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929A -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929A
KR20110039929A KR1020090096999A KR20090096999A KR20110039929A KR 20110039929 A KR20110039929 A KR 20110039929A KR 1020090096999 A KR1020090096999 A KR 1020090096999A KR 20090096999 A KR20090096999 A KR 20090096999A KR 20110039929 A KR20110039929 A KR 2011003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
control mode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481B1 (ko
Inventor
신근호
Original Assignee
라오넥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오넥스(주) filed Critical 라오넥스(주)
Priority to KR102009009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81B1/ko
Priority to US12/989,483 priority patent/US20120212420A1/en
Priority to PCT/KR2010/001122 priority patent/WO2011046270A1/ko
Priority to BR112012008494A priority patent/BR112012008494A2/pt
Priority to EP10823512A priority patent/EP2490107A1/en
Priority to CN2010800455914A priority patent/CN102687101A/zh
Publication of KR2011003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입력면을 통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지점을 터치하여 특정 제어모드를 선택한 후 계속 이어지는 터치동작에 따라 커서 이동, 마우스 클릭, 화면제어, 문자입력, 응용프로그램 내에서의 개별제어 등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 내에서의 제어를 구현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입력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동작만으로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전자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터치동작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과 그에 대응되는 에이전트를 별도로 추가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내의 자체적인 제어명령도 사용자의 터치동작으로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입력부를 따로 분리하여 무선 리모콘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간단하고 가벼운 리모콘을 휴대하면서 다양한 입력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멀티터치, 터치패드, 화면제어, 문자입력, 응용프로그램

Description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MULTI-TOUCH TYPE INPUT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입력면을 통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지점을 터치하여 특정 제어모드를 선택한 후 계속 이어지는 터치동작에 따라 커서 이동, 마우스 클릭, 화면제어, 문자입력, 응용프로그램 내에서의 개별제어 등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 내에서의 제어를 구현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 컴퓨터, 노트북뿐만 아니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PDA 등의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입력수단으로서 기존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수단으로서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있어 입력수단을 터치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별도의 기계식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만을 구비함으로써 화면표시수단과 입력수 단을 공용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상에 다양한 메뉴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여 해당 명령을 인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컴퓨팅 장치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멀티터치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컴퓨팅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화면표시 기능과 입력 기능을 모두 갖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 기능만을 갖춘 터치패드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을 선택하는 데에 제약이 따르며,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에도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구분하여 터치하는 입력방식이므로 기계식 버튼에 비해 터치감이 떨어져 사용자의 입력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입력수단을 통해 별도의 입력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동작만으로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전자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은 동시에 하나 이상의 터치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멀티터치 방식의 터치입력면을 구비하고, 터치입력면을 통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지점의 좌표를 생성하고, 좌표의 정보가 포함된 터치정보를 전송하는 터치입력부; 및 터치입력부로부터 터치정보를 전송받고, 터치지점의 개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모드에 포함된 제어명령 중에서 터치지점의 개수 변동과 좌표변동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내부 제어를 처리하는 컴퓨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컴퓨팅부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의 전송 규격에 따라 터치입력부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어모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입력부의 터치정보를 제공받고, 터치정보로부터 터치지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터치지점의 개수에 따라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터치지점의 개수 변동과 좌표변동에 따라 선택된 제어모드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대응시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일반 에이전트; 및 일반 에이전트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내부 제어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반영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모드는 커서의 이동과 마우스 좌우 클릭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커서이동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일반 에이전트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1 개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커서이동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커서이동 제어모드 상태에서 터치지점을 기준으로 좌우지점에 두 번째 터치지점이 추가로 발생하면 각각 마우스 좌측 클릭과 마우스 우측 클릭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일반 에이전트는 커서이동 제어모드에서 마우스 좌측 클릭 상태로 터치지점이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면 화면상에서 커서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선택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일반 에이전트는 마우스 우측 클릭 상태로 세 번째 터치지점이 추가로 발생한 경우 터치지점의 이동방향에 따라 각각 복사, 잘라내기, 붙이기의 제어명령을 대응시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모드는 화면의 상하좌우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화면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일반 에이전트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2 