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404A -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404A
KR20010090404A KR1020000015362A KR20000015362A KR20010090404A KR 20010090404 A KR20010090404 A KR 20010090404A KR 1020000015362 A KR1020000015362 A KR 1020000015362A KR 20000015362 A KR20000015362 A KR 20000015362A KR 20010090404 A KR20010090404 A KR 20010090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tank
floc
impurities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화
송의천
나가라쿠니타케
Original Assignee
김병화
송의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송의천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102000001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0404A/ko
Publication of KR2001009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분해에 의한 오폐수처리를 함에 있어서 전처리를 하지 않고 비중이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불순물을 확실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전해부상조 내의 전극유닛 아래쪽에 침전실을 전해부상조와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침전실의 밑바닥에 미세 에어를 분출하는 산기관을 설치하고,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은 미세 에어에 의해 전극유닛 위쪽으로 상승시키는 한편,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불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은 침전실의 밑부분으로 침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전극유닛의 위쪽에는 보조약품 투입구와 U.V 발생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처리수가 유출되는 부위에는 보조 전극유닛을 설치하여 오폐수의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처리수에 스컴이 혼입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처리장치{The sewag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발생하는 콜로이드에어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공장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의 양이 점차 많아져 깨끗한 물이 점차 오염되어 이제는 직접 식수로 이용할 수 없음은 물론 정류한 물도 마시기를 꺼려할 정도로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그러므로 공장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켜 배출함으로써 강의 오염 및 바다와 농토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공장배수나 생활하수 등의 오폐수를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정화하는 오폐수정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즉, 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20~30㎛의 미세한 산소가스 기포와 10~20㎛의 미세한 수소가스 기포, 이른바 콜로이드에어를 발생시켜서,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과 확산력에 의하여 오폐수 중의 부유물질과 현탁물질 등의 불순물을 빨리 활성상태가 되게 하여 산화환원반응을 일어나게 하고,
이 반응에 의하여 불순물을 응집,결합하여 플록을 형성하고 여기에 콜로이드에어가 흡수, 흡착되면 플록이 부상하도록 하고,
부상한 플록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상기와 관련된 특허는 특개소62-227694호, 특개평2-21994호, 특개평4-276988호, 특개평5-50070호, 특개평5-208191호, 특개평5-212385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한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들은 모두 콜로이드에어가 전극유닛으로부터 전해부상조의 전역에 퍼져가면서 상승하며 확산되므로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과 확산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고, 비중이 큰 플록이나 불순물을 상승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상중인 플록이 처리수에 재분산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플록과 불순물의 비중이 큰 경우에 플록과 불순물이 전해부상조의 밑부분에 침전하고 이러한 침전물이 전극유닛에 퇴적되면 전극유닛의 부식 등 악영향이우려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비중이 큰 현탁물질과 부유물질 등의 불순물을 미리 전처리에 의거 제거하도록 한 장치도 특개평2-122877호와 특개평4-131185호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은 전해부상조 외에 또 다른 전처리조를 설치하면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처리를 하지 않고 비중이 상이한 여러 가지 종류의 불순물을 확실히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단 분리된 불순물이나 가스 성분이 처리수에 유입되어 처리수 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장치는 전해부상조의 밑부분에 전극유닛을 설치하여 전극유닛에서 발생하는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과 확산력에 의하여 전해부상조내의 오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응집결합시켜서 플록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플록에 콜로이드에어를 흡수 또는 흡착시켜서 수면상에 부상시킨 후 기계적으로 긁어내어 분리시키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전해부상조내의 전극유닛의 아래쪽에 침전실을 상기 전해부상조와 연결해서 설치하여 상기 침전실의 밑부분에는 미세한 에어를 분출하는 산기관을 설치함으로써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을 미세한 에어에 의해 전극유닛 위쪽으로 상승시키는 한편,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불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을 침전실의 밑부분에 침전시키도록 한다.
