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682A -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682A
KR20150068682A KR1020130154629A KR20130154629A KR20150068682A KR 20150068682 A KR20150068682 A KR 20150068682A KR 1020130154629 A KR1020130154629 A KR 1020130154629A KR 20130154629 A KR20130154629 A KR 20130154629A KR 20150068682 A KR20150068682 A KR 2015006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touch inputs
inputs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045B1 (ko
Inventor
김영호
이호신
지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45B1/ko
Priority to US14/568,288 priority patent/US9652143B2/en
Priority to EP14197754.6A priority patent/EP2905690B1/en
Publication of KR2015006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 터치입력 감지시 터치입력 수를 분석한 후, 터치입력 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고,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 입력의 스케일을 분석하여 설정된 제스쳐 입력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LLING AN INPUT OF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DEVICE}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스크롤 및 제스쳐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터치 입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표시되는 화면에서 하나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고, 둘 이상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일률적으로 제스쳐 입력으로 판단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가 이미지 또는 브라우져와 같은 전자문서를 조작할 때 터치 입력 개수가 1이면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른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고, 터치 입력 개수가 2 이상인 경우는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여 줌인/줌아웃과 같은 제스쳐 동작을 수행토록 하였다.
이런 경우, 전자장치는 터치입력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을 트래킹하고, 이를 계산하여 실시간으로 스크롤 또는 제스쳐 동작을 수행토록 하였다. 예를 들어, 휴대 터치 장치가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개수가 10개인 경우 사용자는 실제 10개의 손가락을 하나의 화면에 터치한 상태에서 이들 간의 물리적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반면 이 경우에도 한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동작은 크게 불편함이 없다. 이러한 사용자 행동 패턴의 제약은 화면 크기가 작은 경우는 더욱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제한된 밧데리 용량 문제로 인해 휴대 단말의 사용 시간이 제약되는 스마트폰 및 탭의 경우는 이러한 불필요한 터치 입력 트래킹 및 계산으로 전력 소모가 추가로 발생하여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터치 기반 휴대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수개의 터치 입력이 들어와 스크롤 및 제스쳐 동작을 유발하여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터치 입력 개수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으로 전자문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터치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터치입력 제어 방법이, 터치입력 감지시 터치입력 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 입력의 스케일을 분석하여 설정된 제스쳐 입력으로 상기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터치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터치입력 제어 방법이, 터치입력 감지시 터치입력 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 범위 이외의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범위 내의 터치입력 수이면 터치 스케일을 판단하며, 터치 스케일이 일정하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정범위는 2 이상의 특정 터치입력수 들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 범위의 터치입력 수는 연속되는 수들 또는 불연속되는 수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자장치가,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디바이스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설정 터치입력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터치디바이스에서 터치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터치입력수와 비교하며, 상기 터치입력 수가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스크롤 제어하며,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 입력의 스케일을 판단하여 설정된 제스쳐 기능으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발생될 때 터치입력의 스케일 분석을 하지 않고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복수의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불필요한 계산 없이 터치 입력 개수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으로 전자문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가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의 수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10개의 손가락들을 모두 터치하면, 전자장치는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10개의 손가락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각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사용하고 있는 터치 입력의 개수는 10개 이하가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실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개수를 max value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장치는 터치입력 감지시 한 개의 터치 입력 또는 설정된 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이를 스크롤 입력으로 감지하여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복수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장치는 설정된 수의 터치입력이 아니면 터치 스케일을 판단하여 제스쳐 또는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한다.
도 1은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장치, TV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0은 터치 입력 감지시 터치 입력의 수를 검출하며, 검출된 터치입력의 수가 하나 또는 설정된 수인 경우에는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터치 입력의 스케일 변화에 따라 설정된 기능의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한다.
