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600A -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600A
KR20150071600A KR1020130158808A KR20130158808A KR20150071600A KR 20150071600 A KR20150071600 A KR 20150071600A KR 1020130158808 A KR1020130158808 A KR 1020130158808A KR 20130158808 A KR20130158808 A KR 20130158808A KR 20150071600 A KR20150071600 A KR 2015007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element
gear
rotary
planetary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777B1 (ko
Inventor
노명훈
이창욱
서강수
황성욱
박종술
국재창
지성욱
조원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77B1/ko
Priority to JP2014164993A priority patent/JP6387267B2/ja
Priority to DE102014115380.4A priority patent/DE102014115380B4/de
Priority to CN201410638488.0A priority patent/CN104728366B/zh
Priority to US14/542,337 priority patent/US9175749B2/en
Publication of KR2015007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16H2037/048Combinations of parallel shaft and orbital motion gearing, wherein the orbital motion gear has more than one connection with the parallel shaft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eight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8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1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hree sets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five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은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 제1 선기어, 제1 유성캐리어, 제1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1 유성기어세트; 제2 선기어, 제2 유성캐리어,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후측에 대응하여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세트; 제3 선기어, 제3 유성캐리어,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출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변속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요소; 상기 제1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1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요소; 상기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2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3 회전요소; 상기 제1,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1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와, 상기 제2, 제3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를 직접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4 회전요소; 상기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제2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와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5 회전요소; 상기 제5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3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출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 상기 제5, 제6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3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7 회전요소; 상기 외접 기어 연결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3개의 트랜스퍼 기어; 상기 회전요소들을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변속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5개의 마찰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동력 전달 성능 향상으로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변속기의 다단 변속 메커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와 마찰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되며, 구현 가능한 변속단이 많을수록 보다 적절한 변속비의 설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력성능 및 연비 면에서 우수한 차량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유성기어트레인의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성기어트레인은 동일 변속단을 구현하더라도 회전요소(선기어, 유성 캐리어, 링기어)의 연결 구성에 따라 내구성, 동력전달효율, 크기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동력손실이 없으며, 콤팩트하게 제작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유성기어트레인은 다수의 변속단을 구현하되, 변속제어 관점에서 이웃하는 변속단으로 순차 변속시의 작동 조건 만족 여부 및 이웃하는 변속단 간의 단간비가 적절한 수준으로 구현되는지의 여부가 차별화 되는 기능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입력축과 출력축에 나누어 배치되는 3개의 유성기어세트, 3개의 트랜스퍼 기어, 그리고 5개의 마찰요소 조합으로 마찰요소의 작동조건이 우수한 전진 8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함으로써, 전장을 축소하여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동력 전달 성능의 향상으로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3개의 트랜스퍼 기어를 적용하여 자유로운 기어 잇수 변경으로 최적의 기어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력전달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 제1 선기어, 제1 유성캐리어, 제1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1 유성기어세트; 제2 선기어, 제2 유성캐리어,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후측에 대응하여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세트; 제3 선기어, 제3 유성캐리어,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출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변속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요소; 상기 제1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1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요소; 상기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2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3 회전요소; 상기 제1,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1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와, 상기 제2, 제3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를 직접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4 회전요소; 상기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제2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와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5 회전요소; 상기 제5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3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출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 상기 제5, 제6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3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7 회전요소; 상기 외접 기어 연결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3개의 