이는 공장배수나 생활하수 등 고농도의 배수를 처리할 경우 혹은 해수를 담수화 처리하는 경우 등 광범위하게 적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가능한 비중의 불순물과 처리불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을 미세한 에어에 의해 분리하여 처리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은 전극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 및 확산력에 의해 플록화하여 수면에 부상시키는 한편 처리불가능한 불순물은 전극유닛의 아래쪽으로 침전되도록 한다.
침전된 불순물이 많은 경우는 간단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므로 침전실의 바닥에는 침전물 배출관을 만들어 침전실내의 전극유닛과 산기관 사이에는 그 경사윗면에서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불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을 침전물 배출관으로 안내하고, 경사하면에서 최소한 1개이상 설치하는 경사판에 의해 청정수를 전극유닛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이 경우 경사판을 침전실에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면 비중의 변화 등 불순물의 특성변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게 된다.
전해부상조에 있어서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유통면적은 일정하게 해도 좋겠으나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비중이 비교적 큰 불순물도 전극유닛 위쪽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모든 불순물을 처리가능하도록 콜로이드에어의 충분한 상승력 및 확산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해부상조내의 전극유닛과 수면 사이에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유통면적이 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경변화부를 만드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승통로를 통과하는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콜로이드에어의 충분한 상승력 및 확산력이 확보되어 비중이 비교적 큰 플록이나 불순물도 확실히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오폐수처리의 운전상태, 오폐수의 종류, 물질의 성질 등에 따라 구경변화부의 상승유통면적의 변화율을 바꿔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생길 수도 있다. 이때에는 별도로 제작한 구경이 다른 구경변화부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교환작업 또한 번거롭다.
따라서 구경변화부를 ①전해부상조의 내벽면과 구경변화부의 내벽면을 따라서 늘어선 구경변동판으로 구성하고 ②구경변동판을 전해부상조의 내벽면과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전해부상조에 유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처리해야할 오폐수에 맞추어서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속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수면상에 떠오른 플록이 어떤 원인, 예를 들면 큰 비중에 의해 침강한 경우, 그것이 처리가 끝난 처리수에 혼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①전해부상조 내에는 구경변화부의 측면에 구경변화부의 아래쪽과 수면사이에 통하는 안내통로를 설치하며, 그 안내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마련한다. ②경사상면이 수면에서 침강하는 불순물을 구경변화부의 아래쪽으로 안내하며, 경사하면은 청정수를 수면쪽으로 안내하는 경사판의 성질을 이용하여 침강하는 플록을 재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처리가 끝난 처리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③나아가 청정수의 작용에 의하여 플록과 정화수의 분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 경사판은 그 경사각도를 가변으로 하면 플록의 비중차이 등의 성질변화에 신속,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해부상조의 하단부에 보조약품 투입구를 형성하여 오폐수의 특성에 따라 산화제나 환원제를 투입하면서 화학반응을 돕도록 한다.
그리고 플록이 상승하는 경로에 U.V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자외선의 생화학 작용에 의해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를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처리수가 유출되는 부위에는 보조 전극유닛을 설치하여 2차 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콜로이드에어가 상부 및 내측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처리수에 유입된 가스를 분리하여 스컴배출관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오폐수처리장치. 2. 전해부상조
15. 전극유닛 16. 침전실
24. 산기관 26. 침전물배출관
27. 경사판 28 : 보조약품 투입구
29 : U.V 발생장치 30 : 보조 전극유닛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오폐수처리장치(1)는 전해부상조(2)가 부상조 및 분리조의 기능을 병행하는 대략적인 각통형으로 전해부상조(2)의 상단에는 플록 배출조(3)가 도1의 좌측으로 연장되고 처리수 회수조(4)가 도1의 우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다.
전해부상조(2)의 위쪽으로는 플록배출장치(5)를 배설한다.