저장부110은 전자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2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전자장치의 입력들을 검출한다. 여기서 입력부140은 터치패널(touch panel, touch device)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은 터치패널에 터치되는 입력 또는 호버링되는 입력의 위치(좌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140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또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은 펜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예를들면 EMR 센서패드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 패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가 휴대전화기인 경우, 통신부 및 센서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기지국 또는 인터넷 서버 등과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MAX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장치가 휴대전화기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LTE, WIFI, bluetooh, NFC 등의 통신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전자장치의 움직임(액션)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가속도센서, 지자기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기울기(tilt) 및/또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장치에서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입력부130은 터치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하며,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부130에서 검출되는 터치 입력들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의 수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은 복수의 터치입력들 중에서 설정된 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이를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기 위한 터치 입력 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설정 터치입력 수(predetermined value)"라는 용어는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의 수가 하나 또는 설정 터치입력 수로 감지되면, 터치입력의 이동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하는 입력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는 3 이상의 터치 입력 중에서 선택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부130으로부터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스크롤을 수행할지, 제스쳐를 수행할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전자장치는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에 따라 스크롤 입력 또는 제스쳐 입력으로 판단한다.
먼저 상기 터치입력의 수가 1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며, 상기 터치입력의 이동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되도록 제어한다.
두 번째로 확인된 터치입력의 개수가 1보다 큰 임의의 값이면 설정 터치입력 수와 비교한다. 이때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개수(max value)가 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스케일 인자를 트래킹할 때 다량의 연산이 필요하여 소모 전력을 유발시키는 특정 터치 입력의 개수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스크롤만이 용이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실 예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제스쳐보다는 스크롤 동작이 자연스러움으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설정 터치입력 수 가 될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기 설정된 비교 값과 일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20의 화면 스크롤만을 수행하게 된다.
세번째로 터치 입력의 개수가 1이 아니면서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된 입력들의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게 된다. 스케일 인자는 1개 이상의 터치 입력이 동일 방향으로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1'의 값을 갖게 되며, 이 경우도 전자문서의 스크롤을 수행하게 된다.
네번째로 1개 이상의 터치 입력들이 감지되고, 감지된 터치입력의 개수가 설정 터치입력의 수가 아니면서 터치입력들이 서로 간에 이격되면 스케일 인자는 1 초과 또는 1 미만이 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터치입력들을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한다. 예를들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스케일 인자의 변화가 1을 초과하면 상기 표시부120의 화면을 줌인 제어하여 표시하며, 1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120의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일 인자는 터치 좌표들 간의 거리의 변화 또는 면적의 변화를 통해 결정되는 것으로, 거리 또는 면적의 변화가 일정 임계값 이내이면 스케일 인자가 1로 결정되며, 임계값을 벗어나면 1 초과 또는 1 미만의 값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터치입력 감지시 터치 입력의 수를 확인하여 스크롤 또는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한다. 이때 하나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스크롤 입력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발생되면 설정된 터치입력 수인가를 검사하며, 설정 터치입력 수이면 해당 터치입력들을 스크롤 입력으로 제어한다. 그러나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입력들의 스케일 인자를 분석하며, 스케일 인자가 일정하면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제어하고, 상기 스케일 인자가 커지거나 작아지면 해당 터치입력을 제스쳐(예를들면 줌인 또는 줌아웃) 입력으로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스쳐 입력은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입력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표시부130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결과 및/또는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정보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정보는 복수의 페이지 또는 큰 화면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표시되는 정보를 스크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정보(예를들면 이미지, 문서 등)를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하여 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화면의 크기를 확대/축소할 때, 사용자는 표시부120 상에 하나 이상의 터치입력을 발생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부13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스크롤을 수행할지 또는 제스쳐를 수행할지를 판단하기 위해 터치입력의 수를 검사한다. 