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653A -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653A
KR20150070653A KR1020130157124A KR20130157124A KR20150070653A KR 20150070653 A KR20150070653 A KR 20150070653A KR 1020130157124 A KR1020130157124 A KR 1020130157124A KR 20130157124 A KR20130157124 A KR 20130157124A KR 20150070653 A KR20150070653 A KR 2015007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urrent
hydraulic
braking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437B1 (ko
Inventor
박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에는 전류공급의 방향전환으로 피스톤(7)에 고정된 영구자석(20-1)과 인력과 척력이 서로 전환되는 전자석(20-1)과, 피스톤(7)에 고정된 고정 센서(31-1)와 거리 증가가 이루어질 때 전자석(20-1)으로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세기의 저하를 검출하는 고정 센서(31-1)를 내장한 캘리퍼(1)가 포함됨으로써 제동 시 유압과 함께 척력이 피스톤에 가해져 강한 제동력을 형성하고, 피스톤 복귀시 인력을 이용한 신속한 초기 위치 복귀로 제동 드레그 저감이 이루어지며, 특히 패드 마모증가 만큼 강화된 척력을 피스톤에 가하여 피스톤 이동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줌으로써 패드의 내구진행 후에도 제동 드래그 토크량 변화가 거의 없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Breaking Drag Decreasing type Break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드 마모 시에도 제동 드래그를 감소시키는 피스톤 움직임이 항상 일정할 수 있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 시 휠 디스크를 잡아 주는 패드는 반복적인 제동으로 패드 마모가 일어나고, 패드 마모는 패드를 유압식 피스톤으로 작동시켜주는 캘리퍼나 드럼에서 제동 드래그로 나타난다.
이러한 제동 드래그는 그 크기 저감 시 초기 제동감 불만족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제동 드래그는 최대한 저감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식중 스프링이나 자기력을 이용한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스프링 방식은 패드와 스프링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탄성력으로 패드 마모가 보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동 드래그 토크량을 줄이거나 최적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자기력 방식은 패드와 자기력 발생 수단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인력과 척력의 작용으로 패드 마모가 보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동 드래그 토크량을 줄이거나 최적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국내특허공개 10-2013-0086438(2013년08월02일)
하지만, 스프링 방식은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제동 드래그 저감에는 효과 크지 않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자기력 방식은 패드 마모로 전자석과 영구자석 간의 거리가 멀어졌을 때 거리변동에 따른 자기력을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패드 초기 상태와 패드 내구진행 후 제동 드래그 토크량 변화가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제동 시 유압과 함께 척력이 피스톤에 가해져 강한 제동력을 형성하고, 피스톤 복귀시 인력을 이용한 신속한 초기 위치 복귀로 제동 드레그 저감이 이루어지며, 특히 패드 마모증가 만큼 강화된 척력을 피스톤에 가하여 피스톤 이동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줌으로써 패드의 내구진행 후에도 제동 드래그 토크량 변화가 거의 없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에는 휠 디스크를 제동하는 캘리퍼가 포함되고; 상기 캘리퍼에는 피스톤 스프링으로 탄발지지된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챔버에 고정되고, 전류공급의 방향전환으로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인력과 척력이 서로 전환되는 전자석과;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고정 센서와 거리 증가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세기의 저하를 검출하고, 상기 유압챔버에 고정된 고정 센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연계된 유압발생기에서 제공되고, 상기 전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며, 상기 전류공급방향전환은 상기 유압으로 작동된 전류 통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류 세기 증가는 배터리에 연결된 전류 어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류 어저스터는 상기 전류 통전기의 작동 검출과 상기 고정 센서의 신호세기의 저하를 검출한다.
상기 유압발생기는 마스터 실린더이다.
상기 전류 통전기는 상기 유압발생기에 이어진 유압분기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분기라인은 상기 유압발생기와 상기 유압챔버로 이어진 캘리퍼 유압라인에서 분기된다.