상기 처리수 회수조(4)에는 도1의 우측방향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수위조정변을 구비한 처리수 저류부(6)를 형성하여 처리된 처리수가 회수관(7)을 통하여 회수되도록 하는 한편, 처리수 저류부(6)의 처리수 입구에는 언판(堰板)(8)을 그 밑부분이 수면에 약간 침지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언판(8)에 의해 처리수 저류부(6)내에 플록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한다.
상기 플록 배출장치(5)에는 플록 배출조(3) 및 처리수 회수조(4)의 언판(8) 위쪽에 로울러(9)(10)를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9)(10)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크레이퍼(scraper)(11)가 소정의 간격으로 취부된 벨트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의 로울러(9)(10)는 구동 모터(12)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스크레이퍼(11)를 이동시켜 상기 스크레이퍼(11)에 의해 전해부상조(2)의 수면상에 부상한 플록층(13)을 긁어내어 배출조(3)의 저벽에 접속된 배출관(14)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전해부상조(2)의 아래쪽에는 링형태의 양극판과 물결형태의 음극판을 조합한 형태와 같은 전극유닛(15)을 설치하여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을 저전압 고전류의 상태로 공급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소가스와 수소가스 기포로 된 미세한 콜로이드에어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음극판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 기포 직경은 10~20㎛, 발생가스량은 6.95cc/A.초(o℃), 양극판에서 발생하는 산소가스의 기포직경은 20~30㎛, 발생가스량은 3.5cc/A.초(o℃)정도, 기포 밀도는 0.5g/리터(20℃)정도이다.
또한 전해부상조(2)의 아래쪽 침전실(16)에는 하부 유입구(17)를 형성하면서 전해부상조(2)의 우측벽(2b)의 전극유닛(15)의 바로 위의 닿는 부분에는 상부 유입구(18)를 형성하여 오폐수의 종류나 물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해부상조(2)에는 구경변동판(19)을 전해부상조(2)의 좌측벽(2c)에 따라 연장되어 경사를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구경변동판(19)과 전해부상조(2)의 좌측벽(2c) 및 전면벽 및 후면벽들에 의해 위쪽으로 갈수록 통로면적이 좁게된 구경변환되는 상승통로(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변동판(19)의 하단은 축(21)에 의해 전해부상조(2)의 전면벽 및 후면벽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축(21)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승통로(20)의 통로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해부상조(2)의 우측벽(2b)의 위쪽 부분은 바깥쪽으로 경사가 지고 상기 경사부(2d) 및 전해부상조(2)의 전면벽 및 후면벽과 상기 구경변동판(19)들에 의해 상승통로(20)와 별도의 안내통로(2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통로(22)에 의해 전극유닛(15)의 위쪽에서 상승통로(22)의 아래쪽과 처리수 회수조(4)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의 안내통로(22)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3장정도)의 경사판(23)을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 각 경사판(23)이 구경변동판(19)과 같은 모양의 구조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수면에 대하여 40-70도 범위로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전실(16)의 밑바닥(16a)에는 미세 에어를 분출하는 산기관(24)을 설치하여 공기공급관(25)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산기시키도록 한다.
상기 침전실(16)의 산기관(24)의 앞쪽벽에는 침전물 배출관(26)을 설치하여 침전실(16)내에서 전극유닛(15)과 산기관(24)과의 사이에 평행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5장정도) 하부경사판(27)의 경사상면에 의해 분리되는 콜로이드에어로 처리불가능한 비중의 불순물들을 침전물 배출관(26)을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사하면에 의해서는 청정수를 전극유닛(15)쪽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비중이 작은 불순물을 지닌 오폐수는 상부 유입구(18)를 통해 전해부상조(2)에 투입한 후 전극유닛(15)에 저전압의 고전류를 통전하면 전극유닛(15)으로부터 미세한 콜로이드에어가 발생하여 상승통로(19)를 경유하여 상승하는 중에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 및 확산력에 의해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물질이나 부유물질 등의 불순물이 응집 결합되어 플록을 형성한다.
