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192A -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192A
KR20150071192A KR1020130157921A KR20130157921A KR20150071192A KR 20150071192 A KR20150071192 A KR 20150071192A KR 1020130157921 A KR1020130157921 A KR 1020130157921A KR 20130157921 A KR20130157921 A KR 20130157921A KR 20150071192 A KR20150071192 A KR 2015007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electric motor
compressor
motor room
arrang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480B1 (ko
Inventor
배종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4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로서, 압축기와 모터 그리고 펌프가 설치되는 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장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선박의 롤링에도 적절한 장비 보증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장비를 선수 및 선미 여러 곳에 나누어 배치 가능하다.

Description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COMPRESSUR ROOM AND MOTOR ROOM FOR LNG MANAGEMENT PLANT}
본 발명은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모터 룸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의 배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더 많은 장비를 선수 및 선미 여러 곳에 나누어 배치할 수 있고, 많은 장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시설이 개발되어 있다.
해저에 매장된 천연가스와 석유가스를 생산하고 운반하는 데에는 해상 시추 생산시설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LNGC),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FPSO) 및 액화 천연가스-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설비(LNG-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FSRU) 등이 이용된다.
LNGC나 FSRU를 포함한 이러한 LNG 운용 선박의 경우에는 많은 수의 압축기와 진공 펌프 그리고 이를 위한 모터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한다.
도 1은 종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선체의 센터 라인(L)을 기준으로 선체 외판(side shell) 측으로 컴프레서 룸(10)과 전기 모터 룸(20)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박스형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컴프레서 룸(10) 안에는 컴프레서(LD COMP, HD COMP, REGAS COMP)(11) 진공 펌프(VACUUM PUMP)(12)가 선체의 폭 방향(양현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다. 상기 전기 모터 룸(20) 안에는 상기 컴프레서(11) 및 펌프(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21)가 선체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된다.
상기 컴프레서 룸(10)과 상기 전기 모터 룸(20)은 구획 벽체(3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 구동시, 스파크가 발생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상기 구획 벽체(30)는 위험지역(Hazard Zone)인 컴프레서 룸(10)과 안전지역(Safety Zone)인 전기 모터 룸(20)을 서로 차단하여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컴프레서(11), 펌프(12) 및 전기 모터(21)가 선박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길게 배치되는 구조로서, 설치해야 할 장비, 즉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 등의 갯수가 늘어나고 용량 및 사이즈가 점차 커짐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 등의 장비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컴프레서(11), 진공 펌프(12) 및 전기 모터(21)를 선박의 폭 방향으로만 배치하는데, 선체의 구조상 선체의 폭 방향의 설치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의 갯수가 늘어나고 용량 및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장비 설치에 많은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되어 선체 설계에 많은 제약을 갖게 된다.
또한, 컴프레서 룸(10) 내부에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 설치 시, 방폭 구조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장비 구매 금액이 증가하며, 대형의 전기 모터의 경우 기술적으로 방폭 타입이 없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구조는 장비 설치 수량 및 사이즈에 제약이 따르고, 방폭 타입 적용 시 경제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의 배치구조를 최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더 많은 장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더 많은 장비를 선수 및 선미 여러 곳에 나누어 배치가 가능하며, 장비 설치에 많은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아 선체 설계에 제약을 갖지는 않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액화 천연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컴프레서 룸과,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가 설치되는 전기 모터 룸으로 구획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룸을 기준으로 상기 컴프레서 룸의 양쪽에 각각 상기 전기 모터 룸이 분리 배치된다.
상기 전기 모터 룸은 선수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기 모터 룸과, 선미 측으로 배치되는 제2 전기 모터 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은 서로 대향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은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을 직접 연결하는 연결 룸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 룸은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서 룸 및 상기 전기 모터 룸은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선체의 선수 측에 2개가 설치되고, 선미 측에 4개가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은 선체의 외부 통로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와 모터 그리고 펌프가 설치되는 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장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선박의 롤링에도 적절한 장비 보증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장비를 선수 및 선미 여러 곳에 나누어 배치 가능하므로 선체 설계에 제약을 갖지는 않는다.