상기 전류 통전기는 상기 유압분기라인에 연결된 유압스위치와, 공급된 유압에 의한 유압스위치의 작동을 검출하는 극성전환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는 상기 전자석에 이어진 전자석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상기 유압스위치는 상기 유압분기라인이 연통된 챔버 하우징, 상기 챔버 하우징에 형성된 유압으로 밀려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피스톤을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피스톤에는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가 연결된다.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는 전류의 +,- 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상기 전류 어저스터는 상기 고정센서에 이어진 센서라인으로 신호 세기의 변화를 검출하고, 신호 세기 약화 시 상기 배터리의 전류 값을 높여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는 휠 디스크를 패드로 가압하는 피스톤이 내장된 캘리퍼; 상기 피스톤을 밀어내는 유압을 상기 캘리퍼로 공급하는 마스터실린더; 상기 피스톤의 유압 작용에 의한 이동 시 척력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유압 해제에 의한 복귀 시 공급전류의 방향 전환으로 인력을 형성하는 제동 토크 어저스터; 상기 패드의 마모에 의한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 증가를 약화된 신호세기로 발생시키는 패드마모 어저스터; 상기 캘리퍼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작동될 때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에 척력이 형성되도록 공급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류 통전기;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의 신호세기를 검출하고, 신호 세기 약화 시 배터리의 전류 값을 높이는 전류 어저스터;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는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의 안쪽 공간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는 영구자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한 유압챔버에 고정되어져 전자석라인으로 상기 전류 통전기에 연결된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는 고정센서, 상기 피스톤을 수용한 유압챔버에 고정되어져 센서라인으로 상기 전류 어저스터에 연결된 이동센서, 상기 피스톤을 탄발지지하는 피스톤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동시 패드를 가압하는 피스톤의 움직임이 전자기력으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제동 드레그 저감이 이루어지고, 특히 제동 드레그 저감으로 연비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강화된 환경 규제를 충족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 마모에 따른 거리 변동량이 자동 보상됨으로써 패드 초기 상태 대비 내구진행 후에도 제동 드래그 토크량 변화가 거의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된 전류 통전기와 패드마모 어저스터의 상세 구성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시 패드 마모에 따른 피스톤의 이동 거리 변동량 자동 보정과 제동 드래그 저감이 유지되는 작동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에는 휠 디스크를 패드로 가압하는 피스톤(7)이 내장된 캘리퍼(1), 피스톤(7)을 밀어내는 유압을 캘리퍼(1)로 공급하는 유압발생기(10), 피스톤(7)의 이동거리를 전자기력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패드 마모에 맞춰 피스톤(7)을 이동시키는 제동 드래그 저감기, 제동드래그 저감기의 전자기력의 극성을 전환시켜주는 전류 통전기(40),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정하는 전류 어저스터(70), 전류 공급을 위한 배터리(80)가 포함된다.
상기 캘리퍼(1)에는 전체 형상을 이루는 캘리퍼 하우징(3), 캘리퍼 하우징(3)에 형성되어 유압이 형성되는 유압 챔버(5), 유압 챔버(5)에 수용되어져 유압으로 밀려나와 패드를 휠 디스크로 이동시켜주는 피스톤(7), 피스톤(7)에 끼워져 유압 챔버(5)의 기밀을 형성하는 씨일링(9)이 포함된다.
상기 유압발생기(10)는 마스터 실린더가 적용된다.
상기 캘리퍼(1)와 상기 유압발생기(10)는 캘리퍼 유압라인(10-1)이 이어지고, 상기 캘리퍼 유압라인(10-1)은 캘리퍼 하우징(3)의 유압 챔버(5)로 연결된다.
상기 제동드래그 저감기는 패드를 이동시키는 피스톤의 움직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동 토크 어저스터(20), 패드 마모에 따른 피스톤(7)의 이동 거리 변동량을 자동 보정하는 패드마모 어저스터(30)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20)는 캘리퍼(1)의 유압 챔버(5)로 내장되고, 피스톤(7)의 이동거리 유지에 전자기력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30)는 캘리퍼(1)의 유압 챔버(5)로 내장되고, 피스톤(7)의 복귀 위치에 대한 거리 변화 검출에 센서를 이용한다.
