 사용자 단말(1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에 의해 생성되는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에 등록되고,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가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40)로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는 이에 앞서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 단말 엔진을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휴를 요청할 수 있다. 제휴 요청에 의해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부터 단말 엔진을 제공받고, 단말 엔진을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30)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는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로부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등록받아 사용자 단말(140)로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단말 엔진을 포함하는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140)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컨텐츠 다운로드는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기 이전에도 사용자 단말(140)에 다운로드 가능하다.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40)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단말 엔진은 위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40)에 기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에 그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버튼 또는 슬라이드 바 등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보고 실행 버튼이나 슬라이드 바를 터치하면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이 외에도 소정의 모바일 웹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 버튼 또는 슬라이드 바 등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특정 모바일 웹의 접속이 촉진되며, 개발자에게는 이로 인한 광고 수익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단말 엔진은 위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4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에 그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설치 링크와 이에 부합하는 UI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보고 설치 링크를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로 접속하고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설치가 촉진되며, 개발자는 그 배포로 인해 광고 수익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다. 잠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디스플레이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설치 화면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다운로드된 A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40)에 A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일부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튼이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버튼을 터치하면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 실행 버튼 외에도 접속 버튼이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가 그 접속 버튼을 터치하여 소정의 모바일 웹으로 접속하게 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다운로드된 A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40)에 A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일부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버튼이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화면으로 접속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A 컨텐츠에는 자세히 보기 버튼이 추가되어 컨텐츠의 내용을 좀 더 자세하게 표시하거나 해당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3D, HTML5 등 스마트 단말 상에서 표현 가능한 모든 형태의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는 직접 사용자 단말(140)에 다운로드받는 구성이 될 수도 있으나, 단순히 컨텐츠를 스트링밍으로 실시간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 경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 단말(140) 자체에서 제공되는 배터리 경고 이벤트나 데이터 사용량 경고 이벤트에 의해 자체 생성되는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실행과 관계된 컨텐츠일 수도 있으나 상업적 광고나 홍보를 위한 CF 영상, 영화 소개 영상과 같은 광고 컨텐츠 또는 K-POP과 같은 문화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활용하여 여러 어플리케이션들과의 제휴를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이를 활용해 추가적인 사업 모델의 영위가 가능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연계되는 연결 컨텐츠와 함께 광고 컨텐츠를 동시에 노출시켜 추가적인 광고 수익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연결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를 동시에 노출하기 위한 실시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연결 컨텐츠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연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됨을 알리는 인트로 화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의 (b)에서 인트로 화면을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광고 컨텐츠(20)가 연결 컨텐츠(10)의 최상단에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일정 시간후에 광고 컨텐츠가 최소화 되어 표시되고 자연스럽게 연결 컨텐츠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도 3의 (d)는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보기 위해 광고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광고 컨텐츠가 다시 전면에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연결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 3의 (c)에서는 연결 컨텐츠 영역을 터치하거나 좌우상하 등으로 슬라이드하여 해당 링크로 접속하거나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에도 광고와 연결된 모바일 웹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연결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140)의 화면을 상하로 양분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광고 컨텐츠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광고 수익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의 운영자와 제휴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사), 그리고 광고를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수익이 분배 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엔진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를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경로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40)의 단말 엔진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시각마다 디스플레이하여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40) 즉, 단말 엔진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서 컨텐츠마다 설정한 노출 시점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으며, 제휴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한 노출 시점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노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단말 엔진이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노출 시점에 단말 엔진이 직접 호출되고, 호출된 상태에서 단말 엔진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사용자의 개인화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화된 컨텐츠란 몸무게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와 같이 사용자별 특정 정보를 의미힌다.
한편,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서 설정한 노출 시점의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각마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즉시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 시점이란 배터리 경고 표시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데이터 사용량 경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엔진은 사용자 단말(140)의 화면이 켜지는 시점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소정의 발신 번호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되거나 또는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어 실행되는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소정 시각마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란 알람 정보나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일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의 다운로드 즉시 시점에 노출되는 경우는 뉴스 속보 컨텐츠 또는 긴급 공지 컨텐츠와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컨텐츠에 유용할 수 있다.
