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829A -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829A
KR20150067829A KR1020130152840A KR20130152840A KR20150067829A KR 20150067829 A KR20150067829 A KR 20150067829A KR 1020130152840 A KR1020130152840 A KR 1020130152840A KR 20130152840 A KR20130152840 A KR 20130152840A KR 20150067829 A KR20150067829 A KR 20150067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area
control module
lis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이재경
남소정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829A/ko
Publication of KR2015006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 기계설비의 작업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제어반 및 상기 센서와 접속된 채, PLC를 매개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접점정보 및 센서에서 수집된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접속된 채, 상기 제어모듈에서 전송되어 온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며, 각 기계설비의 제원 및 각 기계설비의 작업지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 및 상기 제어모듈와 연결된 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특정 기계설비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접점정보,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Integrated monitoring system of multi machinery and equipment}
본 발명은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여러 대의 기계설비를 기종에 관계없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일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를 원격의 사무실에서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DNC1(Direct Numerical Control), DNC2, 에더넷 보드(ethernet board)등을 이용한 방법이나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PCNC를 공작기계용 컨트롤러로 사용하였다.
도 1은 국내특허공개 특2001-0066641호에 기재된 RS232C 케이블을 이용한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RS232C 인터페이스 기능은 기계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파라메터, 가공 프로그램등의 입/출력 수단으로 장비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사용 되어져 왔다(즉, 모니터링용이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해 장착된 장치임).
즉, 미리 완성된 형태의 정보를 단지 입/출력하는 기구인 것으로 생각하고 일반적으로 정해진 형태로만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공작기계 컨트롤러에 통신전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가격상승을 수반하게 되고 통신상의 장애에 의한 공작기계 기능 자체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요인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 원격의 장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통신전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장착하고 호스트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용 소프트웨어를 장착하여 전용 프로토콜에 따라 복잡한 통신과정을 수행하여야 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모니터링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반드시 추가되어야 하므로 가격상승이 유발되고, 모니터링을 위해 상시 장비와 컴퓨터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통신이상 발생시 장비 이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장비 상태의 변화시 현장의 작업자가 공작기계 범용 통신을 이용하여 이를 파일 단위로 호스트에 통보하고, 호스트는 보고 받은 내용을 분석하여 장비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여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공작기계의 각 기종에 따라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어서 모니터링 관리가 각 기종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모니터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공작기계의 기종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복수 공작기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기계설비의 작업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제어반 및 상기 센서와 접속된 채, PLC를 매개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접점정보 및 센서에서 수집된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접속된 채, 상기 제어모듈에서 전송되어 온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며, 각 기계설비의 제원 및 각 기계설비의 작업지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 및 상기 제어모듈와 연결된 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특정 기계설비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접점정보,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기계설비 중, 특정 기계설비를 선택하기 위한 설비 선택 버튼; 상기 설비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의 실적 정보가 출력되는 실적 정보 출력영역; 및 상기 설비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의 상기 접점목록 및 센서목록이 출력되는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접점목록을 선택하였을 때에 한하여 해당 접점정보가 출력되는 접점정보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센서목록을 선택하였을 때 한하여 해당 센싱정보가 출력되는 센싱정보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각 기계설비와 제어모듈, 제어모듈과 서버와의 통신연결상태가 출력되는 통신연결상태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작업지시 정보가 출력되는 작업지시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지시 정보는 작업지시가 저장된 RFID 태그가 제어모듈의 RFID 리더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작업지시와 메칭되는 작업지시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작업지시 출력영역으로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 모듈은, 해당 기계설비가 비상정지 상태인지 여부가 출력되는 설비상태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설비상태 출력영역에는 비상정지버튼이 구비되어, 이를 클릭할 경우 비상정지 원인 목록이 팝업창의 형태로 출력되며, 상기 팝업창의 비상정지 원인 목록 중 해당하는 항목을 클릭하면, 클릭된 항목정보가 상기 서버에 이력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기계설비, 특히 공작기계의 기종이 다르거나 또는 같은 기종으로 된 여러 공작기계들을 일원적으로 일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대의 공작기계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이종 공작기계마다 개별적으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던 기존과 대비하여 볼 때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도 1은 종래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크린 모듈의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크린 모듈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모듈에서 설비상태 영역과 관련된 팝업창의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다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블록도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센서(110), 제어모듈(120), 서버(130) 및 스크린 모듈(140)을 포함한다.