일례로,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20)는 전자석(20-1)과 영구자석(20-2)이 적용된다. 상기 영구자석(20-2)은 피스톤(7)에 고정되어져 피스톤(7)과 함께 움직인다. 반면, 상기 전자석(20-1)은 유압 챔버(5)로 위치되면서 캘리퍼 하우징(3)에 고정되고, 전류 통전기(40)에 연결된 전자석라인(90-1)이 이어짐으로써 배터리(80)의 전류가 공급되며, 공급 전류의 +,-가 전류 통전기(40)로 전환되고 더불어 전류세기가 전류 어저스터(70)로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의 전자석(20-1)과 영구자석(20-2)사이로 패드마모 어저스터(30)가 위치됨으로써 패드마모 어저스터(30)는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와 함께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동 토크 어저스터(20)가 패드마모 어저스터(30)를 안쪽공간으로 수용함으로써 제동드래그 저감기가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유압챔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 통전기(40)는 유압스위치(50)와 극성전환 스위치(60)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스위치(50)는 유압발생기(10)에서 나온 유압분기라인(10-2)이 이어지고, 상기 유압분기라인(10-2)은 유압발생기(10)와 캘리퍼 하우징(3)을 이어주는 캘리퍼 유압라인(10-1)에서 분기된다.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60)는 유압이 걸린 유압스위치(50)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유압스위치(50)에 연결된다.
상기 전류 어저스터(70)는 극성전환 스위치(60)와 배터리(80)와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에 이어진 전자석라인(90-1)으로 공급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며, 패드마모 어저스터(30)에 이어진 센서라인(90-2)으로 센서 신호 세기의 변화를 검출한다.
한편, 도 2는 패드마모 어저스터(30), 유압스위치(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30)는 패드 마모증가에 따른 피스톤(7)의 이동 거리 증가를 신호 세기로 검출하는 한쌍의 고정센서(31-1)/이동센서(31-2), 피스톤(7)을 탄발지지하는 피스톤 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센서(31-2)는 피스톤(7)에 고정되어져 피스톤(7)과 함께 움직인다. 반면, 상기 고정센서(31-1)는 유압 챔버(5)로 위치되면서 캘리퍼 하우징(3)에 고정되고, 전류 어저스터(70)에 연결된 센서라인(90-2)이 이어진다.
그러므로, 이동센서(31-2)의 거리 증가에 따른 고정센서(31-1)의 검출 신호 세기 약화가 전류 어저스터(70)에서 검출될 수 있다. 전류 어저스터(70)는 약화된 신호 세기를 신품 패드의 신호세기와 비교 후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의 전자석(20-1)으로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증가시켜줌으로써 전자석(20-1)과 영구자석(20-2)의 척력 세기가 증가된다.
상기 유압스위치(50)는 유압분기라인(10-2)이 연결되어 캘리퍼(1)로 공급되는 오일을 유입하는 챔버 하우징(51), 챔버 하우징(51)에 형성된 유압으로 밀려나는 유압피스톤(53), 유압피스톤(53)을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55)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압스위치(50)는 제동시 유압발생기(10)에서 발생된 유압으로 작동되고, 유압에 의한 유압피스톤(53)의 이동정도로 유압크기가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유압피스톤(53)에는 극성전환 스위치(60)가 연결되고,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60)는 유압이 걸린 유압스위치(50)의 작동 검출 신호를 전류 어저스터(70)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60)에서는 배터리(80)의 전류가 전류 어저스터(70)를 매개로 전자석(20-1)에 이어진 전자석라인(90-1)으로 통전된다. 이때,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60)에서는 전류 어저스터(7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 -> - 또는 - -> + 로 전환시켜줌으로써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의 척력과 인력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스위치(50)의 작동 검출에 의한 전류 극성 전환은 인력에서 척력으로 전환됨을 의미하고, 유압스위치(50)의 초기 위치 복귀에 의한 전류 극성 전환은 척력에서 인력으로 전환됨을 의미 한다.