다음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설정된 터치 입력 수와 같은가 상기 제어부100이 211단계에서 검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터치입력의 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개수(max value)가 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스케일 인자를 트래킹할 때 다량의 연산이 필요하여 소모 전력을 유발시키는 특정 터치 입력의 개수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스크롤만이 용이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실 예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제스쳐보다는 스크롤 동작이 자연스러움으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설정 터치입력 수 가 될수 있다.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와 같은 값을 가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된 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각 터치입력들의 스케일 분석을 하지 않고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손가락의 터치에 따른 서로 다른 터치 거리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3개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3개의 모든 움직임을 트래킹하지 않고 가운데 터치 입력의 움직임만을 트래킹하여 스크롤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3개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가장 큰 움직임을 가지는 터치입력을 트래킹하여 스크롤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터치입력 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에서 터치입력의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의 정보를 스크롤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211단계에서 설정 터치입력의 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221단계에서 터치입력의 수가 1개인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터치 입력의 개수가 1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3단계에서 터치입력의 이동을 검사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정보의 스크롤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의 개수가 1개 아니고, 또한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의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일 인자는 1개 이상의 터치 입력이 동일 방향으로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1'의 값을 갖게 되며, 복수의 터치 입력들이 서로 간에 이격되면 1을 초과하거나 또는 1보다 작게된다. 상기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231단계에서 상기 스케일인자가 1인가 검사한다. 상기 스케일 인자는 터치 좌표들간의 거리의 변화 또는 면적의 변화를 통해 결정되는 것으로 거리 또는 면적의 변화가 일정 임계값 이내이면 스케일 인자가 1로 결정되며, 임계값을 벗어나면 1 초과 또는 1 미만의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케일인자가 1이면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스케일은 변하지 않으면서 일정하게 움직임을 의미하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2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3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움직임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그러나 상기 231단계에서 복수의 터치 입력들이 서로간에 이격되면 스케일 인자는 1 초과 또는 1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33단계에서 제스쳐 입력으로 판단하여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233단계에서 스케일 인자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의 정보들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스케일인자가 1보다 크면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하, 1보다 작으면 표시되는 화면을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입력 감지시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의 수를 분석한다. 이때 터치입력의 수가 1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한 후 터치입력의 이동에 따라 표시부130의 화면을 스크롤 제어한다.
그러나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1보다 크면(즉, 복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터치입력의 수가 설정된 터치입력 수와 같은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터치입력의 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개수(max value)가 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스케일 인자를 트래킹할 때 다량의 연산이 필요하여 소모 전력을 유발시키는 특정 터치 입력의 개수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스크롤만이 용이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실 예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제스쳐보다는 스크롤 동작이 자연스러움으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설정 터치입력 수 가 될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와 같은 값을 가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에서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된 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각 터치입력들의 스케일 분석을 하지 않고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의 개수가 1개 아니고, 또한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의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다. 상기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331단계에서 상기 스케일인자가 1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스케일인자가 1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3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움직임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그러나 상기 331단계에서 스케일 인자가 1 초과 또는 1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3단계에서 제스쳐 입력으로 판단하여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333단계에서 스케일인자가 1보다 크면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하, 1보다 작으면 표시되는 화면을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제2실시예와 상기 도 2의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먼저 터치 입력의 개수가 '1'인지를 먼저 판단한다. 이때 터치입력의 개수가 1이면 스크롤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터치입력의 개수가 1 초과인 경우 다시 한번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와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설정된 값과 비교를 하게 된다. 