추가로 콜로이드에어가 흡착되어 부상력을 갖는 플록은 수면까지 부상하고 수면 위에 퇴적하여 플록층(13)은 스크레퍼(11)에 의해 긁어모아져 배출관(14)으로 배출된다.
또한 비중이 큰 불순물을 지닌 오폐수는 하부 유입구(17)로부터 침전실(16)내에 투입되도록 하면서 산기관(24)을 통해 미세에어를 분출시키면, 콜로이드에어로 처리불가능한 큰 비중의 불순물은 하부경사판(27)에 의해 침전물 배출관(26)으로 안내되어 침전되는 한편, 콜로이드에어로 처리가능한 비중의 불순물은 미세 에어에 의해 전극유닛(15)의 위쪽으로 이동된 다음에 상기와 같이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승통로(20)는 위로 갈수록 좁아지기 때문에 상승통로(20)를 통하는콜로이드에어는 점차로 그 상승 속도가 가속되어 충분한 상승력 및 확산력을 얻게 되어 불순물의 응집 결합이 촉진되므로 플록의 상승 및 분리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전해부상조(2)의 좌측벽(2c) 전극유닛(15)의 바로 위에는 보조약품 투입구(28)를 형성하여 오폐수의 특성에 따라 산화제나 환원제를 투입하면서 화학반응을 돕도록 한다.
그리고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되는 플록이 상승하는 전면벽에 U.V 발생장치(29)를 설치하여 자외선의 생화학 작용에 의해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를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처리수가 회수관(7)을 통하여 회수되는 언판(8)의 좌측에는 보조 전극유닛(30)을 설치하여 2차 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콜로이드에어가 상부 및 내측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처리수에 유입된 가스를 분리하여 스컴 배출관(14)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상승통로(20)를 통하여 상승되고 가스가 완전히 제거된 처리수는 처리수 회수조(4)에서 언판(8)에 의해 플록층(13)과 분리되어 처리수 저류부(6)을 지나 회수관(7)으로 회수된다.
하지만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콜로이드에어의 충분한 상승력이 확보되는 결과 수면의 플록층(13)내에는 처리수보다 비중이 큰 플록이나 불순물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플록이 플록층(1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침강하게 되면 경사판(23)의 경사상면에 따라 하강시 상승통로(20)내에 재도입되어 콜로이드에어의 작용에의해 다시 플록층(13)에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경사판(23)은 그 경사 상면측으로는 청정수를 안내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상기 청정수는 플록층(13)과 처리수의 분리를 촉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전해부상조(2)의 아래쪽에 침전실(16)을 설치하여 미세한 에어의 분출에 의해 비중이 큰 불순물과 작은 불순물을 분리한 후, 비중이 작은 불순물을 콜로이드에어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전처리조에 의한 분리, 제거가 불필요하고 1대의 전해부상조로 비중이 다른 불순물의 처리가 가능하며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미세 에어에 의해서도 상승시킬 수 없는 무거운 불순물은 경사판(27)을 통해서 침전물 배출관(26)의 위치로 침전시키므로 상기 배출관(26)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가능하며 이렇게 하므로 불순물의 처리를 단시간에 할 수가 있어 처리능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부상조(2)내에 구경변동판(19)을 설치하여 콜로이드에어의 상승통로(20)를 위쪽으로 갈수록 좁게 하였으므로 상승통로(20)를 통과하는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속도가 점차로 가속이 붙어 플록의 형성 및 부상을 짧은 시간에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오폐수의 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여 처리효율 즉, 처리량을 대폭 늘릴 수 있어 전해부상조를 소형화하여 필요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구경변동판(19)에 의해서 콜로이드에어의 상승유통면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오폐수처리의 운전상태, 오폐수의 종류나 물성에 따라서 상승유통면적을 자유로 설정하여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 및 확산력을 조정할 수가있어 추가로 처리능력 향상을 가능케한다.
