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782A -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9782A KR20150069782A KR1020130156318A KR20130156318A KR20150069782A KR 20150069782 A KR20150069782 A KR 20150069782A KR 1020130156318 A KR1020130156318 A KR 1020130156318A KR 20130156318 A KR20130156318 A KR 20130156318A KR 20150069782 A KR20150069782 A KR 201500697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loating
- separation
- raw water
- separ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분리조 내의 공간을 다단의 형태로 구성하고 부상분리조 내의 유체 흐름이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계함과 함께 원수의 특성 및 처리용도에 따라 최적 단수의 부상분리조를 적용함으로써 부하변동에 따른 가변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응집 효율 및 부상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는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상분리조 내의 공간을 다단의 형태로 구성하고 부상분리조 내의 유체 흐름이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계함과 함께 원수의 특성 및 처리용도에 따라 최적 단수의 부상분리조를 적용함으로써 부하변동에 따른 가변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응집 효율 및 부상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공정 중 하나인 부상분리공정은 미세기포에 오염물질을 부착시키고 기포의 부상력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수처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한국등록특허공보 제869312호). 하수처리분야의 경우 슬러지를 분리, 농축시킬 목적으로 부상분리공정을 적용하고 있으며, 정수처리분야의 경우 일반 부유물질 및 침전이 어려운 조류를 부상, 제거할 목적으로 부상분리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부상분리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포층을 깊게 유지하고 처리수의 유속흐름을 제어하여 표면부하율을 높이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상분리공정은 부상분리조 내의 유체 흐름이 일정 방향으로만 진행되어 조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유입수의 오염물질 부하율 변동에 따라 가변적으로 대처할 수 없으며, 상수처리에 적용하는 경우 조류가 유입되는 시기에만 운영됨에 따라 가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부상분리조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임에 따라 심미적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상분리조 내의 공간을 다단의 형태로 구성하고 부상분리조 내의 유체 흐름이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계함과 함께 원수의 특성 및 처리용도에 따라 최적 단수의 부상분리조를 적용함으로써 부하변동에 따른 가변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응집 효율 및 부상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는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벽은 부상분리조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각각의 분리벽은 부상분리조의 바닥 상에 구비되거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의 원수의 유체 흐름은 부상분리조 상부, 하부 및 중앙부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부상분리조는 외부 환경과 격리된 챔버 형태로 구성되어 상수처리장치 또는 하수처리장치의 일 지점으로의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위 부상조 하부에 미세기포를 주입하는 미세기포 공급노즐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부상분리조 상단부에 존재하는 악취의 공기를 상기 미세기포 공급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순환배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는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와,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대상으로 부상분리 공정을 진행하여 유입된 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와,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로부터 전달된 슬러지에 대해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및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에서 상기 생물반응조로 외부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탈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는,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상수처리장치는 원수와 응집제를 교반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혼화조와, 상기 혼화조에서 생성된 미세 플록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 중 어느 하나의 응집조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응집조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대상으로 부상분리 공정을 진행하여 유입된 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대상으로 중력 침강 분리하여 생산수를 생산하는 침전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는,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부상분리조를 다단 형태로 구성하고, 원수가 각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부상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슬러지 농축조 구성을 대체할 수 있고, 상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응집조의 구성 중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조류 유입시에도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응집조의 체류시간과 사용동력을 30~50% 이상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부상분리조가 외부 환경과 격리된 챔버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하수처리장치 또는 상수처리장치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상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상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부상분리조 내에 복수의 분리벽을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하여,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을 다단의 형태로 구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벽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부상분리조 내의 유체 흐름이 부상분리조의 상부와 하부뿐만 아니라 중앙부로도 진행되도록 하여 부상분리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부상분리조를 외부 환경과 격리된 챔버 형태로 구성하여 하수처리장치 또는 상수처리장치의 특정 공정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는 부상분리조(110)를 구비한다. 상기 부상분리조(110)는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조류 등의 오염물질을 부상시켜 원수를 스컴(scum)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상분리조(110) 내에는 복수의 분리벽(120)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상분리조(110) 내부의 공간은 분리벽(120)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공간(이하, 단위 부상조(111))으로 구분되며, 부상분리조(110)의 일측에서 공급되는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111)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된다.