개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화면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화면 제어모드 상태에서 터치지점의 터치상태가 기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동안 한정된 범위에서 유지되는 상태(이하, '롱프레스 터치'라 함)를 감지하여 롱프레스 터치의 유무에 따라 화면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고, 터치지점의 상하좌우 이동이 발생하면 화면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 중 앞서 택일한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모드는 문자입력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문자입력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일반 에이전트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4 개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문자입력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문자입력 제어모드 상태에서 터치지점의 상하좌우 이동에 대응하여 입력문자의 종류를 택일한 후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의 종류와 문자 테이블에 따라 개별 문자의 입력을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컴퓨팅부는, 컴퓨팅부에 개별적으로 추가되어 구비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정의된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마다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추가되어 구비 가능하고, 응용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되면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입력부의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해석하여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대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특수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모듈은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입력부의 터치정보를 제공받고, 터치정보로부터 터치지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3 개수'라 함)이면 이후 터치지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응용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하고 제어모드를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특수 에이전트 중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특수 에이전트를 구동하고, 특수 에이전트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내부 제어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모듈은 제 3 개수의 롱프레스 터치가 감지되면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터치지점의 이동에 대응하여 리스트 중 선택할 응용프로그램을 이동시키고, 터치지점이 분리되면 현재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된 특수 에이전트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모듈은 커서이동 제어모드, 화면 제어모드,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 문자입력 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 상태에서 제 4 개수를 갖는 터치지점이 발생하면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최초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입력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동작만으로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전자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터치동작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과 그에 대응되는 에이전트를 별도로 추가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내의 자체적인 제어명령도 사용자의 터치동작으로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입력부를 따로 분리하여 무선 리모콘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간단하고 가벼운 리모콘을 휴대하면서 다양한 입력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은 크게 터치입력부(10)와 컴퓨팅부(20)로 구성되며, 터치입력부(10)와 컴퓨팅부(20)는 하나의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개의 장치로서 떨어져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단일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입력부(10)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터치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멀티터치 방식의 터치입력면(11)을 구비한다. 이때, 터치입력면(11)은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터치패드 형태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구비한 터치스크린의 형태일 수도 있다. 터치입력면(11)을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할 경우 터치입력부(10)를 보다 작게 만들 수 있어 분리하여 휴대하기 용이한 리모콘 형태로 만들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입력부(10)를 컴퓨팅부(20)와 일체화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터치입력면(11)을 컴퓨팅부(20)의 화면표시부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터치입력부(10)는 터치입력면(11)을 통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지점의 좌표를 생성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 두 지점을 터치하면 총 2개의 해당 좌표가 생성된다.
또한, 터치입력부(10)는 터치지점의 좌표의 정보가 포함된 터치정보를 생성하여 컴퓨팅부(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터치지점의 좌표 생성과 터치정보의 전송은 아주 짧은 시간단위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입력부(10)는 상태 표시부(12)와 스피커(13)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컴퓨팅부(20)에서 동작하는 제어모드가 어떤 상태인지를 시각 또는 청각화된 정보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현재 제어모드에 대한 정보는 컴퓨팅부(20)로부터 제공받는다.
컴퓨팅부(20)는 터치입력부(10)로부터 터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를 해석하여 내부 제어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컴퓨팅부(20)는 일반 데스 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프로세서를 탑재한 전자기기라면 어느 것에도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MP3, PMP 등의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컴퓨팅부(20)는 복수 개의 제어모드로 동작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1)커서이동 제어모드, (2)화면 제어모드, (3)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4)문자입력 제어모드, (5)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제어모드는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는 나머지 4개의 제어모드와 다소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각 제어모드의 선택, 제어모드 내의 제어명령 선택은 터치입력부(10)를 통한 터치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제어모드의 선택은 터치지점의 개수에 따라 이루어지고, 각 제어모드 내에서의 제어명령 선택은 터치지점의 개수 변동과 좌표변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2]부터 [도 11]에서는 각 제어모드의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후 해당 항목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팅부(20)는 전송 인터페이스(21), 일반 에이전트(22), 기본프로그램(23), 제어모듈(24), 특수 에이전트(25), 응용프로그램(26), GUI(27)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특수 에이전트(25)와 응용프로그램(26)은 추가적으로 복수 개의 구비가 가능하다.
