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809A -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 Google Patents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809A
KR20150070809A KR1020130157436A KR20130157436A KR20150070809A KR 20150070809 A KR20150070809 A KR 20150070809A KR 1020130157436 A KR1020130157436 A KR 1020130157436A KR 20130157436 A KR20130157436 A KR 20130157436A KR 20150070809 A KR20150070809 A KR 2015007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hape
bolt
male screw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1522B1 (en
Inventor
조인제
조은지
Original Assignee
조인제
조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제, 조은지 filed Critical 조인제
Priority to KR102013015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522B1/en
Publication of KR2015007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a concrete roadb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ld for a concrete roadbed including at least a pair of vertical plate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a roadbed where the concrete roadbed is constructed and having a fram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 a first fixing member including a pressing unit pressing the frame on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plate to a roadbed, a pressing body unit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from the pressing unit, and an anchor coupler formed on the end of the pressing body; and an anchor member fixed to the coupler while being received in an anchor receiving hole formed on a position of the road bed corresponding to the anchor coupler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anchor member includes a wedge member including an inclined plane formed into one among a conical, pyramid, and a circular truncated cone shape, including a bolt coupler penetrating through along a central axis and having a female screw, and received inside the anchor receiving hole; a bar-shaped anchor bolt having a first male screw unit on one end and a second male screw unit on the other end, wherein the second male screw unit is screw-coupled to the bolt coupler; a fitting member forcibly fit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nchor receiving hole and the inclined plane of the wedge member; and a nut screw-coupled to the first male screw unit of the anchor bol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chor coupler.

Description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철도 레일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단축과 시공비용을 절감하면서 체결부재의 재활용이 가능한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a railway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pouring mold capable of shortening the air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recycling the fastening member.

일반적으로 궤도는 레일, 레일체결장치, 침목, 도상으로 구성되며 부대적인 것으로 게이지타이, 이음매판, 타이 패드, 타이플레이트, 침목계재, 자갈막이, 복진 방지장치 등이 있다.In general, the track is composed of rails, rail fasteners, sleepers, and roads. In addition, gauge ties, seam plates, tie pads, tie plates, sleepers, gravel bars,

레일은 궤도 내에서 가장 직접적인 동적 하중을 받는 구성요소이고,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을 침목 등의 지지체에 체결하는 장치이다. The rail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the most direct dynamic load in the track, and the rail fastening device is a device for fastening the rail to a support such as a sleeper.

도상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밸러스트(ballast) 도상, 자갈 도상, 쇄석 도상, 콘크리트 도상 등으로 구분되는데 도상 콘크리트의 경우 고액의 건설비가 들기 때문에 장대터널, 지하철, 건널목, 세정선, 검사갱 등 특별한 장소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t is classified into ballast road, gravel road, crushed stone road and concrete road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Because concrete is expensive, it is expensive to construct a special place such as a tunnel, subway, crossing line, And the like.

콘크리트 도상은 통상적으로 거푸집 시공시 종선형 유지를 위해 거푸집의 후면에 파이프를 후크에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고, 횡선형 유지를 위해 각재 버팀목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부자재의 사용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시공현장이 복잡해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함은 물론 공기가 늘어나고 인건비와 자재비 등이 많이 소요되며 폐자재의 발생이 증가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과 거푸집을 연결 고정하는 플랫타이(flat-tie)를 사용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누설과 크랙이 형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Concrete pavements are usually fixed by connecting pipes to the hooks on the back of the formwork to maintain the longitudinal shape when the pavement is constructed and to use horizontal support to maintain the pavement. However, as the use of supplementary materials increased, the construction site became complicated, thus increas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creasing the air quantity, increasing labor costs and material costs, and increasing the incidence of waste material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leaks and cracks can be formed by using a flat tie which connects and fixes the form and the formwork.