트랜스퍼 기어; 상기 회전요소들을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변속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5개의 마찰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요소는 제1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회전요소는 제1 유성캐리어 또는 제1 유성캐리어와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회전요소는 제2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회전요소는 제1 링기어와 제2 선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회전요소는 제3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6 회전요소는 제3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7 회전요소는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트랜스퍼 기어는 상기 입력축과 제5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제6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7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3 트랜스퍼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5개의 마찰요소는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3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클러치; 상기 입력축과 제1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클러치; 상기 제6 회전요소와 제2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클러치; 상기 제2 회전요소를 형성하는 제2 링기어와 제4 회전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클러치; 상기 제1 회전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5개의 마찰요소 중 3개의 동시 체결에 의하여 구현되는 변속단은 제1, 제2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1 변속단; 제1,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2 변속단; 제1, 제2,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3 변속단; 제1,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4속 변속단; 제1, 제2, 제3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5속 변속단; 제2,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6속 변속단; 제2,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7 변속단; 제3,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8 변속단; 제1,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후진 변속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개의 유성기어세트를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입력축과 출력축에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전장이 축소되어 탑재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유성기어세트 외에 3개의 트랜스퍼 기어를 적용함으로써, 자유로운 기어 잇수 변경으로 차량별 최적의 기어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요구 성능 조건에 맞도록 기어 변경이 가능하여 발진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존의 토크 컨버터를 삭제하고 발진 클러치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변속단에서 3개의 마찰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비작동 마찰요소를 최소화하여 드래그 토크를 저감시키고, 동력전달효율을 증대시켜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변속단에서 3개의 마찰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마찰요소의 담당 토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에 적용되는 각 마찰요소의 각 변속단별 작동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변속선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1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2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3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4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5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6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7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전진 8속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도 3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후진 변속단의 변속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은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PG1)(PG2)(PG3)와, 5개의 마찰요소(B1)(C1)(C2)(C3)(C4)와, 3개의 트랜스퍼 기어(TF1)(TF2)(TF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제2 유성기어세트(PG1)는 입력축(IS)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성기어세트(PG3)는 상기 입력축(IS)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OS)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축(IS)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PG1)(PG2)(PG3)의 상호 보완작동에 의하여 전진 8속 및 후진 1속으로 변속되어 출력축(OS)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PG1)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서, 제1 선기어(S1)와, 제1 링기어(R1)와, 상기 제1 선기어(S1)와 상기 제1 링기어(R1)에 각각 치합되는 제1 피니언(P1)을 지지하는 제1 유성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PG2)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서, 제2 선기어(S2)와, 제2 링기어(R2)와, 상기 제2 선기어(S2)와 상기 제2 링기어(R2) 사이에서 치합되는 제2 피니언(P2)을 지지하는 제2 유성캐리어(PC2)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유성기어세트(PG3)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서, 제3 선기어(S3)와, 제3 링기어(R3)와, 상기 제3 선기어(S3)와 상기 제3 링기어(R3) 사이에서 치합되는 제3 피니언(P3)을 회전 지지하는 제3 유성캐리어(PC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PG1)(PG2)(PG3)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유성기어세트(PG1)(PG2)는 복합유성기어세트로 작동하고, 상기 제3 유성기어세트(PG3)는 단독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유성기어세트(PG1)(PG2)는 제1 링기어(R1)와 제2 선기어(S2)가 직접 연결되고,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4개의 회전요소(N1)(N2)(N3)(N4)를 보유한다.
상기 제1 회전요소(N1)는 제1 선기어(S1)로 이루어지며, 변속기 하우징(H)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인 고정요소로 작동함과 동시에 선택적인 출력요소로 작동한다.
상기 제2 회전요소(N2)는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 또는 제2 링기어(R2)로 이루어지며, 입력축(IS)과 직접 연결되어 입력요소로 작동한다.
상기 제3 회전요소(N3)는 제2 유성캐리어(PC2)로 이루어지며, 출력요소로 작동한다.
상기 제4 회전요소(N4)는 제1 링기어(R1)와 제2 선기어(S2)로 이루어지며, 공전요소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유성기어세트(PG3)는 3개의 회전요소(N5)(N6)(N7)를 보유하면서 상기 입력축(IS)과 제1, 제2 유성기어세트(PG1)(PG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하여 출력축(OS)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5 회전요소(N5)는 제3 선기어(S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회전요소(N2)와 선택적으로 외접기어 연결되거나,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PG2)의 직결시 외접기어 연결된다.