전송 인터페이스(21)는 유선 전송, 무선 전송 및 내부라인을 통한 데이터 입 출력 중 어느 하나의 규격에 따라 터치입력부(10)와 컴퓨팅부(20) 사이의 정보 전송 경로를 형성한다. 즉, 터치입력부(10)는 전송 인터페이스(21)로 터치지점의 좌표 정보가 포함된 터치정보를 전송하고, 전송 인터페이스(21)는 터치입력부(10)로 현재 제어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 인터페이스(21)의 전송 규격은 USB와 같은 유선 라인에 관한 규격일 수도 있고, RF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규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송 인터페이스(21)는 터치입력부(10)와 컴퓨팅부(20)가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된 경우에는 단순히 두 구성요소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경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일반 에이전트(22)는 커서이동 제어모드, 화면 제어모드,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문자입력 제어모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그리고, 일반 에이전트(22)는 전송 인터페이스(21)를 통해 터치입력부(10)의 터치정보를 제공받으면 이로부터 터치지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터치지점의 개수에 따라 제어모드를 선택한다. 예컨대, 터치지점이 1개인 경우에는 커서이동 제어모드, 2개인 경우에는 화면 제어모드, 3개인 경우에는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4개인 경우에는 문자입력 제어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어모드가 선택된 후에 일반 제이전트(22)는 터치지점의 개수 변동과 좌표변동에 따라 앞서 선택된 제어모드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대응시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커서이동 제어모드에서 터치지점이 이동하면 이를 커서 이동명령으로 인식하고, 추가적인 터치가 발생하면 이를 마우스 클릭 명령으로 인식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터치동작과 제어명령을 대응시키는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며, 간단한 예로서 제어명령에 해당되는 단축키와 터치동작을 대응시키는 방식이 있다.
기본프로그램(23)은 일반 에이전트(22)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OS(운영체제)에 종속되어 기본적으로 갖추어진 프로그램에 해당된다. 따라서, OS에서 제공하는 제어명령체계가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제어모듈(24)은 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마이컴 등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 에이전트(22) 또는 특수 에이전트(25)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내부 제어를 처리한다. 즉, 일반 에이전트(22)와 특수 에이전트(25)는 터치입력부(22)에서 발생한 터치정보를 제어명령으로 해석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므로 그에 따른 제어동작은 컴퓨팅부(20)에 구비된 제어모듈(24)에서 수행한다.
또한, 제어모듈(24)은 내부 제어 처리에 따른 처리결과를 반영하여 GUI(27)로 제공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며, 이는 모니터 등의 화면 표시부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에 해당된다.
응용프로그램(26)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하나 이상 추가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체적으로 정의된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을 구비한다. 즉, OS에서 제공하는 제어명령과는 별도의 제어명령체계를 갖출 수 있다.
이때, 응용프로그램(26)은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에서 동작하며,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에서 터치동작을 해당 응용프로그램(26)의 제어명령으로 해석하는 역할은 특수 에이전트(25)에서 담당한다.
특수 에이전트(25)는 응용프로그램(26)마다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추가 구비가 가능하며 응용프로그램(26)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대 한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응용프로그램(26)마다 그에 대응되는 특수 에이전트(25)가 구비되어야 한다.
특수 에이전트(25)는 전송 인터페이스(21)를 통해 터치입력부(10)의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해석하여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따라 응용프로그램(26)의 제어명령에 대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는 특수 에이전트(25)에서 담당하는데 일반 에이전트(22)에서 각 제어모드를 구동하는 중에 어떤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입력의 해석을 전적으로 특수 에이전트(25)에게 넘기면서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가 시작되고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에 대해서는 [도 9]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GUI(27)는 컴퓨팅부(20)의 전체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해당되며, 제어모듈(24)로부터 내부 처리 결과를 제공받아 이를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화면정보로 변환하여 커서 이동, 마우스 클릭, 팝업창 표시, 화면 이동 등을 화면상에 표시해준다. 또한, 그 밖에도 기본프로그램 리스트 표시, 응용프로그램 설치 리스트 표시, 펑션 아이콘 표시, 문자입력 방향표시 등 사용자가 터치조작을 통해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그래픽 처리 화면을 보여준다.