본 발명은 파이프, 후크, 버팀목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노반 양측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pouring concrete mold tha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roadbed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without using pipes, hooks, and struts.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에 제공되는 프레임의 고정과 관련된 부재와 관련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의 폐자재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pouring mold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ste materials after concrete pouring and recycling, in connection with a member related to fixing of a frame provided on a pouring mold.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은 콘크리트 도상이 시공될 노반 상에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구비된 하단의 프레임을 상기 노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가압 몸체부와, 상기 가압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앵커 체결구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앵커 체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노반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앵커 수용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앵커 체결구에 체결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는, 증심축을 따라 관통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 체결구가 형성되는 원뿔형, 각뿔형, 원뿔대형 또는 뿔대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 수용홀에 수용되는 쐐기 부재;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제1 수나사부와 타측 단부에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나사부는 상기 볼트 체결구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앵커 볼트; 상기 앵커 수용홀의 내주면과 상기 쐐기 부재의 빗면 사이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지는 끼움 부재; 및 상기 앵커 체결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앵커 볼트의 제1 수나사부와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The concrete pouring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pair of vertical plates provided on a bed of a concrete on which a concrete pavement is to be installed in parallel and having a frame projecting outward at an edge thereof; And an anchor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portion so as to extend from the press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A first fixing member; And an anchor member coupled to the anchor fastene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an anchor receiv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a road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chor fastener, wherein the anchor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anchor fastener A wedge member including an oblique surface formed in any one of a conical shape, a pyramid shape, a conical shape, and a horn shape in which a bolt fastener having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 anchor bolt formed in a bar shape and having a first male screw portion at one end and a second male screw portion at the other end,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being fastened to the bolt fastener in a screw fastening manner; A fitting member which is fit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receiving hole and the beveled surface of the wedge member; And a nut fastened to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of the anchor bolt exposed through the anchor fastener by a screw fastening method.

또한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시공 후 재활용을 위한 회수가 가능할 수 있다.Further, the anchor bolt can be recovered for recycling aft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road.

또한 상기 끼움부재는 중심축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원뿔형, 각뿔형, 원뿔대형 및 각뿔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him member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penetrating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the outer shape of the shim member may be a conical shape, a pyramidal shape, a conical shape, or a pyramidal shape.

또한 상기 끼움부재는 상부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옆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him member may be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having a s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앵커 볼트의 제1 수나사부 단부에는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cross groove or a slot may be formed in the end of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of the anchor bolt.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arranged continuously.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양 측면의 프레임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인접하는 측면의 양 프레임들의 전면에 접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직각으로 연장되어 각 프레임의 내측면을 감싸는 제2면 및 제3면을 구비하는 클립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면 및 제3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frame on both side surfaces, and has a first surface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both frames on the adjacent side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at right angles to face each other And a clip member having a second surface and a third surface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each frame, and a clip memb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the clip member being cut from the lower end to form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have.

또한 상기 클립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상기 노반상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가압 몸체부와, 상기 가압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앵커 체결구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lip body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clip body; a pressurized body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lip body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an anchor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urized body portion And a second fixing member including the first fixing member.

또한 양 단부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몸체부에 고정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turnbuckle having both end portions fixed to the vertical plate and the pressing body portion.

또한 상기 턴버클은 일 단부가 상호 인접하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들을 결합시키는 상기 클립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Further, the turnbuckle may be fixed to the clip member which connects the vertical plates, one end of which is adjacent to the other.

또한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발포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may be formed of a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 및 앵커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파이프, 후크 버팀목 등 기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거푸집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ixing member and the anchor member, it is possible to fix the formwork without using other members such as pipes and hooks,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거가 가능한 앵커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폐자재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ste materials even after concrete is laid by fixing the form using an anchor member which can be remov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체결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앵커부재의 체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도 7의 앵커부재의 설치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콘크리트 타설 후 앵커부재의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cret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for placing a concret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ch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fastening methods of the anchor members of Fig. 7;
Figs. 12 to 17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n installation process of the anchor member of Fig. 7. Fig.
18 and 1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moval process of the anchor member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콘크리트 도상의 개략적인 모습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A schematic view of a concrete concrete construction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cret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철도 레일을 부설하기 위하여 터퍼기를 한 후 토노반을 다진다. 이후 토노반 상에 도상 강화층(9)(HBL, HSB, Hydrauic sub-bed layer)을 시공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상 방지층(FPL, Frost protection layer) 먼저 시공한 후 동상 방지층 상에 도상 강화층(9)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토노반, 동상방지층 및 도상 강화층 등을 통칭하여 노반이라 한다.Tupo to lay railway rail and tune tonoban. After that, a bed strengthening layer 9 (HBL, HSB, Hydrauic sub-bed layer) is applied to the tonnage phase. In some cases, a frost protection layer (FPL) (9).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onn van, the frostbite layer, and the on-road reinforcing layer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oadbed.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1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후 거푸집(10)과 도상 강화층(9)으로 형성되는 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궤도 콘크리트층(C)(TCL, Track concrete layer)을 시공한다. 철도의 궤도 관련한 시설들은 궤도 콘크리트층(C) 상에 시공된다.
Thereafter, the concrete mold 10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is laid in a space formed by the form 10 and the reinforcing layer 9 to form a track concrete layer (TCL) . The orbital related facilities of the railway are installed on the orbital concrete layer (C).