상기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설정된 값은 본 발명에서는 설정터치 입력 수로 정의하며, 상기 설정 터치입력의 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개수(max value)가 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스케일 인자를 트래킹할 때 다량의 연산이 필요하여 소모 전력을 유발시키는 특정 터치 입력의 개수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스크롤만이 용이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실 예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제스쳐보다는 스크롤 동작이 자연스러움으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설정 터치입력 수 가 될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기 설정된 비교 값과 일치하게 되면 스크롤을 수행하게 된다. 두번의 판단 결과 터치 입력의 개수가 '1'도 아니고,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설정된 값도 아니면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 후 해당 값이 1이면 스크롤을 수행하고, 1보다 초과하거나, 1 미만이면 줌인 또는 줌아웃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부13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스크롤을 수행할지 또는 제스쳐를 수행할지를 판단하기 위해 터치입력의 수를 검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상기 터치입력의 수가 설정된 범위의 터치입력 수를 가지는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범위는 복수의 터치입력 수들이 될 수 있으며, 연속(예를들면 2-7) 또는 불연속되는 수(예를들면 2, 5-7)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의 수가 설정 범위 이외의 수를 가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3단계에서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설정된 수 외의 터치입력들(예를들면 설정범위가 2-5인 경우, 1, 6 이상)이 감지되면 각 터치입력들의 스케일 분석을 하지 않고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터치입력의 수가 설정 범위의 수를 가지면(예를들면 설정범위가 2-5로 설정된 상태에서 터치입력이 2개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터치입력을 제스쳐 입력으로 결정하고, 421단계에서 터치입력의 스케일 인자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일 인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터치 입력이 동일 방향으로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1'의 값을 갖게 되며, 복수의 터치 입력들이 서로 간에 이격되면 1을 초과하거나 또는 1보다 작게된다. 상기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 후, 상기 스케일인자가 1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4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스케일인자가 1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3단계에서 스케일 인자에 따라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의 정보들을 줌인 또는 줌아웃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4는 설정범위 내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고 설정범위 이외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설정범위 내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설정범위 이외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터치 입력의 개수와 기 설정된 판단 범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소정 범위 이외의 터치입력들을 감지하면 스크롤을 수행하고, 설정 범위 내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 후 해당 값이 1이면 스크롤을 수행하고, 1보다 초과하거나, 1 미만이면 줌인 또는 줌아웃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법의 변경된 방안으로, 처음에 소정의 판단 범위 값과의 일치 여부를 보는게 아니라, 터치 입력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의의 값들(예를들어, 1 또는 8)을 가지면 스크롤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케일 인자를 계산한 후 해당 값이 1이면 스크롤을 수행하고, 1보다 초과하거나, 1 미만이면 줌인 또는 줌아웃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터치입력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부13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스크롤을 수행할지 또는 제스쳐를 수행할지를 판단하기 위해 터치입력의 수를 검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터치 입력 개수와 기 설정된 1보다 큰 임의의 값 중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설정된 값(즉, 설정 터치입력 수)과 비교를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터치입력 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개수(max value)가 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스케일 인자를 트래킹할 때 다량의 연산이 필요하여 소모 전력을 유발시키는 특정 터치 입력의 개수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스크롤만이 용이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실 예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제스쳐보다는 스크롤 동작이 자연스러움으로 터치 입력이 4인 경우는 설정 터치입력 수 가 될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터치입력의 수는 복수의 터치입력들의 범위를 설정하는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터치입력들의 범위를 가지는 경우, 그 수는 연속(3-5 등) 또는 불연속(3,5-10 등)되는 수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 검출된 터치 입력의 개수가 상기 설정 터치입력수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3단계에서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1개의 터치입력이 감지되면(즉, 터치입력의 수가 1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511단계에서 설정 터치입력의 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된 좌표들의 면적을 계산한 후, 계산된 터치 면적의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지않으면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해당하는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 감지시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521단계에서 터치 입력들의 좌표들을 감싸는 가상의 원형 또는 사각형의 면적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면적이 설정된 특정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스크롤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입력의 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른 터치좌표들의 면적을 계산한 후, 계산된 면적이 설정된 임계값 범위 이내이면 해당 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한다. 