[도 2]는 각 제어모드에서의 동작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반 에이전트(22)에서는 커서이동 제어모드, 화면 제어모드,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문자입력 제어모드를 담당하며, 사용자는 각 제어모드를 자유롭게 변형시켜가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 에이전트(25)에서 담당하는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에서는 응용프로그램(26)과 특수 에이전트(25)가 현재의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를 벗어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제공해야 다른 제어모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특수 에이전트(25)가 일단 구동되면 다른 제어부의 개입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 해석을 전적으로 담당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2]에서는 일반 에이전트(22)에서 제공하는 4개의 제어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커서이동 제어모드는 한 손가락 터치, 화면 제어모드는 두 손가락 터치,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는 세 손가락 터치, 문자입력 제어모드는 네 손가락 터치에 한정하여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제어모드별 동시 터치 인식의 기준은 다른 개수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자입력 제어모드의 경우에는 네 손가락 터치로 설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0]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커서이동 제어모드, 화면 제어모드,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일반 에이전트(22)는 동시 입력되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1개, 2개, 3개이면 각각에 해당되는 제어모드를 실시간으로 변형시켜 터치입력을 해석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나, 문자입력 제어모드의 경우에는 문자입력 과정에서 1개, 2개, 3개의 동시 터치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 도중 제어모드가 바뀌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 별도의 제어모드 변경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일반 에이전트(22)는 문자입력 제어모드 상태에서 문자입력 제어모드의 선택에 해당되는 제 4 개수를 갖는 터치지점이 재발생하면 현재의 문자입력 제어모드를 벗어나서 임의의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최초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제 4 개수는 반드시 터치지점의 개수가 4개인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문자입력 제어모드 상태에서 문자입력을 하는 도중에 네 손가락으로 동시 터치를 하면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 간다. 이후 사용자가 1개, 2개, 3개, 4개 동시 터치를 하면 각 제어모드가 바로 실행된다.
[도 3]은 커서 이동, 마우스 좌우 클릭에 해당되는 커서이동 제어모드가 한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커서이동 제어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커서이동 제어모드는 커서의 이동과 마우스 좌우 클릭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일반 에이전트(22)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1 개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커서이동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커서이동 제어모드 상태에서 터치지점을 기준으로 좌우지점에 두 번째 터치지점이 추가로 발생하면 각각 마우스 좌측 클릭과 마우스 우측 클릭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 1 개수는 반드시 터치지점의 개수가 1개인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터치입력면(11)을 터치하면 이를 커서이동 제어모드 설정명령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터치지점을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해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지점의 좌측 또는 우측을 추가로 터치하면 이를 마우스 좌측 클릭 또는 우측 클릭으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마우스 좌측 클릭은 해당 지점에 대한 선택명령으로 인식처리하는데, [도 3]에서는 터치 후 이동하면 이를 선택명령으로 인식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마우스 우측 클릭은 일반적으로 여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띄우는 명령으로 인식처리한다. [도 3]의 우측 하단에는 마우스 우측 클릭에 대응하여 복사, 자르기, 붙이기를 이동방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표시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또는, [도 4]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마우스 좌측 클릭에 의해 화면상의 대상(아이콘, 파일, 폴더 등)이 선택된 상태에서 터치지점이 추가로 발생하면 이후 터치지점의 이동방향에 따라 각각 앞서 선택된 대상에 대한 복사, 잘라내기, 붙이기를 선택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대상의 선택은 반드시 마우스 좌측 클릭 방식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SHIFT + 방향키) 또는 한 포인트 이동 등에 의한 대상의 선택을 포함한다.
[도 5]는 화면의 스크롤, 페이지 이동, 화면의 확대/축소에 해당되는 화면 제어모드가 두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화면 제어모드는 화면의 상하좌우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일반 에이전트(22)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2 개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화면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화면 제어모드 상태에서 터치지점의 터치상태가 롱프레스 터치인지 유무에 따라 화면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고 이후의 터치지점의 상하좌우 이동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 2 개수는 반드시 터치지점의 개수가 2개인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두 지점을 동시 터치하면 이를 화면 스크롤로 인식하고, 그 상태로 일정시간 터치상태가 유지되어 롱프레스 터치로 인식되면 페이지 이동으로 전환하여 인식한다.
화면 스크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터치지점을 상하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마치 스크롤바를 움직이는 동작에 대응하듯이 화면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보여준다.