도 1은 종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LNG 액체를 저장하였다가 재기화해 파이프를 통해 수송하는 해상 시추 생산시설,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LNGC), 액화 천연가스-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설비(LNG-FSRU) 등을 포함하는 모든 LNG 운용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컴프레서(11)와 진공 펌프(12)가 설치되는 컴프레서 룸(100)과, 상기 컴프레서(11)와 상기 펌프(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21)가 설치되는 전기 모터 룸(200:210,220,230)으로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 룸(100)과 상기 전기 모터 룸(210)은 구획 벽체(W)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는 구동시 스파크가 발생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상기 구획 벽체(W)는 위험지역(Hazard Zone)인 컴프레서 룸(100)과 안전지역(Safety Zone)인 전기 모터 룸(200)을 서로 차단하여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컴프레서 룸(100)을 기준으로 상기 컴프레서 룸(100)의 양쪽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기 모터 룸(210)(220)이 분리 배치된다. 즉, 제1 전기 모터 룸(210)은 선수 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전기 모터 룸(220)은 선미 측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2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220)은 서로 대향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2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220)은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2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220)을 직접 연결하는 연결 룸(230)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210),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220), 그리고 연결 룸(230)을 연결한 형상은 "ㄷ"형상 또는 "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프레서 룸(100) 및 상기 전기 모터 룸(200)은 센터 라인(L)을 기준으로 선체의 선수 측에 2개가 설치되고, 선미 측에 4개가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컴프레서 룸(100) 및 상기 전기 모터 룸(200)의 갯수는 선체의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컴프레서(11)와 진공 펌프(12)가 설치되는 컴프레서 룸(300)과, 상기 컴프레서(11)와 상기 펌프(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21)가 설치되는 전기 모터 룸(400:410,420,430)으로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 룸(300)과 상기 전기 모터 룸(400)은 구획 벽체(W)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 구동시 스파크가 발생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상기 구획 벽체(W)는 위험지역(Hazard Zone)인 컴프레서 룸(300)과 안전지역(Safety Zone)인 전기 모터 룸(400)을 서로 차단하여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컴프레서 룸(300)을 기준으로 상기 컴프레서 룸(300)의 양쪽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기 모터 룸(410)(420)이 분리 배치된다. 즉, 선수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기 모터 룸(410)과, 선미 측으로 배치되는 제2 전기 모터 룸(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410)은 상대적으로 제2 전기 모터 룸(420) 보다 크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4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420)은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4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420)을 직접 연결하는 연결 룸(430)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와 다른 점은 설치할 장비의 갯수가 적고 사이즈가 작을 경우, 제2 전기 모터 룸(420)의 크기를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410)보다 좀더 작게 하고 컴프레서 룸(300)을 그만큼 크게 하여 컴프레서 룸(300) 공간을 좀더 크게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과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는 액화 천연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11)와 펌핑하는 펌프(12)가 설치되는 컴프레서 룸(500)과, 상기 컴프레서(11)와 상기 펌프(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21)가 설치되는 전기 모터 룸(600:610,620,630)으로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 룸(500)과 상기 전기 모터 룸(610)은 구획 벽체(W)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컴프레서(11) 및 진공 펌프(12) 구동시 스파크가 발생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상기 구획 벽체(W)는 위험지역(Hazard Zone)인 컴프레서 룸(100)과 안전지역(Safety Zone)인 전기 모터 룸(600)을 서로 차단하여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컴프레서 룸(500)을 기준으로 상기 컴프레서 룸(500)의 양쪽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기 모터 룸(610)(620)이 분리 배치된다. 즉, 제1 전기 모터 룸(610)은 선수 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전기 모터 룸(620)은 선미 측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6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620)은 서로 대향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6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620)은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610)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620)은 선체의 외부 통로(630)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부 통로(630)는 기존 선체에 설치된 통로를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통상 각 설치 장비는 선체의 롤링을 감안하여 설치장비의 회전체를 선체 길이방향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와 모터 그리고 펌프가 설치되는 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장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선박의 롤링에도 적절한 장비 보증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장비를 선수 및 선미 여러 곳에 나누어 배치 가능하므로 선체 설계에 제약을 갖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 컴프레서
12: 펌프
21: 전기 모터
100: 컴프레서 룸
200: 전기 모터 룸
210: 제1 전기 모터 룸
220: 제2 전기 모터 룸
230: 연결 룸
300: 컴프레서 룸
410: 제1 전기 모터 룸
420: 제2 전기 모터 룸
430: 연결 룸
500: 컴프레서 룸
610: 제1 전기 모터 룸
620: 제2 전기 모터 룸
630: 외부 통로
L: 선체 센터 라인
W: 구획 벽체

