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912A -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912A
KR20150070912A KR1020130157669A KR20130157669A KR20150070912A KR 20150070912 A KR20150070912 A KR 20150070912A KR 1020130157669 A KR1020130157669 A KR 1020130157669A KR 20130157669 A KR20130157669 A KR 20130157669A KR 20150070912 A KR20150070912 A KR 2015007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gine mount
lower frame
fixed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737B1 (ko
Inventor
임현웅
Original Assignee
아이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아(주) filed Critical 아이아(주)
Priority to KR102013015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7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서 하부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마주하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진동부에 고정되며 이격된 2개의 엔진마운트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내측에 설치되는 장착지그부 및 장착지그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엔진마운트를 연결하며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VIBRATION TESTER FOR ENGINE MOUNT}
본 발명은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진동시험장치에서 복수의 엔진마운트를 동시에 내구시험을 할 수 있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구조적으로 항상 진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 중 지면의 요철에 따라서도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은 단독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엔진은 차체에 분리되어 설치된 것이 아니라 변속 장치 및 공조 장치 등과도 연결되므로,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차량의 전체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엔진은 엔진마운트를 통해 차체의 사이드멤버 또는 엔진룸 하부에 장착되는 서브프레임에 장착된다.
엔진마운트는,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한 러버(rubber)식과 봉입된 액체의 유동에 따라 진동을 감쇠시키는 액체봉입식이 주로 사용된다.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는 하이드로 엔진마운트라고도 불리며 높은 주파수 영역 및 낮은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동시에 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여러 차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8156호(1998. 09. 15. 공개, 고안의 명칭 :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단일 진동시험장치에서 복수의 엔진마운트를 동시에 내구시험을 할 수 없으므로 내구시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진동시험장치에서 복수의 엔진마운트를 동시에 내구시험을 할 수 있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와,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서 하부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마주하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진동부에 고정되며 이격된 2개의 엔진마운트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내측에 설치되는 장착지그부 및 장착지그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엔진마운트를 연결하며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에 본체가 고정되며, 돌출길이가 가변되는 로드가 상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과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며, 진동부와 높이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는, 진동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프레임을 관통하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바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는, 상부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고정베이스와, 고정베이스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 및 압력센서부와 연결프레임을 연결시키는 고정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부는,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진동실린더 및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며, 진동실린더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되는 진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지그부는, 엔진마운트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엔진마운트의 장착브라켓이 고정되는 장착베이스부 및 장착베이스부를 연결하며 고정부에 장착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엔진마운트를 고정베이스로 가압하는 고정력의 크기가 변경되며, 고정력의 방향과 진동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력의 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엔진마운트의 장착로드가 삽입되며, 엔진마운트는 연결프레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프레임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는, 2개의 엔진마운트가 장착지그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엔진마운트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프레임에 의해 엔진마운트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진동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엔진마운트로 전달되어 복수의 엔진마운트를 동시에 내구시험을 할 수 있으므로 진동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동작되어 고정부가 연결프레임의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와 연결프레임이 고정부와 진동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와 연결프레임에 2개의 엔진마운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와 연결프레임에 엔진마운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동작되어 고정부가 연결프레임의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와 연결프레임이 고정부와 진동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와 연결프레임에 2개의 엔진마운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와 연결프레임에 엔진마운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1)는, 하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20)와, 하부프레임(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가이드부(20)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부프레임(30)과, 상부프레임(30)에서 하부프레임(10)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40)와, 고정부(40)와 마주하는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50)와, 고정부(40)에 고정되며 이격된 2개의 엔진마운트(100)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내측에 설치되는 장착지그부(60) 및 엔진마운트(100)를 연결하며 진동부(50)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70)을 포함한다.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0)의 내측에는 제어부(도시생략)를 포함한 각종 전장장치들이 설치된다.
가이드부(20)는 하부프레임(1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프레임(30)과 고정부(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는, 진동부(50)의 양측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프레임(30)을 관통하는 가이드바(22)와, 가이드바(22)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24)를 포함한다.