페이지 이동의 경우에는 화면을 페이지 단위로 이동시켜 보여준다. 즉, 화면이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가 터치지점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로 페이지를 이동시키면서 화면에 표시해준다.
화면 스크롤, 페이지 이동 외에도 화면의 축소, 확대가 가능한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두 지점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화면의 축소, 확대가 가능하다.
[도 6]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가 세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는 컴퓨터부(20)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즉, 내문서, 바탕화면, 내컴퓨터 등의 실행을 담당하고 그 밖에도 각종 펑션키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진입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프로그램과 기능의 실행에 대해서는 터치지점의 각 이동방향과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해둔다.
일반 에이전트(22)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3 개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터치지점이 이동하면 앞서 미리 설정된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기본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명령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 3 개수는 반드시 터치지점의 개수가 3개인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세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지점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내문서 폴더를 열어 보여주고, 아래로 이동시키면 바탕화면을 보여준다. 또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펑션 기능이 수행되는데 이는 [도 8]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위로 이동시키면 응용프로그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데 이는 [도 9]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서 롱프레스 터치에 의해 현재 실행중인 기본프로그램 리스트를 표시하고 터치이동과 릴리즈 동작에 의해 기본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반 에이전트(22)는 제 3 개수의 롱프레스 터치가 감지되면 현재 실행중인 기본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리스트 중의 기본프로그램 중 하나를 포인트로 표시하고, 터치지점의 이동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여 포인트를 이동시킴으로써 기본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표시해준다.
그리고, 터치지점이 분리되면 현재 포인트가 가리키는 기본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이는 마치 윈도우즈 OS 상에서 ALT + TAB의 기능과 같은 효과를 구현한다.
[도 8]은 [도 6]에서 좌측방향의 터치이동에 의해 F1 ~ F12에 정의된 기능키를 선택하는 창을 표시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반 에이전트(22)는 제 3 개수 터치의 좌측이동이 발생하면 F1부터 F12의 각 기능키에 정의된 실행내용의 펑션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해준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이동하여 펑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터치 릴리즈하면 해당 기능키가 실행된다. 즉, 일반 에이전트(22)가 해당 기능키의 제어명령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24)로 제공한다.
각 기능키의 정의는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6]에서 위쪽방향으로 터치이동이 발생함에 의해 현재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 실행하여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정의된 제어명령을 포함하며, 응용프로그램별로 서로 다른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앞서 [도 6]을 기준으로 일반 에이전트(22)는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 터치지점의 이동이 발생하면 컴퓨팅부(20)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응용프로그램 설치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는 앞서 [도 6]에서 위쪽 방향의 터치이동에 따른 동작에 해당한다.
이후 일반 에이전트(22)는 사용자가 터치지점을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리스트 중 선택할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포인트를 이동시켜 보여주고, 터치지점이 분리되면 현재 포인트가 가리키는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하고 제어모드를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설정한다. 동시에, 현재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특수 에이전트(25)를 찾아서 구동시킨다.
특수 에이전트(25)에는 응용프로그램(26)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 된 터치동작에 대한 정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일단 응용프로그램(26)이 선택되고 그에 대응되는 특수 에이전트(25)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이후 전송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정보는 특수 에이전트(25)에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따라 해석되어 응용프로그램의 제어명령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24)로 제공한다.
예컨대, 응용프로그램(26)과 그에 따른 특수 에이전트(25)가 특정한 게임에 관한 것이라면 해당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 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전용 게임기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응용프로그램 자체 내에서 응용프로그램을 벗어나거나 종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강제종료 등의 외부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한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동작중에 일반 에이전트(22)의 개입은 허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에서 벗어나면 다시 일반 에이전트(22)에서 터치동작의 해석을 재개한다.