이는 복수의 터치입력이 입력이 발생되면 터치 입력들의 면적들을 구하고, 이렇게 구해지는 면적이 일정 크기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해당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터치입력들의 수가 설정 터치입력의 수가 아니고, 터치입력들의 좌표에 의해 계산된 면적이 특정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스쳐 입력으로 판단하고 531단계에서 스케일 인자를 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계산된 스케일 인자를 검사하여 해당 스케일 인자가 1의 값을 가지면 523단계로 진행하여 스크롤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33단계에서 제스쳐 입력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상기 제스쳐 입력의 처리 방법은 1를 초과하면 줌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1 미만이면 줌아웃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상태에서 터치입력 감지시 한 개의 터치 입력 또는 설정된 수의 터치입력들이 감지되면 이를 스크롤 입력으로 감지하여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설정 터치입력 수 이외의 복수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된 좌표들의 면적 및/또는 스케일을 판단하여 제스쳐 또는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터치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터치입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 감지시 터치입력 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 입력의 스케일을 분석하여 설정된 제스쳐 입력으로 상기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수 또는 다량의 연산이 필요한 특정 터치입력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터치입력의 수는 3 이상 10 이하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의 스케일을 분석하여 스케일이 일정하면 상기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입력이 변경되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수가 1개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입력들의 좌표들이 연결되는 면적을 계산하는 과정과,
    계산된 상기 면적을 설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이내이면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은
    스케일 인자가 넓어지면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하며, 좁아지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터치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터치입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 감지시 터치입력 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 범위 이외의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범위 내의 터치입력 수이면 터치 스케일을 판단하며, 터치 스케일이 일정하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정범위는 2 이상의 특정 터치입력수 들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 범위의 터치입력 수는 연속되는 수들 또는 불연속되는 수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전자장치에 있어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디바이스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설정 터치입력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터치디바이스에서 터치입력을 검출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터치입력수와 비교하며, 상기 터치입력 수가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스크롤 제어하며,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된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 입력의 스케일을 판단하여 설정된 제스쳐 기능으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터치입력 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가능한 최대 터치 입력의 수 또는 다량의 연산이 필요한 특정 터치입력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스케일이 일정하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수가 1개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입력수가 설정 터치입력 수가 아니면 터치입력들의 좌표들이 연결되는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면적을 설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임계값 이내이면 터치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스쳐 입력으로 제어할 때, 상기 스케일 인자가 넓어지면 표시되는 화면을 줌인 제어하며, 좁아지면 화면을 줌아웃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 수가 설정 범위 이외의 터치입력 수이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단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하고, 설정된 범위 내의 터치입력 수이면 터치 스케일을 판단하며, 터치 스케일이 일정하면 스크롤 입력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쳐 입력으로 판정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154629A 2013-12-12 2013-12-12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1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29A KR102210045B1 (ko) 2013-12-12 2013-12-12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14/568,288 US9652143B2 (en) 2013-12-12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of electronic device
EP14197754.6A EP2905690B1 (en) 2013-12-12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29A KR102210045B1 (ko) 2013-12-12 2013-12-12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82A true KR20150068682A (ko) 2015-06-22
KR102210045B1 KR102210045B1 (ko) 2021-02-01

Family

ID=5210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629A KR102210045B1 (ko) 2013-12-12 2013-12-12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52143B2 (ko)
EP (1) EP2905690B1 (ko)
KR (1) KR10221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8203A1 (en) * 2011-02-10 2012-08-30 Kanki Noriyoshi Touch drawing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image display apparatus allowing touch-input, and controller for the display apparatus
KR102210045B1 (ko) * 2013-12-12 2021-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50355780A1 (en) * 2014-06-06 2015-12-10 Ht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tuitively refocusing images
CN113064538B (zh) * 2020-01-02 2024-03-0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设备参数设置方法、智能冰箱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116A (ko) * 2009-03-27 2010-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10039929A (ko) * 2009-10-12 2011-04-20 라오넥스(주)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KR20130031762A (ko) * 2011-09-21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1575B2 (en) 2003-09-16 2008-08-12 Smart Technologies Ulc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7844915B2 (en) * 2007-01-07 2010-11-30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KR101007045B1 (ko) * 2008-03-12 2011-01-12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센서 장치 및 이 장치의 포인팅 좌표 결정 방법