센서(110)는 기종이 다르거나 또는 같은 기종의 여러 기계설비(구체적으로 공작기계:1)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기계설비의 전류값(기계설비로 INPUT되는 전류값), 온도값(기계설비에서 공작물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온도값), 슬로프값(기계설비에서 긴 공작물을 가공할 때의 구배값) 등을 센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류감지 센서, 온도감지 센서, 슬로프감지 센서가 각 기계설비마다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110)는 필요에 따라 다른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설치개수도 가감될 수 있다.
제어모듈(120)은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각 기계설비(1)의 제어반(1a) 및 상기 센서(110)와 접속된 채, PLC(Programnable Logic Controller:P)를 매개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접점정보(디지털 정보)를 D/I(digital input) 및 상기 센서(110)에서 수집된 센싱정보(아날로그 정보)를 A/I(analog input)을 통해 전송받아서,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20)에는 RFID 리더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기계설비에서 절삭가공하기 위한 각 공작물에는 작업지시가 저장된 RFID 태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를 RFID 리더기에 접속하게 되면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던 작업지시와 메칭되는 작업지시정보가 상기 서버(130)로부터 로딩된다.
서버(130)는 상기 제어모듈(120)과 접속된 채, 상기 제어모듈(120)에서 전송되어온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일 기능과, 각 기계설비(1)의 제원 및 각 기계설비(1)의 작업지시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이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크린 모듈의 일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스크린 모듈(140)은 상기 제어모듈(120)과 연결된 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특정 기계설비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크린 모듈(140)의 화면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크린 모듈(140)은 설비 선택 버튼(141), 실적 정보 출력영역(142),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을 포함한다.
상기 설비 선택 버튼(141)은 복수의 기계설비(1) 중, 특정 기계설비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이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제어모듈(120)과 연결된 기계설비(1)의 목록이 인덱스되고, 인덱스 된 기계설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비 선택 버튼(141)을 최종적으로 클릭하면, 클릭된 설비명이 출력된다.
상기 실적 정보 출력영역(142)은 상기 설비 선택 버튼(141)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의 실적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으로, 예컨대, 기계설비(1)가 공작기계인 경우 가공물의 가공수량, 가공시간, 가공기간 및 불량수량 등이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에 더하여 다른 항목을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은 상기 설비 선택 버튼(141)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의 접점목록 및 센서목록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상기 각 접점목록 및 센서목록에는 클릭박스가 구성되어 있어서 개별적으로 접점목록 및 센서목록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140)은 상기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의 접점목록을 선택하였을 때에 한하여 해당 접점정보가 출력되는 접점정보 출력영역(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정보 출력영역(144)에는 상기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의 접점목록을 클릭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장비의 접점항목이 출력된다. 출력된 상기 접점항목들중 정상적으로 접점이 된 경우에는 그린 시그널에 의해 활성화되고, 반대의 경우는 비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접점현황을 총괄적으로 볼 수 있도록 시각화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140)은 상기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의 센서목록을 선택하였을 때에 한하여 해당 센싱정보가 출력되는 센싱정보 출력영역(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의 여러 개의 센서목록은 선택적으로 select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싱정보 출력영역(145)에는 상기 select된 센서에 의한 센싱정보만이 출력된다. 출력방식은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그래프 형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140)은 상기 각 기계설비(1)와 제어모듈(120), 제어모듈(120)과 서버(13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출력하는 통신연결상태 출력영역(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140)은 작업지시 정보가 출력되는 작업지시 출력영역(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지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작업지시가 저장된 RFID 태그(미도시)가 제어모듈(120)의 RFID 리더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작업지시와 메칭되는 작업지시정보를 상기 서버(130)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작업지시 출력영역(147)에 출력된다.
상기 작업지시 출력영역(147)의 항목은, 예컨대, 작업자, 가공해야 할 제품, 가공량, 납기일, 거래처, 공정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 항목일 뿐 다른 항목들이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 모듈(140)은 해당 기계설비(1)가 비상정지 상태인지 여부가 출력되는 설비상태 출력영역(1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상태 출력영역(148)에는 비상정지버튼(148a)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를 클릭할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비상정지 원인 목록이 팝업창(148b)의 형태로 출력되며, 상기 팝업창(148b)의 비상정지 원인 목록 중 해당하는 항목을 클릭하면, 클릭된 항목정보가 상기 서버(130)에 이력으로 저장된다.