상기 제6 회전요소(N6)는 제3 유성캐리어(PC3)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축(OS)과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회전요소(PC2)와 선택적으로 외접기어 연결된다.
상기 제7 회전요소(N7)는 제3 링기어(R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전요소(N1)와 선택적으로 외접기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요소(N1 ~N7)들은 제1, 2, 3 트랜스퍼 기어(TF1)(TF2)(TF3)와, 제1 브레이크(B1) 및 제1, 제2, 제3, 제4 클러치(C1)(C2)(C3)(C4)로 이루어지는 마찰요소에 의하여 상호 조합된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트랜스퍼 기어(TF1)(TF2)(TF3)는 각각 서로 외접하는 제1, 제2, 제3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TF1a)(TF2a)(TF3a)와 제1, 제2, 제3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TF1b)(TF2b)(TF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트랜스퍼 기어(TF1)는 입력축(IS)에 연결되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제2 링기어(R2)에 직접 연결되는 제1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TF1a)와, 상기 제5 회전요소(N5)에 연결되는 제1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TF1)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요소(N2)와 제5 회전요소(N5)를 외접기어 연결한다.
상기 제2 트랜스퍼 기어(TF2)는 제3 회전요소(N3)와 연결되는 제2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TF2a)와, 상기 제6 회전요소(N6)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TF2b)로 이루어져 상기 제3 회전요소(N3)와 상기 제6 회전요소(N6)를 선택적으로 외접기어 연결한다.
상기 제3 트랜스퍼 기어(TF3)는 제1 회전요소(N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3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TF3a)와, 상기 제7 회전요소(N7)에 연결되는 제3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TF3b)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요소(N1)와 제7 회전요소(N7)를 외접기어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제3 트랜스퍼 기어(TF1)(TF2)(TF3)에 의하여 연결되는 각각의 회전요소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들 제1, 제2, 제3 트랜스퍼 기어(TF1)(TF2)(TF3)를 구성하는 제1, 제2, 제3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TF1a)(TF2a)(TF3a)와 제1, 제2, 제3 트랜스퍼 드리븐 기어(TF1b)(TF2b)(TF3b)의 기어비는 각 변속단에서 요구하는 변속비에 따라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제2 트랜스퍼 기어(TF1)(TF2)의 기어비를 1 : 1로 하여 동속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 트랜스퍼 기어(TF3)의 기어비를 1 : 2.381로 하여 감속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PG1)(PG2)(PG3)의 각 회전요소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마찰요소(B1)(C1)(C2)(C3)(C4)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브레이크(B1)는 상기 제1회전요소(N1)와 변속기 하우징(H)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클러치(C1)는 상기 제3 트랜스퍼 기어(TF3)와 제1 회전요소(N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클러치(C2)는 상기 제1 트랜스퍼 기어(TF1)와 입력축(IS)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클러치(C3)는 상기 제2 트랜스퍼 기어(TF2)와 제6 회전요소(N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4 클러치(C4)는 상기 제4 회전요소(N4)와 제1 트랜스퍼 기어(TF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 클러치(C1)(C2)(C3)(C4)와 제1 브레이크(B1)로 이루어지는 각 마찰요소는 유압에 의하여 마찰 결합되는 다판식 유압마찰결합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에 적용되는 각 마찰요소의 각 변속단별 작동표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은 각 변속단에서 3개의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1속 변속단(1ST)은 제1, 제2 클러치(C1)(C2)와 제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2속 변속단(2ND)은 제1, 제4 클러치(C1)(C4)와 제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3속 변속단(3RD)은 제1, 제2, 제4 클러치(C1)(C2)(C4)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4속 변속단(4TH)은 제1, 제3, 제4 클러치(C1)(C3)(C4)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5속 변속단(5TH)은 제1, 제2, 제3 클러치(C1)(C2)(C3)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6속 변속단(6TH)은 제2, 제3, 제4 클러치(C2)(C3)(C4)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7속 변속단(7TH)은 제2, 제3 클러치(C2)(C3)와 제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진 8속 변속단(8TH)은 제3, 제4 클러치(C3)(C4)와 제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후진 변속단(REV)은 제1, 제3 클러치(C1)(C3)와 베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각 변속단별 변속선도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유성기어트레인의 변속과정을 레버 해석법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i를 참조하면, 제1, 제2 유성기어세트(PG1)(PG1)로 이루어지는 복합유성기어세트(CPG)의 4개의 세로선은 좌측으로부터 제1 회전요소(S1), 제2 회전요소(N2), 제3 회전요소(N3), 제4 회전요소(N4)로 설정되며, 제3 유성기어세트(PG3)의 3개의 세로선은 좌측으로부터 제5 회전요소(N5), 제6 회전요소(N6), 제7 회전요소(N7)로 설정된다.