한편,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와 패드마모 어저스터(30)가 작동됨으로써 패드 마모에 따른 피스톤(7)의 이동 거리 변동량 자동 보정과 제동 드래그 저감이 유지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리퍼(1)는 캘리퍼 유압라인(10-1)으로 유압발생기(10)와 이어지고, 패드마모 어저스터(30)를 감싼 제동 토크 어저스터(20)가 유압챔버(5)에 수용된 피스톤(7)의 뒤쪽으로 위치되며, 유압스위치(50)는 캘리퍼 유압라인(10-1)에서 분기된 유압분기라인(10-2)으로 유압발생기(10)와 이어지고, 극성전환 스위치(60)는 유압스위치(50)와 전류 어저스터(70)를 연결하면서 전자석라인(90-1)으로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의 전자석(20-1)과 이어지며, 전류 어저스터(70)는 센서라인(90-2)으로 패드마모 어저스터(30)의 고정센서(31-1)와 이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동 토크 어저스터(20)의 전자석(20-1)으로 흐르는 전류 흐름은 배터리(80) -> 전류 어저스터(70) -> 극성전환 스위치(60) -> 전자석라인(90-1) -> 전자석(20-1)을 통해 형성되고, 전자석(20-1)과 영구자석(20-2)사이에는 일정한 인력이 형성된다.
즉, 유압스위치(50)와 극성전환 스위치(60)가 모두 미 작동상태이고, 이는 전자석(20-1)에 공급되는 전류 + 또는 - 상태임을 의미한다. 이때, 전자석(20-1)에 공급되는 전류는 + 로 가정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패드마모 어저스터(30)의 고정센서(31-1)에서 발생되는 신호 흐름은 고정센서(31-1) -> 센서라인(90-2) -> 전류 어저스터(70)를 통해 형성되고, 전류 어저스터(70)에서는 고정센서(31-1)의 신호 세기 변화를 검출한다. 이때, 신호 세기(a)는 전류 어저스터(70)가 기준으로 삼는 신품 패드에 적용된 신호세기와 동일하다.
하지만, 제동이 이루어지면, 유압발생기(10)에서 발생된 유압이 캘리퍼 유압라인(10-1)을 통해 캘리퍼(1)로 공급되고 동시에 유압분기라인(10-2)을 통해 유압스위치(50)로 공급된다.
그러면, 피스톤(7)은 패드를 밀어내고 동시에 유압스위치(50)에 연결된 극성전환스위치(60)가 작동됨으로써 전자석(20-1)으로 흐르던 전류는 + -> -로 전환되고, 이러한 전류 극성 변화는 전자석(20-1)과 영구자석(20-2)사이에는 형성되었던 인력을 척력으로 전환시켜 준다.
이로 인해, 피스톤(7)에는 유압과 함께 척력이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캘리퍼(1)에서는 보다 강력한 제동력이 형성되고, 이는 제동 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한편, 반복적인 제동으로 패드 마모가 진행되면, 피스톤(7)의 이동거리가 패드 마모 증가만큼 더 늘어남으로써 고정센서(31-1)와 이동센서(31-2)의 거리도 그 만큼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패드마모 어저스터(30)에서는 기존의 신호세기(a)에 비해 신호 세기(a-1)가 보다 작아지고, 상기 신호 세기(a-1)를 기존의 신호 세기(a)와 비교한 전류 어저스터(70)에서는 신호 세기 차이 만큼에 해당되는 전류 세기 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전류 어저스터(70)와 전자석(20-1)을 이어주는 전자석라인(90-1)에는 더 많은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전자석(20-1)과 연구자석(20-2)사이에 형성된 척력 크기도 함께 커지게 된다. 이러한 척력 증가는 피스톤(7)을 그 만큼 더 밀어냄으로써 피스톤(7)의 복귀 위치가 기존에 비해 패드 마모량만큼 더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패드의 마모증가분은 그대로 피스톤(7)의 이동거리에 반영됨으로써 피스톤(7)은 패드 마모증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제동 작용이 해제되면, 유압발생기(10)에 작용하고 있던 유압력이 소멸됨으로써 유압발생기(10)의 초기 위치 복귀와 더불어 패드도 휠 디스크와 이격되면서 마찰 제동력 소멸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유압 스위치(50)에 작용하고 있던 유압도 소멸되면서 유압 스위치(50)가 리턴 스프링(55)의 작용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극성전환 스위치(60)도 원래의 스위칭 상태로 전화되면서 전자석(20-1)에 공급되는 전류는 - -> +로 다시 전환되고, 이러한 전류 극성 변화는 전자석(20-1)과 영구자석(20-2)사이에는 형성되었던 척력을 인력으로 전환시켜 준다.