도 2를 참조하여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상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oncrete pouring mol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for placing a concrete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거푸집은 수직 플레이트(10), 고정부재(20a, 20b) 및 턴버클(30)을 포함한다.The die includes a vertical plate 10, fixing members 20a and 20b, and a turnbuckle 30.

수직 플레이트(10)는 도상 강화층(9) 상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도상 강화층(9)의 양 측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와 도상 강화층(9) 등의 노반은 콘크리트를 타설 가능하도록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한다.The vertical plate 10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9 and is provided continuously i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9. The roadbed of the pair of vertical plates 10 and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9 forms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so that concrete can be put thereon.

고정부재(20a, 20b)들은 수직 플레이트(10)를 고정 및 지지하는 구성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수직 플레이트(10) 간을 이격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fixing members 20a and 20b are configured to fix and support the vertical plate 10 and, in some cases, function to couple the vertical plates 10 continuously provided so as not to be separated.

턴버클(30)은 수직 플레이트(10)와 고정부재(20a, 20b)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수직 플레이트(10)와 고정부재(20a, 20b)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turnbuckle 30 is fixed to the vertical plate 10 and the fixing members 20a and 20b so as to support the vertical plate 10 while maintaining an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plate 10 and the fixing members 20a and 20b do.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을 참조하여 수직 플레이트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vertical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수직 플레이트(1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 플레이트(1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과 같은 발포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s a whole. The vertical plate 10 may be formed of a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expanded polypropylene (EPP).

수직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된 형상의 프레임(13a, 13b)이 형성된다. 또한 측면 프레임(13b)의 내측에는 돌출부(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는 단부측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otruded frames 13a and 13b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vertical plate 10. [ A protruding portion 11 is formed inside the side frame 13b.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arger diameter on the end sid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 씩 구비된다. 돌출부(11)는 인접하는 수직 플레이트(10)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s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The projecting portion 11 is a component for joining adjacent vertical plates 10.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고정부재 및 턴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체결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The fixing member and the tu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6 is a cross- It is a perspective view.

고정부재(20a, 20b)는 수직 프레임측의 형상에 따라 제1 고정부재(20b)와 제2 고정부재(20a)로 구분된다.The fixing members 20a and 20b are divided into a first fixing member 20b and a second fixing member 20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frame side.

먼저 제2 고정부재(2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27), 가압 몸체부(21) 및 지지부(25)를 포함한다. 클립부(27)는 제1면(271)이 가압 몸체부(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면(271)의 양측으로부터 가압 몸체부(21)의 타측 수평 방향으로 제2면 및 제3면(273)이 각각 연장된다. 제2면 및 제3면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절개된 형상의 수용부(275)가 형성된다. 수용부(275)는 앞서 설명한 돌출부(11, 도 3 참조)를 아래로부터 수용하는 구성부이다.First, the second fixing member 20a includes a clip portion 27, a pressing body portion 21 and a supporting portion 25 as shown in Fig. The clip portion 27 has a first surface 27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pressing body 21 and a second surface 271 in the other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ressing body 21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rface 271. [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273 extend respectively. A receiving portion 275 having an upwardly incised shape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The receiving portion 275 is a component portion that receives the projecting portion 11 (see Fig. 3) described above from below.

가압 몸체부(21)의 타측에는 지지부(25)가 형성된다. 지지부(25)는 가압 몸체부(21)의 양측에서 각각 상향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251)와 수직 연장부(251) 사이를 잇는 지지암(253)을 포함한다. 지지암(253)은 후술할 턴버클의 일 단부가 고정되는 구성부이다.A support portion 2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ized body portion 21. The support portion 25 includes a support arm 253 connecting the vertically extended portion 251 and the vertically extending portion 251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pressurized body portion 21. The support arm 253 is a component to which one end of a turnbuckle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가압 몸체부(21)의 단부 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앵커 체결구(23)가 형성된다.An anchor fastening hole 23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on an end side of the pressurized body 21.