또한, 중앙의 가로선은 회전속도 "0"을 나타내고, 상측의 가로선은 회전속도 "1.0"을 나타내며, 하측의 가로선은 회전속도 "-1.0"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는 엔진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아이들링 기어(Idling Gear) 없이 제1, 제2, 제3 트랜스퍼 기어(TF1)(TF2)(TF3)를 통해 외접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회전속도 "1.0"은 입력축인 입력축(IS)의 회전속도가 "1.0" 이라고 가정한 것이며, 상기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PG1)(PG2)(PG3)의 세로선의 간격은 각 기어비(선기어의 잇수/링기어의 잇수)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트랜스퍼 기어(TF1)(TF2)(TF3)의 기어비가 대략 TF1a : TF1b = 1 : 1, TF2a : TF2b = 1 : 1, TF3a : TF3b = 1 : 2.381로 가정했을 때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2와 도 3a 내지 도 3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의 각 변속단별 변속과정을 설명한다.
[전진 1속]
도 2를 참조하면, 전진 1속 변속단(1ST)에서는 제1, 제2 클러치(C1)(C2)와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a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연결되면서 제2 회전요소(N2)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됨과 동시에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와 제1 클러치(C1)의 작동으로 제1 회전요소(N1)와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함으로써,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1 변속선(SP1)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D1 만큼 출력되는 전진 1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2속]
전진 2속 변속단(2ND)에서는 상기 전진 1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2 클러치(C2)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4 클러치(C4)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b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의 작동 해제에 의하여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연결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제1 유성캐리어(PC1)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된다.
따라서 제1 유성기어세트(PG1)에서는 제2 회전요소(N2)인 제1 유성캐리어(PC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요소(N1)인 제1 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면서 제4 회전요소(N4)인 제1 링기어(R1)를 통해 증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유성기어세트(PG2)에서는 상기 제1 링기어(R1)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2 선기어(S2)로 증속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4 클러치(C4)의 작동에 의하여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와 제1 클러치(C1)의 작동으로 제1 회전요소(N1)와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함으로써,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2 변속선(SP2)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D2 만큼 출력되는 전진 2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3속]
전진 3속에서는 상기 전진 2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클러치(C2)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c에서와 같이, 복합유성기어세트(CPG)에서는 제2 클러치(C2)와 제4 클러치(C4)의 작동에 의하여 직결의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직결의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됨과 동시에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된다.
그리고 제1 클러치(C1)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요소(N1)의 회전동력이 제3 트랜스퍼 기어(TF3)의 기어비(감속)에 따라 제7 회전요소(N7)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3 변속선(SP3)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D3 만큼 출력되는 전진 3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4속]
전진 4속에서는 상기 전진 3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2 클러치(C2)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3 클러치(C3)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d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의 작동 해제에 의하여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연결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제1 유성캐리어(PC1)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되고, 제2 유성기어세트(PG2)는 제4 클러치(C4)의 작동에 의하여 직결의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제1 회전요소(N1)의 회전동력이 제1 클러치(C1)의 작동에 의하여 제3 트랜스퍼 기어(TF3)의 기어비(감속)에 따라 제7 회전요소(N7)로 역회전 입력되고, 제3 회전요소(N3)의 회전동력이 제3 클러치(C3)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트랜스퍼 기어(TF2)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6 회전요소(N6)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4 변속선(SP4)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D4 만큼 출력되는 전진 4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5속]
전진 5속에서는 상기 전진 4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4 클러치(C4)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 클러치(C2)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e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연결되면서 제2 회전요소(N2)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됨과 동시에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된다.