Claims (8)

  1. 액화 천연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되는 컴프레서 룸과,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가 설치되는 전기 모터 룸으로 구획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룸을 기준으로 상기 컴프레서 룸의 양쪽에 상기 전기 모터 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룸은 선수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기 모터 룸과, 선미 측으로 배치되는 제2 전기 모터 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은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을 직접 연결하는 연결 룸으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룸은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룸 및 상기 전기 모터 룸은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선체의 선수 측에 2개가 설치되고, 선미 측에 4개가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모터 룸과 상기 제2 전기 모터 룸은 선체의 외부 통로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8. 컴프레서와 진공 펌프가 설치되는 컴프레서 룸과, 상기 컴프레서와 상기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가 설치되는 전기 모터 룸으로 구획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룸을 기준으로 상기 컴프레서 룸의 양쪽에 각각 상기 전기 모터 룸이 분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KR1020130157921A 2013-12-18 2013-12-18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KR10216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921A KR102160480B1 (ko) 2013-12-18 2013-12-18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921A KR102160480B1 (ko) 2013-12-18 2013-12-18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192A true KR20150071192A (ko) 2015-06-26
KR102160480B1 KR102160480B1 (ko) 2020-09-28

Family

ID=5351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921A KR102160480B1 (ko) 2013-12-18 2013-12-18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532A (ko) * 2020-07-03 2022-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705A (ko) * 2010-02-09 2011-10-0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화 가스 운반선에 탑재되는 재액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705A (ko) * 2010-02-09 2011-10-0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액화 가스 운반선에 탑재되는 재액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532A (ko) * 2020-07-03 2022-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04534A (ko) * 2020-07-03 2022-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480B1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0953B2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JP5276611B2 (ja) 液化ガス運搬船に搭載される再液化装置
KR200437039Y1 (ko) 안전 지대에 주 발전기를 구비한 부유식 생산 저장 선박
KR20090091967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lng 저장탱크
KR20150102276A (ko) 해양 자원을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JP6298894B2 (ja) 流体貯蔵タンク
KR20170036178A (ko)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KR101707512B1 (ko) 이중연료로 추진되는 시추선
KR20160061096A (ko) 액체저장탱크
KR101681729B1 (ko) 컨테이너선
KR200482288Y1 (ko) 압력용기의 하역용 섬프탱크와 서포트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50071192A (ko) Lng 운용 선박의 컴프레서 룸 및 전기 모터 룸 배치구조
KR20190112156A (ko) 선박
KR20120001496A (ko)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90100752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lng 저장탱크
JP2017154702A (ja) 生産設備を備える浮体構造物
KR102017343B1 (ko) 다수의 액화천연가스 탱크를 가진 선박의 액화천연가스 이송 방법
KR20110073019A (ko) 선박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372752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선외 전기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20031045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141687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2477635B1 (ko) 부유식 생산설비
KR10168304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육상 및 해상용 액체화물 운반장비
KR101814447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슬로싱 저감장치 및 그를 이용한 슬로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