가이드바(22)는 진동부(50)의 양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바(22)의 하측은 하부프레임(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가이드바(22)의 상측은 상부프레임(30)을 관통하여 상부프레임(3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2개의 가이드바(22)는 수직방향을 향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므로, 가이드바(22)를 따라 이동되는 상부프레임(3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바(22)의 상측은 지지부재(24)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가이드바(22)의 구조강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지지부재(24)는 가이드바(22)의 상측을 연결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바(22)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부프레임(30)은 하부프레임(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프레임(30)의 하측에는 고정부(40)가 설치된다. 상부프레임(30)도 지지부재(24)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프레임(30)의 양측에는 가이드바(22)가 이동되는 통공이 구비된다.
고정부(40)는 상부프레임(30)에서 하부프레임(10)을 향하여 연장되며, 엔진마운트(100)를 고정시키는 장착지그부(60)나 연결프레임(7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는, 상부프레임(30)의 하측에 연결되는 고정베이스(42)와, 고정베이스(42)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44)와, 압력센서부(44)와 연결프레임(70)을 연결시키는 고정장착부(46)를 포함한다.
진동부(50)와 마주하는 상부프레임(30)의 하측에는 고정베이스(42)가 고정되며, 고정베이스(42)의 하측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44)가 설치된다. 압력센서부(44)의 하측에는 고정장착부(46)가 설치되며, 고정장착부(46)의 하측에 구비된 장착볼트(48)는 연결프레임(7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너트(49)에 체결된다.
연결프레임(70)은 고정장착부(46)에 고정되며, 고정장착부(46)로 전달된 압력은 압력센서부(44)에서 측정되어 제어부로 전달된다.
진동부(50)는 고정부(40)와 마주하는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장착지그부(60)의 내측에 설치된 엔진마운트(100)로 진동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진동발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50)는, 하부프레임(10)의 내측에 고정되는 진동실린더(52)와, 하부프레임(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결프레임(70)에 고정되며 진동실린더(52)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되는 진동로드(54)를 포함한다.
진동실린더(52)의 몸체는 하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진동실린더(52)의 상측은 하부프레임(10)의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하부프레임(10)의 상측을 향하여 설치된다.
진동실린더(52)의 상측으로 돌출된 진동로드(54)의 상측에는 장착판(56)이 구비된다. 진동로드(54)가 직접 연결프레임(70)이나 장착지그부(6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진동로드(54)에 구비된 장착판(56)이 연결프레임(70)이나 장착지그부(60)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지그부(60)는 고정부(40) 또는 진동부(50)에 고정되며, 이격된 2개의 엔진마운트(100)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내측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60)는, 엔진마운트(100)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엔진마운트(100)의 장착브라켓(104)이 고정되는 장착베이스부(62)와, 장착베이스부(62)를 연결하며 고정부(40)에 장착되는 측면부재(6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지그부(60)는 진동부(50)의 장착판(56)에 고정되며, 진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베이스부(62)는 장착지그부(6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며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장착베이스부(62)에서 장착지그부(6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받침부재(63)에 엔진마운트(100)의 장착브라켓(104)이 고정된다. 장착지그부(60)의 내측을 향하는 장착베이스부(62)의 측면에는 엔진마운트(100)가 고정된다.
측면부재(64)는 이격 설치된 장착베이스부(62)를 연결하며 진동부(50)의 장착판(56)에 결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재(64)는 장착베이스부(62)의 하부와 측면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판(56)에 볼트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복수로 구비된다.
장착지그부(60)의 양측에 설치된 장착베이스부(62)에 엔진마운트(100)가 각각 설치되며, 엔진마운트(100)가 서로 마주하는 장착지그부(60)의 내측공간에는 연결프레임(70)이 설치된다.