그리고 제1 회전요소(N1)의 회전동력이 제1 클러치(C1)의 작동에 의하여 제3 트랜스퍼 기어(TF3)의 기어비(감속)에 따라 제7 회전요소(N7)로 역회전 입력되고, 제3 회전요소(N3)의 회전동력이 제3 클러치(C3)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트랜스퍼 기어(TF2)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6 회전요소(N6)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5 변속선(SP5)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D5 만큼 출력되는 전진 5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6속]
전진 6속에서는 상기 전진 5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1 클러치(C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4 클러치(C4)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f에서와 같이, 복합유성기어세트(CPG)는 제2 클러치(C2)와 제4 클러치(C4)의 작동에 의하여 직결의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직결의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됨과 동시에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된다.
그리고 제3 클러치(C3)의 작동에 의하여 제3 회전요소(N3)의 회전동력이 제2 트랜스퍼 기어(TF2)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6 회전요소(N7)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6 변속선(SP6)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입력 그대로인 D6 만큼 출력되는 전진 6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7속]
전진 7속에서는 상기 전진 6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4 클러치(C4)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1 브레이크(B1)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g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연결되면서 제2 회전요소(N2)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됨과 동시에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되고,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요소(N1)가 고정요소로 작동된다.
그리고 제3 회전요소(N3)의 회전동력이 제3 클러치(C3)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트랜스퍼 기어(TF2)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6 회전요소(N6)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7 변속선(SP7)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상태인 D7 만큼 출력되는 전진 7속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전진 8속]
전진 8속에서는 상기 전진 7속의 상태에서 작동하던 제2 클러치(C2)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3 클러치(C3)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h에서와 같이, 제2 클러치(C2)의 작동 해제에 의하여 제1 유성캐리어(PC1)와 제2 링기어(R2)가 연결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제1 유성캐리어(PC1)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요소(N2)로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입력된다.
따라서 제1 유성기어세트(PG1)에서는 제2 회전요소(N2)인 제1 유성캐리어(PC1)로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요소(N1)인 제1 선기어(S1)가 고정요소로 작동하면서 제4 회전요소(N4)인 제1 링기어(R1)를 통해 증속 출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유성기어세트(PG2)에서는 상기 제1 링기어(R1)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2 선기어(S2)로 증속 입력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제4 클러치(C4)의 작동에 의하여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1 트랜스퍼 기어(TF1)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5 회전요소(N5)로 역회전 입력됨과 동시에 제3 클러치(C3)의 작동에 의하여 제3 회전요소(N3)의 회전동력이 제2 트랜스퍼 기어(TF2)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6 회전요소(N6)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제8 변속선(SP8)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오버 드라이브 상태인 D8 만큼 출력되는 최고 변속단의 전진 8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후진]
후진 변속단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브레이크(B1)와 제1, 제3 클러치(C1)(C4)가 작동된다.
그러면 도 3i에서와 같이, 입력축(IS)의 회전동력이 제2 회전요소(N2)인 제1 유성캐리어(PC1)로 입력되는 상태에서 제1 브레이크(B1)와 제1 클러치(C1)의 작동으로 제1 회전요소(N1) 및 제7 회전요소(N7)가 고정요소로 작동한다.