한편, 화면 켜짐 시점의 노출의 예로서는, 생활에 유용한 지식 정보와 같은 일반적인 정보 컨텐츠에 이용 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문자 메시지의 수신/실행 시점에 컨텐츠를 노출하는 경우는 특정 사업자의 발신 번호나 특정 사업자의 키워드를 통해 사업자의 광고/홍보를 위한 컨텐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컨텐츠는 컨텐츠의 속성에 부여된 시간대별, 요일별, 특정 노출 시점 여부 등에 따라 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에서만 노출되도록 조건이 부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노출 속성 부여나 노출 순서는 사용자 단말(130) 또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 설정된 바에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엔진은 제휴 어플리케이션마다 각각 임베드되는데, 하나의 사용자 단말(140)에 여러 개의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해당 단말 엔진이 모바일 운영 체제에서 지원하는 백그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엔진은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모두 활성화되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의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하나의 단말 엔진만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 엔진의 컨텐츠 노출 시점을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다음의 두가지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를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노출 방식의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 엔진은 컨텐츠를 노출시킬 때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즉시 노출시키거나 특정 시간대에 컨텐츠를 노출시키거나 특정 문자 메시지 수신 시에 노출시키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정보인 뉴스, 날씨, 건강 등의 컨텐츠를 노출할 경우에는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개인화된 특정 정보까지 노출시키기는 쉽지 않다. 개인화된 특정 정보란 예를 들면, 몸무게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를 노출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화된 특정 정보를 도 4a의 일반 정보의 처리 방식처럼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 등록한 후 그 사용자를 위한 컨텐츠를 별도로 가공하여 다운로드하고 노출하게 되면, 개인별로 특화된 컨텐츠를 별도로 관리하고 개인별로 타게팅(targeting)해서 컨텐츠를 내리는 등 부가적인 작업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개인별로 특화된 컨텐츠는 도 4a의 방식보다는 도 4b의 방식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단말 엔진을 호출하여 컨텐츠를 노출하는 방식의 개념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휴 어플리케이션에서 단말 엔진을 직접 호출해서 노출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에서는 사용자 단말(140)에서 사용자마다 개인화된 정보를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40)이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해야 하는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에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서 직접 단말 엔진을 호출하고 사용자의 개인화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노출할 수 있기 때문에 부하가 적게 걸리고 구현상으로도 간단해지는 큰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40)은 어플리케이션 연결 컨텐츠의 노출에 따른 어플케이션 방문율 또는 어플리케이션 설치율 등의 통계를 위해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나 별도의 플랫폼 서버(미도시)로 즉시 또는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고는 실시간 보고 방식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컨텐츠 노출 횟수 등을 취합하여 보고하는 일괄 보고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 단말 엔진을 요청하여 수신한다(S110).
다음으로,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120)가 앞서 수신된 단말 엔진이 임베드(embed)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에 등록한다(S12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40)이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S13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40)이 앞서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한다(S140).
이때, 사용자 단말(140)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엔진만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40)이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S150).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40)이 앞서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60). 단계 S150은 사용자 단말(140)에서 컨텐츠의 노출 시점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후 소정 시점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에서도 사용자 단말(140)의 제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110) 역시 사용자 단말(140)의 제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40)과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140)을 구별하여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이 컨텐츠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경로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7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앞서 디스플레이된 다운로드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40)이 다운로드 경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130)로부터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180).