한편 제1 고정부재(20b)는 앞서 설명한 제2 고정부재(20a)와는 클립부 대신 가압부(28)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 고정부재(20b)는 가압 몸체부(21)의 일 단부에서 상향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단차 보상부(281)와 단차 보상부(28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283)를 포함한다. 단차 보상부(281)는 앞서 설명한 하부 프레임(13a)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연장부(283)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285)가 형성된다. 관통구(285)로는 하부 프레임(13a)에 연장부(283)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를 수용한다. 제1 고정부재(20b)는 이러한 단차 보상부(281)와 연장부(283)을 이용하여 하단 프레임(13a)에 직접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ixing member 20b differs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20a described above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28 is formed instead of the clip portion. That is, the first fixing member 20b includes a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281 formed so as to be upwardly stepp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body section 21 and an extension section 282 extending fur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281 283).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281 is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frame 13a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tending section 28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85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through-hole 285 receives a fastener such as a bolt screw for fixing the extension 283 to the lower frame 13a. The first fixing member 20b is directly fixed to the lower frame 13a by using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portion 281 and the extending portion 283.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와는 달리 제2 고정부재(20a)는 클립부(27)의 수평 연장부(273) 사이로 수직 플레이트(10)의 인접하는 측면 프레임(13b)들을 동시에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부(275)에 돌출부(11)를 수용함으로써 수직 플레이트(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0a)의 가압 몸체부(21)는 도상 강화층(9) 상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가압 몸체부(21)의 단부에서 앵커 부재(50)에 의하여 도상 강화층(9) 상에 고정된다.6, the second fixing member 20a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s 273 of the clip portion 27 in a state where the adjacent side frames 13b of the vertical plate 10 are accommodated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plate 10 can be fixed by accommodating the projecting portion 11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75. The pressing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0a is provided so as to abut on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9 and the anchor member 50 at the end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portion 21, .

한편, 클립부(27)은 고정부재(20a)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클립부재(40)로 이용될 수 있다. 클립부재(40)는 단순히 수직 플레이트(10) 간을 고정 및 체결하는 부재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턴버클의 일 단부(32)가 고정되는 고정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ip portion 27 can be used as the clip member 40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fixing member 20a. The clip member 40 may be used merely as a member for fixing and fastening between the vertical plates 10 and may serve as a fixture to which the one end 32 of the turnbuckle is fix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플레이트(10)와 가압 몸체부(21)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턴버클(30)을 포함할 수 있다. 턴버클(30)의 일측 단부(32)는 클립부재(40)에 용접이나 기계적인 체결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타측 단부(32)는 지지부(25)에 용접이나 기계적인 체결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텀버클(30) 몸체부(31)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직 플레이트(10)와 가압 몸체부(2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And a turnbuckle 30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plate 10 and the pressurized body 21 as shown in FIG. One end portion 32 of the turnbuckle 30 may be fixed to the clip member 40 by welding or mechanical fastening and the other end portion 32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25 by welding or mechanical fastening. have.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plate 10 and the pressing body 21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body portion 31 of the buckle 30.

도 7을 참조하여 앵커부재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The anchor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cho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앵커부재(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의 일측을 도상 강화층 상에 고정하는 구성부이다. 앵커부재(50)는 앵커 볼트(51), 끼움부재(53), 쐐기부재(54) 및 너트(55)를 포함한다.The anchor member 50 is a component for fixing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on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anchor member 50 includes an anchor bolt 51, a fitting member 53, a wedge member 54, and a nut 55.