그리고 제3 회전요소(N3)의 회전동력이 제3 클러치(C3)의 작동으로 제2 트랜스퍼 기어(TF2)의 기어비(동속)에 따라 제6 회전요소(N6)로 역회전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3 유성기어세트(PG3)에서는 후진 변속선(RS)을 형성하면서 출력요소인 제6 회전요소(N6)를 통해 REV 만큼 출력되는 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성기어트레인은 3개의 유성기어세트를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입력축과 출력축에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전장이 축소되어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성기어세트 외에 3개의 외접기어를 적용함으로써, 자유로운 기어 잇수 변경으로 차량별 최적의 기어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요구 성능 조건에 맞도록 기어 잇수 변경이 가능하여 발진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존의 토크 컨버터를 삭제하고 발진 클러치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변속단에서 3개의 마찰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비작동 마찰요소를 최소화하여 드래그 토크를 저감시키고, 동력전달효율을 증대시켜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변속단에서 3개의 마찰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마찰요소의 담당 토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PG1,PG2,PG3 ...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
S1,S2,S3 ... 제1, 제2, 제3 선기어
PC1,PC2,PC3 ... 제1, 제2, 제3 유성캐리어
R1,R2,R3 ... 제1, 제2, 제3 링기어
IS... 입력축
OS... 출력축
B1... 제1 브레이크
C1, C2, C3, C4 ... 제1, 제2, 제3, 제4 클러치
N1,N2,N3,N4,N5,N6,N7...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회전요소
TF1,TF2,TF3... 제1, 제2, 제3 트랜스퍼 기어

Claims (13)

  1.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
    제1 선기어, 제1 유성캐리어, 제1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1 유성기어세트;
    제2 선기어, 제2 유성캐리어,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후측에 대응하여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세트;
    제3 선기어, 제3 유성캐리어,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출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변속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요소;
    상기 제1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1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요소;
    상기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2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3 회전요소;
    상기 제1,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1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와, 상기 제2, 제3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상기 제2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를 직접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4 회전요소;
    상기 제2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제2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와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지는 제5 회전요소;
    상기 제5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3 유성기어세트의 2개의 회전요소 중,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출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
    상기 제5, 제6 회전요소를 구성하는 회전요소를 제외한 제3 유성기어세트의 하나의 회전요소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7 회전요소;
    상기 외접 기어 연결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3개의 트랜스퍼 기어;
    상기 회전요소들을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변속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5개의 마찰요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요소는 제1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회전요소는 제1 유성캐리어 또는 제1 유성캐리어와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회전요소는 제2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회전요소는 제1 링기어와 제2 선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회전요소는 제3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6 회전요소는 제3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7 회전요소는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트랜스퍼 기어는
    상기 입력축과 제5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제6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7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3 트랜스퍼 기어;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마찰요소는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3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클러치;
    상기 입력축과 제1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클러치;
    상기 제6 회전요소와 제2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클러치;
    상기 제2 회전요소를 형성하는 제2 링기어와 제4 회전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클러치;
    상기 제1 회전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레이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마찰요소 중 3개의 동시 체결에 의하여 구현되는 변속단은
    제1, 제2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1 변속단;
    제1,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2 변속단;
    제1, 제2,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3 변속단;
    제1,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4속 변속단;
    제1, 제2, 제3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5속 변속단;
    제2,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6속 변속단;
    제2,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7 변속단;
    제3,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8 변속단;
    제1,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후진 변속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7.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
    제1 선기어, 제1 유성캐리어, 제1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1 유성기어세트;
    제2 선기어, 제2 유성캐리어,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후측에 대응하여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세트;
    제3 선기어, 제3 유성캐리어,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면서 상기 출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
    상기 제1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변속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요소;
    상기 제1 유성캐리어 또는 상기 제1 유성캐리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링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축과 직접 연결되는 제2 회전요소;