또한 상승통로(20)와는 별도로 안내통로(22)을 설치하여 내부의 경사판(23)에 의해 플록층(13)으로부터 침강하는 플록을 상승통로(20)의 안쪽으로 재유입되도록 하였으므로 처리수에 플록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경사판(23)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침하하는 플록의 종류나 물성에 대응하여 경사각도를 자유로 설정 가능하게 하여 플록의 물성 변화 등에 대응하여 신속한 재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유닛(15)을 링형태의 양극판과 물결형태의 음극판 등으로 구성하여 전해부상조(2)내의 배치 스페이스를 크게 하지 않고 필요한 전극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콜로이드에어의 충분한 상승력 및 확산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처리능력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장치에 의하여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부상조의 전극유닛 아래쪽에 침전실을 설치, 상기 침전실 내부에서 미세 에어를 분출시켜 비중이 큰 불순물을 분리, 비중이 큰 불순물은 침전실의 밑부분으로 침전시키는 한편 비중이 작은 불순물은 미세에어에 의해 전극유닛의 위쪽으로 상승시켜 전극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콜로이드에어의 상승력 및 확산력에 따라 플록화되어 수면까지 부상시켜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처리조에 의해 제거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1개의 전해부상조에서 비중이 다른 여러 종류의 불순물을 동시에 처리할 수가 있고, 전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해부상조의 하단부에 보조약품 투입구를 형성하여 오폐수의 특성에 따라 산화제나 환원제를 투입하면서 화학반응을 돕도록 한다.
그리고 플록이 상승하는 경로에 U.V 발생장치를 설치하여 자외선의 생화학 작용에 의해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를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처리수가 유출되는 부위에는 보조 전극유닛을 설치하여 2차 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콜로이드에어가 상부 및 내측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처리수에 유입된 가스를 분리하여 스컴배출관로 배출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해부상조의 밑부분에 전극유닛을 설치하여, 전극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콜로이드 에어의 상승력과 확산력에 의하여 상기 전해부상조내의 오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응집, 결합시켜서 플록을 형성시키고, 그 플록을 콜로이드에어에 흡수 또는 흡착시켜서 수면위에 부상시킨 후, 상기 플록을 기계적으로 긁어내어 분리하도록 한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전해부상조(2)의 아래쪽 침전실(16)에는 하부 유입구(17)를 위쪽에는 상부오폐수유입구(18)를 설치하고,
    상기 전해부상조(2)에는 구경변동판(19)을 좌측벽(2c)에 따라 연장되어 경사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면서 하단을 축(21)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전해부상조(2)의 우측벽(2b)에는 안내통로(22)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그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판(23)을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침전실(16)의 밑바닥(16a)에는 미세 에어를 분출하는 산기관(24)을 설치하여 공기공급관(25)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산기시키도록 하고,
    상기 침전실(16)의 산기관(24)의 앞쪽벽에는 침전물 배출관(26)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는 평행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하부경사판(27)을 설치하고,
    상기 전해부상조(2)의 좌측벽(2c) 전극유닛(15)의 바로 위에는 보조약품 투입구(28)를 형성하고,
    플록이 상승하는 전면벽에는 U.V 발생장치(29)를 설치하고,
    상기의 처리수가 회수관(7)을 통하여 회수되는 언판(8)의 좌측에는 보조 전극유닛(30)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장치.