연결프레임(70)은, 장착지그부(60)의 내측에 설치되어 엔진마운트(100)를 연결하는 동시에 고정부(4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70)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프레임(70)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재(7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프레임(70)의 좌우 양측 측벽을 형성하는 제2연결부재(7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연결부재(72)에 고정부(40)의 장착볼트(48)가 삽입된 후 장착너트(49)에 고정되므로 제1연결부재(72)는 고정부(40)에 고정된다. 또한 연결프레임(70)의 양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74)를 관통하여 엔진마운트(100)의 장착로드(106)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70)의 양측으로 엔진마운트(100)의 장착로드(106)가 삽입되며, 엔진마운트(100)는 연결프레임(70)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연결프레임(70)의 길이에 따라 엔진마운트(100)를 고정베이스(42)로 가압하는 고정력의 크기가 변경되며, 고정력의 방향과 진동부(50)에 의해 발생된 진동력의 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교차한다. 제1연결부재(72)의 길이에 따라 제2연결부재(74)가 엔진마운트(100)를 가압하는 힘이 변경되므로, 엔진마운트(100)에 가해지는 고정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1연결부재(72)의 길이를 결정한다.
엔진마운트(100)가 실제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제1연결부가 엔진마운트(10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엔진의 하중이 전달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1연결부재(72)의 길이를 결정한다.
높이조절부(80)는 하부프레임(10)에 본체가 고정되며, 돌출길이가 가변되는 로드(84)가 상부프레임(30)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30)과 고정부(4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80)는 하부프레임(10)에 고정되는 높이조절실린더(82)와, 높이조절실린더(8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프레임(30)에 고정되는 로드(84)를 포함한다. 높이조절실린더(82)의 동작으로 로드(84)가 상하 이동하면서 상부프레임(30)과 고정부(4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된다.
조작부(90)는 하부프레임(10)의 전방에 복수의 조작버튼(92)을 구비하며, 진동부(50)와 높이조절부(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장착지그부(60)에 설치되어 내구력을 시험받는 엔진마운트(100)는, 진동저감을 위한 완충부가 내장된 몸체부(102)와, 몸체부(102)에서 연장되어 차체나 장착지그부(60)에 고정되는 장착브라켓(104)과, 몸체부(102)에서 연장되어 연결프레임(70)의 제2연결부재(74)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장착로드(106)를 포함한다. 이러한 엔진마운트(100)의 상세구성과 동작상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장착지그부(60)에 설치된 2개의 엔진마운트(100)를 설정된 고정력으로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연결프레임(70)의 길이와 관련된 제1연결부재(72)의 길이가 설정된다.
장착지그부(60)의 내측에 엔진마운트(100)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엔진마운트(100)의 사이에 연결프레임(70)을 설치하여 장착로드(106)가 연장된 방향(도 3 기준 수평방향)인 Z방향을 따라 엔진마운트(100)를 가압한다. 엔진마운트(100)는 실차에 설치된 환경과 같은 조건인 Z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도 3기준)인 X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지그부(60)에 2개의 엔진마운트(100)가 설치되며, 엔진마운트(100)의 사이에 연결프레임(70)이 설치된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의 장착볼트(48)가 연결프레임(70)의 제1연결부재(72)를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너트(49)에 체결되어 고정부(40)와 연결프레임(70)이 고정된다. 장착지그부(60)의 장착베이스부(62)는 진동부(50)의 진동로드(54)에 구비된 장착판(56)에 체결되므로, 진동실린더(52)의 동작으로 진동로드(54)가 상하 이동하면 장착지그부(60)도 상하 이동된다.