    상기 제2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제3 회전요소;
    상기 제1 링기어 및 제1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제2 링기어와 연결되는 제4 회전요소;
    상기 제3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축과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5 회전요소;
    상기 제3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
    상기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7 회전요소;
    상기 외접 기어 연결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3개의 트랜스퍼 기어;
    상기 회전요소들을 상호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변속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5개의 마찰요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유성기어세트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트랜스퍼 기어는
    상기 입력축과 제5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제6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7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3 트랜스퍼 기어;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마찰요소는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3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클러치;
    상기 입력축과 제1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클러치;
    상기 제6 회전요소와 제2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클러치;
    상기 제2 회전요소를 형성하는 제2 링기어와 제4 회전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클러치;
    상기 제1 회전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레이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마찰요소 중 3개의 동시 체결에 의하여 구현되는 변속단은
    제1, 제2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1 변속단;
    제1,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2 변속단;
    제1, 제2,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3 변속단;
    제1,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4속 변속단;
    제1, 제2, 제3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5속 변속단;
    제2,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6속 변속단;
    제2,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7 변속단;
    제3,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8 변속단;
    제1,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후진 변속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12. 엔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
    제1 선기어, 제1 유성캐리어, 제1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1 유성기어세트;
    제2 선기어, 제2 유성캐리어, 제2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유성기어세트의 후측에 대응하여 입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세트;
    제3 선기어, 제3 유성캐리어,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는 3개의 회전요소를 보유하는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져 상기 출력축 상에 배치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
    상기 제1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변속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요소;
    상기 제1 유성캐리어 또는 상기 제1 유성캐리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링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축과 직접 연결되는 제2 회전요소;
    상기 제2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제3 회전요소;
    상기 제1 링기어 및 제1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제2 링기어와 연결되는 제4 회전요소;
    상기 제3 선기어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축과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5 회전요소;
    상기 제3 유성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축과 직접 연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6 회전요소;
    상기 제3 링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선택적으로 외접 기어 연결되는 제7 회전요소;
    상기 입력축과 제5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3 회전요소와 제6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7 회전요소 사이에 구성되는 제3 트랜스퍼 기어;
    상기 제1 회전요소와 제3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1 클러치;
    상기 입력축과 제1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구성되는 제2 클러치;
    상기 제6 회전요소와 제2 트랜스퍼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클러치;
    상기 제2 회전요소를 형성하는 제2 링기어와 제4 회전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클러치;
    상기 제1 회전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레이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마찰요소 중 3개의 동시 체결에 의하여 구현되는 변속단은
    제1, 제2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1 변속단;
    제1,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2 변속단;
    제1, 제2,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3 변속단;
    제1,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4속 변속단;
    제1, 제2, 제3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5속 변속단;
    제2, 제3, 제4 클러치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6속 변속단;
    제2,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7 변속단;
    제3, 제4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전진 제8 변속단;
    제1, 제3 클러치와 제1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하는 후진 변속단;
    을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20130158808A 2013-12-18 2013-12-18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58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808A KR101588777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JP2014164993A JP6387267B2 (ja) 2013-12-18 2014-08-13 車両用自動変速機の遊星ギヤトレイン
DE102014115380.4A DE102014115380B4 (de) 2013-12-18 2014-10-22 Planetengetriebezug eines Automatikgetriebes für ein Fahrzeug
CN201410638488.0A CN104728366B (zh) 2013-12-18 2014-11-06 用于车辆的自动变速器的行星齿轮系
US14/542,337 US9175749B2 (en) 2013-12-18 2014-11-14 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808A KR101588777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600A true KR20150071600A (ko) 2015-06-26
KR101588777B1 KR101588777B1 (ko) 2016-01-26

Family

ID=5319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808A KR101588777B1 (ko) 2013-12-18 2013-12-18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5749B2 (ko)