본 실시예에 따른 쐐기부재(54)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원뿔대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에 빗면이 형성된 형상이라면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쐐기부재는 원뿔형, 원뿔대형, 각뿔형 및 각뿔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쐐기부재(54)의 측면(541)은 단면도 상에서 보아 직선의 빗변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쐐기부재(54)의 측면(541)의 단면도상의 빗변은 어느 정도의 굴곡이나 직선 구간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쐐기부재(5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 체결구(543)가 형성된다. 볼트 체결구(543)는 앵커 볼트의 제2 수나사부(513)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된다.Although the wedge member 5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s a conical shap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direction,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wedge member 54 having a beveled side surface may be substituted. For example, the wedge member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conical shape, a conical shape, a pyramidal shape, and a pyramidal shape.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541 of the wedge member 54 does not need to have a hypotenuse of a straight line as viewed from the sectional view.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ypotenuse o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surface 541 of the wedge member 54 includes a certain degree of bending or a straight line s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member 54, a bolt fastening hole 543 having a female screw is formed. The bolt fastening tool 543 is fastened to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513 of the anchor bolt by a screw fastening method.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51)는 단면이 원형인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볼트 몸체부(511)의 상단부에는 제1 수나사부(515)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 수나사부(513)이 형성된다. 볼트 몸체부(511)의 상단면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앵커 볼트(51)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수나사부(513)는 볼트 체결구(543)에 체결된다.The anchor bolt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to a bar shape having a circular section. A first male screw portion 51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lt body portion 511 and a second male screw portion 513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lt body portion 511, a cross groove or a slot groove for tightening or unscrewing the anchor bolt 51 is formed using a screwdriver.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513 is fastened to the bolt fastener 543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 부재(53)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원뿔대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에 빗면이 형성된 형상이라면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재는 원뿔형, 원뿔대형, 각뿔형 및 각뿔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끼움부재(53)의 측면(531)은 단면도 상에서 보아 직선의 빗변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끼움부재(53)의 측면(531)의 단면도상의 빗변은 어느 정도의 굴곡이나 직선 구간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끼움 부재(53)의 상부 직경은 하부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shim member 5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im member 53 may be replaced with an oblique side surface. For example, the fitting member can be formed in any shape of a conical shape, a conical shape, a pyramidal shape, and a pyramidal shape. Further, the side surface 531 of the fitting member 53 does not need to be formed with a hypotenuse of a straight line as viewed from a sectional view.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ypotenuse on the sectional view of the side surface 531 of the shim member 53 includes a certain degree of bending or a straight line sec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diameter of the shim member 53 is smaller than the lower diameter.

끼움부재(53) 내측으로는 쐐기 부재(54)가 수용되고, 최종적으로는 쐐기 부재(54)가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움부재(53) 내측으로 삽입된다.The wedge member 54 is received inside the fitting member 53 and finally the wedge member 54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member 53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이 때 끼움부재(53)의 옆면에는 절개부(535)가 형성된다. 절개부(535)는 끼움부재(53)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개부(535)가 형성됨으로써 끼움부재(53)에 쐐기부재(54)가 삽입되는 경우 끼움부재(53)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보다 유연하게 확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utout 53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53. [ The incision 535 is formed in an incised shape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tting member 53. [ When the wedge member 54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member 53 by forming the cutout portion 535, the fitting member 53 can be expanded more flexibly with a certain elasticity.