US20100162181A1 (en) * 2008-12-22 2010-06-24 Palm, Inc. Interpreting Gesture Input Including Introduction Or Removal Of A Point Of Contact While A Gesture Is In Progress
US8686952B2 (en) *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US8751955B2 (en) * 2009-03-28 2014-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rollbar user interface for multitouch devices
US20120327009A1 (en) * 2009-06-07 2012-12-2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US8681106B2 (en) * 2009-06-07 2014-03-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JP2011227854A (ja) * 2009-09-30 2011-11-10 Aisin Aw Co Ltd 情報表示装置
US8786559B2 (en) * 2010-01-06 2014-07-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ables using multi-contact gestures
US9891821B2 (en) * 2010-04-23 2018-02-13 Handscape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rol region of a computerized device from a touchpad
US20150363038A1 (en) * 2010-04-23 2015-12-17 Handscape Inc. Method for orienting a hand on a touchpad of a computerized system
US9477874B2 (en) * 2010-04-23 2016-10-25 Handscape Inc. Method using a touchpad for controlling a computerized system with epidermal print information
JP5674779B2 (ja) * 2010-06-03 2015-02-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スクロール装置、スクロール方法、スクロール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US20130187860A1 (en) * 2010-08-11 2013-07-25 Jenny Fredriksson Regulation of navigation speed among displayed i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101726607B1 (ko) * 2010-10-19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212230A (ja) * 2011-03-30 2012-11-01 Toshiba Corp 電子機器
US9168006B2 (en) * 2012-01-05 2015-10-2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controlling medical devices
US8907909B2 (en) * 2012-05-29 2014-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ic modular control system
US9043733B2 (en) * 2012-09-20 2015-05-26 Google Inc. Weighted N-finger scaling and scrolling
JP5862587B2 (ja) * 2013-03-25 2016-0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ジェスチャ判別装置、ジェスチャ判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910579B2 (en) * 2013-04-15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on of pan and scaling during multi-finger touch interactions
EP3422170A1 (en) * 2013-07-08 2019-01-02 Elo Touch Solutions, Inc. Multi-user multi-touch projected capacitance touch sensor
KR102210045B1 (ko) * 2013-12-12 2021-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9342184B2 (en) * 2013-12-23 2016-05-17 Lenovo (Singapore) Pte. Ltd. Managing multiple touch sources with palm rej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116A (ko) * 2009-03-27 2010-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10039929A (ko) * 2009-10-12 2011-04-20 라오넥스(주)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KR20130031762A (ko) * 2011-09-21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52143B2 (en) 2017-05-16
KR102210045B1 (ko) 2021-02-01
EP2905690A2 (en) 2015-08-12
EP2905690A3 (en) 2015-08-19
EP2905690B1 (en) 2019-05-15
US20150169167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567B1 (ko)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US9959040B1 (en) Input assistance for computing devices
US10282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touch operations
US8490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touch zoom using spiral rotation
US844330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ouchless interaction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US100734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anel
US9372613B2 (en) Sc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198118B2 (en)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60032611A (ko)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27704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bject in user device
AU2017203910B2 (en) Glove touch detection
JP201403569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10045B1 (ko)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9244567B2 (en) Electronic apparatus, calib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6980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6070B1 (ko) 터치 인식 개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35865A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30136276A (ko) 단말기의 펜 입력 보정장치 및 방법
KR20090056469A (ko)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18133211A1 (zh) 一种双屏电子设备的屏幕切换方法及双屏电子设备
US9235338B1 (en) Pan and zoom gesture detection in a multiple touch display
KR10164125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2021A (ko)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동 방향 조절 방법 및 단말기
KR101916706B1 (ko)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에 대응되게 표시화면을 스크롤링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