[도 10]은 문자, 숫자, 기호의 입력에 해당되는 문자입력 제어모드가 네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문자입력 제어모드에서 영어를 선택한 후 세 손가락 이내의 터치 조작으로 알파벳 선택이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문자입력 제어모드는 문자입력에 관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반 에이전트(22)는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4 개 수'라 함)이면 제어모드를 문자입력 제어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문자입력 제어모드 상태에서 터치지점의 상하좌우 이동에 대응하여 입력문자의 종류를 택일한 후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의 종류와 문자 테이블에 따라 개별 문자의 입력을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 4 개수는 반드시 터치지점의 개수가 4개인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특히, 문자입력은 다양한 경우의 수의 조합이 필요하므로 문자입력 제어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4개 터치지점으로 약속해둘 경우 문자입력 자체에 관한 터치동작에 1개, 2개, 3개의 터치를 모두 배정할 수 있어 보다 폭넓은 문자입력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사용자가 네 손가락으로 동시 터치한 후 아래로 이동시키면 영어 입력이 선택되며, 이후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 손가락 터치의 범위 내에서 모든 알파벳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또한,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대로 제 4 개수를 갖는 터치지점이 재발생하면 현재의 문자입력 제어모드를 벗어나서 임의의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최초 상태로 복귀한다.
[도 11]의 경우는 문자입력 인터페이스를 터치스크린에 적용한 예이며,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터치패드의 경우에는 터치패드와 분리된 별도의 모니터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문자입력 제어모드에서의 문자, 숫자, 기호의 입력방식에 대해서는 본 특허 출원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2009년 7월 6일자로 특허출원된 바 있으며, 해당 특허출원의 내용을 본 발명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특허출원번호 10-2009-0061297, '멀티터치 방식 문자입력 방법'). 따라서, 문자입력 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들은 위 특허출원 문헌을 참고하여 해석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각 제어모드에서의 동작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커서 이동, 마우스 좌우 클릭에 해당되는 커서이동 제어모드가 한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커서이동 제어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화면의 스크롤, 페이지 이동, 화면의 확대/축소에 해당되는 화면 제어모드가 두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가 세 손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롱프레스 터치에 의해 현재 실행중인 기본프로그램 리스트를 표시하고 터치이동과 릴리즈 동작에 의해 기본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6]에서 좌측방향의 터치이동에 의해 F1 ~ F12에 정의된 기능키를 선택하는 창을 표시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6]에서 위쪽방향으로 터치이동이 발생함에 의해 현재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 실행하여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문자, 숫자, 기호의 입력에 해당되는 문자입력 제어모드가 네 손 가락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10]의 문자입력 제어모드에서 영어를 선택한 후 세 손가락 이내의 터치 조작으로 알파벳 선택이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Claims (10)

  1. 동시에 하나 이상의 터치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멀티터치 방식의 터치입력면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입력면을 통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지점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의 정보가 포함된 터치정보를 전송하는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상기 터치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어모드에 포함된 제어명령 중에서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 변동과 좌표변동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제어명령을 선택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내부 제어를 처리하는 컴퓨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부는,
    유선 전송, 무선 전송 및 내부라인을 통한 데이터 입출력 중 어느 하나의 규격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부와 상기 컴퓨팅부 사이의 정보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어모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터치입력부의 터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터치정보로부터 터치지점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 변동과 좌표변동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어모드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대응시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일반 에이전트; 및
    상기 일반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내부 제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결과를 반영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는 커서의 이동과 마우스 좌우 클릭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커서이동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1 개수'라 함)이면 상기 제어모드를 커서이동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커서이동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터치지점을 기준으로 좌우지점에 두 번째 터치지점이 추가로 발생하면 각각 마우스 좌측 클릭과 마우스 우측 클릭의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화면상의 대상이 선택된 상태에서 터치지점이 추가로 발생하면 상기 터치지점의 이동방향에 따라 각각 상기 선택된 대상에 대한 복사, 잘라내기, 붙이기의 제어명령을 대응시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는 화면의 상하좌우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에 관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화면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2 개수'라 함)이면 상기 제어모드를 화면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화면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터치지점의 터치상태가 기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동안 한정된 범위에서 유지되는 상태(이하, '롱프레스 터치'라 함)를 감지하여 상기 롱프레스 터치의 유무에 따라 화면 스크롤과 페이지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고, 상기 터치지점의 상하좌우 이동이 발생하면 상기 화면 스크롤과 상기 페이지 이동 중 앞서 택일한 제어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는 문자입력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문자입력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4 개수'라 함)이면 상기 제어모드를 문자입력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문자입력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터치지점의 상하좌우 이동에 대응하여 입력문자의 종류를 택일한 후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의 