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616A - 연료 탱크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616A
KR20150070616A KR1020130157051A KR20130157051A KR20150070616A KR 20150070616 A KR20150070616 A KR 20150070616A KR 1020130157051 A KR1020130157051 A KR 1020130157051A KR 20130157051 A KR20130157051 A KR 20130157051A KR 20150070616 A KR20150070616 A KR 20150070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torage
trunk
uni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민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0616A/ko
Publication of KR2015007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21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to protect the fuel tank against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 탱크 수납 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배치되며, 연료 탱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오목 형상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트렁크 플로우, 상기 트렁크 플루우를 전체적으로 덮는 트렁크 커버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통풍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탱크 수납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 탱크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연료를 탱크를 안정적으로 수납하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공급장치는 기관의 작동상태에 따라 최적으로 기관이 필요로 하는 연료를 기화기 또는 연료분사장치에 충분히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연료탱크내의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 및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파이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탱크는 강판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대용량의 연료탱크에는 커브길 주행중에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칸막이(baffle)가 설치되어 있고, 탱크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환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는 스페어 타이어가 있던 트렁크 바닥에 조립이 되고 트렁크 카페트가 상기 연료 탱크를 덮도록 구비된다. 차량 주행시 생기는 열로 인해 트렁크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특히 트렁트 카페트 아래에 있는 연료탱크에 열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트렁크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방열 특성을 갖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 수납 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배치되며, 연료 탱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오목 형상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트렁크 플로우, 상기 트렁크 플루우를 전체적으로 덮는 트렁크 커버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통풍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풍 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상기 외부 공기가 인입되도록 하는 흡기부 및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흡기팬 및 상기 흡기팬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기팬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트로이달 봄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트렁크 내부의 수납부에 통풍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통풍 유닛이 흡기부 및 배기부를 포함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수납부의 수납 공간에 인입시키고 배출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납 공간에 연료 탱크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을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탱크 수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 수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탱크 수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탱크 수납 장치(100)는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 대신에 연료 탱크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LPG와 같은 가스 연료 및 휘발유와 같은 액체 연료를 모두 이용하는 이중 연료 타입의 자동차 또는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료 탱크 수납 장치(100)는 수납부를 구비한 트렁크 플로우(110), 트렁크 커버(120) 및 통풍 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플로우(110)는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트렁크 플로우(110)는 그 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의 바닥면에 해당한다. 상기 트렁크 플로우(110)는 연료 탱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오목 형상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에는 스페어 타이어 대신에 연료 탱크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연료 탱크는 예를 들면 트로이달 봄베 연료 탱크일 수 있다.
상기 트렁크 플로우(110)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렁크 커버(120)는 상기 트렁크 플로우(110)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트렁크 커버(120)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연료 탱크를 함께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렁크 커버(120)는 상기 트렁크 플로우(110)의 상면 및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트렁크 커버(120)는 상기 트렁크의 적재 공간 및 상기 연료탱크를 상호 격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렁크 커버(120) 상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통풍 유닛(130)은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통풍 유닛(130)은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수납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통풍 유닛(130)은 상기 수납부의 수납 공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수납된 연료 탱크의 발열에 의한 수납 공간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풍 유닛(130)은 흡기부(131) 및 배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부(131)는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부(131)가 차량의 운행중 외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흡기부(131)는 흡기팬(132) 및 프로텍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팬(132)은 상기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에 배치된다. 상기 흡기팬(132)은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하여 용이하게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133)는 상기 흡기팬(132)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로텍터(133)는 상기 수납부의 전방 일측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어 상기 흡기팬(13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로텍터(133)는 상기 흡기팬(132)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물질이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수납된 연료 탱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6)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상기 배기부(136)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기부(136)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수납된 연료 탱크의 발열로 인한 가열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6)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된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 내의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배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탱크 수납 장치에 따르면, 상기 트렁크 내부의 수납부에 통풍 유닛(130)이 구비되고 상기 통풍 유닛(130)이 흡기부(131) 및 배기부(136)를 포함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수납부의 수납 공간에 인입시키고 배출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납 공간에 연료 탱크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 수납 장치는 차량 및 선박, 비행기 등에 장착된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연료 탱크 수납 장치 110 : 트렁크 플로우
120 : 트렁크 커버 130 : 통풍 유닛
131 : 흡기부 132 : 흡기팬
133 : 프로텍터 136 : 배기부

Claims (5)

  1.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배치되며, 연료 탱크를 저장할 수 있도록 오목 형상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트렁크 플로우;
    상기 트렁크 플루우를 전체적으로 덮는 트렁크 커버; 및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통풍 유닛을 포함하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 내부로 상기 외부 공기가 인입되도록 하는 흡기부 및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흡기팬 및 상기 흡기팬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기팬으로 향하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트로이달 봄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수납 장치.
KR1020130157051A 2013-12-17 2013-12-17 연료 탱크 수납 장치 KR20150070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51A KR20150070616A (ko) 2013-12-17 2013-12-17 연료 탱크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51A KR20150070616A (ko) 2013-12-17 2013-12-17 연료 탱크 수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16A true KR20150070616A (ko) 2015-06-25

Family

ID=5351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051A KR20150070616A (ko) 2013-12-17 2013-12-17 연료 탱크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06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62A (ko) * 2019-06-04 2020-12-1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KR20200141182A (ko) * 2019-06-10 2020-12-1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용 측벽 브라켓 및 사이드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462A (ko) * 2019-06-04 2020-12-1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KR20200141182A (ko) * 2019-06-10 2020-12-1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용 측벽 브라켓 및 사이드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9112B2 (ja) 貨物車両
US8186468B2 (en) Vehicle load floor support with integral air duct
US8887695B2 (en) Device for treating evaporated fuel
JP4363447B2 (ja) 電池の冷却装置、冷却装置付属電池及び車両
KR101934360B1 (ko)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냉각수 리저버 탱크
US7316222B2 (en) Fuel feed apparatus having fuel pump
US9647280B2 (en) Fuel cell vehicle
JP4311486B2 (ja) ガス燃料車両
JP2008016346A (ja) 二次電池収容装置
KR20150070616A (ko) 연료 탱크 수납 장치
JP2008007077A (ja) 冷却液の冷却構造
US20160076666A1 (en) Fuel tank valve
JP2004060530A (ja) キャニスタの車体取付構造
JP2009149145A (ja) バッテリー冷却用兼エンジン吸気用空気供給装置
KR101408659B1 (ko) 차량 트렁크 장착용 연료저장장치
US10563627B2 (en) Air cleaner unit and engine having the same
US9555700B2 (en) Tank ventil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1624312B2 (en) Reservoir tank for vehicle
KR20160121983A (ko) 폐열을 활용한 캐니스터 시스템
US20180087442A1 (en) Coolant Header Tank
JP6908482B2 (ja) 燃料タンク
CN104131890B (zh) 便携式发动机
JP2004291838A (ja) ウォッシャタンク
US20080060618A1 (en) Vapor separator tank
US20220416623A1 (en) Ventilation for electric gener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