상기 분리벽(120)은 부상분리조(110)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각각의 분리벽(120)은 부상분리조(110)의 바닥 상에 구비되거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원수는 분리벽(120)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이동되거나 분리벽(120)의 상부를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리벽(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리벽(120)에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된다. 분리벽(120)의 상부와 하부 공간뿐만 아니라 분리벽(120)의 개구부를 통해서도 원수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부상분리조(110) 내의 원수의 유체 흐름은 부상분리조(110) 상부, 하부 및 중앙부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상분리조(110) 내부의 전체 공간에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상이 원활하지 않은 조류 등을 용이하게 부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부상분리조(110)의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는 제 1 단의 분리벽과 마주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여 부상분리조(110)에 유입된 원수가 분리벽에 의해 상하 흐름으로 변동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수의 특성 및 처리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부상분리조(11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용도라 함은 상수처리용과 하수처리용으로 구분된다. 원수의 오염도가 크거나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상분리조(110)의 단수 즉, 단위 부상조(111)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으며(도 2a 및 도 2c 참조), 오염물질의 제거율이 낮더라도 신속한 부상분리 처리가 요구되면 상대적으로 단위 부상조(111)의 수를 줄이면 된다(도 2b 참조).
한편, 상기 부상분리조(110)의 단위 부상조(111) 하부에는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이 구비되며, 상기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을 통해 각각의 단위 부상조(111) 내부로 미세기포가 주입되고 주입된 미세기포는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조류 등의 오염물질과 결합되어 부상분리조(110) 상부로 부상된다. 상기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은 상기 부상분리조(110)의 일측에 구비된 기포발생장치(150)와 연결되어 미세기포를 공급받으며, 상기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은 부상분리조의 목표처리효율 및 유입부하에 따라 복수의 단위 부상조(111)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은 단위 부상조(111) 각각에 구비되거나 일부에만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의 전단에 구비된 조절밸브를 통해 각각의 미세기포 공급노즐(14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부상분리조(110)의 상단부에는 미세기포에 부착되어 부상된 오염물질 즉,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130)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부상분리조(110)가 하수처리 용도로 적용되는 경우, 부상분리조(110) 상단부에 존재하는 악취의 공기를 상기 기포발생장치(150)로 공급하는 공기순환배관(160)을 추가적으로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상분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함께 기포발생을 위한 별도의 공기 공급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분리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 부상분리장치를 외부 환경과 격리된 챔버 형태로 구성하여, 정수처리장치 또는 하수처리장치의 일 지점으로의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다는 점에도 특징이 있다. 즉, 챔버 형태의 부상분리장치를 정수처리장치의 응집지가 구비되는 위치 또는 하수처리장치의 침전지가 구비되는 위치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원수의 특성에 최적화된 정수처리공정 또는 하수처리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챔버 형태의 부상분리장치에 있어서, 부상분리조(110)의 상단부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개폐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적용된 수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처리장치는 처리용도에 따라 하수처리장치와 상수처리장치로 구분되는데, 먼저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하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하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하수처리장치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슬러지 농축조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100)의 부상분리 효율이 종래의 부상분리조보다 증대됨이 전제되며, 부상분리 효율의 증가는 슬러지의 농축도가 증대됨을 의미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별도의 슬러지 농축조가 요구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하수처리장치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물반응조(320) 전단과 후단에 각각 1차 침전조(310), 2차 침전조(330)를 구비키고, 2차 침전조(330)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슬러지 농축조(340)를 통해 농축시킨 후 농축된 슬러지를 탈수기(350)를 통해 탈수하는 형태로 공정이 진행되나, 본 발명에서는 2차 침전조(330) 및 슬러지 농축조(340)의 구성을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로 대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적용된 하수처리장치는 생물반응조(420), 다단 부상분리장치(100), 탈수기 및 탈기조(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생물반응조(420)의 전단에는 침전조(410)가 구비되어 원수에 대해 1차적인 침강 분리 공정이 선행될 수도 있다.