설명되지 않는 도 5는 상기한 도 4와 대동소이하되, 다만, 기계설비가 다른 경우로서, 이 경우 접점목록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143)의 항목 선택 조건에 따라 도 4의 스크린 모듈에 출력된 것과는 달리, 접점정보 출력영역(144)에 출력되는 항목과, 센싱정보 출력영역(145)에 출력되는 항목들에 차이가 있음을 예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계설비의 기종이나 개수에 관계없이, 하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기계설비들을 일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기존의 1:1 모니터링 시스템과는 달리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1 : 기계설비
100 :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110 : 센서
120 : 제어모듈
130 : 서버
140 : 스크린 모듈
141 : 설비 선택 버튼
142 : 실적 정보 출력영역
143 : 접점 및 센서 목록 출력영역
144 : 접점정보 출력영역
145 : 센싱정보 출력영역
146 : 통신연결상태 출력영역
147 : 작업지시 출력영역
148 : 설비상태 출력영역

Claims (7)

  1. 복수 기계설비의 작업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제어반 및 상기 센서와 접속된 채, PLC를 매개로 상기 각 기계설비의 접점정보 및 센서에서 수집된 센싱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접속된 채, 상기 제어모듈에서 전송되어 온 접점정보 및 센싱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며, 각 기계설비의 제원 및 각 기계설비의 작업지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 및
    상기 제어모듈와 연결된 채,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특정 기계설비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접점정보, 센싱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 모듈;
    을 포함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2.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복수의 기계설비 중, 특정 기계설비를 선택하기 위한 설비 선택 버튼;
    상기 설비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의 실적 정보가 출력되는 실적 정보 출력영역; 및
    상기 설비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해당 설비의 상기 접점목록 및 센서목록이 출력되는 접점 및 센서목록 출력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접점목록을 선택하였을 때에 한하여 해당 접점정보가 출력되는 접점정보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센서목록을 선택하였을 때 한하여 해당 센싱정보가 출력되는 센싱정보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각 기계설비와 제어모듈, 제어모듈과 서버와의 통신연결상태가 출력되는 통신연결상태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모듈은,
    상기 작업지시 정보가 출력되는 작업지시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지시 정보는 작업지시가 저장된 RFID 태그가 제어모듈의 RFID 리더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작업지시와 메칭되는 작업지시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작업지시 출력영역으로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모듈은,
    해당 기계설비가 비상정지 상태인지 여부가 출력되는 설비상태 출력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설비상태 출력영역에는 비상정지버튼이 구비되어, 이를 클릭할 경우 비상정지 원인 목록이 팝업창의 형태로 출력되며, 상기 팝업창의 비상정지 원인 목록 중 해당하는 항목을 클릭하면, 클릭된 항목정보가 상기 서버에 이력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30152840A 2013-12-10 2013-12-10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67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40A KR20150067829A (ko) 2013-12-10 2013-12-10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40A KR20150067829A (ko) 2013-12-10 2013-12-10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29A true KR20150067829A (ko) 2015-06-19

Family

ID=5351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840A KR20150067829A (ko) 2013-12-10 2013-12-10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78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90A (ko) 2017-01-13 2018-07-24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다수 공작기계의 통합 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90A (ko) 2017-01-13 2018-07-24 삼미정보시스템 주식회사 다수 공작기계의 통합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88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equipment in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EP2891020B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nd back-end and front-end control devices for use in such system
CN109844662B (zh) 手动工作站单元、远程数据处理装置、手动工作站运营系统、手动工作站运营方法和手动工作站提供方法
CN108027603B (zh) 控制系统和用于运行具有真实的和虚拟控制器的控制系统的方法
US201203031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uniform naming of identical parameters of different field devices of an automation system
US87316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integrating sensor devices in a central controller
JP6633477B2 (ja) 複数の製造設備からなる生産設備の稼働停止時に原因を特定する機能を備えた生産制御装置
JP6836103B2 (ja) 工作機械用管理システム
US20180059655A1 (en) Production system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inspection time for production machine
US10317866B2 (en) State change manage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cell in cell control system
KR20150067829A (ko) 복수 기계설비의 일괄적 모니터링 시스템
US11561526B2 (en) Control system of industrial machine
US9779610B2 (en) Automated loop check for smart junction boxes
EP3514641A1 (en) System to manage and monitor a plurality of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US102354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operative intelligent HMIs for effective process operations
KR101880555B1 (ko) 공장 자동화 라인의 풀 프루프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JP6210108B2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機器情報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75391B1 (ko) Cnc 가공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213634179U (zh) 自动化装置
US11675347B2 (en) Industrial machine monitoring device
US20230095055A1 (en) Control device
US10935965B2 (en)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US11106449B2 (en)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components of a network subscriber of a network
US20150293528A1 (en) Portable intelligent controlling system for machines
CN114930262A (zh) 作业中停止状态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