종류와 문자 테이블에 따라 개별 문자의 입력을 인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입력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4 개수를 갖는 터치지점이 재발생하면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최초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터치지점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이하, 제 3 개수'라 함)이면 상기 제어모드를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에서 상기 터치지점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기본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명령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3 개수의 롱프레스 터치가 감지되면 현재 실행중인 기본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터치지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기본프로그램의 리스트 중 선택할 기본프로그램을 이동시키고, 터치지점이 분리되면 현재 선택된 기본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부는,
    상기 컴퓨팅부에 개별적으로 추가되어 구비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정의된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응용프로그램마다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추가되어 구비 가능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일반 에이전트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터치입력부의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해석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터치동작에 따라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대한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특수 에이전트;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 터치지점의 이동이 발생하면 상기 컴퓨팅부에 구비된 응용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응용프로그램 설치 리스트를 표시하고, 터치지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응용프로그램 설치 리스트 중 선택할 응용프로그램을 이동시키고, 터치지점이 분리되면 현재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제어모드를 응용프로그램 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특수 에이전트 중 상기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되는 특수 에이전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에이전트는 상기 기본프로그램 제어모드 상태에서 상기 터치지점의 이동이 아래방향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컴퓨터부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바탕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KR1020090096999A 2009-10-12 2009-10-12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KR10111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99A KR101117481B1 (ko) 2009-10-12 2009-10-12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US12/989,483 US20120212420A1 (en) 2009-10-12 2010-02-23 Multi-touch input control system
PCT/KR2010/001122 WO2011046270A1 (ko) 2009-10-12 2010-02-23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BR112012008494A BR112012008494A2 (pt) 2009-10-12 2010-02-23 sistema de controle de entrada multi toque
EP10823512A EP2490107A1 (en) 2009-10-12 2010-02-23 Multi-touch type input controlling system
CN2010800455914A CN102687101A (zh) 2009-10-12 2010-02-23 多点触摸型输入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99A KR101117481B1 (ko) 2009-10-12 2009-10-12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929A true KR20110039929A (ko) 2011-04-20
KR101117481B1 KR101117481B1 (ko) 2012-03-07

Family

ID=4387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999A KR101117481B1 (ko) 2009-10-12 2009-10-12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12420A1 (ko)
EP (1) EP2490107A1 (ko)
KR (1) KR101117481B1 (ko)
CN (1) CN102687101A (ko)
BR (1) BR112012008494A2 (ko)
WO (1) WO201104627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7769A (zh) * 2012-10-23 2014-05-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入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40088446A (ko) * 2013-01-02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KR20150057080A (ko) * 2013-11-18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68682A (ko) * 2013-12-12 201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9575582B2 (en) 2013-05-20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281B2 (ja) * 2010-11-08 2014-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EP2659328B1 (en) * 2010-12-31 2020-07-2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a sound generating device combined with a display unit
US9262005B2 (en) * 2011-01-05 2016-02-16 Autodesk, Inc.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US9612743B2 (en) 2011-01-05 2017-04-04 Autodesk, Inc.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US9600090B2 (en) 2011-01-05 2017-03-21 Autodesk, Inc.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US8982062B2 (en) * 2011-05-09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ulti-modal user input devic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088434A1 (en) * 2011-10-06 2013-04-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ccessory to improve user experience with an electronic display
FR2986715B1 (fr) * 2012-02-15 2014-10-17 Archos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au moins un appareil par au moins un autre appareil, appareil et systeme mettant en œuvre un tel dispositif
CN103257807A (zh) * 2012-02-17 2013-08-21 林卓毅 移动通讯装置的状态切换方法及可携式电子装置
CN103389816A (zh) * 2012-05-08 2013-11-13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触控输入装置的信号发送方法
JP5377709B2 (ja) * 2012-05-23 2013-12-2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ゲーム装置
BR112014029990A2 (pt) 2012-06-03 2017-06-27 Maquet Critical Care Ab sistema com aparelho respiratório e tela sensível ao toque
CN102750096A (zh) * 2012-06-15 2012-10-24 深圳乐投卡尔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Android平台多点手势控制方法
CN102799376A (zh) * 2012-07-11 2012-11-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控设备的快捷功能设定方法