그러므로, 피스톤의 복귀에는 유압 해제에 더해 인력이 강하게 작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초기 위치 복귀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제동 드레그 저감이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에는 전류공급의 방향전환으로 피스톤(7)에 고정된 영구자석(20-1)과 인력과 척력이 서로 전환되는 전자석(20-1)과, 피스톤(7)에 고정된 고정 센서(31-1)와 거리 증가가 이루어질 때 전자석(20-1)으로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세기의 저하를 검출하는 고정 센서(31-1)를 내장한 캘리퍼(1)가 포함됨으로써 제동 시 유압과 함께 척력이 피스톤에 가해져 강한 제동력을 형성하고, 피스톤 복귀시 인력을 이용한 신속한 초기 위치 복귀로 제동 드레그 저감이 이루어지며, 특히 패드 마모증가 만큼 강화된 척력을 피스톤에 가하여 피스톤 이동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줌으로써 패드의 내구진행 후에도 제동 드래그 토크량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1 : 캘리퍼 3 : 캘리퍼 하우징
5 : 유압 챔버 7 : 피스톤
9 : 씨일링 10 : 유압발생기
10-1 : 캘리퍼 유압라인 10-2 : 유압분기라인
20 : 제동 토크 어저스터 20-1 : 전자석
20-2 : 영구자석 30 : 패드마모 어저스터
31-1 : 고정센서 31-2 : 이동센서
33 : 피스톤 스프링 40 : 전류 통전기
50 : 유압스위치 51 : 챔버 하우징
53 : 유압피스톤 55 : 리턴 스프링
60 : 극성전환 스위치 70 : 전류 어저스터
80 : 배터리 90-1 : 전자석라인
90-2 : 센서라인

Claims (12)

  1. 휠 디스크를 제동하는 캘리퍼가 포함되고;
    상기 캘리퍼에는 피스톤 스프링으로 탄발지지된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챔버에 고정되고, 전류공급의 방향전환으로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인력과 척력이 서로 전환되는 전자석과;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고정 센서와 거리 증가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세기의 저하를 검출하고, 상기 유압챔버에 고정된 고정 센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연계된 유압발생기에서 제공되고, 상기 전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며, 상기 전류공급방향전환은 상기 유압으로 작동된 전류 통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류 세기 증가는 배터리에 연결된 전류 어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류 어저스터는 상기 전류 통전기의 작동 검출과 상기 고정 센서의 신호세기의 저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압발생기는 마스터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류 통전기는 상기 유압발생기에 이어진 유압분기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분기라인은 상기 유압발생기와 상기 유압챔버로 이어진 캘리퍼 유압라인에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류 통전기는 상기 유압분기라인에 연결된 유압스위치, 공급된 유압에 의한 유압스위치의 작동을 검출하는 극성전환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는 상기 전자석에 이어진 전자석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압스위치는 상기 유압분기라인이 연통된 챔버 하우징, 상기 챔버 하우징에 형성된 유압으로 밀려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피스톤을 탄발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피스톤에는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극성전환 스위치는 전류의 +,-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류 어저스터는 상기 고정센서에 이어진 센서라인으로 신호 세기의 변화를 검출하고, 신호 세기 약화 시 상기 배터리의 전류 값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9. 휠 디스크를 패드로 가압하는 피스톤이 내장된 캘리퍼;
    상기 피스톤을 밀어내는 유압을 상기 캘리퍼로 공급하는 마스터실린더;
    상기 피스톤의 유압 작용에 의한 이동 시 척력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유압 해제에 의한 복귀 시 공급전류의 방향 전환으로 인력을 형성하는 제동 토크 어저스터;
    상기 패드의 마모에 의한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 증가를 약화된 신호세기로 발생시키는 패드마모 어저스터;
    상기 캘리퍼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작동될 때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에 척력이 형성되도록 공급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류 통전기;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의 신호세기를 검출하고, 신호 세기 약화 시 배터리의 전류 값을 높이는 전류 어저스터;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는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의 안쪽 공간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동 토크 어저스터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는 영구자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한 유압챔버에 고정되어져 전자석라인으로 