고정부(40)와 연결프레임(70)은 고정된 상태에서 진동로드(54)와 장착지그부(60)와 엔진마운트(100)의 몸체부(102)는 상하 이동되므로, 2축방향인 X방향(도 3 기준 상하방향)으로 엔진마운트(100)로 진동이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엔진마운트(100)가 장착지그부(60)의 내측에 고정되고, 엔진마운트(100)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프레임(70)에 의해 엔진마운트(100)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진동부(5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엔진마운트(100)로 전달되어 복수의 엔진마운트(100)를 동시에 내구시험을 할 수 있으므로 진동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10: 하부프레임 20: 가이드부
22: 가이드바 24: 지지부재
30: 상부프레임 40: 고정부
42: 고정베이스 44: 압력센서부
46: 고정장착부 48 장착볼트
49: 장착너트 50: 진동부
52: 진동실린더 54: 진동로드
56: 장착판 60: 장착지그부
62: 장착베이스부 63: 돌출받침부재
64: 측면부재 70: 연결프레임
72: 제1연결부재 74: 제2연결부재
80: 높이조절부 82: 높이조절실린더
84: 로드 90: 조작부
92: 조작버튼 100: 엔진마운트
102: 몸체부 104: 장착브라켓
106: 장착로드

Claims (10)

  1.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에 고정되며 이격된 2개의 엔진마운트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내측에 설치되는 장착지그부; 및
    상기 장착지그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마운트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본체가 고정되며, 돌출길이가 가변되는 로드가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진동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상측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 및
    상기 압력센서부와 상기 연결프레임을 연결시키는 고정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진동실린더;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진동실린더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되는 진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지그부는, 상기 엔진마운트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엔진마운트의 장착브라켓이 고정되는 장착베이스부; 및
    상기 장착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엔진마운트를 상기 고정베이스로 가압하는 고정력의 크기가 변경되며, 고정력의 방향과 상기 진동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력의 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상기 엔진마운트의 장착로드가 삽입되며, 상기 엔진마운트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KR1020130157669A 2013-12-17 2013-12-17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KR10154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69A KR101547737B1 (ko) 2013-12-17 2013-12-17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69A KR101547737B1 (ko) 2013-12-17 2013-12-17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912A true KR20150070912A (ko) 2015-06-25
KR101547737B1 KR101547737B1 (ko) 2015-08-26

Family

ID=5351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669A KR101547737B1 (ko) 2013-12-17 2013-12-17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8603A (zh) * 2018-09-29 2019-01-18 西安力创材料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发动机悬置动静刚度自动测试装置
KR20200122708A (ko) * 2019-04-18 2020-10-28 한국자동차연구원 자기유변형탄성체 시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1268A (ja) * 2006-03-30 2007-10-18 Tokai Rubber Ind Ltd 動特性測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8603A (zh) * 2018-09-29 2019-01-18 西安力创材料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发动机悬置动静刚度自动测试装置
KR20200122708A (ko) * 2019-04-18 2020-10-28 한국자동차연구원 자기유변형탄성체 시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737B1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1886B (zh) 一种悬置软垫的静、动刚度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10794284A (zh) 电路板抗震性能测试装置
CN103967985B (zh) 可调式减振器、减振器设计系统及方法
CN104713721A (zh) 隔振器系统动态性能测试试验平台及其测试方法
JP5623304B2 (ja) 振動試験装置
KR101547737B1 (ko) 엔진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CN103398859A (zh) 一种力—位移混合控制摩托车车架疲劳试验方法
KR102400935B1 (ko) 자기유변형탄성체 시험 장치 및 방법
CN107036805A (zh) 弹簧耐久疲劳测试设备
CN106525372A (zh) 一种谐振式高加速度振动发生装置
CN204535972U (zh) 隔振器系统动态性能测试试验平台
US11280697B2 (en) Dynamic characteristic measurement device
CN207366219U (zh) 一种动力总成悬置测试装置
KR100726559B1 (ko) 관성하중 시험용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고정장치
KR101295171B1 (ko) 충격 시험기
RU183940U1 (ru) Вибростенд для изучения методов защиты от вибраций
KR101571611B1 (ko) 트랜스미션 마운트용 진동시험장치
CN206847926U (zh) 弹簧耐久疲劳测试设备
KR20150144578A (ko) 인터쿨러 파이프 시험장치
CN209841388U (zh) 一种轴承试验台
KR20090126442A (ko) 동흡진기형 능동 방진장치의 시험장치
CN207756454U (zh) 一种可调频幅振动试验台
RU2441213C1 (ru) Вибростенд
CN112014045A (zh) 用于机电设备生产的振动检验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447247A (zh) 一种减振器参数测试装置、减振器参数获取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