끼움부재(533)의 상부 관통공(533)으로는 앵커 볼트(51)와 쐐기부재(54)가 체결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51)의 제1 수나사부(515)가 노출된다. 끼움부재(53)의 상부로 노출된 제1 수나사부(515)에는 너트(55)가 체결된다.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515 of the anchor bolt 51 is exposed to the upper through hole 533 of the shim member 533 with the anchor bolt 51 and the wedge member 54 fastened. The nut 55 is fastened to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515 ex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im member 53.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앵커부재의 체결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앵커부재의 체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fastening method of the anchor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Figs.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showing fastening methods of the anchor members of Fig.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쐐기부재(54)의 볼트체결구(543)에 앵커 볼트(51)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재(53)를 앵커 볼트(51)의 상부로부터 덮어 씌우게 된다. 끼움부재(53)는 쐐기부재(54)의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쐐기부재(54)는 끼움부재(53)의 내측으로 더 삽입된다. 이 때 앵커 볼트(51)의 상부는 끼움부재(53)의 관통공(53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끼움부재(53)의 삽입이 더 진행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재(53)가 쐐기부재(54)을 완전히 덮어 씌우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55)를 앵커 볼트(51)의 상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모든 체결이 완료도니다.
The anchor bolt 51 is engaged with the bolt fastener 543 of the wedge member 54 by using a screwdriver or the like as shown in FIG. Next, as shown in Fig. 9, the fitting member 53 is cover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bolt 51. As shown in Fig. The shim member 53 is lower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edge member 54 and the wedge member 54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shim member 53.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bolt 5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533 of the fitting member 53. As the insertion of the shim member 53 proceeds further, the shim member 53 completely covers the wedge member 54 as shown in Fig. Finally, as shown in FIG. 11, all the fastening is completed by attaching the nut 55 to the upper part of the anchor bolt 51.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앵커부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7은 도 7의 앵커부재의 설치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anchor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7. Fig. Figs. 12 to 17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n installation process of the anchor member of Fig. 7. Fig.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상 강화층 상에 앵커 수용홀(91)을 형성한다. 앵커 수용홀(91)이 크기는 상술한 쐐기부재의 최대 직경에 비하여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앵커 볼트(51)와 쐐기부재(54)의 결합체를 앵커 수용홀(91)에 수용한다. 앵커 볼트(51)와 쐐기부재(54)의 결합체를 앵커 수용홀(91)에 수용된 후 끼움부재(53)를 상부로부터 씌운다. 최종적으로는 끼움부재(53)에 큰 힘을 가하여 끼움부재(53)의 하단부가 앵커 수용홀(91)의 내주면과 쐐기부재(54)의 하단부 사이에 끼이도록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 또는 제2 고정부재(20a, 20b)를 위치시켜 앵커 볼트(51)의 상단이 앵커 체결구(2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55)를 외부로 노출된 앵커 볼트(51)의 상부에 결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12, anchor receiving holes 91 are formed on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The size of the anchor receiving hole 91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wedge member described above. Next, an assembly of the anchor bolt 51 and the wedge member 54 is received in the anchor receiving hole 91. [ A combination of the anchor bolt 51 and the wedge member 54 is put on the backing member 53 housed in the anchor receiving hole 91 from above. Finally,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shim member 53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him member 53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receiving hole 91 and the lower end of the wedge member 54. Next,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fixing member or the second fixing member 20a or 20b is position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nchor bolt 5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chor fastening member 23. Finally,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nut 55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nchor bolt 51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앵커 볼트(51)를 체결함으로써 가압 몸체부(21)를 고정시키고, 수직 플레이트(10)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By fastening the anchor bolt 51 in this way, the pressurized body 21 can be fixed and the vertical plate 10 can be firmly installe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시공 후의 앵커부재의 제거과정을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는 콘크리트 타설 후 앵커부재의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The removal process of the anchor member after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Fig. 18 and 1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moval process of the anchor member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콘크리트를 거푸집을 이용하여 도상 강화층(9) 상에 타설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한다. 이 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앵커 볼트(51) 상에 체결된 너트를 제거하고, 앵커 볼트(51)를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쐐기부재(54)로부터 분리시킨다.After the concrete is laid on the on-board reinforcing layer 9 by using the formwork, the form is removed. 18, first, the nut fastened on the anchor bolt 51 is removed, and the anchor bolt 51 is separated from the wedge member 54 by using a screwdriver or the like.

이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수용홀(91)과 끼움부재(53) 사이의 공간을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메움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시공의 마무리 단계에서 앵커 볼트와 고정부재 등을 변형없이 분리함으로써 재활용할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19, the space between the anchor receiving hole 91 and the fitting member 53 is filled with concrete or the lik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That is, the anchor bolt and the fixing member can be recycled by separating the anchor bolt and the like without deformation during the finishing step of the construction.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으로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implemented as a form.

10: 프레임
20a, 20b: 고정부재
30: 턴버클 지지대
10: frame
20a, 20b: fixing member
30: Turnbuckle support

Claims (11)