상기 생물반응조(420)는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혐기조(421), 무산소조(422) 및 호기조(4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혐기조(421)는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며, 상기 무산소조(422)에서는 탈질 반응이 진행되며, 상기 호기조(423)에서는 질산화 반응 및 인의 섭취가 진행된다.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는 상기 생물반응조(420)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대상으로 부상분리 공정을 진행하여 유입된 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의 상세 구성 및 그 역할은 도 1에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는 처리수조(430)로 공급되고, 분리된 슬러지는 상기 탈수기(44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일부는 생물반응조(420)의 혐기조(421) 또는 무산소조(422)로 외부 반송된다.
상기 탈수기(440)는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슬러지에 대해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는 높은 부상분리 효율에 의해 슬러지의 농축도가 큼에 따라 종래와 같은 슬러지 농축조를 통한 농축 처리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곧바로 탈수 처리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탈기조(450)는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로부터 외부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하며, 공기가 제거된 슬러지를 생물반응조(420)의 혐기조(421) 또는 무산소조(42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생물반응조(420) 자체의 내부 반송 없이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지만으로 외부 반송하는 경우(도 6 참조), 제 1 탈기조(451)와 제 2 탈기조(452)의 두 개의 탈기조를 구비시킬 수 있으며, 제 1 탈기조(451)는 슬러지를 탈기하여 무산소조(422)로 공급하고, 제 2 탈기조(452)는 제 1 탈기조(450)의 탈기 슬러지의 일부는 재차 탈기하여 혐기조(421)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상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상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상수처리장치의 응집조의 구성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상수처리장치는 단일 응집조의 응집 효율에 한계가 있어 복수의 응집조가 필연적으로 구비될 수밖에 없는데(도 7 참조),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를 적용하게 되면 단일 응집조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가 적용된 상수처리장치는 혼화조(510), 응집조(520), 다단 부상분리장치(100) 및 침전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혼화조(510)는 원수와 응집제를 교반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세부적으로 급속혼화조와 완속혼화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응집조(520)는 상기 혼화조(510)에서 생성된 미세 플록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는 상기 응집조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대상으로 부상분리 공정을 진행하여 유입된 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세부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100)에 상응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에 의해 생산된 처리수는 침전조로 이송되며, 상기 침전조는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대상으로 중력 침강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생산수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는 높은 부상분리 효율에 의해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우수함에 따라 종래의 복수의 응집조 구성을 대체할 수 있으며, 조류가 유입되지 않은 시기에도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를 통해 유체의 상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응집 효율을 향상시켜 시설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3개의 응집조 중 어느 하나의 응집조를 본 발명의 다단 부상분리장치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b와 같이 제 1 응집조(521)와 제 2 응집조(522) 사이에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를 적용하거나, 도 8c와 같이 제 1 응집조(521)와 제 2 응집조(522)의 후단에 다단 부상분리장치(10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다단 부상분리장치 110 : 부상분리조
111 : 단위 부상조 120 : 분리벽
130 : 스컴제거장치 140 : 미세기포 공급노즐
150 : 기포발생장치 160 : 공기순환배관
170 : 개폐구
111 : 단위 부상조 120 : 분리벽
130 : 스컴제거장치 140 : 미세기포 공급노즐
150 : 기포발생장치 160 : 공기순환배관
170 : 개폐구
Claims (6)
-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부상분리조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각각의 분리벽은 부상분리조의 바닥 상에 구비되거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의 원수의 유체 흐름은 부상분리조 상부, 하부 및 중앙부로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조는 외부 환경과 격리된 챔버 형태로 구성되어 상수처리장치 또는 하수처리장치의 일 지점으로의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부상조 하부에 미세기포를 주입하는 미세기포 공급노즐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부상분리조 상단부에 존재하는 악취의 공기를 상기 미세기포 공급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순환배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대상으로 부상분리 공정을 진행하여 유입된 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로부터 전달된 슬러지에 대해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및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에서 상기 생물반응조로 외부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탈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는,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 원수와 응집제를 교반하여 플록(floc)을 형성하는 혼화조;
상기 혼화조에서 생성된 미세 플록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집조;