판단 결과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이 컨텐츠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71).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실행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40)이 실행 경로를 이용하여 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81).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연결 컨텐츠
20: 광고 컨텐츠
110: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
120: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
130: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
140: 사용자 단말

Claims (5)

  1.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단말 엔진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컨텐츠를 배포하는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
    상기 엔진/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단말 엔진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단말 엔진이 포함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로부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등록받아 배포하는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에 의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고,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링크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한 컨텐츠에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 또는 모바일 웹의 접속 버튼을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설치 링크가 터치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로부터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접속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모바일 웹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엔진은,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엔진/컨텐츠 제공 서버를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컨텐츠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경로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마다 설정한 노출 시점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노출 시점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각, 다운로드 시점,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켜지는 시점, 소정의 발신 번호 또는 소정의 키워드를 포함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한 시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엔진은,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판단된 노출 시점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직접 호출되고, 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4.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가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 상기 단말 엔진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 생성 서버가 상기 수신된 단말 엔진이 임베드(embed)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엔진/컨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와 연계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이 상기 컨텐츠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경로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되는 단말 엔진이 상기 컨텐츠에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 또는 모바일 웹의 접속 경로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다운로드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운로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로부터 해당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실행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행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접속 경로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접속 경로를 이용하여 소정의 모바일 웹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을 백그라운드 모드(background mode)에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휴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설치된 제휴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드된 단말 엔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엔진만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거나 모든 단말 엔진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방법.
KR1020130158059A 2013-12-18 2013-12-18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1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59A KR20150071760A (ko) 2013-12-18 2013-12-18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11158 WO2015093737A1 (ko) 2013-12-18 2014-11-20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59A KR20150071760A (ko) 2013-12-18 2013-12-18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760A true KR20150071760A (ko) 2015-06-29

Family

ID=5340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059A KR20150071760A (ko) 2013-12-18 2013-12-18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71760A (ko)
WO (1) WO20150937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683A1 (en) * 2021-03-16 2022-09-22 Branch Metrics, Inc. On-device functionality using remote system updates
WO2024096871A1 (en) * 2022-11-01 2024-05-10 Google Llc Filtering third-party content related to applications based on installation st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6860B (zh) * 2019-04-24 2020-12-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信息流量分配方法、流量分配模型训练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812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큐앤에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게임을 통한 쿠폰 적립 제공 방법
KR101315861B1 (ko) * 2011-11-18 2013-10-08 주식회사 케이티엠하우스 어플리케이션 제공과 보상을 통합 관리하는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모바일 광고 방법
KR101955463B1 (ko) * 2011-11-29 2019-03-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분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2533B1 (ko) * 2011-12-20 2014-08-25 한상진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의 광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683A1 (en) * 2021-03-16 2022-09-22 Branch Metrics, Inc. On-device functionality using remote system updates
WO2024096871A1 (en) * 2022-11-01 2024-05-10 Google Llc Filtering third-party content related to applications based on installation st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737A1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175B1 (ko) 모바일 광고의 마이크로타깃팅을 위한 키워드 추적
EP3531257A1 (en) Application interfa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JP5753133B2 (ja) 報酬付与装置、報酬付与方法および報酬付与プログラム
US201101967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electronically presented advertizing
KR101700080B1 (ko) 런타임 기반 애플리케이션 행동의 선택적 인에이블
TW200937327A (en) Advertisements on mobile devices using integrations with mobile applications
CN105190664A (zh) 报告移动应用的动作
US20160104209A1 (en) Real time bidding system for applications
KR20150071760A (ko)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CN110321120B (zh) 数据处理方法、数据处理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025320B (zh) 一种混合构架的可运营桌面系统及其实现方法
CN105324766B (zh) 嵌入式web内容执行的应用控制
KR10121789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포워딩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188611A1 (en) Combination of multiple advertisements in an ad slot on a network accessible device
KR20180098598A (ko) 테마 데이터
KR101244777B1 (ko) 무선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한 광고 시스템
JP2005300806A (ja) インターネット対応の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広告システム
KR20160145430A (ko) 컨텐츠 노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실행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08164A1 (en) Dialog box management system, user terminal, dialog box exposure method and method for configuring dialog box exposure using the same
KR20110046432A (ko) 모바일 기기 배너광고 노출제어로 클릭률 증대 방법
CN112051952A (zh) 图片动态浏览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837255B1 (ko)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02621B1 (ko) 스마트 기기의 콘텐츠 배경 영역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14202A (ko) 스마트기기의 다이얼러 화면 및 통화 연결 화면에 광고하는 방법
CN109324850A (zh) 应用程序的显示处理方法、终端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