JP (1) JP6387267B2 (ko)
KR (1) KR101588777B1 (ko)
CN (1) CN104728366B (ko)
DE (1) DE102014115380B4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457B2 (en) 2016-02-19 2018-07-31 Hyundai Motor Company 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10047835B2 (en) 2016-02-19 2018-08-14 Hyundai Motor Company 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CN109268457A (zh) * 2017-07-18 2019-01-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自动变速器的行星齿轮系
KR20190009076A (ko) * 2017-07-18 2019-0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200022237A (ko) * 2018-08-22 2020-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1692A1 (de) * 2012-02-06 2013-08-08 Zf Friedrichshafen Ag Mehrstufengetriebe
DE102016212060B3 (de) * 2016-07-01 2017-10-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mbiniertes Mehrstufenumlaufgetriebe
KR102529384B1 (ko) * 2018-06-26 2023-05-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CN109611518B (zh) * 2019-03-06 2019-07-05 盛瑞传动股份有限公司 多级变速器
CN113119711B (zh) * 2019-12-26 2022-04-22 蜂巢传动系统(江苏)有限公司保定研发分公司 车辆的动力系统、控制方法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792A (ja) * 1994-04-08 1995-11-28 Hyundai Motor Co 車両用自動変速器のパワートレーン
KR101063500B1 (ko) * 2010-05-17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145639B1 (ko) * 2010-09-01 2012-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6055B1 (fr) * 1989-12-18 1994-04-29 Lepelletier Pierre Transmission automatique multivitesses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1241519A (ja) * 1999-12-22 2001-09-07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
KR100559335B1 (ko) * 2004-03-09 200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7속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DE102006031234B4 (de) * 2006-07-06 2011-08-25 ZF Friedrichshafen AG, 88046 Mehrstufengetriebe
DE102007014150A1 (de) 2007-03-23 2008-09-25 EGS Entwicklungsgesellschaft für Getriebesysteme mbH Lastschaltbares Mehrstufengetriebe
US8047957B2 (en) * 2007-09-21 2011-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external drive gearsets
JP2009191885A (ja) * 2008-02-13 2009-08-27 Kyowa Metal Work Co Ltd 多段変速遊星歯車列
JP2010007709A (ja) * 2008-06-25 2010-01-14 Kyowa Metal Work Co Ltd 多段変速遊星歯車列
US8100801B2 (en) * 2009-03-25 2012-0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8-speed hybrid transmission
US8083633B2 (en) * 2009-03-27 2011-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8-speed hybrid transmission
KR101776712B1 (ko) * 2011-04-26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120132022A (ko) * 2011-05-27 201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DE102012113203A1 (de) * 2012-10-26 2014-04-30 Hyundai Motor Company Planetengetriebezug eines Automatikgetriebes für Fahrzeuge
JP2014092272A (ja) 2012-11-05 2014-05-19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遊星ギヤトレ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792A (ja) * 1994-04-08 1995-11-28 Hyundai Motor Co 車両用自動変速器のパワートレーン
KR101063500B1 (ko) * 2010-05-17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1145639B1 (ko) * 2010-09-01 2012-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457B2 (en) 2016-02-19 2018-07-31 Hyundai Motor Company 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10047835B2 (en) 2016-02-19 2018-08-14 Hyundai Motor Company 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CN109268457A (zh) * 2017-07-18 2019-01-2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自动变速器的行星齿轮系
KR20190009076A (ko) * 2017-07-18 2019-0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190009051A (ko) * 2017-07-18 2019-0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CN109268457B (zh) * 2017-07-18 2022-05-0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自动变速器的行星齿轮系
KR20200022237A (ko) * 2018-08-22 2020-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7267B2 (ja) 2018-09-05
CN104728366A (zh) 2015-06-24
CN104728366B (zh) 2018-06-12
KR101588777B1 (ko) 2016-01-26
DE102014115380A1 (de) 2015-06-18
US9175749B2 (en) 2015-11-03
DE102014115380B4 (de) 2022-07-07
JP2015117824A (ja) 2015-06-25
US20150167791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7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50972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33927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68349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3863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기어트레인
KR10148419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2793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25153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32900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8419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32685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140023817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31688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51893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1642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160003494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1637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5944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60110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33927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38232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2793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8419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JP2014085014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遊星ギヤトレイン
KR20160036931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