KR1020000015362A 2000-03-25 2000-03-25 오폐수처리장치 KR20010090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362A KR20010090404A (ko) 2000-03-25 2000-03-25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362A KR20010090404A (ko) 2000-03-25 2000-03-25 오폐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17U Division KR200310882Y1 (ko) 2003-01-15 2003-01-15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404A true KR20010090404A (ko) 2001-10-18

Family

ID=1965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362A KR20010090404A (ko) 2000-03-25 2000-03-25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040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003A (ko) * 2000-11-01 2002-05-08 황부연 폐수정화 시스템
KR20020062502A (ko) * 2001-01-22 2002-07-26 한무영 전기부상에 의한 산업폐수에서의 무기입자 제거방법
KR100457957B1 (ko) * 2002-01-11 2004-11-18 김병화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유기슬러지의 감량화방법
KR100630279B1 (ko) 2004-09-16 2006-09-29 에스아이비(주) 전기분해 응집부상방식 수처리장치
CN107522327A (zh) * 2017-09-30 2017-12-2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电絮凝‑沉淀‑高级氧化一体化造纸废水处理装置
KR101961715B1 (ko) * 2018-07-18 2019-03-25 (주) 삼진정밀 고효율 수처리장치
CN117302285A (zh) * 2023-11-30 2023-12-29 吉林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高速动车组排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94A (ja) * 1988-07-12 1990-01-24 Takao Katsuragi 電解浮上装置の構造
JPH04267988A (ja) * 1991-02-22 1992-09-24 Syst Geito Kk 電気浮上装置
JPH10305283A (ja) * 1997-05-02 1998-11-17 Ootsubo Sangyo Kk 汚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94A (ja) * 1988-07-12 1990-01-24 Takao Katsuragi 電解浮上装置の構造
JPH04267988A (ja) * 1991-02-22 1992-09-24 Syst Geito Kk 電気浮上装置
JPH10305283A (ja) * 1997-05-02 1998-11-17 Ootsubo Sangyo Kk 汚水処理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003A (ko) * 2000-11-01 2002-05-08 황부연 폐수정화 시스템
KR20020062502A (ko) * 2001-01-22 2002-07-26 한무영 전기부상에 의한 산업폐수에서의 무기입자 제거방법
KR100457957B1 (ko) * 2002-01-11 2004-11-18 김병화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유기슬러지의 감량화방법
KR100630279B1 (ko) 2004-09-16 2006-09-29 에스아이비(주) 전기분해 응집부상방식 수처리장치
CN107522327A (zh) * 2017-09-30 2017-12-2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电絮凝‑沉淀‑高级氧化一体化造纸废水处理装置
CN107522327B (zh) * 2017-09-30 2020-08-1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电絮凝-沉淀-高级氧化一体化造纸废水处理装置
KR101961715B1 (ko) * 2018-07-18 2019-03-25 (주) 삼진정밀 고효율 수처리장치
CN117302285A (zh) * 2023-11-30 2023-12-29 吉林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高速动车组排水装置
CN117302285B (zh) * 2023-11-30 2024-02-20 吉林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高速动车组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685B2 (en) Multistage DAF-advanced oxidation system
RU228259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тления жидкостей, в частности воды, насыщенных материалом в виде суспензии
KR101362858B1 (ko)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CN201485304U (zh) 膜加强的气浮沉淀装置
KR101030075B1 (ko) 전기응집 부상방식의 방류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KR20160032067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101261839B1 (ko) 반류수 처리장치
KR20010090404A (ko) 오폐수처리장치
KR102093758B1 (ko)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CN219072151U (zh) 用于钢铁废水的一体化预处理系统
KR19980043088A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0678244B (zh) 沉淀和漂浮分离工序一体化高效率沉淀漂浮系统以及其驱动方法
KR100576348B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200310882Y1 (ko) 오폐수처리장치
CN215102427U (zh) 一种实用的一体化气浮装置
KR20010048040A (ko) 전기응집과 용존공기부상을 병용한 수처리방법 및수처리장치
CN113443758A (zh) 垃圾渗滤液全量化预处理装置、处理系统以及处理方法
KR101045878B1 (ko) 상하수 고도 처리를 위한 고효율 하이브리드 침전지
CN111573972A (zh) 研磨超声波清洗废水零排放回用或达标处理系统及工艺
KR200227263Y1 (ko)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킨 경사판침전조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20020068311A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