상기 응집조 중 어느 하나의 응집조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응집조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대상으로 부상분리 공정을 진행하여 유입된 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대상으로 중력 침강 분리하여 생산수를 생산하는 침전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단 부상분리장치는,
복수의 분리벽을 구비하는 부상분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은 상기 부상분리조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부상분리조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벽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단위 부상조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은 원수의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상분리조에 유입된 원수는 이웃하는 단위 부상조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부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부상분리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6318A KR20150069782A (ko) | 2013-12-16 | 2013-12-16 |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6318A KR20150069782A (ko) | 2013-12-16 | 2013-12-16 |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9782A true KR20150069782A (ko) | 2015-06-24 |
Family
ID=5351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6318A KR20150069782A (ko) | 2013-12-16 | 2013-12-16 |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9782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7487A (ko) * | 2018-03-08 | 2018-03-14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대기공기를 이용한 용존공기부상 시스템 |
KR20180029993A (ko) * | 2018-03-08 | 2018-03-21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다중 부상 용존공기부상 시스템 |
WO2018164483A1 (ko) * | 2017-03-08 | 2018-09-13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수처리용 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
CN109928580A (zh) * | 2019-04-11 | 2019-06-25 | 崔潇月 | 一种治理绿藻过度生长的方法 |
US10829392B2 (en) | 2015-10-29 | 2020-11-10 |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
CN113321260A (zh) * | 2021-03-31 | 2021-08-31 | 华北理工大学 | 竖流式双流程气浮分离装置 |
KR102372917B1 (ko) | 2020-11-09 | 2022-03-08 | 안영정 | 효율성이 향상된 수처리 장치 |
-
2013
- 2013-12-16 KR KR1020130156318A patent/KR201500697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29392B2 (en) | 2015-10-29 | 2020-11-10 |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
WO2018164483A1 (ko) * | 2017-03-08 | 2018-09-13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수처리용 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
CN110382420A (zh) * | 2017-03-08 | 2019-10-25 |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 水处理用污染物质去除系统 |
KR20180027487A (ko) * | 2018-03-08 | 2018-03-14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대기공기를 이용한 용존공기부상 시스템 |
KR20180029993A (ko) * | 2018-03-08 | 2018-03-21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다중 부상 용존공기부상 시스템 |
CN109928580A (zh) * | 2019-04-11 | 2019-06-25 | 崔潇月 | 一种治理绿藻过度生长的方法 |
KR102372917B1 (ko) | 2020-11-09 | 2022-03-08 | 안영정 | 효율성이 향상된 수처리 장치 |
CN113321260A (zh) * | 2021-03-31 | 2021-08-31 | 华北理工大学 | 竖流式双流程气浮分离装置 |
CN113321260B (zh) * | 2021-03-31 | 2022-10-25 | 华北理工大学 | 竖流式双流程气浮分离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69782A (ko) | 다단 부상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
EP2508483B1 (en) |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JP4910415B2 (ja) |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 |
KR101491001B1 (ko) | 다단 부상분리장치 | |
CN201485304U (zh) | 膜加强的气浮沉淀装置 | |
KR20160029272A (ko) |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 |
CN106904680A (zh) | 一种气浮机 | |
KR20120092236A (ko) |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 |
JP2008012466A (ja) | 水処理装置 | |
JP2007038167A (ja) | 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JP2006205155A (ja) |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 |
KR101634292B1 (ko) | 변형 a2o공법에 기반한 유동상여재 활용 수처리시스템 | |
KR20160084631A (ko) | 팩키지형 오수처리시설 | |
CN110678244B (zh) | 沉淀和漂浮分离工序一体化高效率沉淀漂浮系统以及其驱动方法 | |
JP5771037B2 (ja) | 汚水処理装置 | |
JP5270247B2 (ja) |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 |
KR100628481B1 (ko) | 수처리 처리장치 및 공정 | |
KR102026130B1 (ko) |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 |
KR20010090404A (ko) | 오폐수처리장치 | |
RU173043U1 (ru) | Устройство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RU173044U1 (ru) | Устройство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CN104591480A (zh) | 浸没式膜反应器处理生活污水方法 | |
CN106517568A (zh) | 精细化含油污水处理装置 | |
KR101629834B1 (ko) | 이동형 부상분리 현탁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탁물질 제거방법 | |
CN212102104U (zh) | 废水物理破乳的模块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