CN102902405A (zh) * 2012-08-07 2013-01-30 深圳市集尚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终端遥控器及其触控方法
CN103793044A (zh) * 2012-10-31 2014-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式遥控装置
US9019223B2 (en) * 2013-03-13 2015-04-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Touch input layout configuration
CN103354619A (zh) * 2013-05-31 2013-10-16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移动终端远程控制数字电视终端的方法及其系统
US9436304B1 (en) * 2013-11-01 2016-09-06 Google Inc. Computer with unified touch surface for input
CN103616999A (zh) * 2013-11-27 2014-03-05 绩优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多点触摸板的输入切换系统
WO2015099731A1 (en) * 2013-12-26 2015-07-02 Intel Corporation Remote multi-touch control
USD774530S1 (en) 2014-01-22 2016-12-20 Goog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morphing window controls
US10139993B2 (en) * 2014-01-22 2018-11-27 Google Llc Enhanced window control flows
CN103914224B (zh) * 2014-03-24 2018-03-23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WO2015194712A1 (ko) * 2014-06-19 2015-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503673B (zh) * 2014-12-08 2018-01-1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屏可调触控方法
KR20160077772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CN104657053B (zh) * 2015-01-11 2018-05-18 汪念鸿 一种在触摸屏终端利用多点手势实现特定功能的方法
US9880733B2 (en) * 2015-02-17 2018-01-30 Yu Albert Wang Multi-touch remote control method
CN104731514B (zh) * 2015-04-09 2017-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触摸操作区域单握触摸操作的识别方法及装置
US9874952B2 (en) * 2015-06-11 2018-01-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user interface (UI) management
CN105739894B (zh) * 2016-01-29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终端
KR102535056B1 (ko) * 2016-08-03 2023-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US10445519B2 (en) * 2017-08-29 2019-10-15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resistant to capture
JP6418299B1 (ja) * 2017-09-15 2018-11-07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527166B (zh) 2020-12-18 2022-11-18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触控指令的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6817539B2 (en) * 2000-06-30 2004-11-1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Generating landscape and portrait oriented tags
JP3842617B2 (ja) * 2001-10-31 2006-11-0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オーディオ装置及び入力方法
KR100500962B1 (ko) * 2002-11-29 2005-07-14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대화형 텔레비전의 무선 입력 장치
US7761814B2 (en) * 2004-09-13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Flick gesture
WO2006132514A1 (en) * 2005-06-10 2006-12-14 Yong-Seok Jeong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electric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AU2006332488A1 (en) * 2005-12-30 2007-07-12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input
CN100444094C (zh) * 2006-02-10 2008-12-1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控制应用程序的方法
JP2008009668A (ja) * 2006-06-29 2008-01-17 Syn Sophia Inc 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入力方法
KR100770936B1 (ko) * 2006-10-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35378B1 (ko) * 2007-04-03 200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리모컨의 기기 제어 방법
KR101435677B1 (ko) * 2007-07-16 2014-09-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 기능을수행하는 방법
KR100923443B1 (ko) 2007-12-11 2009-10-27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소자
CN101498973B (zh) * 2008-01-30 2013-04-10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以多指手势进行触控操作的触控解译装置与方法
CN101339453B (zh) * 2008-08-15 2012-05-23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交互式输入设备的模拟鼠标输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7769A (zh) * 2012-10-23 2014-05-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入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40088446A (ko) * 2013-01-02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9575582B2 (en) 2013-05-20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KR20150057080A (ko) * 2013-11-18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68682A (ko) * 2013-12-12 201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481B1 (ko) 2012-03-07
EP2490107A1 (en) 2012-08-22
BR112012008494A2 (pt) 2019-09-24
US20120212420A1 (en) 2012-08-23
WO2011046270A1 (ko) 2011-04-21
CN102687101A (zh)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481B1 (ko)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US104449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085603B1 (ko) 다점 감지 장치를 이용한 제스처링
AU2008100085A4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9239673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CN101943983A (zh) 计算机系统的控制方法及相关计算机系统
JP2019505024A (ja) タッチ感知面−ディスプレイによるジェスチャー制御式インタラクティブ方法及び装置
WO2017112714A1 (en) Combination computer keyboard and computer pointing device
US20140298275A1 (en)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gestures
US20150103010A1 (en) Keyboard with Integrated Pointing Functionality
WO2014043275A1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TWI489368B (zh) 周邊裝置及其操作方法及應用其之電子系統
KR20150098366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AU2016238971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AU2014201419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Demski et al. Context Sensitive Ges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