콘크리트 도상이 시공될 노반 상에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구비된 하단의 프레임을 상기 노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가압 몸체부와, 상기 가압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앵커 체결구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앵커 체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노반 상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앵커 수용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앵커 체결구에 체결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는,
증심축을 따라 관통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 체결구가 형성되는 원뿔형, 각뿔형, 원뿔대형 또는 뿔대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 수용홀에 수용되는 쐐기 부재;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제1 수나사부와 타측 단부에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나사부는 상기 볼트 체결구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앵커 볼트;
상기 앵커 수용홀의 내주면과 상기 쐐기 부재의 빗면 사이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지는 끼움 부재; 및
상기 앵커 체결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앵커 볼트의 제1 수나사부와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At least a pair of vertical plates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a roadbed on which a concrete road is to be installed and on which a frame projecting outwardly is formed;
And an anchor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portion so as to extend from the press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A first fixing member; And
And an anchor member fastened to the anchor fastene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an anchor receiv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a road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chor fastener,
The anchor member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any one of a conical shape, a pyramid shape, a conical shape, and a horn shape in which a bolt fastening hole penetrating along the thickening axis and having a female screw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bsence;
An anchor bolt formed in a bar shape and having a first male screw portion at one end and a second male screw portion at the other end,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being fastened to the bolt fastener in a screw fastening manner;
A fitting member which is fit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chor receiving hole and the beveled surface of the wedge member; And
And a nut fastened to the first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anchor bolt exposed through the anchor fastener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콘크리트 도상의 시공 후 재활용을 위한 회수가 가능한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chor bolts are capable of being recovered for recycling aft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중심축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형이 원뿔형, 각뿔형, 원뿔대형 및 각뿔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m member is formed in a hollow shape penetrating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the outer shape is formed in a shape of a conical shape, a pyramid shape, a conical shape, and a pyramidal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부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옆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im member has a cut-out portion having a side surface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의 제1 수나사부 단부에는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groove or a slot is formed i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of the anchor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plat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arranged in succes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양 측면의 프레임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인접하는 측면의 양 프레임들의 전면에 접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직각으로 연장되어 각 프레임의 내측면을 감싸는 제2면 및 제3면을 구비하는 클립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면 및 제3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ertical plate has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frame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And a second surface and a thir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so as to face each other at right angles and enclosing an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frames, And a clip memb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the clip member being cut out from the lower end to form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상기 노반상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가압 몸체부와, 상기 가압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앵커 체결구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8. The method of claim 7,
A clip body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clip body; a pressurized body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lip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an anchor fastening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urized body portion And a second fix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econd fixing member.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양 단부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몸체부에 고정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And a turnbuckle having opposite ends fixed to the vertical plate and the pressurized body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은 일 단부가 상호 인접하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들을 결합시키는 상기 클립부재에 고정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urnbuckle is fixed to the clip member, the one end of the turnbuckle engaging the vertical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발포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도상 타설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plate is formed of a foamed synthetic resin material.


KR1020130157436A 2013-12-17 2013-12-17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KR101641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436A KR101641522B1 (en) 2013-12-17 2013-12-17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436A KR101641522B1 (en) 2013-12-17 2013-12-17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809A true KR20150070809A (en) 2015-06-25
KR101641522B1 KR101641522B1 (en) 2016-07-21

Family

ID=5351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436A KR101641522B1 (en) 2013-12-17 2013-12-17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5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806Y1 (en) * 1990-09-26 1994-02-16 변무원 Composite form panel
KR200420086Y1 (en) * 2006-04-20 2006-06-28 최양근 Set anchor bolt
KR20110116397A (en) * 2010-04-19 2011-10-26 이재순 Mold supporting device
KR20130026833A (en) * 2011-09-06 2013-03-14 (주)엘더스티앤엘 Mold to construct a concrete roadbed in railro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806Y1 (en) * 1990-09-26 1994-02-16 변무원 Composite form panel
KR200420086Y1 (en) * 2006-04-20 2006-06-28 최양근 Set anchor bolt
KR20110116397A (en) * 2010-04-19 2011-10-26 이재순 Mold supporting device
KR20130026833A (en) * 2011-09-06 2013-03-14 (주)엘더스티앤엘 Mold to construct a concrete roadbed in railr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522B1 (en)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713B1 (en)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US4009827A (en) Flexible, resilient, and wear resistant railroad crossing structure
KR101641522B1 (en) Mold to construct concrete roadbed of railroad
JP5276801B2 (en) Labor-saving track reinforcement method
EA039394B1 (en) Railway cro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ubber-concrete slabs for same
CN107642032B (en) A kind of just beam limit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40060041A (en) Traffic lane separator
JP3510824B2 (en) Sleeper laying structure
CN211547320U (en) Bridge expansion joint structure
JP2013147797A (en) Guard fence
JP2017082401A (en) Railroad tie fastener
KR102101169B1 (en) Apparatus to reinforce of railway rai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221029586U (en) Expansion joint notch structure
JP3943246B2 (en) Reinforcement girder mounting device
JP3936950B2 (en) Barrier-free rail side gap closing structure and rail side gap closing method
JP3877570B2 (en) Sleeper structure and sleeper construction method
JP3990603B2 (en) Rail side gap closing structure and rail side gap closing method
JP7453174B2 (en) How to install the support
JP6944892B2 (en) Track structure and track construction method
JP6259507B1 (en) Construction girder mounting device and construction girder mounting method
JP3443006B2 (en) Emergency joint device for rails on articulated or combined tracks
JP4820890B2 (en) Guard fence fixing structure
JP2000045209A (en) Simple built-up crossing
JP5922595B2 (en) Railroad crossing structure
JPH0261563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