상기 전류 통전기에 연결된 전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패드마모 어저스터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는 고정센서, 상기 피스톤을 수용한 유압챔버에 고정되어져 센서라인으로 상기 전류 어저스터에 연결된 이동센서, 상기 피스톤을 탄발지지하는 피스톤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KR1020130157124A 2013-12-17 2013-12-17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KR10206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24A KR102063437B1 (ko) 2013-12-17 2013-12-17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24A KR102063437B1 (ko) 2013-12-17 2013-12-17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53A true KR20150070653A (ko) 2015-06-25
KR102063437B1 KR102063437B1 (ko) 2020-01-08

Family

ID=5351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124A KR102063437B1 (ko) 2013-12-17 2013-12-17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841A (ja) * 1995-11-13 1997-05-27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ブレーキ装置
KR20040046365A (ko) * 2002-11-27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의 드래그 저감 장치
KR100599305B1 (ko) * 2004-07-28 2006-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의 피스톤장치
KR20080011505A (ko) * 2006-07-31 2008-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의 피스톤 조립체
KR20130086438A (ko) 2012-01-25 2013-08-02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841A (ja) * 1995-11-13 1997-05-27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ブレーキ装置
KR20040046365A (ko) * 2002-11-27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의 드래그 저감 장치
KR100599305B1 (ko) * 2004-07-28 2006-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의 피스톤장치
KR20080011505A (ko) * 2006-07-31 2008-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의 피스톤 조립체
KR20130086438A (ko) 2012-01-25 2013-08-02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437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04682A3 (fr) Dispositif de freinage a commande electrique
CN100586770C (zh) 车辆用制动装置
HK1138242A1 (en) An elevator brake assembly, a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vator braking system
TW200833594A (en) Brake equipment, lift installation, a method for detecting a function of the brake equipment, and a modernisation set
BR0307328A (pt) Freio de tambor e sapata para freio de tambor
JP5584834B2 (ja) 摩擦ブレーキ
CN102817939A (zh) 一种磁流体碟刹
KR20150070653A (ko) 제동 드래그 저감 타입 브레이크 장치
KR20150128277A (ko) 주차기능을 갖는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CN105927684A (zh) 具有冷却通道的浮钳盘式制动器
CA2656424A1 (en) Brake device for a rail vehicle
KR10186616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의 교환시기 알림용 마모감지부재 탑재장치
MX2020001042A (es) Metodo para estimar una fuerza de frenado que se aplica entre la almohadilla y el disco de frenado por un sistema de frenado de estacionado electrico de un vehiculo y sistema de frenado de estacionado electrico de un vehiculo que implementa un metodo asi.
CN208919161U (zh) 一种电磁制动装置
CN203130870U (zh) 一种盘形闸碟簧和闸瓦监测装置
GB0130379D0 (en) Electromechanical brake and the operation thereof
JP454076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854458B1 (ko) 전기 웨지 브레이크 방식에 따른 차량 제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패드 마모 자동 보정 방법
KR20040033894A (ko) 브레이크 캘리퍼
KR10068084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CN108895099A (zh) 一种电磁制动装置
CN102817940A (zh) 磁流体碟刹
JP2013076467A (ja) 電磁ブレーキ装置
JP4675919B2 (ja) ばね下制振装置
KR970010852B1 (ko) 차량의 a.b.s용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